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0774219B1 - dryer - Google Patents

dr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219B1
KR100774219B1KR1020060095019AKR20060095019AKR100774219B1KR 100774219 B1KR100774219 B1KR 100774219B1KR 1020060095019 AKR1020060095019 AKR 1020060095019AKR 20060095019 AKR20060095019 AKR 20060095019AKR 100774219 B1KR100774219 B1KR 100774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yer
water supply
drum
supply sour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0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상훈
최철진
김동현
손영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filedCritical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5019ApriorityCriticalpatent/KR100774219B1/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219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0774219B1/en
Expired - Fee Related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드럼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열풍히터와, 상기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하여 스팀을 만드는 스팀발생기와,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며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과, 상기 물공급원의 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며 상기 물공급원의 내부에 위치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t air heater for heating air to supply high temperature hot air to the drum, a steam generator for making steam for supplying steam to the drum, a detachable water supply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and Provided is a dryer that selectively discharges the water of the water supply and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located inside the water supply.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건조기{laundry dryer}Dryer {laundry dry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3은 도 1의 스팀 발생기를 도시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eam generator of FIG.

도 4는 본 발명에 건조기의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스팀발생기를 중심으로 도시한 구성도Figure 4 shows an embodiment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eam generator mainly

도 5는 도 4의 물공급원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water supply source of FIG.

도 6은 도 5의 연수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oftening member of FIG. 5;

도 7a 내지 도 7c는 도 5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7A to 7C are perspective views partially cut away from FIG. 5.

도 8은 도 4의 물공급원과 펌프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8 is a sid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water supply source and the pump of FIG.

도 9a 및 도 9b는 물공급원의 탈착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9a and 9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desorption relationship of the water supply source

도 10는 도 9의 핀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pin of FIG.

도 11은 도 4의 물공급원과 펌프의 연결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water supply source and the pump of FIG.

도 12는 도 4의 물공급원과 펌프의 연결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water supply source and the pump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캐비넷 20 : 드럼10: cabinet 20: drum

30 : 프런트 서포터 40 : 리어 서포터30: front supporter 40: rear supporter

50 : 린트 덕트 60 : 블로워 유닛50: lint duct 60: blower unit

70 : 모터 80 : 배기 덕트70: motor 80: exhaust duct

90 : 열풍 히터 200 : 스팀발생기90: hot air heater 200: steam generator

300 : 물공급원(카트리지) 400 : 펌프300: water supply (cartridge) 400: pump

500 : 안전밸브 250 : 노즐500: safety valve 250: nozzle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의류 등에 생기는 주름 또는 구김 등을 제거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yer that can remove or prevent wrinkles, wrinkles, etc. generated in clothes and the like.

건조기는 통상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 즉 주로 의류를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원,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블로워 유닛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 dryer is a household appliance in which laundry is normally washed, that is, clothes are mainly dried using high temperature air. In general, the dryer includes a drum accommodating the object to be dried, a driving source for driving the drum, heating means for heating air introduced into the drum, and a blower unit for sucking or discharging air in the drum.

건조기는 공기를 가열하는 방식 즉 가열수단에 따라 전기식 건조기 및 가스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전기식 건조기는 공기를 전기 저항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며, 가스식 건조기는 공기를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가 열한다. 건조기를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응축식 건조기와 배기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응축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되며, 별도의 응축기에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수를 만들어 이를 외부로 배출한다. 배기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의 외부로 직접 배출된다. 건조기를 또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피건조물을 건조기에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탑 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기의 상측에서 투입되며, 프런트 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기의 전면에서 투입된다. The dryer may be classified into an electric dryer and a gas dryer according to a method of heating air, that is, a heating means. The electric dryer heats air using electric resistance heat, and the gas dryer heats air using heat generated by combustion of gas. If the dryers are classified differently, they can be classified as condensation dryers and exhaust dryers. In the condenser dryer, the air that has been heat-exchanged with the dry matter in the drum is circulated without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ryer, and in a separate condenser, heat is exchanged with the outside air to make condensate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the exhaust dryer, the air, which has been heat exchanged with the dry matter in the drum and becomes humid, is discharged directly to the outside of the dryer. If the dryer is classified into another method, it may be divided into a top loading method and a front loading method according to a method of inputting a dry matter to the dryer. In the top loading method, the dry material is introduc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dryer. In the front loading method, the dry material is injected from the front of the dryer.

상술한 종래의 건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dryer has the following problems.

일반적으로 건조기에는 세탁 완료되어 탈수된 세탁물이 투입되어 건조되게 된다. 그런데, 물세탁의 원리상 물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에는 구김이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구김은 건조기에서 건조과정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건조기에서 건조 완료된 세탁물과 같은 피건조물에 존재하는 구김을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다림질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In general, the laundry is dried and dehydrated laundry is put into the dryer to dry. However, due to the principle of water washing, wrinkles are generated in the laundry in which water washing is completed, and the generated wrinkles are not completely removed in the drying process in the dryer.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separate ironing is required to remove wrinkles existing in the dry matter such as laundry which has been dried in the conventional dryer.

또한, 세탁 완료 후의 세탁물 이외에도 의류 등을 통상적으로 보관, 사용하는 경우에도 주름, 구김, 접힘 등(이하 총칭하여 "구김"이라 함)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의류 등의 통상적 사용, 보관에 따른 구김도 간편히 제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In addition, wrinkles, wrinkles, folds, etc.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wrinkles") are generated even when clothes and the like are normally stored and used in addition to laundry after washing. The development of a device that can easily remove wrinkles in accordance with the normal use, storage, such as clothing was requir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 등에 생기는 구김을 방지 및/또는 제거할 수 있는 건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ying that can prevent and / or remove wrinkles on clothing and the lik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공급원을 원하는 부분에 효과적이며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yer which can effectively and selectively connect a water supply to a desired por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드럼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열풍히터와; 상기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하여 스팀을 만드는 스팀발생기와;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며,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과; 상기 물공급원의 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며, 상기 물공급원의 내부에 위치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 물공급원과 상기 스팀발생부의 사이에는 펌프가 더욱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t air heater for heating the air to supply a hot air of hot air to the drum; A steam generator for producing steam to supply steam to the drum; A water supply source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and being detachable; It provides a dryer selectively discharges the water of the water supply source, and including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located inside the water supply source. It is preferable that a pump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water supply source and the steam generator.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물공급원의 외부와 연통하며 상기 물공급원의 내부에 위치하는 유로와, 상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의 유로의 내면에는 오링이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cludes a flow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source and positioned inside the water supply source, and a pin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ssage.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O-ring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low path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에 생기는 구김을 효과적으로 방지 및/또는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물공급원을 원하는 부분 예를 들어 펌프의 입구측에 효과적이며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and / or remove wrinkles on clothes, and also to effectively and selectively connect the water supply to a desired portion, for example, the inlet side of the pump.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편의상 탑 로딩 방식, 전기식, 응축식 건조기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런트 로딩 방식, 가스식, 응축식 건조기 등에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Hereinafter, in order to explain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ower loading method, an electric type, and a condensation type dryer will be described as exampl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front loading method, a gas type, a condensation type dryer, or the lik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and 2, an embodiment of a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건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10)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한 드럼(20), 상기 드럼(20)을 구동시키는 모터(70) 및 벨트(68)가 설치된다. 그리고, 캐비넷(10)의 소정 위치에는 공기를 가열하여 고온의 공기(이하 "열풍"이라 함)을 만드는 히터(90)(이하 편의상 "열풍 히터"라 함), 상기 열풍 히터(90)에서 생성된 열풍을 드럼(20)에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덕트(44)가 설치된다. 그리고, 드럼(20)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된 다습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덕트(80), 상기 다습한 공기를 빨아 들이는 블로워 유닛(60) 등도 설치된다. 한편, 캐비넷(10)의 소정 위치에는 고온의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20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모터(70)와 벨트(68)를 이용하여 드럼(20)을 회전시키는 간접구동방식을 도시 및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드럼(20)의 후면에 모터가 직결되어 드럼(20)을 직접 회전시키는 직접구동방식(Direct Drive Type)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Arotatable drum 20, amotor 70 for driving thedrum 20, and abelt 68 are installed in thecabinet 10 constituting the exterior of the dryer. In addition, a heater 9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ot air heater" for convenience) generated by thehot air heater 90 to heat the air to create a high temperature air (hereinafter referred to as "hot ai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cabinet 10. Hotair supply duct 44 for supplying the hot air to thedrum 20 is provided. In addition, anexhaust duct 80 for discharging humid air heat-exchanged with the object to be dried in thedrum 20, ablower unit 60 for sucking the humid air, and the like are also provided. On the other hand, asteam generator 200 for generating high temperature steam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cabinet 10. In this embodiment, an indirect drive method for rotating thedrum 20 using themotor 70 and thebelt 68 for convenience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he present invention to a direct drive method (Direct Drive Type) in which a moto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drum 20 to directly rotate thedrum 20.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캐비넷(10)은 건조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 스(12)와, 상기 베이스(12)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 커버(14)와, 상기 측면 커버(14)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프런트 커버(16) 및 리어 커버(18), 상기 측면 커버(14)의 상부에 위치하는 탑 커버(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종 조작 스위치 등을 가지는 컨트롤 패널(19)은 통상 탑 커버(17) 또는 프런트 커버(16)에 위치하게 되며, 도어(164)는 프런트 커버(16)에 설치된다. 리어 커버(18)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부(182)와,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최종 통로인 배기홀(184)이 구비된다.Thecabinet 10 forms an outer shape of the dryer, and includes abase 12 forming a bottom surface, a pair of side covers 14 installed vertically on thebase 12, and the side covers 14. Thefront cover 16 and therear cover 18,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and thetop cover 17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cover (14). Thecontrol panel 19 having various operation switches or the like is normally located on thetop cover 17 or thefront cover 16, and thedoor 164 is provided on thefront cover 16. Therear cover 18 is provided with aninlet 182 for allowing outside air to flow therein and anexhaust hole 184, which is a final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of thedrum 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드럼(20)의 내부 공간은 건조가 진행되는 건조 챔버 기능을 하며, 상기 드럼(20)의 내부에는 피건조물을 끌고 올라가 낙하시켜 피건조물을 뒤집어 주어 건조 효율을 높이는 리프트(2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ner space of thedrum 20 functions as a drying chamber in which drying proceeds, and thelift 22 is installed inside thedrum 20 by dragging and dropping the dry object to invert the dry object to increase the drying efficiency. desirable.

한편, 드럼(20)과 캐비넷(10)의 사이 즉, 드럼(20)과 프런트 커버(16)의 사이에는 프런트 서포터(30)가 설치되며, 드럼(20)과 리어 커버(18))의 사이에는 리어 서포터(40)가 설치된다.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의 사이에 드럼(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프런트 서포터(30) 및 리어 서포터(40)와 드럼(20) 사이에는 각각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즉,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는 상기 드럼(20)의 전면과 후면을 막아 건조 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드럼(20)의 전단과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Meanwhile, thefront supporter 30 is installed between thedrum 20 and thecabinet 10, that is, between thedrum 20 and thefront cover 16, and between thedrum 20 and therear cover 18. Therear supporter 40 is installed in this. Adrum 20 is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front supporter 30 and therear supporter 40, and a sealing for preventing leakage between thefront supporter 30 and therear supporter 40 and thedrum 20, respectively. A member (not shown) is provided. That is, thefront supporter 30 and therear supporter 40 form a drying chamber by block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drum 20 and serve to suppor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drum 20.

프런트 서포터(30)에는 드럼(20)을 건조기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는 도어(164)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또한, 프런트 서포터(30)에는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린트 덕트(50)가 연결되 며, 상기 린트 덕트(50)에는 린트 필터(52)가 설치된다. 상기 린트 덕트(50)에는 블로워 유닛(60)의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블로워 유닛(60)의 타측은 배기 덕트(80)와 연결되며, 상기 배기 덕트(80)는 리어 커버(18)에 구비되는 배기홀(184)과 연통된다. 따라서, 블로워 유닛(60)이 작동하면, 드럼(20) 내부의 공기는 린트 덕트(50), 배기 덕트(80), 배기홀(18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은 린트 필터(52)에서 여과되게 된다. 통상 상기 블로워 유닛(60)은 블로워(62)와 블로워 하우징(64)으로 구성되며, 상기 블로워(64)는 드럼(20)을 구동시키는 모터(70)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front supporter 30 is formed with an opening for communicating thedrum 20 with the outside of the dryer, the opening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thedoor 164. In addition, thefront supporter 30 is connected to thelint duct 50,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of thedrum 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lint duct 50 is provided with alint filter 52. One side of theblower unit 60 is connected to thelint duct 50, the other side of theblower unit 60 is connected to theexhaust duct 80, and theexhaust duct 80 is provided at therear cover 18. It communicates with theexhaust hole 184. Therefore, when theblower unit 60 is operated, the air in thedrum 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lint duct 50, theexhaust duct 80, and theexhaust hole 184. At this time, foreign matter such as lint is filtered in thelint filter 52. In general, theblower unit 60 includes ablower 62 and ablower housing 64, and theblower 64 is generally connected to and driven by amotor 70 for driving thedrum 20.

리어 서포터(40)에는 통상 다수의 통공으로 구성되는 개구부(42)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42)에 열풍공급덕트(44)가 연결된다. 상기 열풍공급덕트(44)는 드럼(20)과 연통하여 상기 드럼(20)에 열풍을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열풍공급덕트(44)의 소정 위치에는 열풍 히터(90)가 설치된다.Therear supporter 40 is formed with anopening 42 which is usually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the hotair supply duct 44 is connected to theopening 42. The hotair supply duct 44 communicates with thedrum 20 to serve as a passage for supplying hot air to thedrum 20. Therefore, thehot air heater 9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hotair supply duct 44.

한편, 캐비넷(10)의 소정 위치에는 스팀을 발생시켜 드럼(20)의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발생기(200)가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스팀발생기(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asteam generator 200 for generating steam and supplying the steam to the inside of thedrum 2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cabinet 10. Referring to Figure 3, thesteam generator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스팀발생기(20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워터 탱크(210)와, 상기 워터 탱크(210) 내부에 장착되는 히터(240)와,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260)와,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위센서(260)은 통상 공통전극(262), 저수위전극(264) 및 고수위전극(266)으로 구성되어, 공통전극(262)과 고수위전극(264)의 통전 또는 공통전 극(262)과 저수위전극(266)의 통전 여부에 의하여 고수위 및 저수위를 감지한다.Thesteam generator 200 includes awater tank 210 for receiving water therein, aheater 240 mounted inside thewater tank 210, and awater level sensor 260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of thesteam generator 200. And atemperature sensor 270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steam generator 200. Thewater level sensor 260 is generally composed of acommon electrode 262, alow level electrode 264, and ahigh level electrode 266, so that thecommon electrode 262 and thehigh level electrode 264 are energized or thecommon electrode 262 and the low level The high water level and the low water level are detected by whether theelectrode 266 is energized.

스팀발생기(200)의 일측에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 호스(220)가 연결되며, 타측에는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 호스(230)가 연결되며, 상기 스팀 호스(230)의 선단에는 소정 형상의 노즐(25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급수 호스(220)의 일단은 수도꼭지와 같은 외부 물 공급원과 연결되며, 스팀 호스(230)의 선단부 또는 노즐(25) 즉 스팀 토출구는 드럼(20)의 소정 위치에 위치되어, 드럼(20)의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게 된다.One side of thesteam generator 200 is connected to awater supply hose 220 for supplying water,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asteam hose 230 for discharging steam, and a nozzl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t the tip of thesteam hose 230. 250) is preferably provided. In general, one end of thewater supply hose 22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ource such as a faucet, and the tip of thesteam hose 230 or the nozzle 25, that is, the steam discharge port,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drum 20, so that thedrum 20 Steam is injected into the inside of the tank.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 크기의 워터 탱크(210)에 수용된 일정량의 물을 히터(240)로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방식의 스팀발생기(200)(이하 편의상 "통가열 방식"이라 함)를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는 스팀을 발생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스팀발생기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이 통과하는 급수 호스의 둘레에 직접 히터를 설치하여 즉 물을 소정 공간에 수용하지 않고 가열하는 방식(이하 편의상 "관가열 방식"이라 함)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eam generator 2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eating heating method") of a method of generating steam by hea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water tank 210 of a predetermined size with theheater 240 is referred to. Although shown and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ny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steam can be used as a steam generator.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a heater directly around the water supply hose through which the water passes, that is, to heat the water without accommodating the water in a predetermined sp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ube heating method" for convenience).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4, another embodiment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는, 스팀발생기(20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이 탈부착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물공급원이 수도꼭지일 수도 있지만, 이런 경우에는 설치가 복잡하다. 왜냐하면, 건조기에서는 통상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수도꼭지를 물공급원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에 부대하하는 각종 장치 등이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Detachable Water Supply Source)(300)을 사용하여, 상기 물공급원(300)을 분리하여 물을 공급하고, 물을 채운 물공급원(300)을 스팀발생기(200)의 물공급 유로 즉 급수 호스(220)에 연결하면 대단히 편리하다.In this embodiment, the water supply source for supplying water to thesteam generator 200 is removable. As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water supply may be a faucet, but in this case the installation is complex. This is because, in general, water is not used in a dryer, and therefore, when a faucet is used as a water supply source,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install various devices and the like. Therefor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using a detachable water supply source (Detachable Water Supply Source) 300, thewater supply source 300 is supplied to supply water, steam thewater supply source 300 filled with water It is very convenient to connect to the water supply passage of thegenerator 200, that is, thewater supply hose 220.

그리고, 상기 물공급원(300)과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사이에는 펌프(4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400)는 정역회전 가능하여, 스팀발생기(200)로 물 공급 및 필요에 따라 스팀발생기(200)의 잔수를 회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펌프(400)를 사용하지 않고 물공급원(300)과 스팀발생기(200) 사이의 수주차를 이용하여 상기 스팀발생기(200)에 물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통상 건조기의 각종 부품 등은 규격품이며 콤팩트하게 설계되므로 구조적 공간의 절대로 부족하다. 따라서, 종래의 건조기의 각종 부품의 크기를 변경하기 않으면 수주차를 이용한 급수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소형의 펌프(400)를 사용하면, 종래의 건조기의 각종 부픔의 크기를 변경하기 않고도 스팀발생기(200) 등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펌프(400)를 이용하는 것이 대단히 유용하다. 그리고, 스팀발생기(200)의 잔수를 회수하는 이유는 스팀발생기(200)를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잔수에 의하여 히터가 손상되거나, 차후에 부패한 물이 사용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pump 400 is preferably provided between thewater supply source 300 and thesteam generator 200.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pump 400 can be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thereby supplying water to thesteam generator 200 and recovering the residual water of thesteam generator 200 as necessary. It is also possible to supply water to thesteam generator 200 by using a water order between thewater supply source 300 and thesteam generator 200 without using thepump 400. However, in general, various parts and the like of the dryer are standard products and are designed to be compact, so that the structural space is absolutely insufficient. Therefore, water supply using water parking is virtually impossible without changing the size of various components of the conventional dryer. Therefore, when thesmall pump 400 is used, since thesteam generator 200 or the like can be installed without changing the size of various parts of the conventional dryer, it is very useful to use thepump 400. And, the reason for recovering the residual water of thesteam generator 200 is that if thesteam generator 200 is not used for a long time, the heater may be damaged by the residual water, or there may be a possibility that the decayed water is used later.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팀발생기(200)의 상부에서 물이 공급 및 스팀 배출이 발생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하부에 물이 공급되며,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상부에서 스팀이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 게 구성하는 것이 스팀발생기(200)의 잔수를 회수하는데에 유리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ater is supplied and steam is discharg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steam generator 200,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water is suppli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steam generator 200, and thesteam generator 200 Steam is preferably discharged from the top. This configuration is advantageous for recovering the residual water of thesteam generator 200.

또한, 상기 스팀발생기(200)에서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 유로 즉 스팀 호스(230)에는 안전밸브(5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safety valve 500 is provided in the steam flow path for discharging steam from thesteam generator 200, that is, thesteam hose 230.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한다.Each component is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300)(이하 편의상 "카트리지"라 함)을 상세히 설명한다.First, the detachable water supply source 3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cartridge" for convenien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카트리지(300)는 실질적으로 물을 수용하는 하부 하우징(310)과,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탈부착 가능한 상부 하우징(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트리지(300)를 하부 하우징(310) 및 상부 하우징(320)으로 구성하면, 카트리지(300) 내부에 쌓인 물때 등을 청소하기가 용이하며, 필터(330, 340) 및 연수부재(350) 등을 분리하여 청소 또는 재생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Thecartridge 300 includes alower housing 310 that substantially receives water, and anupper housing 320 that is detachable from thelower housing 310. When thecartridge 300 is configured as thelower housing 310 and theupper housing 320, it is easy to clean the scales accumulated in thecartridge 300, and thefilters 330 and 340 and the softeningmember 350 may be cleaned. This is because it is easy to separate and clean or regenerate.

상부 하우징(320)에는 제1필터(33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 하우징(320)의 물 유입부에 제1필터(330)가 설치되어, 카트리지(300)로 물을 공급할 때 1차적으로 물을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first filter 330 is installed in theupper housing 320.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first filter 330 is installed at the water inlet of theupper housing 320 so that water is primarily filtered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cartridge 300.

하부 하우징(310)에는 상기 카트리지(300)의 물을 외부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개폐부재(360)가 구비되어, 상기 카트리지(300)가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카트리지(30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며, 상기 카트리지(300)가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카트리지(30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360)에는 물을 여과하는 제2필터(340)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필터(340)는 탈부착 가능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필터(330) 및 제2필 터(340)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와 같은 물에 섞여 있는 불순물을 2중으로 여과할 수 있다. 제1필터(330)는 약 50 메쉬망(mesh net), 제2필터(340)는 약 60메쉬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50 메쉬망은 일정 면적당 메쉬의 개수가 50개인 것을 의미하여, 따라서 제1필터(330)의 메쉬의 구성하는 기공의 크기가 제2필터(340)의 기공의 크기보다 커서, 큰 이물질을 제1필터(330)에서 1차적으로 여과하고, 작은 이물질은 제2필터(340)에서 여과하게 된다.Thelower housing 31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member 360 for selectively supplying the water of thecartridge 300 to the outside, when thecartridge 300 is separated, the water of thecartridge 3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f thecartridge 300 is installed, the water of thecartridge 300 is preferably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member 36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second filter 340 for filtering water, and thesecond filter 340 is more preferably detachable. By using thefirst filter 330 and thesecond filter 340, impurities mixed in water such as fine dust may be filtered in a double manner. Thefirst filter 330 is preferably about 50 mesh nets, and thesecond filter 340 is preferably about 60 mesh nets. Here, the 50 mesh network means that the number of meshes per predetermined area is 50. Therefore, the size of the pores constituting the mesh of thefirst filter 330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pores of thesecond filter 340, and thus a large foreign matter is formed. Thefirst filter 330 is primarily filtered, and small foreign matter is filtered by thesecond filter 340.

또한, 카트리지(300)의 내부에는 물을 연수화하는 연수부재(350)가 더욱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수부재(350)는 탈부착 가능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수부재(350)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352)과, 상기 하부 하우징(352)에 탈부착 가능하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35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353) 및 하부 하우징(352)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에 충진되는 이온교환수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cartridge 30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ofteningmember 350 for softening the water. And, the softeningmember 350 is more preferably detachable. As shown in FIG. 6, the softeningmember 350 includes alower housing 352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and anupper housing 353 detachable from thelower housing 352 and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n ion exchange resin (not shown) filled in the space defined by theupper housing 353 and thelower housing 352.

연수부재(350)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스팀발생기(200)에 공급되는 물이 경도가 높은 경우에는, 물에 녹아 있는 탄산수소칼슘(Ca(HCO3)2)이 가열되면 석회(탄산칼슘(CaCO3) 등)가 석출되게 되고, 석회에 의하여 히터의 부식 등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유럽 및 미주 지역이 물은 경도가 높은 연수이므로 이러한 현상이 심할 수 있다. 따라서,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칼슘, 마그네슘이온 등을 미리 제거하여, 석회의 석출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온교환수지는 연수를 진행함에 따라서 성능이 저하되므로, 재생제 예를 들어 석회분해 물질인 소금(NaCl)으로 재생시켜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로, 이온교환수지에 의한 연수화 과정은 2(R-SONa) + Ca2 <-> (R-SO)Ca + 2Na 이며, 재생 과정은 (R-SO)Ca + 2NaCl <-> 2(R-SONa) + CaCl 이다.The reason for using the softeningmember 350 is as follows. When the water supplied to thesteam generator 200 has a high hardness, lime (calcium carbonate (CaCO3 ), etc.) is precipitated when calcium hydrogen carbonate (Ca (HCO3 )2 ) dissolved in water is heated. This may cause corrosion of the heater. In particular, in Europe and the Americas, this phenomenon may be severe because water is a soft soft water.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remove calcium, magnesium ions, etc. in advance using an ion exchange resin to prevent the precipitation of lime. In addition, since the performance of the ion exchange resin decreases as the soft water proceeds, the ion exchange resin can be regenerated and reused, for example, with salt (NaCl), which is a lime decomposition material. For reference, the softening process by ion exchange resin is 2 (R-SONa) + Ca2 <-> (R-SO) Ca + 2Na, and the regeneration process is (R-SO) Ca + 2NaCl <-> 2 (R -SONa) + CaCl.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제2필터(340)와 개폐부재(360)의 탈부착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7A to 7C, the detachable structure of thesecond filter 340 and the opening and closingmember 36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카트리지(300)의 하부 하우징(310)에는 상기 카트리지(300)와 연통하는 개폐부재(360)가 구비된다. 개폐부재(360)는 카트리지(300)와 연통하는 유로(362)와, 상기 유로(36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핀(3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로(362)는 내측 유로(362a)와 외측 유로(362b)로 구성되며, 내측 유로(362a)의 외면에는 걸림돌기(361)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필터(340)는 상기 내측 유로(362a)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341)와, 상기 케이스(341)의 일측에 구비되는 필터링부(3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41)의 일측에는 상기 내측 유로(362a)의 걸림돌기(361)에 대응하는 홈부(342)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342)는 대략 "L"형상 즉 수평부와 수직부를 가진다. 따라서,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필터(340)의 홈부(342) 정확히는 수평부를 내측 유로(362a)의 걸림돌기(361) 방향으로 넣은 후에,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필터(340)를 돌리면 상기 제2필터(340)와 개폐부재(360)와의 결합이 완료된다. 제2필터(340)를 분리하는 것을 이에 반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lower housing 310 of thecartridge 30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member 360 in communication with thecartridge 300. The opening and closingmember 360 includes aflow path 362 communicating with thecartridge 300 and apin 365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flow path 362. Theflow path 362 includes aninner flow path 362a and anouter flow path 362b, and a lockingprotrusion 361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inner flow path 362a. Thesecond filter 340 includes acase 34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inner flow path 362a and afiltering unit 344 provided on one side of thecase 341. In addition, agroove part 342 corresponding to the lockingprotrusion 361 of theinner flow path 362a is formed at one side of thecase 341. Thegroove portion 342 has an approximately "L" shape, that is, a horizontal portion and a vertical portion. Therefore, as shown in FIG. 7B, after thegroove 342 of thesecond filter 340 is exactly inserted in the direction of the lockingprojection 361 of theinner flow path 362a, as shown in FIG. When thesecond filter 340 is turned, the coupling between thesecond filter 340 and the opening / closingmember 360 is completed. Since the opposite of separating thesecond filter 34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8을 참조하여, 카트리지(300)와 펌프(400) 사이의 연결 관계를 상세히 설 명한다.Referring to FIG. 8,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cartridge 300 and thepump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300)와 펌프(400)는 중간 호스(490)를 매개로 연결된다. 다만, 중간 호스(490)의 일측은 펌프(400)의 인입구(430)에 직결되지만, 중간 호스(490)의 타측은 접속구(480)를 매개로 카트리지(300)와 연결된다. 펌프(400)의 인입구(430)/접속구(480)와 중간 호스(490)는 클램프(492)에 의하여 누설이 방지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8, thecartridge 300 and thepump 400 are connected via anintermediate hose 490. However, one side of theintermediate hose 49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inlet 430 of thepump 400, the other side of theintermediate hose 490 is connected to thecartridge 300 via theconnection port 480. Theinlet 430 /connector 480 and theintermediate hose 490 of thepump 400 are preferably prevented from leaking by theclamp 492.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카트리지(300)와 접속구(480)의 연결 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9 and 10,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cartridge 300 and theconnector 48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300)에는 상기 카트리지(300)와 연통하는 개폐부재(360)가 구비된다. 개폐부재(360)는 유로(362)와, 상기 유로(36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핀(3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로(362)는 내측 유로(362a)와 외측 유로(362b)로 구성되며, 상기 외측 유로(362b)의 외면에는 기밀을 위하여 오링(O-ring)(369)이 구비된다.As described above, thecartridge 30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member 360 in communication with thecartridge 300. The opening and closingmember 360 includes aflow path 362 and apin 365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flow path 362. Theflow path 362 includes aninner flow path 362a and anouter flow path 362b, and an O-ring 369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outer flow path 362b for airtightness.

한편, 핀(365)의 몸통부(365b)의 일측에는 오목부(366)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유동부(365a)가 구비된다.(도 10 참조) 상기 오목부(366)에는 개폐부(367)가 설치되며, 상기 유동부(365a)는 대략 십자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십자날개의 사이로 물이 흐르게 된다. 상기 개폐부(367)는 고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365b) of the pin (365) is provided with aconcave portion 366,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flow portion (365a) (see Fig. 10). ) Is installed, the flow portion (365a) is composed of a cross approximately so that water flows between the cross blades. The opening and closingpart 367 is preferably made of rubber.

유로(362)를 설명하면, 유로의 내부에는 핀(365)의 몸통부(365b)를 지지하며 다수의 통공(363a)이 형성되는 지지부(363)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363) 및 핀(365)의 유동부(365a)의 사이에는 스프링(364)이 구비된다. 그리고, 접속구(480) 는 개폐부재(360)의 외측 유로(362b)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외측부(482)와, 상기 외측 유로(362b)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내측부(484)로 구성된다.Referring to theflow path 362, asupport part 363 supporting thetrunk portion 365b of thepin 365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363a formed therein is provided in the flow path, and thesupport part 363 and the pin ( Aspring 364 is provided between theflow portions 365a of the 365. Theconnector 480 includes anouter portion 482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outer passage 362b of the opening and closingmember 360, and aninner portion 484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outer passage 362b. do.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300)가 접속구(48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스프링(364)에 의하여 핀(365)의 일측에 설치된 개폐부(367)가 내측 유로(362a)의 선단을 막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카트리지(300)의 물이 유로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300)를 접속구(480)에 끼우면 접속구(480)의 내측부(484)에 의하여 핀(365)이 스프링(364)의 탄성력을 이기고 내측 유로(362a)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핀(365)의 일측에 설치된 개폐부(367)가 내측 유로(362a)의 선단에서 분리되어 그 틈으로 물이 흐르게 되어, 카트리지(300)의 물이 유로를 통하여 외부로 즉 펌프(400) 방향으로 유출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364) 및 오링(369)을 이용한 2중 실링 구조이므로 물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A, in the state where thecartridge 300 is separated from theconnector 480, the opening andclosing portion 367 provided at one side of thepin 365 by thespring 364 is used to define the front end of theinner flow path 362a. The film is in a state. Therefore, the water of thecartridge 300 does not flow out through the flow path. However, as shown in FIG. 9B, when thecartridge 300 is inserted into theconnector 480, thepin 365 overcomes the elastic force of thespring 364 by theinner portion 484 of theconnector 480 and theinner passage 362a. Will advance in the direction. Accordingly, the opening andclosing portion 367 provided on one side of thepin 365 is separated from the tip of theinner flow path 362a so that water flows through the gap, so that the water of thecartridge 300 flows outward through the flow path, that is, thepump 400. Will flow in the dir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ouble sealing structure using thespring 364 and the O-ring 369, the leakage of water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그리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핀(365)의 일단 즉 유동부(365a)의 내부(365)는 테이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단순 원통형에 비하여, 물의 유동하는 통로의 면적이 커지므로 물이 더욱 효과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of thepin 365, that is, theinterior 365 of theflow part 365a, is tapered. In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area of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water flows is larger than that of the simple cylinder, the water can flow more effectively.

한편,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호스(490)를 사용하지 않고 카트리지(300)를 펌프(400)에 직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에는 펌프(400)의 인입구(430a)의 형상을 적절히 변경 즉 외측부(432)와 내측부(434)로 구성하여야 한다. 즉, 펌프(400)의 인입구(430a)의 형상을 도 9의 접속구(480)와 유사하게 구성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연결 구조에 비하여, 이렇게 구성하면 중간 호스(490), 실 링을 위한 클램프(492) 등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재료비 및 공수를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1,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hecartridge 300 directly to thepump 400 without using theintermediate hose 490.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inlet 430a of thepump 400 should be appropriately changed, that is, theouter portion 432 and theinner portion 434. That is, the shape of theinlet 430a of thepump 400 is configured similarly to theconnector 480 of FIG. 9. Compared with the connection structure shown in Figs. 8 and 9, this configuration can eliminate theintermediate hose 490, theclamp 492 for the seal ring, etc.,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terial cost and man-hour can be reduced.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필터(330), 제2필터(340) 및 연수부재(350)가 탈부착 가능한 카트리지(300)에 설치되는 것을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물공급원(300)으로 외부 꼭지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스팀발생기(200)로 연결되는 급수 유로 상에 제1필터(330), 제2필터(340) 및 연수부재(350) 중의 최소한 한 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도 제1필터(330), 제2필터(340) 및 연수부재(350)룰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필터(330), 제2필터(340) 및 연수부재(350)를 하나의 용기에 구비하여, 상기 용기 자체도 급수 유로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lthough thefirst filter 330, thesecond filter 340, and the softeningmember 350 are installed in thedetachable cartridge 30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t is applicable to the case where an external tap is used as thewater supply source 300. In this case, at least one of thefirst filter 330, thesecond filter 340, and the softeningmember 350 may be installed on the water supply passage connected to thesteam generator 200. More preferably, thefilter 330, thesecond filter 340, and thesoft water member 35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hereto. In addition, thefirst filter 330, thesecond filter 340, and the softeningmember 350 may be provided in one container, and the container itself may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assage.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개폐부재(360)의 유로(362)의 일단 즉 외측 유로(362b)가 카트리지(300)의 외부로 돌출하게 되어, 상기 카트리지(300)가 전체적으로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카트리지(300)를 사출하는 경우에 뒤틀림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300)의 탈부착시 돌출된 부위가 부딪쳐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구조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ne end of theflow path 362 of the opening and closingmember 360, that is, theouter flow path 362b protrudes out of thecartridge 300, so that thecartridge 300 is lengthened as a whole. Therefore, when thecartridge 300 is ejected, there is a fear that distortion may occur, and when thecartridge 300 is attached or detached, a protruding portion may collide and be damaged. A structure for improving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도 12에 도시한 구조도 도 11에 도시한 구조와 원리는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물공급원(카트리지)(300)의 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개폐부재(360)가 상기 카트리지(300)의 내부에 위치한다. 즉,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개페부재(360)도 외부와 연통하는 유로(362)와 상기 유로(36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365)로 구성되지만, 상기 유로(362)가 전부 상기 카트리지(300)의 내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개폐부재(360)의 유로(362)의 내면에는 오링(369a)이 구비된다. 물론 오링(369a)은 연결부(434, 484)의 외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Structure diagram shown in FIG. 12 The structure and principle shown in FIG. 11 are similar.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ning and closingmember 360 to selectively discharge the water of the water supply source (cartridge) 300 is located inside thecartridge 300. That is, similarly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openingmember 360 of the present embodiment also includes aflow path 362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d an opening /closing portion 365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flow path 362. Are all located inside thecartridge 300. The O-ring 369a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flow path 362 of the opening / closingmember 360. Of course, the O-ring 369a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connectingportions 434 and 484.

유로(362)가 카트리지(30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중간 호스 및 펌프의 인입구와 같은 상기 유로(362)에 연결되는 부위가 내측부와 외측부(도 9의 482, 도 11의 432)를 가지는 이중구조가 아니어도 된다. 왜냐하면, 유로(362)가 외측부의 역할을 겸할 수 있기 때문이다.When theflow path 362 is located inside thecartridge 300, a portion connected to theflow path 362, such as an inlet of the intermediate hose and the pump, may have an inner portion and an outer portion (482 in FIG. 9 and 432 in FIG. 11). Branches do not have to be dual structures. This is because theflow path 362 can also serve as an outer portion.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개폐부재(360)가 카트리지(300)의 외부로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300)의 제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파손 위험을 줄일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member 360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cartridge 300, the convenience of manufacturing thecartridge 300 may be improved and the risk of damage may be reduced.

본 발명자의 실험 결과에 의하면, 의류의 종류 예를 들어 옷감의 종류, 흡습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구김 제거 및 방지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피건조물의 일 예로써 세탁기에서 탈수 완료된 세탁물도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루 정도 입은 의류 즉 이미 건조된 상태이며 구김이 적은 의류를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에서 구김을 제거할 수 있으면, 이러한 경우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즉, 일종의 구김제거장치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present inventors,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 of clothes, for example, the type of cloth and the degree of moisture absorp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moving wrinkles and preventing them. The laundry dehydrated in the washing machine may be used as an example of the object to be dri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clothing that is worn for about a day, that is, clothes that are already dried and less wrinkled, can be particularly useful in this case if it is possible to remove wrinkles in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kind of wrinkle removal device.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Referring to the effect of the dryer an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 완료된 피건조물에 구김 또는 주름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피건조물의 살균 및 냄세 제거를 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or eliminate the occurrence of wrinkles or wrinkles in the dried product to be dried. Moreover,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re also exists an advantage that sterilization and smell removal of a to-be-dried thing can be performed.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된 상태의 의류에 있는 구김 또는 주름도 별도의 다림질없이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Seco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wrinkles or wrinkles in the clothes in a dry state can be effectively removed without additional ironing.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카트리지를 선택적으로 개페하는 개폐부재가 카트리지의 외부로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의 제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파손 위험을 줄일 수 있다.Thi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artridge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artridge, the convenience of manufacture of the cartridge can be improved and the risk of breakage can be reduced.

Claims (4)

Translated fromKorean
드럼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열풍히터와;A hot air heater for heating air to supply high temperature hot air to the drum;상기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하여 스팀을 만드는 스팀발생기와;A steam generator for producing steam to supply steam to the drum;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며,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과;A water supply source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and being detachable;상기 물공급원의 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며, 상기 물공급원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물공급원의 내부에 위치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건조기.And an opening / closing member positioned inside the water supply source to selectively discharg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and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source.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원과 상기 스팀발생부의 사이에는 펌프가 더욱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The dry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ump between the water supply source and the steam generator.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물공급원의 외부와 연통하며 상기 물공급원의 내부에 위치하는 유로와, 상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low passage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source and located inside the water supply source, and a pin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dryer.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의 유로의 내면에는 오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The dryer of claim 3, wherein an O-ring is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low path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KR1020060095019A2006-09-282006-09-28 dryerExpired - Fee RelatedKR1007742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60095019AKR100774219B1 (en)2006-09-282006-09-28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60095019AKR100774219B1 (en)2006-09-282006-09-28 dry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100774219B1true KR100774219B1 (en)2007-11-08

Family

ID=39061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60095019AExpired - Fee RelatedKR100774219B1 (en)2006-09-282006-09-28 dryer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0774219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0845872B1 (en)2007-04-252008-07-14엘지전자 주식회사 Steam dryer
KR100857802B1 (en)2007-05-092008-09-09엘지전자 주식회사 Steam dryer
US8127576B2 (en)2007-05-092012-03-06Lg Electronics Inc.Laundry machine
KR101253180B1 (en)2006-12-152013-04-10엘지전자 주식회사Steam laundry dryer
CN113389030A (en)*2021-07-162021-09-14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Hanging ironing machine
JP2023053284A (en)*2021-02-182023-04-12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washing mach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0698132B1 (en)2006-06-122007-03-26엘지전자 주식회사 dry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0698132B1 (en)2006-06-122007-03-26엘지전자 주식회사 dry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253180B1 (en)2006-12-152013-04-10엘지전자 주식회사Steam laundry dryer
KR100845872B1 (en)2007-04-252008-07-14엘지전자 주식회사 Steam dryer
KR100857802B1 (en)2007-05-092008-09-09엘지전자 주식회사 Steam dryer
US8127576B2 (en)2007-05-092012-03-06Lg Electronics Inc.Laundry machine
JP2023053284A (en)*2021-02-182023-04-12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washing machine
CN113389030A (en)*2021-07-162021-09-14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Hanging iron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1341461B1 (en)Steam laundry dryer
KR100698132B1 (en) dryer
KR100830514B1 (en) Dryer and its control method
KR101253180B1 (en)Steam laundry dryer
US20090307921A1 (en)Laundry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735707B1 (en) Dryer and its control method
US20080141558A1 (en)Laundry machine
KR100921459B1 (en) Steam dryer
KR20080025519A (en) dryer
KR100774219B1 (en) dryer
KR100698133B1 (en) Dryer Control Method
KR101265615B1 (en)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341463B1 (en)Steam laundry dryer
KR100755863B1 (en) Dryer and its control method
KR100698134B1 (en) Dryer and its control method
KR101387474B1 (en)Steam laundry dryer
KR101341460B1 (en)Steam laundry dryer
KR100698224B1 (en) dryer
KR101341464B1 (en)Steam laundry dryer
KR101342366B1 (en)Steam laundry dryer
KR100698222B1 (en) Dryer and its control method
KR20080029336A (en) Dryer and its control method
KR100813056B1 (en) Dryer and its control method
KR100698223B1 (en) Dryer and its control method
KR100833864B1 (en) Steam dryer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G170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Publication of corr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9-oth-PG1701

Patent document republication publication date:20080415

Republication note text:Request for Correction Notice (Document Request)

Gazette number:1007742190000

Gazette reference publication date:20071108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21026

Year of fee payment:6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31024

Year of fee payment:7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7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41024

Year of fee payment:8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8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51023

Year of fee payment:9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9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0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1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2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3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5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6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2311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231102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