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테이블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ble of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테이블을 나타낸 단면도.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table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테이블을 나타낸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ble of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화분 설치통1: pot installation
11 : 화분설치 관통홀 11: planter installation through hole
12 : 배수공간 12: drainage space
121 : 함몰부, 122 : 배수공, 123 : 배수관 121: depression, 122: drain hole, 123: drain pipe
2 : 수직관2: vertical tube
21 : 분수접시 21: fountain plate
211 : 배수홀 211: drainage hole
22 : 분사관 22: injection pipe
23 : 개방부 23: opening
24 : 분수용기 24: fountain container
241 : 분사 공급관 241 injection pipe
3 : 순환관3: circulation tube
31 : 펌프 31: pump
4 : 수도 연결관4: water connector
41 : 밸브 41: valve
42 : 인출관 42: withdrawal tube
421 : 밸브 421: Valve
5 : 회전수단5: rotating means
51 : 회전체 51: rotating body
511 : 기어부 511: gear unit
52 : 회전판 52: rotating plate
53 : 화분 지지판 53: flowerpot support plate
54 : 회전 구동수단 54: rotation drive means
541 : 구동모터, 542 : 구동기어 541: drive motor, 542: drive gear
6 : 함몰부6: depression
61 : 배수공 61: drain hole
7 : 수직관7: vertical tube
71 : 분수접시 71: fountain plate
711 : 배수홀 711: drainage hole
72 : 분사관 72: injection pipe
8 : 순환관8: circulation tube
81 : 펌프 81: pump
9 : 수도 연결관9: water connector
91 : 밸브 91: valve
92 : 인출관 92: withdrawal tube
921 : 밸브 921: Valve
10 : 화분10: flowerpot
100 : 다리, 200 : 테이블 상판, 300 : 관통구100: leg, 200: table top, 300: through hole
본 발명은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화분을 구비하여 실내조경을 가능하게 하는 화분이 설치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able with a pot installed to enable the indoor landscape by providing a plurality of pots.
통상적으로 테이블은 식사를 하기 위해 음식물을 올려놓게 되는 식탁 또는 TV를 올려놓는 TV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이다.Typically, a table includes a table for placing food on a table or a TV stand for placing a TV.
즉 종래의 테이블은 음식물이나 TV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테이블 상판과, 상기 테이블 상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테이블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로 구성되는 것이다.That is, the conventional table is composed of a table top plate provided to place food or TV, and a leg provided under the table top plate to support the table top plate.
따라서 상기 테이블을 통해 음식이나 기타 물건등을 올려놓을 수 있으며, 실내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ut food or other things through the table, and to use the space in the room.
그러나, 상기와 같은 테이블은 현대인들에게 단지 음식이나 물건등을 올려놓기 위한 가구정도로만 사용되고 있다.However, such a table is used only as a furniture for placing food or objects to modern people.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테이블을 개량한 것으로, 다수의 화분을 구비하여 실내조경을 가능하게 하는 화분이 설치된 테이블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a conventional table, and to provide a table in which a flower pot is installed to enable indoor landscaping by providing a plurality of flower pots.
또한, 테이블의 중앙에 구비된 분수대를 통해 물을 분수하게 되는 화분이 설치된 테이블을 제공하는 목적도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ble in which a flower pot is installed to fountain water through a fountain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tab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테이블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ble of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이에 본 발명의 화분이 설치된 테이블(이하, "테이블" 이라 한다.)은, 다수의 다리(100)를 통해 지지되는 테이블 상판(200)을 포함하는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다리(100)의 하부에는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분(10)을 삽입할 수 있도록 화분설치 관통홀(11)이 구비되고 내부에 배수공간(12)이 구비된 화분 설치통(1)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Thus, the table with the potted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able") is a table including a
특히 상기 테이블 상판(200)의 중앙에는 관통구(3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관통구(300)에는 후술하게 될 분수접시(21)와 수직관(2) 그리고 분사관(22)이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a
그리고 상기 테이블 상판(200)은 투명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어느 위치에서든 테이블의 주변을 전체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And because the
한편, 상기 배수공간(12)의 중앙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둘레가 막혀 있고 배수공(122)이 형성된 함몰부(121)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enter of the
그리고 상기 함몰부(121)와 관통구(300)에는 상부에 다수의 배수홀(211)이 형성된 분수접시(21)가 구비된 수직관(2)이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직관(2)과 분수접시(21)의 중앙에는 분수접시(21)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관(22)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The
특히, 상기 수직관(2)의 내부에는 상기 분수접시(21)의 배수홀(211)로 유입된 물이 흘러 내리도록 공간부(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또한, 상기 수직관(2)에는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23)가 구비되며, 상기 개방부(23)의 측부에는 상부가 개방되어 둘레가 막혀 있는 분수용기(24)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vertical pipe (2) is provided with an
특히 상기 분수용기(24)에는 상기 분사관(22)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분수용기(24)의 상부로 물이 분사되도록 물을 공급하게 되는 분사 공급관(241)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즉, 상기 분수용기(24)의 상부로 물이 분사됨은 물론 분수용기(24)의 내부에 각종 수중식물을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테이블의 주변경관을 통해 심미감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s well as water is spray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한편, 상기 분사관(22)과 배수공(122)의 사이에는 물을 강제 순환시키는 펌 프(31)를 포함하며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밸브(41)가 구비된 수도 연결관(4)과 연결되어 있는 순환관(3)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아울러, 상기 수도 연결관(4)의 밸브(41)와 수도의 사이에는 화분(10)에 물을 줄 수 있도록 밸브(421)를 포함하는 인출관(42)이 더 구비되며, 상기 화분(10)에 공급되는 물의 분사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인출관(42)의 단부에는 분사기(422)가 설치되는 것이다.In addition, between the
그리고, 상기 배수공간(12)의 하부에는 화분(1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관(123)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즉 화분(10)을 통과하면서 배출되는 폐수를 상기 배수관(123)을 통해 외부로 배수시킴으로써 배수공간(12)에 폐수가 장시간동안 저장되어 있을 경우 발생되는 악취와 배수공간(12)의 내부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by draining the wastewater discharged while passing through the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tab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수도 연결관(4)에 구비되어 있는 밸브(41)의 개폐에 의해 외부의 수돗물을 순환관(3)으로 공급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2, first, the external tap water is supplied to the
다음, 순환관(3)에 구비되어 있는 펌프(31)를 구동하게 되면, 압력에 의해 분사관(22)의 상부로 물이 분사되는 것이다. 따라서 물은 일정 높이만큼 분사된 후 하강하면서 분수접시(21)의 배수홀(211)을 통해 수직관(2)의 공간부(23)로 유입되는 것이다.Next, when driving the
그리고 공간부(23)로 유입된 물은 배수공(122)에 연결된 순환관(3)으로 유입 되어 펌핑을 통해 분사관(22)으로 재순환하게 되는 것이다.And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한편, 필요에 따라 수돗물이 공급되도록 인출관(42)에 구비된 밸브(421)의 개폐를 통해 화분(10)에 물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공급된 물은 분사기(422)를 통해 화분(10)에 분사되며, 화분(10)을 통과한 폐수는 배수관(123)으로 배수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necessary, water is supplied to the potted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테이블은, 화분 설치통(1)에 다수의 화분(10)이 구비되는 것은 물론 분수대가 구비되는 테이블을 제공함으로써 실내조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door pot can be improved by providing a table having a fountain as well as a plurality of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테이블을 나타낸 단면도이다.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table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테이블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후술하게 될 회전 구동수단을 제외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구성이 동일함을 전제로 한다.Therefore, before describing the table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sumes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tab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identical except for the rotation driving means to be described later.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은 상기 수직관(2)의 상부 둘레를 감싸며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관통구(300)에 관통 구비되는 회전체(51)와, 상기 회전체(51)의 상부인 테이블 상판(200)의 상부 둘레에 구비된 회전판(52)과, 상기 회전판(52)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부에 화분(10)이 올려지는 다수의 화분 지지판(53), 및 상기 수직관(2)과 회전체(51) 사이에 구비되어 회전체(51)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수단(54)으로 구성된 회전수단(5)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3, the table wraps around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그리고, 상기 회전 구동수단(54)은 상기 회전체(51)의 둘레에 형성되는 기어부(511)와, 상기 수직관(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기어부(511)와 맞물리게 구비 된 구동기어(542)를 포함하는 구동모터(541)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특히, 상기 회전체(51)의 내측에는 회전체(51)의 회전시 수직관(2) 외측과의 마찰에 의한 손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베어링(512)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 inside of the
또한, 상기 회전판(52)과 회전체(51)의 사이에 구비된 체결수단을 통해 서로 이격 설치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fastening means provided between the
즉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회전판(52)과 회전체(51)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볼트공(513,521)과, 상기 회전판(52)의 하부와 상기 회전체(51)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볼트공(513,521)에 상응되게 상,하부에 형성된 탭홀을 포함하는 지지대(551)와, 상기 지지대(551)에 상기 회전판(52)과 회전체(51)가 고정되도록 상기 탭홀에 체결되는 볼트로 구성되는 것이다.That is, the fastening means is provided on the bolt holes 513 and 521 formed on one side of the
따라서, 상기 회전 구동수단(54)을 통해 테이블 상판(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회전판(52)을 회전시킴으로써 여러 종류의 꽃을 구경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by rotating the plurality of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테이블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ble of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테이블은, 다수의 다리(100)를 통해 지지되는 테이블 상판(200)을 포함하는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다리(100)의 하부에는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분(10)을 삽입할 수 있도록 화분설치 관통홀(11)이 구비되고 내부에 배수공간(12)이 구비된 화분 설치통(1)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ures 4 and 5, the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able including a table
특히 상기 배수공간(12)의 중앙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둘레가 막혀 있고 배수공(61)이 형성된 함몰부(6)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center of the
한편, 상기 테이블 상판(200)은 투명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어느 위치에서든 테이블의 주변을 전체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table
그리고, 상기 테이블 상판(200)의 하부에는 하부가 상기 함몰부(6)에 삽입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부에 다수의 배수홀(711)이 형성된 분수접시(71)가 구비된 수직관(7)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table
또한 상기 수직관(7)의 내부에는 상기 분수접시(71)의 배수홀(711)로 유입된 물이 흘러 내리도록 공간부(7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
아울러, 상기 수직관(7)과 분수접시(71)의 중앙에는 분수접시(71)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관(72)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관(72)과 배수공(61)의 사이에는 물을 강제 순환시키는 펌프(81)를 포함하며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밸브(91)가 구비된 수도 연결관(9)과 연결되어 있는 순환관(8)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enter of the
특히 상기 수도 연결관(9)의 밸브(91)와 수도의 사이에는 화분(10)에 물을 줄 수 있도록 밸브(921)를 포함하는 인출관(92)이 더 구비되며, 상기 화분(10)에 공급되는 물의 분사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인출관(92)의 단부에는 분사기(922)가 설치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a
그리고, 상기 배수공간(12)의 하부에는 화분(1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관(62)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즉 화분(10)을 통과하면서 배출되는 폐수를 상기 배수관(62)을 통해 외부로  배수시킴으로써 배수공간(12)에 폐수가 장시간동안 저장되어 있을 경우 발생되는 악취와 배수공간(12)의 내부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by draining the waste water discharged while passing through the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tab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수도 연결관(9)에 구비되어 있는 밸브(91)의 개폐에 의해 외부의 수돗물을 순환관(8)으로 공급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5, first, the external tap water is supplied to the
다음, 순환관(8)에 구비되어 있는 펌프(81)를 구동하게 되면, 압력에 의해 분사관(72)의 상부로 물이 분사되는 것이다. 따라서 물은 일정 높이만큼 분사된 후 하강하면서 분수접시(71)의 배수홀(711)을 통해 수직관(7)의 공간부(73)로 유입되는 것이다.Next, when the
그리고 공간부(73)로 유입된 물은 배수공(61)에 연결된 순환관(8)으로 유입되어 펌핑을 통해 분사관(72)으로 재순환하게 되는 것이다.And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한편, 필요에 따라 수돗물이 공급되도록 인출관(92)에 구비된 밸브(921)의 개폐를 통해 화분(10)에 물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Meanwhile, water is supplied to the
특히 공급된 물은 분사기(922)를 통해 화분(10)에 분사되며, 화분(10)을 통과한 폐수는 배수관(62)으로 배수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water supplied is sprayed to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테이블은, 화분 설치통(1)에 다수의 화분(10)이 구비되는 것은 물론 분수대가 구비되는 테이블을 제공함으로써 실내조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door pot can be improved by providing a table having a fountain as well as a plurality of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분이 설치된 테이블은 다수의 화분을 구비하여 실내조경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table in which the flower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has an effect of enabling indoor landscaping by providing a plurality of flower pots.
또한, 테이블의 중앙에 구비된 분수대를 통해 물을 분수하여 실내조경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the water fountain through the fountain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table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indoor landscap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100926AKR100740710B1 (en) | 2005-10-25 | 2005-10-25 | Potted tables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100926AKR100740710B1 (en) | 2005-10-25 | 2005-10-25 | Potted tables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70044710A KR20070044710A (en) | 2007-04-30 | 
| KR100740710B1true KR100740710B1 (en) | 2007-07-23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50100926AExpired - Fee RelatedKR100740710B1 (en) | 2005-10-25 | 2005-10-25 | Potted tables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740710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39760Y1 (en) | 2001-04-30 | 2001-10-12 | 박기호 | Multiple table garden | 
| KR200323950Y1 (en) | 2003-06-04 | 2003-08-21 | 주식회사 아트플라워 | Interior landscape architecture table | 
| KR200370206Y1 (en) | 2004-09-17 | 2004-12-14 | 강동윤 | Table with flower growing place | 
| KR20190000900A (en)* | 2005-07-19 | 2019-01-03 |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 Method and system for vaporization of a substanc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39760Y1 (en) | 2001-04-30 | 2001-10-12 | 박기호 | Multiple table garden | 
| KR200323950Y1 (en) | 2003-06-04 | 2003-08-21 | 주식회사 아트플라워 | Interior landscape architecture table | 
| KR200370206Y1 (en) | 2004-09-17 | 2004-12-14 | 강동윤 | Table with flower growing place | 
| KR20190000900A (en)* | 2005-07-19 | 2019-01-03 |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 Method and system for vaporization of a substanc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70044710A (en) | 2007-04-30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150084319A (en) | Hydroponic flowerpot | |
| CN106857070A (en) | A kind of plant pot of assisting growth | |
| WO2008066289A1 (en) | Assembly pot | |
| CN111133918A (en) | A fully automatic irrigation and drainage integrated three-dimensional cultivation device | |
| KR200453179Y1 (en) | Rotary Multi-layer Pot Stand | |
| KR100740710B1 (en) | Potted tables | |
| CN106759675A (en) | Multifunctional water storage water supply tank | |
| JP2009106259A (en) | Drainage structure of flower stand flowerpot saucer | |
| KR100610570B1 (en) | Architectural balconies | |
| KR20100005146U (en) | A multistage shelf for growing plants | |
| KR200463608Y1 (en) | Plant cultivation system of multilayer structure | |
| JP6206617B1 (en) | Cultivation device, wall greening system and nutrient solution circulation method | |
| CN104179221A (en) | Disinfecting, circulating, and stirring system of water tank | |
| CN212087146U (en) | Decorative wall potted plant | |
| JP6559508B2 (en) | Drainage device in plant cultivation equipment | |
| JP2019165644A (en) | Plant hydroponics device | |
| CN206529838U (en) | Multifunctional water storage water supply tank | |
| JPH07322782A (en) | Base irrigator for potting cultivation | |
| JP4968687B2 (en) | Planter with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 |
| KR200363412Y1 (en) | Indoor gardening structure having flowers and aquarium | |
| KR200375649Y1 (en) | Flowerpot supporter | |
| KR20150003415U (en) | Flowerpot capable of controlling water level | |
| CN213248032U (en) | Take plant irrigation system's goods show shelf | |
| CN210470406U (en) | Ceramic flowerpot free of watering | |
| KR100405293B1 (en) | Fountain having goldfish basin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9-oth-PG1701 Patent document republication publication date:20080422 Republication note text:Request for Correction Notice (Document Request) Gazette number:1007407100000 Gazette reference publication date:20070723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0071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00712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