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기 연결 표시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서 외부기기 연결부분 표시 화면의 일예도.2a to 2c is an example of the display screen of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서 외부기기 연결부분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진.Figure 3 is a picture of a display device having an external device connecting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외부기기 연결 표시방법을 보인 흐름도.4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for displaying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키입력부110... Key input section
120… 연결상태 감지부120... Connection status detector
130… 제어부130... Control
140… 메모리140... Memory
150… 외부기기 연결부분 표시부150... External device connection part display part
160… 연결상태 표시부160... Connection Status Display
본 발명은 외부기기 연결 표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걸이 디스플레이 기기(LCD/PDP)를 벽에 고정한(Wall mount) 상태에서 외부기기의 연결에 편의성을 제공토록 한 외부기기 연결 표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display, and more particularly,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display device and a device for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connection of an external device in a wall-mounted display device (LCD / PDP) mounted on a wall. It is about a method.
구체적으로 벽걸이 디스플레이 기기를 벽에 고정한 후 외부기기를 추가로 연결할 때 화면에 외부기기 연결부분을 표시해주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외부기기를 연결토록 도모해주고, 외부기기 연결 후 연결상태를 표시해주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외부기기 연결 표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Specifically, the wall-mounted display device is fixed to the wall, and when the external device is additionally connected,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art is displayed on the scree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nnect the external device, and the connection status is displayed after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connecting an external device so as to check a connection state.
최근 PDP, LCD 패널 등을 이용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는 특히 벽걸이형(Wall mount)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Recently, flat display devices using PDPs, LCD panels, and the like are widely used, and such flat display devices are particularly used for wall mounts.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기기는 디지털 TV용 셋톱박스(Set Top Box), VCR 등의 외부 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근래에는 게임기라든지 컴퓨터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Wall-mounted display devices are often connected to external devices such as digital TV set top boxes and VCRs. Recently, wall-mounted display devices are often connected to game machines or computers.
이러한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기기는 벽에 고정하기 이전에는 필요한 외부 기기를 먼저 연결한 후 벽에 고정하면 사용에 큰 불편함이 없으나, 벽에 고정한 후 새로운 외부기기를 연결할 경우에는 해당 연결 부분을 찾기가 힘들어 외부기기 연결이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Such a wall-mounted display device is not inconvenient to use if it is necessary to connect external devices first and then fix it to the wall before fixing it to the wall.However, when connecting a new external device after fixing it to the wall, it is difficult to find the connection part. It is very difficult to connect external devices.
여기서 평면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기기는 미관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외부 기기 연결부분이 후면 하단부에 구비되므로, 벽에 고정한 후에는 외부기기의 연결이 어렵다는 불편함이 따른다.Here, the flat wall-mounted display device is generally provided with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part at the lower rear part in consideration of aesthetics, so that it is difficult to connect external devices after fixing to the wall.
물론, 벽에 고정 설치된 디스플레이 기기를 탈착한 후 해당 외부기기를 연결한 후 다시 벽에 고정하면 되나, 이것은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 자체가 매우 무겁고 가격이 고가이며, 그 특성상 외부 충격에 매우 취약하므로 일반인이 벽에 고정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를 벽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해당 외부기기를 연결하고 다시 벽에 고정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Of course, the display device fixed to the wall can be removed and then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and then fixed to the wall. However, this is because the wall-mounted flat panel display device itself is very heavy and expensive, and because of its characteristics, it is very vulnerable to external shocks. It is not easy to detach a flat panel display device fixed to the wall from the wall, connect the external device and fix it to the wall again.
특히, 벽에 고정 설치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에 외부 연결 기기를 연결하기 위해서 A/S 요원을 부르게 되면, 출장비가 발생하게 되므로 소비자 입장에서는 아주 사소한 일로 비용을 지출해야만 한다.In particular, calling A / S personnel to connect externally connected devices to a flat panel display device fixed to a wall will incur travel expenses, so the cost of the consumer should be very small.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외부기기 연결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various problems occurring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in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벽걸이 디스플레이 기기(LCD/PDP)를 벽에 고정한(Wall mount) 상태에서 외부기기의 연결에 편의성을 제공토록 한 외부기기 연결 표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an external device to provide convenience for connecting an external device in a wall mount state of a wall display device (LCD / PDP).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벽걸이 디스플레이 기기를 벽에 고정한 상태에서 외부기기를 추가로 연결할 때 화면에 외부기기 연결부를 표시해주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외부기기를 연결토록 도모해주는 외부기기 연결 표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 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ortion on the screen to facilitate the user to easily connect to the external device when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while the wall display device is fixed to the wall and the method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기기 연결단자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면 그 연결상태를 표시해주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외부기기 연결 표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displaying a connection state when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terminal so that a user can easily check the connection stat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외부기기 연결 표시 장치"는,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벽에 고정된 디스플레이 기기의 외부기기 연결부분에 외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외부기기 연결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키입력부와;A key input unit for setting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mode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to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ortion of the display device fixed to the wall;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분에 접속되는 외부기기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는 연결상태 감지부와;A connection state detection unit detecting a connection state of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unit;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연결 모드가 설정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외부기기 연결부분 표시 데이터를 인출하여 화면에 외부기기 연결부분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연결상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외부기기 연결상태를 표시토록 제어하는 제어부와;When the connection mode is set through the key input unit,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ortion display data stored in the memory is extracted to control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ortio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state detected by the connection state detection unit is displaye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unit;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외부기기 연결부분 표시 제어에 대응하여 화면에 외부기기 연결부분을 표시해주고, 연결 상태 표시신호에 따라 현재 연결된 외부기기의 연결 상태를 표시해주는 외부기기 연결부분 표시부와;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part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part on a screen in response to the display control of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art generated by the controller, and to display a connection status of a currently connected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 connection state display signal;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외부기기 연결상태 표시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 기 외부기기 연결부분 표시부에 현재 접속된 외부기기의 연결 상태 표시신호를 제공하는 연결상태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nection state display unit for providing a connection state display signal of an external device currently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ortion display unit in response to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state display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상기에서 연결상태 감지부는,The connection state detection unit,
외부기기 연결단자에 외부기기 연결단자가 접속되면 변화하는 임피던스 변화로 외부기기 연결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whether or not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by changing the impedance change.
상기에서, 외부기기 연결부분 표시부는,In the above,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ortion display unit,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분에 실제 구비된 각 단자와 동일한 형상의 아이콘으로 외부기기 연결부분을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xternal device connecting portion is displayed by an icon having the same shape as each terminal actually provided on the external device connecting portion.
또한,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분 표시부는,In addition,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ortion display unit,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분에 실제 구비된 각 단자의 위치와 대응하도록 외부기기 연결부분을 표시해주게 된다.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art is display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each terminal actually provided in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art.
또한,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분 표시부는,In addition,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ortion display unit,
현재 접속되는 외부기기의 연결 상태를 해당 단자의 아이콘의 컬러를 변화시켜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status of the currently connected external device is displayed by changing the color of the icon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또한,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분 표시부는,In addition,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ortion display unit,
현재 접속되는 외부기기의 연결 상태를 해당 단자의 아이콘을 점멸시켜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displays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currently connected external device by blinking the icon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외부기기 연결 표시 방법"은,"External device connection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외부기기 연결단자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기기가 구동되는 상태에서, 외부기 기 연결메뉴가 선택되는지를 확인하는 제1단계와;A first step of checking whether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menu is selected while th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terminal is driven;
상기 확인 결과 외부기기 연결메뉴가 선택되지 않을 경우 통상의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외부기기 연결메뉴가 선택될 경우에는 외부기기 연결부분을 화면에 표시해주는 제2단계와;A second step of performing an operation on a normal display device when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menu is not selected, and displaying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part on the screen when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menu is selected;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분 표시 후, 상기 외부기기 연결단자에 외부기기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가 연결되는지를 확인하는 제3단계와;A third step of confirming whether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terminal after displaying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art;
상기 외부기기 연결단자에 상기 접속단자가 결합되면 해당 위치를 확인하여 외부기기 연결상태를 화면에 표시해주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connection terminal is coupled to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urth step of display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external device on the screen by checking the corresponding position.
상기에서, 제2단계의 외부기기 연결부분 표시는,In the above, the display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external device in the second step,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분에 실제 구비된 각 연결단자와 동일한 형상의 아이콘으로 외부기기 연결부분을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ortion is displayed by an icon having the same shape as each connection terminal actually provided on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ortion.
또한, 상기 제2단계의 외부기기 연결부분 표시부는,In addition, the display unit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of the second step,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분에 실제 구비된 각 연결단자의 위치와 대응하도록 외부기기 연결부분을 표시해주게 된다.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art is display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each connection terminal actually provided in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art.
상기에서 제4단계의 위치 확인은,In the above, the fourth step of positioning is
외부기기 연결단자에 외부기기 접속단자가 접속되면 변화하는 임피던스 변화로 외부기기 연결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by checking whether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impedance change.
상기에서 제4단계의 외부기기 연결상태 표시는,The display of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external device in the fourth step,
현재 접속되는 외부기기의 연결 상태를 해당 단자의 아이콘의 컬러를 변화시 켜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status of the currently connected external device is displayed by changing the color of the icon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상기에서 제4단계의 외부기기 연결상태 표시는,The display of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external device in the fourth step,
현재 접속되는 외부기기의 연결 상태를 해당 단자의 아이콘을 점멸시켜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displays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currently connected external device by blinking the icon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기 연결 표시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참조부호 110은 벽에 고정된 디스플레이 기기의 외부기기 연결부분에 외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외부기기 연결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키입력부로서,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기기에 구비된 각종 버튼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이거나 터치 패널을 의미한다.Here,
참조부호 120은 외부기기 연결부분에 접속되는 외부기기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는 연결상태 감지부로서, 공지의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외부기기 연결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외부기기 연결단자에 외부기기 접속단자가 접속되면 가변되는 임피던스 변화에 따라 감지 전압이 달라지는 것을 이용하여 외부기기 연결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참조부호 140은 외부기기 연결부분 표시 데이터가 저장되며, 외부기기 연결 표시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30은 상기 키 입력부(110)를 통해 연결 모드가 설정되면, 메모리(140)에 저장된 외부기기 연결부분 표시 데이터를 인출하여 화면에 외부기기 연결부분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연결상태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되는 외부기기 연결상태를 표시토록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통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중앙처리장치를 의미한다.
참조부호 150은 상기 제어부(130)에서 발생하는 외부기기 연결부분 표시 제어에 대응하여 화면에 외부기기 연결부분을 표시해주고, 연결 상태 표시신호에 따라 현재 연결된 외부기기의 연결 상태를 표시해주는 외부기기 연결부분 표시부로서, 통상의 LCD 디스플레이기이거나 LCD 또는 PDP의 화면을 의미한다.
참조부호 160은 상기 제어부(130)에서 발생하는 외부기기 연결상태 표시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분 표시부(150)에 현재 접속된 외부기기의 연결 상태 표시신호를 제공하는 연결상태 표시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외부기기 연결 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벽에 고정한 상태에서, 새로운 외부기기를 연결하고자 할 경우 디스플레이 기기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을 시킨 상태에서, 본체에 구비된 키 입력부(110) 또는 리모컨에 구비된 키를 이용하여 외부기기 연결 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여기서 모드는 일반적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드, 메뉴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 설정 모드 등 다양하며, 이러한 모드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기기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in a state in which a driving power is supplied to a display device to operate a new external device while the display device is fixed to a wall.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mode is selected by using a key provided in the
외부기기 연결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현재의 화면을 OSD 화면 상태로 변경을 하고, 외부기기 연결부분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외부기기 연결부분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다.When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mode is selected, the
외부기기 연결부분은 도 3과 같으며, 도 3과 같은 외부기기 연결부분을 화면에 표시할 경우에는 도 2a와 같은 형식으로 화면에 외부기기 연결부분을 아이콘으로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화면에 표시되는 외부기기 연결부분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후면 하단부에 설치된 실질적인 외부기기 연결부분과 형상 및 위치가 일치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art is shown in FIG. 3, and when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art shown in FIG. 3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art is displayed as an icon on the screen in the form as shown in FIG. 2A. Here,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ortion displayed on the screen is preferably displayed to match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actual external device connection portion installed in the lower rear portion of the display device.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분 표시시에는 연결상태 감지부(120)에서 각 단자별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이를 제어부(130)에 제공해주고, 제어부(130)는 이를 기반으로 연결상태 표시부(160)를 컨트롤하여 현재 연결된 외부기기가 표시되도록 제어를 한다. 상기에서 외부기기의 연결 여부는 외부기기 연결단자에 외부기기 접속단자가 접속되면 가변되는 임피던스 변화에 따라 감지 전압이 달라지는 것을 이용하여 외부기기 연결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에 외부기기 연결을 감지할 수 있는 공지의 모든 감지 수단이나 방법 역시 적용이 가능하다.When displaying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external device, the connection
외부기기 연결부분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외부기기 연결부분을 확인하고, 자신이 연결하고자 하는 외부기기의 연결단자가 어느 부분인지를 확인한 상태에서, 외부기기 접속단자를 외부기기 연결단자에 연결하게 된다.When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art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user checks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art displayed on the screen and checks which part of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terminal he / she wants to connect to, and then connects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terminal to the external device. 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이때 특정 연결단자에 외부기기 접속단자가 접속하게 되면, 연결상태 감지부(120)에서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30)에 알려주게 되며, 제어부(130)는 감지되는 외부기기 연결단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연결상태 표시부(160)를 제어한다.In this case, when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a specific connection terminal, the connection
이러한 제어에 대응하여 연결상태 표시부(160)는 외부기기 연결부분 표시부(150)와 연동을 하여 화면에 현재 접속되는 외부 기기가 어느 연결단자에 접속되었는지를 화면에 표시해주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화면만을 보고도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외부기기를 연결하였는지 아니면 다른 연결단자에 외부기기를 연결했는지를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알 수 있게 된다.In response to the control, the connection
만약, 자신이 원하지 않는 연결단자에 외부기기를 연결한 경우에는 이를 해제하고, 다시 화면을 보고 원하는 연결단자를 확인한 후 정확하게 외부기기 접속단자를 외부기기 연결단자에 연결하면 된다.If you connect an external device to a connection terminal that you do not want, disconnect it, check the screen again to see the desired connection terminal, and then connect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terminal to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terminal correctly.
종래에는 이러한 방법이 없으므로, 사용자가 벽에 고정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외부기기 연결부분을 거울로 비추어보거나 조명 기구를 이용하여 외부기기 연결부분을 비추면서 연결단자에 외부기기를 연결하기 때문에 외부기기 연결이 매우 어려웠다. 아울러 벽에 고정한 디스플레이 기기를 탈착시켜 외부기기를 연결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것 또한 여러 가지 번거롭고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벽에 디스플레이 기기를 고정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그리고 정확하면서도 신속하게 외부기기를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Since there is no such method in the related art,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is very difficult because the user connects the external device to the connection terminal while illuminating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art of the display device fixed to the wall with a mirror or illuminating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art using a lighting device. It was difficult. 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of connecting an external device by detaching a display device fixed to a wall, but this also causes various troublesome and difficult problems. However, by using the same method a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accurately connect the external device quickly and accurately even when the display device is fixed on the wall.
도 2a는 외부기기 연결부분 표시부(150)에 의해 화면에 표시되는 외부기기 연결화면의 일 예를 보인 것이다.2A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by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이것은 도 3과 같은 디스플레이 기기를 모델로 한 것이며, 사용자가 접속을 원하는 외부 기기가 디지털 PC입력이라고 가정을 하고, 사용자가 정확하게 외부 기기 연결단자에 디지털 PC의 접속단자를 연결하게 되면 도 2b 또는 도 2c와 같은 방 식으로 화면에 외부기기 연결상태가 표시된다.This model is based on a display device as shown in FIG. 3, and assumes that the external device the user wants to connect to is a digital PC input, and if the user correctly connects the digital PC connection terminal to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terminal, FIG. 2B or FIG. In the same way as 2c,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status is displayed on the screen.
여기서 도 2b는 디지털 PC입력 단자에 외부 기기 접속단자가 연결되면 해당 아이콘의 컬러를 변경하여 외부 기기가 어느 단자에 연결되었는지를 표시해주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고, 도 2c는 디지털 PC입력 단자에 외부 기기 접속단자가 연결되면 해당 아이콘을 발광(점멸)시켜 외부 기기가 어느 단자에 연결되었는지를 표시해주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2b shows a method of changing the color of the icon when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digital PC input terminal to indicate which terminal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and FIG. 2c shows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to the digital PC input terminal. When a terminal is connected, the corresponding icon lights up (flashes) to show which terminal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외부기기 연결 표시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기기 연결단자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기기가 구동되는 상태에서, 외부기기 연결메뉴가 선택되는지를 확인하는 제1단계(S101)와; 상기 확인 결과 외부기기 연결메뉴가 선택되지 않을 경우 통상의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외부기기 연결메뉴가 선택될 경우에는 외부기기 연결부분을 화면에 표시해주는 제2단계(S103, S105)와;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분 표시 후, 상기 외부기기 연결단자에 외부기기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가 연결되는지를 확인하는 제3단계(S107)와; 상기 외부기기 연결단자에 상기 접속단자가 결합되면 해당 위치를 확인하여 외부기기 연결상태를 화면에 표시해주는 제4단계(S109)로 이루어진다.As shown therein, a first step (S101) of checking whether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menu is selected while the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terminal is driven; When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menu is not selected as a result of the checking, a second operation of performing an operation to a normal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ortion on the screen when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menu is selected (S103 and S105). Wow; A third step (S107) of checking whether the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terminal after displaying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art; When the connection terminal is coupled to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terminal, a fourth step (S109) of checking a corresponding position and display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external device on the screen is performed.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외부기기 연결 표시방법은, 먼저 단계 S101에서 디스플레이 기기가 온 상태로 동작하는지를 확인하여, 디스플레이 기기가 온 상태로 동작되면, 단계 S103에서 본체에 구비된 키 입력부 또는 리모컨에 구비된 키 조작을 통해 외부기기 연결메뉴가 선택되는지를 확인한다.In the method of connecting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irst, in step S101, if the display device is operated in the on state, and if the display device is operated in the on state, the key input unit or the remote controller provided in the main body in step S103. Check if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menu is selected through the provided key operation.
이 확인 결과 외부기기 연결 메뉴가 선택된 경우에는, 단계 S105에서 외부기기 연결부분을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외부기기 연결부분 표시는,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분에 실제 구비된 각 연결단자와 동일한 형상의 아이콘으로 외부기기 연결부분을 표시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기기 연결부분에 실제 구비된 각 연결단자의 위치와 대응하도록 외부기기 연결부분을 표시해 주게 된다.If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menu is selected as a result of this check,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or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step S105. Here,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art display preferably displays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part with an icon having the same shape as each connection terminal actually provided on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art. In addition,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ortion is display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each connection terminal actually provided in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ortion.
다음으로,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되는 외부기기 연결부분을 확인하고, 원하는 외부기기 연결단자에 외부기기 접속단자를 연결하게 되며, 제어부는 단계 S107에서 외부기기 연결부분을 화면에 표시한 후 외부기기의 연결 접속이 감지되는가를 확인하여, 외부기기 연결이 감지되면 단계 S109에서 해당 연결 부분을 화면에 표시해주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외부기기를 연결했는지를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Next, the user checks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ortion displayed on the screen, and connects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terminal to the desired external device connection terminal,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ortion on the screen in step S107 By checking whether the connection is detected, if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is detected,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part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step S109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accurately check whether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desired location. .
여기서 외부기기의 연결 여부의 감지, 현재 접속되는 외부기기의 연결 상태의 표시 등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인 장치 설명시에 자세하게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해서 생략한다.Here, the detection of whether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or the display of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urrently connected external device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t the time of describing the device, which i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벽걸이 디스플레이 기기(LCD/PDP)를 벽에 고정한(Wall mount) 상태에서 외부기기의 연결에 편의성을 제공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wall-mounted display device (LCD / PDP) in the wall (Wall mount) in the state (wall mount) has the effect that can provide convenience to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또한, 벽걸이 디스플레이 기기를 벽에 고정한 상태에서 외부기기를 추가로 연결할 때 화면에 외부기기 연결부를 표시해주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외부기기를 연결토록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connecting an external device in a state where the wall display device is fixed to the wall,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part is displayed on the scree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nnect the external device.
또한, 외부기기 연결단자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면 그 연결상태를 표시해주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terminal, the connection state is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connection stat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79005AKR100794144B1 (en) | 2006-08-21 | 2006-08-21 | External device connec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79005AKR100794144B1 (en) | 2006-08-21 | 2006-08-21 | External device connec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794144B1true KR100794144B1 (en) | 2008-01-17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60079005AExpired - Fee RelatedKR100794144B1 (en) | 2006-08-21 | 2006-08-21 | External device connec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794144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EP2345241A4 (en)* | 2008-09-04 | 2012-02-29 | Shenzhen Tcl New Technology |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television settings based on mounting schem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50066080A (en)* | 2003-12-26 | 2005-06-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and contorl method thereof | 
| KR20060091177A (en)* | 2005-02-14 | 2006-08-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maging device and input signal guidance method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50066080A (en)* | 2003-12-26 | 2005-06-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and contorl method thereof | 
| KR20060091177A (en)* | 2005-02-14 | 2006-08-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maging device and input signal guidance method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EP2345241A4 (en)* | 2008-09-04 | 2012-02-29 | Shenzhen Tcl New Technology |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television settings based on mounting scheme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080172504A1 (en) | Interactive control apparatus using remote control signal between computer and electric home appliance | |
| US9696181B2 (en) | Display device, energy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 US20110304775A1 (en) |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 |
| JP2009047940A (en) |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device in display device | |
| CN102447864B (en) | Control device,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 |
| US7490253B2 (en) | Display device with power saving mode based on detected illuminance | |
| US6100886A (en) | Help service function control device added to a multi-channel monitor of a personal computer | |
| US6064668A (en) | Device control apparatus having input device selection switch with rubberized key | |
| KR100794144B1 (en) | External device connec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 |
| KR20100084879A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EP2268006A2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 |
| JP2007256611A (en) | Image display device | |
| KR20100025709A (en) | Method and apparatus of guiding input-signal for display | |
| JP2012156615A (en) |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 |
| KR100680254B1 (en) | Monitor and how to display this device | |
| CN101115156A (en) | Image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thereof | |
| JP2007212619A (en) |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device | |
| US20090135155A1 (en) | Panel switch device | |
| JP6850647B2 (en) | Display device | |
| CN100421148C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entering factory mod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 |
| TWI599997B (en) | Driver integrated circuit applying image processing driving method and touch display system | |
| JP2002328669A (en) | Display device | |
| JP2006080816A (en) | Television receiver | |
| CN108319328B (en) | Single-key control method and multimedia all-in-one machine system | |
| KR100508596B1 (en) | A display device having function for controlling power on/off in connected image devices and method thereof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9-oth-PG1701 Patent document republication publication date:20080411 Republication note text:Request for Correction Notice (Document Request) Gazette number:1007941440000 Gazette reference publication date:20080117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101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10108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