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 도 2e는 상기 도 1의 회전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2A and 2E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rotation key device of FIG.
도 3은 도 2의 회전키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3 is a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rotary key device of FIG.
도 4a -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뉴를 선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4A and 4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rocess of selecting a menu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신호를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djusting an image signal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동영상을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djusting a video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키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 상기 회전키 장치를 구비하여 메뉴 및 작동모드 기능을 신속히 선택하고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using a rotary key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quickly selecting and confirming a menu and an operation mode function by providing the rotary key device in a portable terminal.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는 데이터 입력을 위해 사용되는 다수 개의 키들로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키들은 통화시작버튼인 센드(SND) 키, 취소 키, 수정 키(CLR), 숫자 키, 문자 키, 엔드(END) 키, 기능 키, 전원(PWR) 키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키들은 보통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상면에 15 내지 20정도 개수로 적소에 배열된다. 물론, 상기 키들은 상면에서 노출되어서 사용자는 손가락 누름 동작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 또는 선택하게 된다.A keypad of a general portable terminal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keys used for data input. These keys are composed of a call start button (SND) key, a cancel key, a modification key (CLR), a numeric key, a letter key, an end (END) key, a function key, a power (PWR) key,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keys are usually arranged in place in the number of 15 to 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Of course, the keys are exposed from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user inputs or selects the desired data by pressing a finger.
그러나,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에 구비된 키들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메뉴의 다양한 작동 모드 기능에 따라 선택에서 확인까지 복잡하게 이루어진 버튼을 찾아서 누르는 동작 과정이 쉽지 않았다. 또한 신속하게 변경할 경우에는 버튼이 제공된 위치로 이동하여 눌려야 함으로 동작이 느리고, 신속한 기능 전환의 조작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에서 작동 모드 기능의 선택 및 확인까지의 신속한 모드 전환이 어렵고, 이로 인해 키 버튼 기능에 따른 빠른 모바일 인터넷 검색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keys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were not easy for the user to find and press a complicated button from selection to confirmation according to various operation mode functions of the menu. In addition, in the case of rapid change, the operation is slow because the button has to be moved to a provided positio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of the quick function switching is impossible.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quickly switch the mode from the menu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selection and confirmation of the operation mode function, and this makes it impossible to quickly search the mobile Internet according to the key button func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상기 회전키 장치를 구비하여 메뉴 및 작동모드 기능을 신속히 선택하고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quickly selecting and confirming a menu and an operation mode function by including the rotary key device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회전키 장치를 이용하여 TV 영상신호를 수신 시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selecting a channel when receiving a TV video signal using a rotary key device in a portable termi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전키 장치를 포함하는 TV 수신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회전키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이, TV 영상신호가 수신 시,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회전키 장치가 동작되면,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에 대응되게 채널을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using the rotating key device in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TV receiver including a rotating key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detecting an operation of the rotating key device when a TV image signal is received; and; When the rotation key device is operated, the method may include selecting a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key device.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전키 장치를 포함하는 TV 수신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회전키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이, TV 영상신호 수신 중에,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회전키 장치가 동작되면,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에 대응되게 채널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채널에 대응되는 TV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ethod of using the rotation key device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TV receiver including a rotation key device,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key device, while receiving a TV video signal and; Selecting a channel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rotary key device when the rotary key device is operated; And receiving a TV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hanne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figures represent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하기 설명에서 회전속도나 회전방향에 따른 특정 메뉴 선택등과 같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menu selection according to rotational speed or direction of rotation are presented to provid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dily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and by modifications thereof.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 명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카메라를 구비하지 않는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뿐만 아니라 TV 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ak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mera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TV receiver as well as a general portable terminal without the camer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mera.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은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3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3은 모뎀(MODEM) 및 코덱(COD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1, the
메모리130은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회전키 장치의 회전방향에 따라 기능 선택 또는 영상표시등을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제어부110은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데이터처리부1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회전장치200의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선택모드 시 메뉴를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촬영모드 시 선택되는 줌 기능 또는 화면 밝기조절 기능들에 따라 피사체를 조절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회전장치200의 회전방향 및 속도를 감지하여, 동영상 재생 시 상기 화전방향 및 속도에 따라 동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The
카메라부(camera module)140은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The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The
표시부160은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키입력부127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The
회전키 장치200은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메뉴 및 작동모드 기능이 따라 선택이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The
도 2a는 상기 회전키 장치200을 나타내며, 도 2b는 상기 회전키 장치200의 구성 중 다수의 접촉면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c는 상기 도 2b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d는 상기 회전키 장치200의 구성 중 돔 스위치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의 저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e는 상기 회전키 장치200의 구성 중 접촉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A illustrates the
상기 도 2a- 도 2e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키 장치200은 접촉단자221이 구비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인쇄회로기판210과 접촉하는 접촉플레이트220과, 상기 접촉단자221의 접촉으로 전기적신호를 인가받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10을 포함한다.2A to 2E, the
상기 인쇄회로기판210의 한쪽 면에는 상기 도 2b와 같이 사용자가 누르는 동 작에 따라 접점신호를 감지하는 5개의 돔 스위치가 구비되며, 다른 쪽에는 도 2a와 같이 상기 접촉단자221과 회전방향에 따른 회전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접촉면201이 형성되어 있다.One side of the printed
상기 도 2b - 도 2c에서 형성된 다수의 접촉면201들이 시계방향으로 A, B, C 가 반복되어 구성되었다고 가정하면, 상기 다수의 접촉면201들의 각 포트들은 접촉단자221과 연결되지 않는 한 'High' 상태가 되며, 상기 접촉단자221과 접촉하는 순간 'Low' 상태가 된다. 즉, 상기 회전키 장치2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A, B, C , A, B ,C...가 순차적으로 'Low'가 되며, 상기 회전키 장치200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그 반대로 A, C , B , A , C , B.. 순으로 'Low'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키 장치200의 회전방향을 통해 시계방향과 반 시계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접촉면201들의 각 포트들이 'High' 에서 순차적으로 일정시간 'Low'로 상태가 변했다가 다시 장기간 'High'로 복구하므로 그 시간등을 측정하여 상기 회전키 장치200의 회전속도를 알 수 있다. 도 3은 상기와 같은 회전키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Assuming that the plurality of contact surfaces 201 formed in FIGS. 2B to 2C are configured by repeating A, B, and C clockwise, each port of the plurality of contact surfaces 201 is 'high' unless connected to the
도 4a -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회전키 장치의 회전방향에 따라 메뉴를 선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는 회전키 장치의 회전방향을 통해 메뉴 선택을 과정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회전키 장치에 구비된 돔 스위치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 선택모드라 함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메뉴들이 표시되는 상태로, 초기 메뉴 또는 문자메시지 또는 폰 북등 상기 사용자가 커서를 이동하여 선택할 수 있는 메뉴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는 상하스크롤 화면에서 회전키 장치가 정 방향회전 시 상측메뉴로 커서가 이동하며, 역 방향회전 시 하측 메뉴로 커서가 이동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좌우스크롤 화면에서는 상기 회전키 장치가 정 방향회전 시 좌측메뉴로 커서가 이동하며, 역 방향회전 시에는 우측메뉴로 커서가 이동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상하스크롤 화면에서 상기 회전키 장치가 정 방향회전 시 하측메뉴로, 역방향회전 시 상측메뉴로 커서 이동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좌우스크롤 화면에서 상기 회전키 장치가 정 방향회전 시 우측메뉴로, 역방향회전 시 좌측메뉴로 커서 이동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4A and 4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rocess of selecting a menu according to a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key device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nu selection process is shown throug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key device, but the same may be applied using the dome switch provided in the rotation key devic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ection mode refers to menus that can be selected by a user in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n initial menu, a text message, or a phone book. In addition,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cursor moves to the upper menu when the rotation key device is rotated forward in the up and down scroll screen, and the cursor moves to the lower menu when the rotation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scroll screens assume that the cursor moves to the left menu when the rotary key device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cursor moves to the right menu when the rotary key device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However, the cursor movement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lower menu when the rotation key device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upper menu when the reverse rotation is performed in the vertical scroll screen. In addition, the cursor movement to the right menu when the rotation key device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left menu when the reverse rotation is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scroll screens.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기 도 1, 도 2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 and 3.
선택모드인 301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회전키 장치200을 동작시키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회전키 장치200의 회전방향을 감지한다. 상기 회전키 장치200의 회전방향이 시계방향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3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회전방향에 따라 커서를 이동시킨다.In
이때 표시부160에 상하스크롤 화면의 선택모드가 표시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3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4단계에서 커서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며 상측메뉴에 상기 커서를 위치시킨다. 또한 표시부160에 좌우스크롤 화면의 선택모드가 표시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3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6단계에서 커서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며 좌측메뉴에 상기 커서를 위치시킨다. 상기 304단계 또는 306단계에서 커서를 이동시키다, 상기 사용자가 메뉴 선택을 위한 확인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 110은 3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한 메뉴의 해당기능을 수행하는 309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확인키는 상기 회전키 장치200에 구비된 돔 스위치202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07단계에서 메뉴 선택 후 상기 표시부160에 선택한 메뉴의 서브메뉴가 표시되면 3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회전키 장치200의 회전을 통해 메뉴를 선택하는 302단계 - 307단계를 다시 수행한다.In this case, when the selection mode of the vertical scroll screen is displayed on the
그리고, 상기 301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회전키 장치200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31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회전방향에 따라 커서를 이동시킨다.When the user rotates the rotation
이때 표시부160에 상하스크롤 화면의 선택모드가 표시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3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커서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며 하측메뉴에 상기 커서를 위치시키는 314단계로 진행한다. 또한 표시부160에 좌우스크롤 화면의 선택모드가 표시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3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커서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며 우측메뉴에 상기 커서를 위치시키는 316단계로 진행한다.In this case, when the selection mode of the upper and lower scroll screens is displayed on the
상기 314단계 또는 316단계에서 커서를 이동시키다, 상기 사용자가 메뉴 선택을 위한 확인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3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한 메뉴의 해당기능을 수행하는 319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확인키는 상기 회전키 장치200에 구비된 돔 스위치202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17단계에서 메뉴 선택 후 상기 표시부160에 선택한 메뉴의 서브메뉴가 표시되면 31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회전키 장치200의 회전을 통해 메뉴를 선택하는 312단계 - 317단계를 다시 수행한다.In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회전키의 회전방향에 따라 영상신호를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는 회전키 장치의 회전방향을 통해 촬영모드에서의 영상신호를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회전키 장치에 구비된 돔 스위치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 촬영모드라 함은 카메라를 통해 영상신호를 획득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는 상기 촬영모드에서 표시되는 영상신호를 회전키 장치를 통해 확대 또는 축소하는 줌 기능과 화면의 명도를 조절하는 화면 밝기 조절기능 수행 과정을 일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줌 기능 및 화면밝기 조절 기능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키 장치의 회전방향 또는 속도를 사용할 수 있는 기능모드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는 줌 기능 모드에서는 회전키 장치가 정 방향 회전 시 화면이 서서히 축소되는 줌 아웃 기능을 수행하며, 역 방향회전 시 화면이 서서히 확대되는 줌 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줌 기능 모드에서 회전키 장치가 정 방향회전 시 화면이 서서히 확대되는 줌 인 기능을 수행하며, 역 방향회전 시 화면이 서서히 축소되는 줌 아웃 기능 수행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화면밝기 조절모드에서는 회전키 장치가 정 방향 회전 시 화면이 서서히 밝아지는 기능을 수행하며, 역 방향회전 시 화면이 서서히 어두워지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화면밝기 조절모드에서는 회전키 장치가 정 방향 회전 시 화면이 서서히 어두워지는 기능을 수행하며, 역 방향회전 시 화면이 서서히 밝아지는 기능 수행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화면의 밝 기는 적용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djusting an image signal according to a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key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image signal in the shooting mode throug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key device is shown, but the same applies to using the dome switch provided in the rotation key devic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graphing mode refers to a mode in which an image signal is acquired through a camera and displayed on a display unit.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zoom function for enlarging or reducing an image signal displayed in the photographing mode through a rotating key device and a screen brightness adjustment function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of a scree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not only the zoom function and the screen brightness adjustment function but also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function mode that can use the rotation direction or the speed of the rotation key device. In add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in the zoom function mode, the rotation key device performs a zoom out function in which the screen is gradually reduced in the forward rotation, and performs a zoom in function in which the screen is gradually enlarged in the reverse rotation. do. However, in the zoom function mode, the rotation key device performs a zoom in function in which the screen is gradually enlarged when the forward rotation is performed, and the zoom out function in which the screen is gradually reduced in the reverse rotation may be equally applied. In addition, in the screen brightness control mode, it is assumed that the rotation key device performs a function of gradually brightening the screen when rotating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gradually darkens the screen when rotating in the reverse direction. However, in the screen brightness control mode, the screen is gradually darkened when the rotation key device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function of gradually brightening the screen may be applied in the same direction.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will vary depending on the portable terminal appli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기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 and 3.
카메라부140을 통해 영상신호를 획득하여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촬영모드인 401단계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줌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줌 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회전키 장치20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가 회전하는 속도에 대응하여 영상신호를 서서히 축소하는 404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회전키 장치200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가 회전하는 속도에 대응하여 영상신호를 서서히 확대하는 406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404단계와 406단계를 통해 영상신호의 줌 기능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사용자가 다른 기능모드를 선택하는 지 판단한다. 만약 사용자가 촬영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영상신호를 촬영하는 415단계를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사용자가 다른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1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When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selects the zoom function in
이때 상기 사용자가 화면밝기 조절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화면밝기 조절 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회전키 장치200 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0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회전하는 속도에 대응하여 화면의 밝기를 서서히 밝게 조절한다.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회전키 장치200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 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가 회전하는 속도에 대응하여 화면의 밝기를 서서히 어둡게 조절하는 41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410단계와 412단계를 통해 화면의 밝기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4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사용자가 다른 기능모드를 선택하는 지 판단한다. 만약 사용자가 다른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1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사용자가 촬영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영상신호를 촬영하는 415단계를 진행한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selects the screen brightness control, the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회전키 장치의 회전에 따라 동영상을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서는 회전키 장치의 회전방향을 통해 촬영모드에서의 영상신호를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회전키 장치에 구비된 돔 스위치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서는 상기 회전키 장치200을 통한 동영상 표시를 나타내고 있으나, 상기 동영상뿐만 아니라 정지화상 또한 상기 회전키 장치20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 동영상은 인터넷을 통해 재생되는 동영상 또는 인터넷등을 통해 다운받아 저장하거나 캠코더등을 통해 촬영하여 저장한 동영상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서는 회전키 장치가 정 방향 회전 시 빨리감기 기능을 수행하며, 역 방향회전 시 되감기를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회전키 장치가 정 방향 회전 시 되감기 기능을 수행하며, 역 방향회전 시 빨리감기 기능 수행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djusting a video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rotation key device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image signal in the shooting mode throug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ry key device is shown, but the same can be applied using the dome switch provided in the rotary key device.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is displayed through the rotation
동영상이 표시되는 501단계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회전키 장 치20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어부110은 5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03단계에서 상기 회전 속도에 대응하여 동영상의 빨리 감기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동영상이 재생중일 때에는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며 빨리 감기를 수행한다.In
또는 상기 501단계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회전키 장치200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어부110은 5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회전 속도에 대응하여 동영상의 되감기를 수행하는 505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동영상이 재생중일 때에는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며 되감기를 수행한다.Alternatively, when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rotates the rotation
도 2와 같은 상기 회전키 장치200은 TV수신기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서도 적용되며, 예를 들어 표시부를 통해 TV 영상신호 수신시 상기 회전키 장치200을 통해 채널 선택이 가능하다.The rotar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회전키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및 작동모드 기능을 신속하게 선택하고 확인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convenience of a user by quickly selecting and confirming a menu and an operation mode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by using the rotary key device in the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13681AKR100790061B1 (en) | 2007-02-09 | 2007-02-09 | How to Use the Rotating Key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13681AKR100790061B1 (en) | 2007-02-09 | 2007-02-09 | How to Use the Rotating Key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60049385ADivisionKR100770864B1 (en) | 2006-06-01 | 2006-06-01 | How to Use the Rotating Key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70022135A KR20070022135A (en) | 2007-02-23 |
| KR100790061B1true KR100790061B1 (en) | 2008-01-02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013681AExpired - Fee RelatedKR100790061B1 (en) | 2007-02-09 | 2007-02-09 | How to Use the Rotating Key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790061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296953A (en) | 2000-04-11 | 2001-10-26 | Sony Corp | Information input operation unit |
| KR20020065059A (en)* | 2001-02-05 | 2002-08-1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Jog dial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JP2002229732A (en) | 2001-02-02 | 2002-08-16 | Toshiba Corp | Input device and mobile terminal |
| JP2003015809A (en) | 2001-06-29 | 2003-01-17 | Nec Yonezawa Ltd | Information process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20030030616A (en)* | 2001-10-12 | 2003-04-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phone having a dial apparatus and dialing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296953A (en) | 2000-04-11 | 2001-10-26 | Sony Corp | Information input operation unit |
| JP2002229732A (en) | 2001-02-02 | 2002-08-16 | Toshiba Corp | Input device and mobile terminal |
| KR20020065059A (en)* | 2001-02-05 | 2002-08-1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Jog dial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JP2003015809A (en) | 2001-06-29 | 2003-01-17 | Nec Yonezawa Ltd | Information process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20030030616A (en)* | 2001-10-12 | 2003-04-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phone having a dial apparatus and dialing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70022135A (en) | 2007-02-23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617681B1 (en) | How to Use the Rotating Key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 |
| US7856251B2 (en) | Device and method for using a rotating key and controlling a display in a mobile terminal | |
| KR100753041B1 (en) | Mobile terminal with virtual mode dial and its operation method | |
| JP4764329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
| US20120154304A1 (en) | Portable terminal with optical touch pad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in the same | |
| JP4082352B2 (en) | Mobile phone, display control method for mobile phone, and program thereof | |
| KR100800801B1 (en) | Key control device of mobile terminal | |
| KR100790061B1 (en) | How to Use the Rotating Key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 |
| KR100770864B1 (en) | How to Use the Rotating Key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 |
| JP5311084B2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selection method | |
| KR100539876B1 (en) | Device and method for using rotation key apparatus in wireless terminal | |
| KR100663513B1 (en) | How to control external device through mobile terminal | |
| KR100532282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keys of rotation key apparatus in wireless terminal | |
| KR100557091B1 (en) | How to configure wallpaper on your mobile device | |
| KR100678130B1 (en) | How to perform call on mobile terminal | |
| KR100790070B1 (en) | Key input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 |
| KR100593988B1 (en) | Mobile phone capable of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character's coffee shop and direction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 |
| KR100703346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record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100606079B1 (en) | How to enlarge / reduce an image of a mobile terminal | |
| KR100678216B1 (en) | How to switch the image status of a mobile terminal | |
| KR100689526B1 (en) | How to Retrieve Data from a Mobile Terminal | |
| KR101148572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special effect in wireless terminal | |
| KR101002864B1 (en) | How to control the use mode in the slide portable terminal | |
| KR20060136235A (en) | Method for performing call in wireless terminal | |
| KR20050113807A (en) | Method for performing of slide show in wireless terminal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8-div-PA010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1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4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5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21129 Year of fee payment: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6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31128 Year of fee payment: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7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41127 Year of fee payment: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8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201512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51222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