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강제 통화 연결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orced call conne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지국과의 통화 연결 시도중에 예를들어 주변의 전계상황이 악화되어 통화연결이 실패되더라도 발신자 식별정보만 수신완료되면 발신자 단말기를 호출하여 강제 통화 연결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even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tempts to make a call connection with a base station, for example, even when the call connection fails due to deterioration of the electric field situation, the caller terminal is called when the caller terminal information is completed. It relates to a technology for making a call connection.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지국과의 통화 연결 과정은 먼저,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채널을 통해 콜(Call) 메시지가 수신되면 액세스 채널을 통해 페이지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채널을 통해 채널 할당 메시지가 수신되면 트래픽 채널을 셋팅하는 과정과, EVDO 등의 서비스 종류에 대한 기지국과의 일치과정을 진행하는 과정과, 기지국으로부터 트래픽 채널를 통해 발신자 식별정보 및 벨소리 정보 등을 전송받는 과정과, 통화요청을 알리는 벨소리를 출력하면서 사용자 조작에 의한 착신응답신호를 대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In general, a call connection process with a bas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irst includes, when a call message is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through a paging channel, transmitting a page response message to the base station through an access channel, and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a paging channel. A process of setting a traffic channel when receiving a channel assignment message, a process of matching with a base station for a service type such as EVDO, receiving a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ring tone information through a traffic channel from the base station; And waiting for an incoming response signal by a user's operation while outputting a ring tone informing a call request.
그런데, 종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지국과의 통화 연결 과정이 약전계 상황에서 이루어질 경우 사용자의 착신응답신호가 입력되기 전에 주변 전계상황의 악화로 통화연결이 실패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단말기 사용자는 긴급한 통화를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단말기 사용자는 지하철이나 버스, 백화점과 같이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서 전화가 걸려온 것을 알려주는 벨 소리를 듣지 못하여 발신자와 통화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물론, 요즘 이동통신 단말기는 부재중 통화표시와 함께 발신자 식별정보를 표시해 주지만 사용자가 이를 바로바로 확인하지 않는 경우, 긴급한 통화를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a call connection process with a base station in a weak electric field situ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call connection often fails due to a deterioration of a surrounding electric field condition before a user's incoming response signal is input. As a result, the terminal user may not be able to make an urgent call. On the other hand, the user of the terminal may not be able to talk to the caller because they do not hear a ringing sound indicating that a call is received in a place where a lot of people gather, such as a subway, a bus, and a department store. Of course, these day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the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missed call display, but if the user does not immediately check th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emergency call cannot be made.
본 발명은 이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지국과의 통화 연결 시도중에 예를들어 주변의 전계상황이 악화되어 통화연결이 실패되더라도 발신자 식별정보만 수신완료되면 발신자 단말기를 호출하여 강제 통화 연결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such a backgroun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nd a caller when only the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even when the call connection fails due to a deterioration in the electric field situation, for example, during a call connection attempt with a bas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to provide a technology for making a forced call connection by calling a terminal.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강제 통화 연결과 통상적인 통화 연결을 단말기 사용자가 구분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addition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que for allowing a terminal user to distinguish between forced call connection and normal call conne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강제 통화 연결 대상을 미리 설정하여 설정된 대상번호만을 강제 통화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ology capable of forcibly calling only a set target number by presetting a forced call connection targe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지국과의 통상적인 통화 연결 시도중에 통화연결실패 이벤트 발생을 검출하는 이벤트 검출부와, 통화연결실패 이벤트가 검출되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발신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발신자 단말기를 호출하고 발신자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처리하는 강제 통화 연결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even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call connection failure event during a normal call connection attempt with the base station, and if a call connection failure event is detected is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rced call connection processing unit for calling the caller terminal using the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handles the call connection with the caller terminal.
이 같은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지국과의 통화 연결 시도중에 예를 들면, 주변 전계상황이 악화되어 통화가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수신된 발신자 식별정보를 통해 강제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고 우수한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약전계에서 긴급한 통화 연결 요청에 대한 높은 통화 성공률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is aspect is embodied so that, for example, during a call connection attempt with a base station, a forced call connection can be attempted through the received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even when the call is not successful due to a deterioration of the surrounding electric field situation. The mobile terminal user may be provided with a more convenient and excellent call connection service. In particular, the mobile terminal user can be provided with a high call success rate for the urgent call connection request in the weak field.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강제 통화 연결 처리부로부터 발신자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 신호가 입력되면 강제 통화 연결 시도에 의한 통화 연결임을 알리는 강제 통화 연결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양상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강제 통화 연결과 통상적인 통화 연결을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orced call connection notification unit notifying that the call connection is caused by a forced call connection when a call connection signal with a caller terminal is input from the forced call connection processing unit. . According to this aspect, the mobile terminal user can distinguish between forced call connection and normal call connecti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강제 통화 연결 처리부는 발신자 식별정보로 강제 통화 연결 대상이 미리 설정된 폰 전화번호부를 조회하여 상기 발신자 식별정보가 강제 통화 연결 대상인지를 확인하고 그 결과 강제 통화 연결 대상인 경우 발신자 단말기를 호출하고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양상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폰 전화번호부에 강제 통화 연결 대상을 미리 설정하여 설정된 대상번호만을 강제 통화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ced call connection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he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he forced call connection target by checking the preset phone phonebook with the forced call connection target using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s a result, the forced call connection target. Calling a caller terminal and handling a call connection with the caller terminal. According to this aspect,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set the target of the forced call connection in the phone phone book in advance and make a forced call.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foregoing and fur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example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조작부(210), 표시부(220), 무선 통신부(230), 음성 입출력부(240),  저장부(25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조작부(210)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수단으로 구현되며, 숫자키와 기능키 등으로 이루어지는 키패드, 사이드 키, 터치패널, 필기체 입력부, 음성 인식부 등이 될 수 있다.  통상 액정표시장치인 표시부(220)는 단말기 내 동작 진행 상황과, 사용자의 메뉴 선택 화면, 통화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 한다.The
무선통신부(230)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 및 알에프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 통신부(230)는 다양한 버젼의 CDMA방식 뿐 아니 라 셀룰라, GSM, W-CDMA 방식 등 현존하는 방식은 물론, 향후에 등장할 이동통신 방식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통신부(230)의 기저대역 회로와, 제어부(270)의 대부분의 회로는 단일의 집적회로로 상용화되어 제공되고 있다.  음성 입출력부(240)는 무선통신부(230)로부터의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 또한, 음성 입출력부(240)는 마이크로부터 입려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 처리한다.  음성 입출력부(240)는 오디오 증폭회로나 필터와 같은 부가회로를 포함하는 공지의 구성이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30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ntenna and RF circuit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30 is interpreted to cover not only various versions of CDMA but also existing methods such as cellular, GSM, and W-CDMA, as well as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to be introduced in the future. In one embodiment, the baseband circui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30 and most of the circuits of the
저장부(250)는 실행 프로그램과 관련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것으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 메가 비트의 용량을 갖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과 수 십 메가 비트의 용량을 가지는 플래쉬 저장부(flash memory)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부(250)는 이름, 주소, 집전화번호, 폰 전화번호, 이메일 등을 포함하는 폰 전화번호부가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50 stores executable programs and related data. In one embodiment, the storage unit 250 includes a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having a capacity of several megabits and a flash storage having a capacity of several tens of megabits. memory) may be implemented in one chip. In one embodiment, the storage unit 250 may store a phone phone book including a name, address, home phone number, phone phone number, email, and the like.
제어부(270)는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으로, 내부에 통신을 처리하는 전용의 하드웨어와, 디지탈 신호처리기 및 범용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270)는 통상적으로 무선통신부(230)를 통해 기지국과의 통화연결을 제어 통화 제어부(271)를 포함할 수 있다.The
통화 제어부(271)는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채널을 통해 콜(Call) 메시지가 수신되면 액세스 채널을 통해 페이지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이후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채널을 통해 채널 할당 메시지가 수신되면 트래픽 채널을 셋 팅한 후 EVDO 등의 서비스 종류에 대한 기지국과의 일치과정을 진행한다.  이때 기지국은 트래픽 채널를 통해 단말기로 발신자 식별정보 및 벨소리 정보 등을 전송하고 응답을 기다린다.  한편, 통화 제어부(271)는 통화요청을 알리는 벨소리를 출력하다가 사용자 조작에 의한 착신응답신호 예컨대 조작부(210)로부터의 키 신호 또는 폴더 개방신호가 입력되면 통화 호 연결 요청신호를 기지국으로 출력하고 그 응답으로 기지국으로부터 통화 호 연결신호 입력 시 음성통화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통화 제어부(271)는 이벤트 검출부(2712)와 강제 통화 연결 처리부(2714)를 포함한다.The call controller 271 transmits a page response message to the base station through an access channel when a call message is received through the paging channel from the base station, and sets a traffic channel when a channel allocation message is received through the paging channel from the base station. After matching, the process of matching with the base station for the service type such as EVDO is performed. 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transmits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ing tone information through the traffic channel and waits for a response. On the other hand, the call controller 271 outputs a ring tone indicating a call request, and when an incoming response signal, for example, a key signal or a folder open signal from the
이벤트 검출부(27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화 제어부(271)에서 수행되는 기지국과의 통상적인 통화 연결 시도중에 통화연결실패 이벤트 발생을 검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벤트 검출부(2712)는 통화 제어부(271)가 사용자 조작에 의한 착신응답신호를 입력받기 전에 무선신호 수신율 감소에 의한 통화연결실패를 검출할 수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안테나를 통해 현재 단말기가 위치한 주변의 전계상황을 무선신호의 수신세기 또는 신호대 잡음비 검출을 통해 확인한다. 종종 주변 전계상황이 악화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지국과 통화 연결이 실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단말기는 표시부에 무선신호 수신불능을 표시해 줌으로써, 단말기 사용자가 통화 불능의 원인을 알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일실시예에 있어서, 통화연결실패 이벤트 입력소스는 주변 전계상황이 악화에 따른 주지 공지된 무선신호 수신불능신호, 예를 들면 Call drop(또는 Call lost) 메시지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vent detector 2712 detects occurrence of a call connection failure event during a normal call connection attempt with the base station performed by the call controller 271.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vent detector 2712 may detect a failure of a call connection due to a decrease in a wireless signal reception rate before the call controller 271 receives an incoming response signal by a user manipulation. As is well know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ecks the electric field situation around the current terminal through the antenna through the reception strength or signal-to-noise ratio of the radio signal. Often, when the electric field situation deteriorat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fail to make a call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In this case, the terminal displays the wireless signal reception impossibility on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terminal user can know the cause of the communication failure. In one embodiment, the call connection failure event input source may be a well-known wireless signal reception signal, for example, a call drop (or call lost) message, due to a deterioration of a surrounding electric field situation.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이벤트 검출부(2712)는 일정 시간동안 무응답 신호, 예를 들면, 키패드로부터의 키 조작 혹은 폴더 개폐감지부로부터의 폴더 개방신호 미입력에 의한 통화연결실패를 검출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기지국은 일정 시간동안 통화 연결 요청받은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없다면 통화 연결 요청한 단말기로 통화 연결 불능 메시지를 전송하고, 통화 연결 요청한 단말기로부터 통화 차단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단말기 간 트래픽 채널 할당을 해제한다. 이때 통화 연결 요청받은 단말기는 기지국에 의해 트래픽 채널 할당이 해제되면 벨소리를 멈춘다. 이에 일실시예에 있어서, 통화연결실패 이벤트 입력소스는 기지국에서의 통화 요청이 있은 후의 단말기 사용자의 무응답으로 인한 기지국으로부터의 트래픽 채널 할당 해제신호일 수 있다.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event detector 2712 may detect a failure in the call connection due to an unresponsive signal, for example, a key operation from a keypad or a folder open signal input from a folder open / close detection unit. Typically, the base station transmits a call disconnection message to a call requesting terminal if there is no response from the call requesting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releases a traffic channel assignment between terminals when a call blocking request signal is input from the call requesting terminal. At this time, the terminal receiving the call connection stops ringing when the traffic channel allocation is released by the base station. In one embodiment, the call connection failure event input source may be a traffic channel deassignment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due to the non-response of the terminal user after the call request from the base station.
강제 통화 연결 처리부(2714)는 통화연결실패 이벤트가 검출되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발신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발신자 단말기를 호출하고 발신자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처리한다. 일반적으로 약전계의 지역에서 기지국의 수신 능력이 이동통신 단말기보다 좋고 기지국에서의 통화 시도와 달리 단말기에서는 여러 번 송신 시도를 하여 통화연결 확률이 훨씬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call connection failure event is detected, the forced call connection processing unit 2714 calls the caller terminal using the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and processes the call connection with the caller terminal. In general, the reception capability of the base station is better than tha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region of the weak electric field, and unlike the call attempt at the base station, the terminal attempts to transmit several times, thereby increasing the probability of call connec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27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강제 통화 연결 대상을 폰 전화번호부에 설정하는 강제 통화 대상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같은 실시예에서,  강제 통화 연결 처리부(2714)는 발신자 식별정보로 강제 통화 연결 대상이 미리 설정된 폰 전화번호부를 조회하여 상기 발신자 식별정보가 강제 통화 연결 대상인지를 확인하고 그 결과 강제 통화 연결 대상인 경우 발신자 단말 기를 호출하고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처리하도록 구현된다.In one embodiment, the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적인 양상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강제 통화 연결 처리부(2714)부터 발신자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 신호가 입력되면 강제 통화 연결 시도에 의한 통화 연결임을 알리는 강제 통화 연결 알림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강제 통화 연결 알림부(260)는 적어도 벨소리 출력부(261)와 진동부(262)와 발광부(263)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characteristic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forced call connection notification unit 260 indicating that the call connection by the forced call connection attempt when a call connection signal from the forced call connection processing unit 2714 with the caller terminal is input. ) May be further included. In an embodiment, the forced call connection notification unit 26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ing tone output unit 261, a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강제 통화 연결 흐름도이다. 이하,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 연결 요청을 하는 단말기를 발신자 단말기로, 통화 연결 요청을 받은 단말기를 수신자 단말기로 가정한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orced call conne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sumes a terminal making a call connection request as a caller terminal and a terminal receiving a call connection request as a receiver terminal.
먼저 수신자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채널을 통해 콜(Call) 메시지가 수신되면 액세스 채널을 통해 페이지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이후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채널을 통해 채널 할당 메시지가 수신되면 트래픽 채널을 셋팅한 후 EVDO 등의 서비스 종류에 대한 기지국과의 일치과정을 진행하고, 트래픽 채널를 통해 발신자 식별정보 및 벨소리 정보 등이 입력되면 통화요청을 알리는 벨소리를 출력하면서 사용자 조작에 의한 착신응답신호를 기다리는 통상적인 통화 연결 시도 과정을 진행한다(S501).First, the receiver terminal transmits a page response message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access channel when a call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paging channel, and then sets a traffic channel if a channel alloca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paging channel. Normal call connection that waits for incoming call response by user operation while outputting ring tone notifying call request when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ingtone information are input through traffic channel. The attempt process is performed (S501).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수신자 단말기는 기지국과의 통상적인 통화 연결 시도중에 통화연결실패 이벤트 발생여부를 검출한다(S502).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화연결실패 이벤트 입력소스는 주변 전계상황이 악화에 따른 무선신호 수신불능신호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통화연결실패 이벤트 입력소스는 수신자 단말기로부터의 무응답에 의한 기지국으로부터의 트래픽 채널 할당 해제신호일 수 있다. 이후, 수신자 단말기는 통화연결실패 이벤트 발생이 검출되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발신자 식별정보 수신여부를 확인한다(S503). 이후, 수신자 단말기는 발신자 식별정보 수신된 경우 상기 발신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발신자 단말기를 호출하고 발신자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대기한다(S505).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er terminal detects whether a call failure event occurs during a normal call connection attempt with the base station (S502). In one embodiment, the call connection failure event input source may be a wireless signal reception signal due to deterioration of the surrounding electric field situa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call failure event input source may be a traffic channel deassignment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by no response from the receiver terminal. Thereafter, the receiver terminal checks whether the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is received when a call connection failure event is detected (S503). Then, when the receiver terminal receives the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receiver terminal calls the caller terminal using the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waits for a call connection with the caller terminal (S505).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적인 양상에 따르면, 발신자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호출하는 S505 단계는 발신자 식별정보가 강제 통화 연결 대상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강제 통화 연결 대상인 경우 상기 발신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발신자 단말기를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강제 통화 연결 대상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발신자 식별정보로 강제 통화 연결 대상이 미리 설정된 폰 전화번호부를 조회하여 상기 발신자 식별정보가 강제 통화 연결 대상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S505 of calling a call connection with the caller terminal is a step of confirming whether the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forcible call connection target, and if the caller target connection call using the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lling the caller terminal. 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confirming whether the forced call connection target is a step of confirming whether the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he forced call connection target by querying a preset phone phonebook of the forced call connection target with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is done.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수신자 단말기는 발신자 단말기와 통화가 연결되면(S506) 강제 통화 연결 시도에 의한 통화 연결임을 외부로 알릴 수 있다(S507).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자 단말기는 적어도 벨소리, 진동, 발광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강제 통화 연결임을 알릴 수 있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characteristic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all is connected with the caller terminal (S506), the receiver terminal may inform the outside that the call is connected by a forced call connection attempt (S507). In one embodiment, the receiver terminal may inform that the forced call connection using at least one of the ring tone, vibration, and light emiss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지국과의 통화 연결 시도중에 예를 들면, 전계가 악화되어 통화가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수신된 발신자 식별정보를 통해 강제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서, 이동통신 단말 기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고 우수한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약전계에서 긴급한 통화 연결 요청에 대한 높은 통화 성공률을 제공받을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uch that, during an attempt to make a call connection with a base station, even if the call is not successful due to a deteriorated electric field, a forced call connection can be attempted through the received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a result,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useful effect of providing a more convenient and excellent call connection service.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user has a useful effect that can be provided with a high call success rate for the urgent call connection request in the weak fiel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강제 통화 연결 시도에 의한 통화 연결임을 단말기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구현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강제 통화 연결과 통상적인 통화 연결을 구분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notify the terminal user that the call connection by the forced call connection attempt, the mobile terminal user has a useful effect that can distinguish between the forced call connection and the normal call conn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폰 전화번호부에 강제 통화 연결 대상을 미리 설정하여 설정된 대상번호만을 강제 통화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useful effect of forcibly calling only the set target number by presetting the forced call connection target in the phone phone book.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라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various obv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from this description. Therefore, i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described to include many such variations.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77487AKR100706379B1 (en) | 2005-08-23 | 2005-08-23 | How to Connect Forced Call with Mobile Devic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77487AKR100706379B1 (en) | 2005-08-23 | 2005-08-23 | How to Connect Forced Call with Mobile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70023184A KR20070023184A (en) | 2007-02-28 | 
| KR100706379B1true KR100706379B1 (en) | 2007-04-10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50077487AExpired - Fee RelatedKR100706379B1 (en) | 2005-08-23 | 2005-08-23 | How to Connect Forced Call with Mobile Device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706379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60021289A (en)* | 2003-03-27 | 2006-03-07 | 키오세라 와이어리스 코포레이션 | Mobile handset with location | 
| KR20060025484A (en)* | 2004-09-16 | 2006-03-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of switching incoming call respons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60021289A (en)* | 2003-03-27 | 2006-03-07 | 키오세라 와이어리스 코포레이션 | Mobile handset with location | 
| KR20060025484A (en)* | 2004-09-16 | 2006-03-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of switching incoming call respons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Title | 
|---|
| 1020060021289 | 
| 1020060025484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70023184A (en) | 2007-02-28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350455B1 (en) | Method for informing that is identifying received message by called user to caller | |
| US6345187B1 (en) | Receipt of type II caller identification in multi-cordless environment | |
| KR100713455B1 (en) | Method for receiving called call and rejecting it selectively in portable radio telephone | |
| US6223051B1 (en) | Redialing apparatus for portable telephone | |
| KR100706379B1 (en) | How to Connect Forced Call with Mobile Device | |
| US7761104B2 (en) | Method for transmitting a character message fro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20000044484A (en) | Method for displaying available calling status i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101276810B1 (en) | Method for processing of call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of | |
| CN102546951A (en) | Method for processing incoming call and terminal | |
| CA2540399C (en) | Call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 |
| KR100571239B1 (en) | How to confirm receipt of a favor | |
| AU770444B2 (en) | Telephone number stor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JP3698922B2 (en) |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utomatic response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utomatic response control method | |
| KR20040045163A (en) | Method for filtering short message from specified caller and mobile communication phone implementing the same | |
| WO2007055990A2 (en) | Real time caller information retrieval and display in dispatch calls | |
| KR100322272B1 (en) | Method for automatically seclecting calling line identification presentation in a mobile terminal | |
| JP3097137B2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JP2002171334A (en) | Telephone system | |
| KR100455772B1 (en) | Method of responding auto using the short message service in mobile phone | |
| KR20070001625A (en) | Method for search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voice call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JP2003289371A (en) | Portable wireless terminal device | |
| JP2003032743A (en)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 KR100650645B1 (en) | The restriction methode of the receipt of a SMS messag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100539873B1 (en) | How to search for unacknowledged short message | |
| JP3676164B2 (en) | Cordless telephone connection devic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20330 Year of fee payment: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30401 Year of fee payment: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7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404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4040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