








본 발명은 건축용 부속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 벽체에 설치되는 창틀이나 문틀을 지지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uilding accessorie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provement of a fixing bracket for supporting and fixing a window frame or a door frame installed on a building wall.
일반적으로 발코니 창호를 포함한 건축물 외벽에 설치된 4중창의 창틀은 상당한 중량이 있을 뿐 아니라 전체 사이즈도 크고 폭 두께도 넓은 특징이 있다. 그에 반해 건축물 외벽의 두께폭은 십 수센티미터 정도로서 4중창의 창틀 두께폭보다는 상대적으로 좁다. 그러므로 이러한 창호의 시공을 위해서는 별도의 고정브라켓들을 일정 간격으로 벽체의 창호설치면 내측벽부에 장치하여서 상대적으로 두께폭이 큰 4중창의 창틀 하부를 안정적으로 받침할 수 있게 한다.In general, the quaternary window frames installed on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including the balcony windows, are not only heavy, but also have a large overall size and a wide thickness. On the other hand, the thickness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s about ten centimeters, which is relatively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window frame of the quadruple. Therefore, for the construction of such windows, separate fixing brackets are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window installation surface of the wall at regular intervals to stably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window frame of the relatively large thickness.
종래 고정 브라켓은 통상 판체를 "ㄱ"자 형태로 직각 절곡한 형태로 형성되는 바, 그 상측 받침부는 창틀저면에 먼저 고정되게 하고 절곡된 하방 벽고정부는 창틀을 지지하는 벽체면에 체결고정되게 설치한다. 하지만 이러한 고정브라켓은 창틀이나 문틀의 하중을 제대로 분산시켜주지 못하고 한쪽으로 편중되게 하며, 창호 하부에 위치한 벽체의 평탄도가 길이방향으로 고르지 못한 경우에는 고정브라켓들 중에는 벽체에 밀착되지 못하고 떠 있는 고정브라켓도 있다. 이러할 경우에는 별도의 보강패드를 끼우고 체결시공하여야 하므로 번거롭고 시공효율도 떨어지게 한다.Conventional fixing brackets are usually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bent at a right angle to the "b" shape, the upper support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window frame first, the bent lower wall fixing part is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wall surface supporting the window frame do. However, these fixing brackets do not distribute the load of the window frame or door frame properly, and they are biased to one side, and when the flatness of the wall located below the window is unev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not fixed to the wall among the fixing brackets. There is also a bracket. In this case, the additional reinforcement pad should be inserted and tightened, which is cumbersome and reduces the construction efficiency.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고정 브라켓의 일 예로서 2007년에 특허등록된 특허등록 제10-0690587호 "고정브랫킷"이 있다. 특허등록 제10-0690587호에 개시된 고정 브라켓은 강판의 중앙부를 "ㄷ"로 펀칭하고 또 절곡하여서 T-브라켓을 구성하고 또 별도의 U-클립가이드가 구성되게 한 것으로, 브라켓의 T형상으로 창틀의 하중이 분산되어 튼튼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T-브라켓의 외측받침부가 U-클립가이드의 안착부에 위치조절 가능케 슬라이딩되므로 벽체의 평탄도에 제한을 받지않고 밀착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An example of a fixing bracket which solves this problem is Patent Registration No. 10-0690587, "fixing bracket" patented in 2007. The fixing bracket disclos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0690587 is formed by punching and bending the center portion of the steel sheet to "c" to form a T-bracket and a separate U-clip guide. The load is distributed and can be firmly fixed so that the outer support of the T-bracket slides to the seating part of the U-clip guide so that it can be closely mounted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flatness of the wall.
하지만 특허등록 제10-0690587호의 고정 브라켓은 강판의 중앙부를 "ㄷ"로 펀칭하여 외측받침부를 형성해줌으로써 외측받침부 만큼의 절개공간(펀칭부)이 고정 브라켓의 벽고정부에 생기게 되어서 고정 브라켓의 받침 지지력을 상당히 약화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또 특허등록 제10-0690587호의 벽고정부에 형성된 절개공간으로 인해 벽고정부의 하부에 있는 수직간격조절공의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밖에 없었다. 수직간격조절공에 앵커볼트를 타격 고정시 벽체에 철근이 위치해 있으면 앵커볼트를 설치할 수 없었다.However, the fixing bracket of Patent Registration No. 10-0690587 punches the center portion of the steel sheet to "c" to form the outer support portion, so that the incision space (punching portion) as much as the outer support portion is formed in the wall fixing part of the fixing bracket, thereby supporting the fixing bracket. There was a drawback that significantly weakened the bearing capacity. In addition, due to the incision space formed in the wall fixing part of Patent Registration No. 10-0690587, the length of the vertical gap adjusting hole in the lower part of the wall fixing part was inevitably formed. The anchor bolt could not be installed if the reinforcing bar was placed on the wall when fixing the anchor bolt to the vertical spacing hole.
또한 법적으로 허용되어진 아파트의 발코니 확장공사시 기존에 설치된 창호 창틀과 다른 높이를 갖는 창틀을 받침할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제10-0690587호의 고정 브라켓에서 T자형으로 후방 돌출된 외측받침부를 절단해 내야만 하므로 시공성 및 작업성을 그 만큼 떨어뜨리게 한다.In addition, when the balcony extension of an apartment is legally permitted, it often supports a window frame having a height different from that of a previously installed window frame. In this case, the outer protruding part which protrudes rearward in a T shape from the fixing bracket of heading 10-0690587 is cut. It has to be done, which reduces workability and workabilit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받침지지력이 좋고 시공성과 작업성이 좋은 개선된 고정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fixing bracket having good support and good workability and workabilit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코니 확장공사시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고정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xing bracket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even when the balcony expansion work.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창틀을 받침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에 있어서, 두개의 예비평판을 프레스 절취후 절곡하여서 상부받침부(10)와 벽고정부(12)를 갖는 "ㄱ"자 형상의 브라켓본체(4)와 상부받침부(30)를 갖는 조립받침부재(6)를 구성하고 서로 조립하여서 "T"자 형상의 고정브라켓(2)을 형성하되, 브라켓본체(4)의 절곡선부에 삽입공(22)이 형성되고 브라켓본체(4)의 상부받침부(30) 및 벽고정부(12)중 하나에는 프레스 엠보싱된 걸림부(24)가 형성되어서 조립받침부재(6)의 끼움편(32)이 삽입공(22)을 통해 삽입되고 걸림부(24)에 걸림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fixing bracket for fixing the window frame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having two upper plates by bending after pressing the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창틀을 받침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에 있어서, 두개의 예비평판을 프레스 절취후 절곡하여서 상부받침부(10)와 벽고정부(12)를 갖는 "ㄱ"자 형상의 브라켓본체(4)와 상부받침부(30)를 갖는 조립받침부재(6a)를 구성하고 서로 조립하여서 "T"자 형상의 고정브라켓(2)을 형성하되, 브라 켓본체(4)의 절곡선부에 삽입공(22)이 형성되어서 조립받침부재(6)의 끼움편(32)이 삽입공(22)을 통해 삽입되고 브라켓본체(4)의 상부받침부(30) 저면에 걸림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xing bracket for fixing the window frame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two pre-flat plate is bent after bending to form a "-" shaped having the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창틀을 받침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에 있어서, 예비평판을 프레스 절취후 절곡하여서 상부받침부(10)와 벽고정부(12)를 갖는 "ㄱ"자 형상의 브라켓본체(4)를 구성하되, 상부받침부(30)를 갖는 조립받침부재(6)와의 조립결합을 위해서 브라켓본체(4)의 절곡선부에는 삽입공(22)이 형성되고 브라켓본체(4)의 벽고정부(12)에는 프레스 엠보싱된 걸림부(24)가 형성되게 구성하여서 조립받침부재(6)의 끼움편(32)이 삽입공(22)을 통해 삽입되고 걸림부(24)에 걸림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xed bracket for supporting the window frame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b" shaped bracket body having the
본 발명은 브라켓본체와 조립받침부재로 조립되는 T자형 고정 브라켓을 구성하여서 받침지지력이 좋고 시공성과 작업성이 좋도록 하였다. 또한 발코니 확장공사시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T-shaped fixing bracket which is assembled by the bracket body and the assembly support member, so that the supporting force is good and the workability is good. It can also be conveniently used for balcony expansion work.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2)의 조립 사시도 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의 고정 브라켓(2)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 및 도 2의 고정 브라켓(2)의 조립 단면도이다.1 and 2 are assembled perspective views of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2)은 브라켓본체(4)와 조립받침부재(6)로 구분되는 두개의 구성품을 조립 결합하여서 T자형의 고정브라켓(2)이 형성되게 하며, 또 필요에 따라서 브라켓본체(4)에 조립결합된 조립받침부재(6)를 쉽게 분리하여서 브라켓본체(4)만으로도 "ㄱ"자형의 고정 브라켓(2)이 형성되게 구성한 것이다.
브라켓본체(4)와 조립받침부재(6)는 준비된 두개의 예비평판 각각을 프레스 절취후 절곡하여서 구성한다. 브라켓본체(4)는 "ㄱ"자 형상으로서 크게는 상부받침부(10)와 벽고정부(12)로 구성되며, 상부받침부(10)는 프레스 타공으로 가운데에 받침폭 조절 안내장공(14)과 그 좌우의 체결공(16)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브라켓본체(4)의 벽고정부(12)는 가운데의 받침높이 조절 안내장공(18)과  그 좌우의 체결공(20)들이 형성된다.The
상부받침부(10)와 벽고정부(12)를 갖는 브라켓본체(4)의 절곡선부에는 프레스 타공된 삽입공(22)이 슬릿형태로 절곡선을 따라가며 형성되고 브라켓본체(4)의 벽고정부(12)에는 프레스 엠보싱된 걸림부(24)가 형성되게 구성하여서, 조립받침부재(6)의 끼움편(32)이 삽입공(22)을 통해 삽입되고 걸림부(24)에 걸림되게 한다. 또 브라켓본체(4)의 절곡선부에서 삽입공(22)의 좌우에는 동시 프레스 절취된 후 금형 절곡시 강제압입되어서 상부받침부(10)와 벽고정부(14)를 잇는 보강브릿지(26)가 절곡선부 형성과 동시에 형성 구성한다.In the bent portion of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브라켓 본체(4)는 종래기술에서의 벽고정부가 큰 개구가 타공형성된 관계로 앵커볼트가 체결되는 조절공이 길게 형성되지 못하는 것과 다르게 벽고정부(12)에 프레스 엠보싱된 걸림부(24)만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받침 지지력이 좋으며 또 벽고정부(14)에 연결 지지된 보강브릿지(26)들이 상부받침부(10)를 받쳐주므로 받침지지력이 더욱 보강되게 해준다. 그리고 프레스 엠보싱된 걸림부(24)의 아래부터는 받침높이 조절 안내장공(18)을 길게 형성할 수 있어서 받침높이 조절안내장공(18)의 일지점에 앵커볼트(도 6의 62)를 타격 고정시 그 벽체(60)내에 철근이 위치해 있다하더라도 받침높이 조절 안내장공(18)내 다른 지점으로 앵커볼트(62)를 옮겨 타격하여서 고정설치할 수 있게 해준다.The
한편 조립받침부재(6)는 "ㄱ"자 형상으로서 상부받침부(30)와 상부받침부(30)에서 직각절곡되어 하방으로 폭 좁게 연장된 끼움편(32)으로 구성되며, 상부받침부(30)는 가운데에 받침폭 조절 안내장공(34)과 그 좌우의 체결공(36)들이 프레스 타공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36)의 형성은 선택사항이다.On the other hand, the
조립받침부재(6)의 끼움편(32)에는 나공(38)을 가공형성하여서 조립받침부재(6)의 끼움편(32)이 브라켓본체(4)의 삽입공(22)을 통해 삽입되어 걸림부(24)에 걸림될 시에 걸림부(24)의 체결공(28)과 끼움편(32)의 나공(38)이 피스(미도시됨)로 나사체결되게 해준다. 상기 피스를 이용한 조립받침부재(6)와 브라켓본체(4)간 나사 체결은 창호 시공전의 운반이나 취급시에 "T"자형 고정 브라켓(2)으로 조립구성되게 하는 브라켓본체(4)와 조립받침부재(6)간이 분리되지 않도록 함이 주요 기능이고, 시공시에 반드시 체결해야할 필요는 없다.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2)의 시공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2)을 설치한 시공완료 단면도이다.5 is a construction state diagram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2)은 창호신축 공사시에 주로 사용된다.The
창호신축 공사시 작업자는 건축물 외벽의 창호설치면에 얹히는 4중창의 창틀 하부프레임(50)의 저부면에는 도 5에서와 같이 끼움홈(42)이 형성된 체결편(40)을 십수 센터미터 간격으로 체결설치하고, 또 체결판(40)의 끼움홈(42)에는 조립받침부재(6)의 상부받침부(30)를 끼운 다음 체결판(40)의 통공(44)과 조립받침부재(6)의 받침폭 조절안내 장공(34)을 통해서 피스(46)를 창틀 하부프레임(50)의 저부면에 체결 고정한다. 그 후에는 4중창 창틀의 하부프레임(50)의 외측 일부가 건축물 외벽의 창호설치면에 안착되게 하여 창틀을 설치한다.In the new window construction work, the operator puts the
4중창 창틀을 안착 설치한 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 하부프레임(50)의 내측 저부면에는 브라켓본체(4)의 상부받침부(10)를 밀착시키되 조립받침부재(6)의 끼움편(32)이 브라켓본체(4)의 삽입공(22)에 삽입되고 걸림부(24)에 걸림고정되게 한 상태에서 밀착되게 한다. 이렇게 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앵커볼트(62)를 받침높이 조절 안내장공(18)을 통해 타격해서 벽체(60)에 고정함으로써 브라켓본체(4)가 벽체(60)에 고정설치되게 한다. 또 브라켓본체(4)의 상부받침부(10)의 받침폭 조절안내 장공(14)을 통해서 피스(48)를 창틀 하부프레임(50)의 내측 저부면에 체결 고정한다.After seating and installing the quadruple window frame, as shown in FIG. 5, the
이러한 브라켓본체(4)를 체결 고정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브라켓본체(4)들을  앵커볼트(62) 및 피스(48)로 도 5에서와 같이 체결편(40)이 설치된 위치의 대응 벽체(60)와 창틀 하부프레임(50)의 내측 저부면에 각각 체결 고정시킨다. 브라켓본체(4)와 조립받침부재(6)는 그 상부받침부(10)(30)에 받침폭 조절 안내장공(14)(34)가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비록 벽체(60)의 내면에 불균일하다 하더라도 받침폭 방향으로 브라켓본체(4)와 조립받침부재(6)를 받침폭 방향으로 위치조절할 수 있어 브라켓본체(4)의 들뜸현상이나 보강패드 끼움작업없이 브라켓본체(4)를 벽체(60)에 앵커볼트(62)로 용이하게 타격 고정할 수 있다. 또 받침높이 조절안내장공(18)의 일지점에 앵커볼트(62)를 타격 고정시 그 벽체(60)내에 철근이 위치해 있다하더라도 받침높이 조절 안내장공(18)내 다른 지점으로 앵커볼트(62)를 옮겨 타격고정함으로써 브라켓본체(4)를 벽체(60)에 고정설치할 수 있다.Corresponding
브라켓본체(4)의 벽고정부(12)에 형성된 체결공(20)과 상부받침부(10)에 형성된 체결공(16)으로부터 체결 및 고정 구성은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fastening and fixing configuration from th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2)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발코니 확장공사시 도 7의 고정브라켓(2)을 설치한 시공완료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발코니 확장공사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2)을 설치한 시공완료 단면도이다.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고정 브라켓(2)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고정브라켓(2)과 같이 두개의 조립 구성품인 브라켓본체(4)와 조립받침부재(6a)로 구분되어 구성되며, 브라켓본체(4)와 조립받침부재(6a)를 조립 결합함에 의해서 "T"자 형상 을 갖게 된다.The fixing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의 고정 브라켓(2)에서 브라켓본체(4)는 도 1 내지 도 6의 구조와 동일하지만, 조립받침부재(6a)는 도 1 내지 도 6의 조립받침부재(6)와는 다소 상이한 구조이다. 도 7에 도시된 조립받침부재(6a)는  "ㅡ"자 형상으로서, 상부받침부(30)와 상부받침부(30)에서 약간 만곡 경사하강된 다음 옆으로 연장된 끼움편(32a)으로 구성된다.In the fixing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2)은 아파트 발코니 확장공사등과 같이 기존 설치된 창틀에서 다른 창틀을 추가 설치할 시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7 and 8, the fixing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존 이중창 창틀의 하부프레임(51)에 새로운 이중창 창틀의 하부프레임(52)를 덧붙혀 설치시에, 기존 하부프레임(51)의 밑면과 벽체(60)의 창호안착면 사이에 끼움홈들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그 각 끼움홈에 조립받침부재(6a)의 상부받침부(30)를 억지끼움으로 끼워넣되 조립받침부재(6a)의 끼움편(32a)은 내측으로 노출되게 한다. 그후 조립받침부재(6)의 끼움편(32)이 브라켓본체(4)의 삽입공(22)에 삽입되게 하고 브라켓본체(4)의 상부받침부(30) 저면에 걸림되게 한후, 전기한 바와 같이 브라켓본체(4)를 앵커볼트(62)와 피스(48)로 벽체(60)에 고정 및 새창틀 하부프레임(52)의 내측 저부면에 체결 고정되게 하면 된다.In more detail, when installing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고정 브라켓(2)은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조립받침부재(6a)를 사용하지 않고도 이용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발코니 확장공사를 하다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 설치할 이중창 창틀의 하부프레임(54)이 기존 설치된 이중창 창틀의 하부 프레임(51)과 높이가 다른 경우가 종종 있는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이 경우 브라켓본체(4)에 조립결합된 조립받침부재(6)를 간단하게 분리하여서 브라켓본체(4)만으로도 "ㄱ"자형의 고정 브라켓(2)이 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면 도 9에서와 같이 브라켓본체(4)만으로 된 고정 브라켓(2)을 이용하여 창틀을 받침고정할 수 있게된다.9, the height of the
이러한 구성은 종래 제10-0690587호의 고정 브라켓에서 T자형으로 후방 돌출된 외측받침부를 절단해야 함에 따른 시공성 및 작업성 저하를 문제를 해결해준다.This configuration solves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in workability and workability due to the need to cut the outer support projecting backward in a T-shape in the fixed bracket of 10-0690587.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 of claims and claim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의 조립 사시도,1 and 2 are assembled perspective views of th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 및 도 2의 고정 브라켓의 분리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bracket of FIGS. 1 and 2;
도 4는 도 1 및 도 2의 고정 브라켓 조립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xing bracket of Figures 1 and 2,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 시공 상태도,Figure 5 is a fixed bracket constructi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을 설치한 시공완료 단면도,6 is a completed cross-sectional view of installing th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의 분리 사시도,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발코니 확장공사시 도 7의 고정브라켓을 설치한 시공완료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pletion of the installation of the fixing bracket of FIG.
도 9는 발코니 확장공사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을 설치한 시공완료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pletion of the installation of th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alcony expans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고정 브라켓 (4)-- 브라켓본체(2)-Fixing bracket (4)-Bracket body
(6)-- 조립받침부재 (10)(30)-- 상부받침부(6)-Assemble support member (10) (30)-Upper support
(12)-- 벽고정부 (14)(34)-- 받침폭 조절 안내장공(12)-Wall Station (14) (34)-Stand width adjustment guide
(18)-- 받침높이 조절 안내장공 (22)-- 삽입공(18)-Stand height adjustment guide (22)-Insert hole
(24)-- 걸림부 (32)-- 끼움편(24)-Hanging part (32)-Fitting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11921AKR100827716B1 (en) | 2008-02-05 | 2008-02-05 | fixed bracket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11921AKR100827716B1 (en) | 2008-02-05 | 2008-02-05 | fixed bracket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827716B1true KR100827716B1 (en) | 2008-05-07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80011921AExpired - Fee RelatedKR100827716B1 (en) | 2008-02-05 | 2008-02-05 | fixed bracket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827716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46319Y1 (en) | 2009-07-06 | 2009-10-16 | 김명근 | Window bracket mounting structure | 
| KR100981307B1 (en) | 2009-07-30 | 2010-09-10 | 허수빈 | Bracket for supportung window frame | 
| KR200451889Y1 (en) | 2008-11-03 | 2011-01-17 | 문대영 | Balcony stands | 
| KR200452018Y1 (en)* | 2010-04-16 | 2011-01-25 | 이충원 | Window frame fixing bracket | 
| KR20110023488A (en)* | 2009-08-31 | 2011-03-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 
| KR200471050Y1 (en) | 2013-05-24 | 2014-01-28 | 이충원 | The bracket for a window frame | 
| KR101405110B1 (en)* | 2012-08-24 | 2014-06-10 | 안병욱 | The window frame fixation braket for anti-condensation | 
| KR20170000040U (en) | 2015-06-24 | 2017-01-03 | 송재해 | The bracket for fixing a window | 
| KR20170000826A (en) | 2016-12-20 | 2017-01-03 | 송재해 | The bracket manufacturing method for fixing a window | 
| KR101729722B1 (en)* | 2015-05-28 | 2017-04-26 | 주식회사 원진 | Brackets for fixing window frame | 
| KR101802838B1 (en) | 2017-07-13 | 2017-12-28 | 김상만 | A bracket for mounting window frame | 
| KR20190026309A (en)* | 2017-09-05 | 2019-03-13 | 김상만 | A bracket for mounting window frame | 
| KR20190026308A (en)* | 2017-09-05 | 2019-03-13 | 김상만 | A bracket for mounting window fram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50004002U (en)* | 1993-07-13 | 1995-02-17 | 조광희 | Door gap vertical adjustment device | 
| JPH09184365A (en)* | 1995-12-28 | 1997-07-15 | Oi Seisakusho Co Ltd | Joining member for installation of sash | 
| KR200428810Y1 (en) | 2006-07-24 | 2006-10-13 | 한 기 김 | Brackets for fixing window frames | 
| KR200428777Y1 (en) | 2006-07-20 | 2006-10-16 | 한 기 김 | Brackets for fixing balcony window frames | 
| KR200434477Y1 (en) | 2006-09-28 | 2006-12-20 | 한 기 김 | Brackets for fixing window frames | 
| KR200438474Y1 (en) | 2007-10-26 | 2008-02-19 | 박희옥 | Window frame fixing bracket | 
| KR200439125Y1 (en) | 2007-04-26 | 2008-03-24 | 문광엽 | Connecting bracket for window fram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50004002U (en)* | 1993-07-13 | 1995-02-17 | 조광희 | Door gap vertical adjustment device | 
| JPH09184365A (en)* | 1995-12-28 | 1997-07-15 | Oi Seisakusho Co Ltd | Joining member for installation of sash | 
| KR200428777Y1 (en) | 2006-07-20 | 2006-10-16 | 한 기 김 | Brackets for fixing balcony window frames | 
| KR200428810Y1 (en) | 2006-07-24 | 2006-10-13 | 한 기 김 | Brackets for fixing window frames | 
| KR200434477Y1 (en) | 2006-09-28 | 2006-12-20 | 한 기 김 | Brackets for fixing window frames | 
| KR200439125Y1 (en) | 2007-04-26 | 2008-03-24 | 문광엽 | Connecting bracket for window frame | 
| KR200438474Y1 (en) | 2007-10-26 | 2008-02-19 | 박희옥 | Window frame fixing bracket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51889Y1 (en) | 2008-11-03 | 2011-01-17 | 문대영 | Balcony stands | 
| KR200446319Y1 (en) | 2009-07-06 | 2009-10-16 | 김명근 | Window bracket mounting structure | 
| KR100981307B1 (en) | 2009-07-30 | 2010-09-10 | 허수빈 | Bracket for supportung window frame | 
| KR20110023488A (en)* | 2009-08-31 | 2011-03-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 
| KR101637346B1 (en)* | 2009-08-31 | 2016-07-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laundry machine | 
| KR200452018Y1 (en)* | 2010-04-16 | 2011-01-25 | 이충원 | Window frame fixing bracket | 
| KR101405110B1 (en)* | 2012-08-24 | 2014-06-10 | 안병욱 | The window frame fixation braket for anti-condensation | 
| KR200471050Y1 (en) | 2013-05-24 | 2014-01-28 | 이충원 | The bracket for a window frame | 
| KR101729722B1 (en)* | 2015-05-28 | 2017-04-26 | 주식회사 원진 | Brackets for fixing window frame | 
| KR20170000040U (en) | 2015-06-24 | 2017-01-03 | 송재해 | The bracket for fixing a window | 
| KR20170000826A (en) | 2016-12-20 | 2017-01-03 | 송재해 | The bracket manufacturing method for fixing a window | 
| KR101802838B1 (en) | 2017-07-13 | 2017-12-28 | 김상만 | A bracket for mounting window frame | 
| KR20190026309A (en)* | 2017-09-05 | 2019-03-13 | 김상만 | A bracket for mounting window frame | 
| KR20190026308A (en)* | 2017-09-05 | 2019-03-13 | 김상만 | A bracket for mounting window frame | 
| KR101976731B1 (en) | 2017-09-05 | 2019-05-09 | 김상만 | A bracket for mounting window frame | 
| KR101976732B1 (en) | 2017-09-05 | 2019-05-09 | 김상만 | A bracket for mounting window frame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827716B1 (en) | fixed bracket | |
| KR100916568B1 (en) | Frame structure for installing wall panels in buildings and how to install wall panels using the same | |
| US7918065B2 (en) | Fastening member and external wall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 |
| KR100850862B1 (en) | Wall panel mounting device using frame structure for building wall panel of building | |
| US7712267B2 (en) | Self centering shaft wall system | |
| KR101677210B1 (en) | Channel of assembly type casted in concrete structure | |
| KR101289316B1 (en) |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of aluminum window frame | |
| EP2447549B1 (en) | A connector of a guardrail assembly | |
| KR200484346Y1 (en) | The bracket for fixing a window | |
| EP2398973A1 (en) | A framing system | |
| KR200449811Y1 (en) | Fixing bracket | |
| KR101281159B1 (en) | upholder assembley for access floor | |
| KR20190019549A (en) | Assembly type panel supporting apparatus and panel structure by using of it | |
| KR20140019182A (en) | Device for fixing internal and external construction materials | |
| JP2009074305A (en) | Mounting bracket for base material for steady rest | |
| JP5516843B2 (en) | 3-way panel connection structure and metal fittings | |
| KR100996101B1 (en) | The bracket for fixing a window frame | |
| KR200451130Y1 (en) | Brackets for fixing window frames and door frames | |
| KR101616229B1 (en) | Assembly type fence | |
| US20090183448A1 (en) | Lintel configuration | |
| KR100894676B1 (en) | Connecting member of window kit fixing bracket | |
| JP4528311B2 (en) | Top hanging rail sliding door | |
| KR101003363B1 (en) | Window frame fixing device | |
| KR20140004646U (en) | Prefabricated fixing bracket | |
| KR200449810Y1 (en) | Horizontal coupled type fixing bracket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30409 Year of fee payment: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40407 Year of fee payment: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8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6043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6043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