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0697144B1 - Multicarrier radio transmission systems, transmitters and receivers - Google Patents

Multicarrier radio transmission systems, transmitters and receiv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144B1
KR100697144B1KR1020057014251AKR20057014251AKR100697144B1KR 100697144 B1KR100697144 B1KR 100697144B1KR 1020057014251 AKR1020057014251 AKR 1020057014251AKR 20057014251 AKR20057014251 AKR 20057014251AKR 100697144 B1KR100697144 B1KR 100697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carrier
signal
transmission
virtual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42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106411A (en
Inventor
신스께 하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filedCritical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14251ApriorityCriticalpatent/KR100697144B1/en
Publication of KR20050106411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050106411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144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0697144B1/en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Expired - Fee Related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주파수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멀티캐리어 무선 전송 시스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캐리어 전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송신 장치는, 버추얼 서브캐리어로 설정되는 적어도 1개의 서브캐리어가, 서브캐리어의 배치 정보에 따라 동적으로 설정된다(참조 부호 304, 604, 406). 본 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 장치는, 버추얼 서브캐리어에 관한 신호 성분이 억제되도록, 적응적으로 제어되는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단과, 적어도 일부의 버추얼 서브캐리어의 배치가 서로 다른 복수의 서브캐리어 배치 패턴 중, 어느 패턴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할지를 설정하는 수단을 갖는다. 버추얼 서브 캐리어의 배치 패턴을 무선 신호의 식별 정보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주파수 자원의 이용 효율을 종래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carrier radio transmission system, a transmission device, and a reception device, which can improve frequency utilization efficiency. In the transmission apparatus used for the multicarri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subcarrier set as a virtual subcarrier is dynamically set in accordance with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subcarriers (reference numerals 304, 604, and 406). The receiving apparatus used in the present system includes an adaptive array antenna means that is adaptively controlled such that signal components relating to virtual subcarriers are suppressed, and a plurality of subcarrier arrangement patterns in which at least some of the virtual subcarriers are arranged differently. It has a means for setting which pattern to communicate using. Since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virtual subcarriers can be used 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adio signal,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frequency resource can be improved more than before.

버추얼 서브캐리어, 서브캐리어, 서브캐리어 배치 패턴, 데이터 전송, 멀티캐리어 무선 신호Virtual Subcarrier, Subcarrier, Subcarrier Placement Pattern, Data Transmission, Multicarrier Radio Signal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멀티캐리어 무선 전송 시스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MULTI-CARRIER RADIO TRANSMISSION SYSTEM, TRANSMISSION DEVICE, AND RECEPTION DEVICE}Multicarrier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transmitter and receiver {MULTI-CARRIER RADIO TRANSMISSION SYSTEM, TRANSMISSION DEVICE, AND RECEPTION DEVICE}

본 발명은, 이동 통신을 행하기 위한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캐리어(multi-carrier) 무선 전송 시스템, 그와 같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 관련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technical field for performing mobile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carrier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a transmission apparatus and a reception apparatus used in such a system.

이러한 종류의 기술 분야에서는, 통신의 고속화나 고품질화의 요청 외에, 시스템에 수용하는 유저 수를 증가시키는 등의 요청도 배려할 필요가 있어, 주파수와 같은 통신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In this kind of technical fiel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the request for the high speed communication and the high quality of the communication, but also the request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users accommodated in the system, and it is important to efficiently use communication resources such as frequency.

최근 특히 주목받고 있는 멀티캐리어 전송 방식은, 복수의 반송파(서브캐리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예를 들면, 전송 속도의 고속화를 도모함과 함께, 주파수 선택성 페이징 내성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멀티캐리어 전송 방식은, 고저 다양한 주파수를 포함하는 복수의 반송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통신 환경에 따라서는, 도플러 시프트와 같은 주파수 오프셋 등에 기인하여, 신호 품질의 열화가 염려되는 경우가 있다.The multicarrier transmission system, which has been particularly noticed recently, transmits data using a plurality of carriers (subcarriers), for example, to increase the transmission speed and enhance the frequency selective paging tolerance. However, since the multicarrier transmission method uses a plurality of carriers that contain a high and low frequency, deterioration in signal quality may be caused by frequency offsets such as Doppler shift, depending on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한편, 멀티캐리어 전송 방식에 의해 적응 어레이 안테나(AAA : adaptive array antenna)를 이용하여, 신호 품질을 개선하는 시험도 행해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신 신호 중의 버추얼 서브캐리어에 관한 신호 성분의 크기가, 제로로 되도록 어레이의 웨이트를 적응 제어함으로써, 도플러 시프트의 영향을 받은 파를 억압하여, 통신 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이 기술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1 참조). 일반적으로, 적응 제어에는, 희망파로 메인 로브를 향하게 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빔 포밍(beam forming)과, 불요파로 널을 향하게 하여 억압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널 스트링(null steering)이 있고, 여기서는 후자가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 test for improving signal quality by using an adaptive array antenna (AAA) by a multicarrier transmission method is also performed. More specifically, by adaptively controlling the weight of the array so that the magnitude of the signal component of the virtual subcarrier in the received signal becomes zero, the wave affected by the Doppler shift is suppressed,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communication signal ( For this technique,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In general, adaptive control includes beam forming that controls to direct the main lobe to the desired wave, and null steering that controls to suppress the wave toward the null, where the latter is used. .

버추얼 서브캐리어(virtual sub-carrier)란, 시스템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다수의 서브캐리어 중,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서브캐리어(데이터 서브캐리어)를 제외한 서브캐리어, 즉 데이터를 전송할 목적에는 사용되지 않는 서브캐리어이다. 다수의 서브캐리어 중, 어느 서브캐리어가 버추얼 서브캐리어인지에 대해서는, 시스템에서 고정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의 상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선형 증폭 시의 대역밖 방사 전력을 낮게 하기 위해, 시스템에 할당되어 있는 주파수 대역의 양단에 속하는 몇개의 서브캐리어가, 버추얼 서브캐리어로 설정된다(이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2 참조). 또한, 도 1의 하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신호의 베이스 밴드 처리 시의 직류 드리프트를 저감시키기 위해, 주파수 대역의 중앙 부근의 서브캐리어도 버추얼 서브캐리어로 설정되는 경우가 있다(이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3 참조). 구체적인 수치예로서는, 예를 들면 64개의 서브캐리어 중, 52개의 서브캐리어가 데이터 서브캐리어로 설정되며, 12개의 서브캐리어가 버추얼 서브캐리어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고정적으로 설정된 버추얼 서브캐리어는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송신 시의 변조 시에, 버추얼 서브캐리어에 관한 신호 성분은 제로로 설정된다.A virtual subcarrier is a subcarrier, ie, a purpose of transmitting data, excluding a subcarrier (data subcarrier) used for transmitting data, among a plurality of subcarriers included in a frequency band allocated to a system. Is a subcarrier not used. Of the plurality of subcarriers, which subcarrier is a virtual subcarrier is fixedly set in the system. For example, as shown in the upper side of FIG. 1, in order to lower the out-of-band radiated power during nonlinear amplification, some subcarriers belonging to both ends of the frequency band allocated to the system are set as virtual subcarriers. (See, for example, Non Patent Literature 2). In addition, as shown in the lower side of FIG. 1, in order to reduce the direct current drift in the baseband processing of the received signal, a subcarrier near the center of the frequency band may also be set as a virtual subcarrier. See, for example, Non Patent Literature 3). As a specific numerical example, for example, out of 64 subcarriers, 52 subcarriers are set as data subcarriers, and 12 subcarriers are set as virtual subcarriers. Since the virtual subcarrier set in this manner is not used for data transmission, the signal component related to the virtual subcarrier is set to zero at the time of modulation at the time of transmission.

도 2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서의 변조부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OFDM 방식에서는, 신호의 변조는 고속 역푸리에 방식(IFFT)에 의해 행해진다. 이 때문에, 도면에서 좌측에 도시한 시계열의 송신 정보 데이터는, 직렬병렬 변환부(S/P)에 의해 병렬 신호로 변화되어, IFFT부에 입력된다. 이 병렬 신호에 포함되는 내용은 모두 데이터 서브캐리어에 대응된다. 또한, 버추얼 서브캐리어에 관한 신호 내용은, 고속 역푸리에 변환이 행해져, 변조된 병렬 신호가 출력되며, 이후 무선 송신에 필요한 처리를 거쳐 무선 송신이 행해진다.2 illustrates a conceptual diagram of a modulator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cheme. In the OFDM scheme, signal modulation is performed by a fast inverse Fourier scheme (IFFT). For this reason,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data of the time series shown on the left side in the figure is changed into a parallel signal by the serial-parallel conversion unit S / P, and is input to the IFFT unit. All contents included in this parallel signal correspond to the data subcarriers. The signal content of the virtual subcarrier is subjected to fast inverse Fourier transform, and a modulated parallel signal is output, and then wireless transmission is performed through a process necessary for wireless transmission.

그러나, 이들 종래 기술은, 무선 신호를 구별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들 기술을 이용해도, 동시에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예를 들면, 임의의 유저 A가 무선 통신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유저 B는 무선 통신을 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유저 A, B가 지리적으로 서로 다른 장소에 있었다고 해도, 한쪽의 통신(타임 슬롯)이 종료될 때까지, 다른쪽은 대기하고 있어야만 한다. 이러한 상황은, 주파수의 이용 효율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However, since these prior arts do not intend to distinguish radio signals, it is difficult to use frequency resources at the same time even if these techniques are used. For example, while any user A is in wireless communication, the other user B cannot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even if users A and B are located at different geographical locations, the other party must wait until the end of one communication (time slot). Such a situation is not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frequency utilization efficiency.

[비특허 문헌1] 羽根秀一, 中ノ森將也, 原嘉孝, 原晋介, 「OFDM 널 스트링 어레이 안테나」, 전자 정보 통신 학회, 무선 통신 시스템 연구회, 2002-124, 2002년 7월[Non-Patent Document 1] 羽 根 秀 一, 中 ノ 森 將 也, 原 嘉 孝, 原 晋 介, 「OFDM Null String Array Antenna」,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Research Society, 2002-124, July 2002

[비특허 문헌2] ARIB STD-B24, "Data Coding and Transmission Specification For Digital Broadcasting", ARIB, June 2000[Non-Patent Document 2] ARIB STD-B24, "Data Coding and Transmission Specification For Digital Broadcasting", ARIB, June 2000

[비특허 문헌3] ARIB STD-T70, "Lower Power Data Communication Systems Broadband Mobi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CSMA)", ARIB, Dec. 2000[Non-Patent Document 3] ARIB STD-T70, "Lower Power Data Communication Systems Broadband Mobi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CSMA)", ARIB, Dec. 2000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주파수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멀티캐리어 무선 전송 시스템, 및 그와 같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address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multicarrier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capable of improving frequency utilization efficiency, and a transmission device and a reception device used in such a system. It is.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신호를 구별하면서 적응 어레이 안테나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주파수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멀티캐리어 무선 전송 시스템, 및 그와 같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ulticarrier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capable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use of a frequency by performing control of an adaptive array antenna while discriminating a radio signal, and a transmission device and a reception device used in such a system. It aims to do it.

이들 목적은, 이하에 설명하는 수단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인 데이터 서브캐리어와,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지 않는 서브캐리어인 버추얼 서브캐리어에 기초하여 무선 전송을 행하는 멀티캐리어 전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시스템에 사용되는 송신 장치에서는, 버추얼 캐리어로 설정되는 적어도 1개의 서브캐리어가, 서브캐리어의 배치 정보에 따라 동적으로 설정된다. 본 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 장치는, 수신 신호에 포함되는 버추얼 서브캐리어에 관한 신호 성분이 제어되도록, 적응적으로 제어되는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단과, 적어도 일부의 버추얼 서브캐리어의 배치가 서로 다른 복수의 서브캐리어 배치 패턴 중, 어느 패턴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할지를 설정하는 수단을 갖는다.These objects are solved by the means described be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carrier transmission system for performing wireless transmission based on a data subcarrier which is a subcarrier used for data transmission and a virtual subcarrier which is a subcarrier not used for data transmission. In the transmission apparatus used for this system, at least one subcarrier set as a virtual carrier is dynamically set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subcarriers. The receiving apparatus used in the present system includes an adaptive array antenna means that is adaptively controlled so that a signal component relating to a virtual subcarrier included in a received signal is controlled, and a plurality of sub-different arrangements of at least some virtual subcarriers. It has a means which sets which pattern is performed using which of carrier arrangement patterns.

이에 의해, 서브캐리어의 배치 패턴에서의 버추얼 서브캐리어의 위치를, 통신을 행하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간에서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송신 장치 또는 수신 장치는, 버추얼 서브캐리어의 배치 패턴을 나타내는 배치 정보에 응답하여, 데이터 서브캐리어로 설정되어 있었던 임의의 서브캐리어를 다시 데이터 서브캐리어로 설정하고, 버추얼 서브캐리어로 설정되어 있었던 임의의 서브캐리어를 다시 버추얼 서브캐리어로 설정한다. 임의의 배치 패턴 S1을 이용하여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는, 버추얼 서브캐리어의 신호 성분을 억압하도록 안테나의 지향성 패턴을 적응 제어한다. 다른 배치 패턴 S2에 기초하는 무선 신호는, 억압되는 버추얼 서브캐리어에 의의가 있는 신호 성분을 갖기 때문에, 그 무선 신호에는 널이 향해진다. 따라서, 수신 장치는 동일한 배치 패턴 S1을 이용하는 신호를 양호하게 수신하는 한편, 별도의 배치 패턴 S2를 이용하는 신호를 억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버추얼 서브캐리어의 위치(또는 배치 패턴)를 무선 신호의 식별 정보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무선 신호를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주파수 자원의 이용 효율을 종래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reby, the position of the virtual subcarrier in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subcarrier can be changed dynamically between the transmitting device and the receiving device which perform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the arrangement information indicating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virtual subcarrier, the transmitting apparatus or the receiving apparatus sets any subcarrier set as the data subcarrier to the data subcarrier again, and any arbitrary subcarrier set as the virtual subcarrier. Set the subcarrier back to the virtual subcarrier. The receiving device which receives the radio signal transmitted using the arbitrary arrangement pattern S1 adaptively controls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antenna to suppress the signal component of the virtual subcarrier. Since a radio signal based on another arrangement pattern S2 has a signal component meaningful to the virtual subcarrier being suppressed, null is directed to the radio signal. Therefore, the receiving device can satisfactorily receive a signal using the same arrangement pattern S1 while suppressing a signal using a separate arrangement pattern S2 .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becomes possible to use the position (or arrangement pattern) of the virtual subcarrier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adio signal. Since it becomes possible to distinguish a radio signal,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frequency resources compared with the former.

도 1은 서브캐리어의 배치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an arrangement pattern of subcarriers.

도 2는 OFDM 방식에서의 변조부의 개념도.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odulator in the OFDM scheme.

도 3은 본원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주요한 기능에 관한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of the main functions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4는 본원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주요한 기능에 관한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of the main functions of the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적응 어레이 안테나부의 상세를 도시하는 블록도.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details of the adaptive array antenna unit shown in FIG. 4; FIG.

도 6은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원 실시예에 따른 별도의 송신 장치의 주요한 기능에 관한 블록도.7 is a block diagram of the main functions of a separate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을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 사용한 경우의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FIG. 8 is a diagram showing aspects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FIG.

도 9는 본 발명을 프라이빗 에리어 네트워크에 적용한 경우의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Fig. 9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rivate area network.

도 10은 서브캐리어의 배치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10 is a diagram showing an arrangement pattern of subcarriers.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원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원 실시예에 의한 통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서브캐리어 배치와 함께, 또는 그들과는 별개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에 도시되어 있는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용도에 따라 소프트웨어에 의해 혹은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양자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with or without the conventional subcarrier arrangement as shown in FIG. At least some of the elements shown in the functional block diagrams described below can be realized by software or by hardware or by a combination of the two depending on the purpose.

도 3은 본원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주요한 기능에 관한 블록도이다. 송신 장치(300)는 직렬병렬 변환부(S/P)(302)를 갖고, 이것은 일련의 송신 정보 데이터인 직렬 신호로부터 순서대로 N-1개의 데이터를 추출하며, 그들을 N-1개의 신 호 계열에 대응시켜, 병렬 신호로서 출력한다. 단, N은 2 이상의 정수이다. 일련의 송신 정보 데이터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부호기에 의해 부호화되어 있다. 다양한 부호화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컨볼루션 부호화, 블록 부호화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3 is a block diagram of the main functions of the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transmitter 300 has a serial-parallel conversion unit (S / P) 302, which extracts N-1 data in order from a serial signal which is a series of transmission information data, and converts them into N-1 signal sequences. In correspondence with this, the output is performed as a parallel signal. However, N is an integer of 2 or more. The series of transmission information data is encoded by an encoder not shown. Various codings can be used, for example, convolutional coding, block coding, or the like.

송신 장치(300)는 할당부(304)를 갖고, 이것은 N개의 신호 계열로 이루어지는 병렬 신호를 수신하며, 서브캐리어의 배치 정보에 기초하여 그들의 순서를 재배열한다. 할당부(304)에 입력되는 N개의 신호 계열 중, N-1개의 신호 계열은, 직렬병렬 변환부(302)로부터의 병렬 신호이며, 후에 데이터 서브캐리어에 관련지어진다. 할당부(304)에 입력되는 또 하나의 신호 계열은, 버추얼 서브캐리어에 관련지어지는 신호 계열이며, 이 신호 계열의 내용은, 예를 들면 제로의 값을 항상 나타내는 것(제로 데이터)이다.The transmittingdevice 300 has an allocatingunit 304, which receives parallel signals consisting of N signal sequences and rearranges their order based on the placement information of the subcarriers. Of the N signal sequences input to theallocator 304, the N-1 signal sequences are parallel signals from the serial andparallel converter 302, which are later associated with the data subcarriers. Another signal sequence input to the allocatingsection 304 is a signal sequence associated with the virtual subcarrier, and the content of the signal sequence always indicates zero values (zero data), for example.

송신 장치(300)는 무선부(306)를 갖고, 이것은 N개의 신호 계열로 이루어지는 병렬 신호를 수신하며, 그들을 각 서브캐리어에 대응시켜 변조하여, 직렬 신호로 변환하고, 파형 정형 및 주파수 변환 등의 처리를 실시하여, 멀티캐리어 무선 신호를 출력한다. 멀티캐리어 무선 신호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안테나부로부터 방사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송신 장치」로 언급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송신 기능뿐만 아니라 수신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후술하는 「수신 장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수신 기능뿐만 아니라 송신 기능도 구비되어 있다.The transmittingdevice 300 has aradio unit 306, which receives parallel signals consisting of N signal sequences, modulates them in correspondence with each subcarrier, converts them into serial signals, and performs waveform shaping and frequency conversion. The process is performed to output a multicarrier radio signal. The multicarrier radio signal is radiated from an antenna portion not shown. In addition, although it mentions as a "transmission apparatus"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equipped with not only a transmission function but a reception function. Similarly, not only a receiving function but also a transmitting function are provided also about the "receiving apparatus" mentioned later.

동작을 다음에 설명한다. 우선, 송신 장치(300)는, 통신을 개시할 때에, 예를 들면 셀룰러 시스템에서의 무선 기지국에 대하여, 통신 링크의 확립을 요구한 다. 이 요구는, 예를 들면 리퀘스트 투 센드(request to send)의 수순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이 요구 신호에 따라 적절한 무선 채널이 할당됨으로써, 무선 링크가 확립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수순을 행할 때에, N개의 서브캐리어 중, 어느 서브캐리어를 버추얼 서브캐리어로 할지(또는 어느 서브캐리어를 데이터 서브캐리어로 할지)가 결정된다. 예를 들면, 통신 링크의 확립을 요구하는 신호에 긍정적으로 응답할 때에, 무선 기지국이 (또는 상위의 관리국으로부터의 지시 하에 무선 기지국이) k번째의 서브캐리어를 버추얼 서브캐리어로 하는 것을 통지한다. 단, k는 1 이상 N 이하의 정수이다. 긍정적인 응답은, 예를 들면 클리어 투 센드(CTR : clear to send)의 수순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혹은 반대로, 송신 장치(300)가, k번째의 서브캐리어를 버추얼 서브캐리어로 하는 것을 의뢰 또는 명령해도 된다. 어쨌든, 무선 링크의 양단의 노드에서, 어느 서브캐리어를 버추얼 서브캐리어로 설정할지, 즉 어떠한 서브캐리어 배치 패턴을 사용할지가 결정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캐리어 배치 패턴에서의 적어도 1개의 버추얼 서브캐리어의 위치가, 동적으로 설정된다. 이러한 점은, 버추얼 서브캐리어의 위치가 고정적으로 취급되었던 종래의 방법과 크게 다르다.The operation is described next. First, at the start of communication, the transmittingdevice 300 requests the establishment of a communication link to a radio base station in a cellular system, for example. This request may be made by, for example, a procedure of request to send. According to this request signal, an appropriate radio channel is allocated, thereby establishing a radio link. In this embodiment, when performing this procedure, it is determined which subcarrier is the virtual subcarrier (or which subcarrier is the data subcarrier) of the N subcarriers. For example, when affirmatively responding to a signal requesting the establishment of a communication link, the radio base station (or the radio base station under an instruction from a higher management station) notifies the k-th subcarrier as a virtual subcarrier. However, k is an integer of 1 or more and N or less. The positive response can be made by, for example, a procedure of clear to send (CTR). Alternatively, the transmittingdevice 300 may request or instruct the k-th subcarrier to be a virtual subcarrier. In any case, it is only necessary to determine which subcarrier is set as the virtual subcarrier, that is, which subcarrier arrangement pattern is to be used at the nodes at both ends of the radio link.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virtual subcarrier in the subcarrier arrangement pattern is dynamically set. This is very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virtual subcarrier was fixedly handled.

통신 링크가 확립되면, 송신 정보 데이터를 멀티캐리어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부로부터 송신하기 위한 처리가 행해진다. 대체로, 실선의 화살표는, 수신측에 전송하는 송신 정보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고, 파선의 화살표는 제로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다. 우선, 직병렬 변환기(302)에 의해, 1 : (N-1)의 비율로 직렬 신호가 병렬 신호로 변환된다. 이들 N-1개의 신호 계열에, 제로 데이터를 갖는 신호 계열을 가한 N개의 신호 계열이, 할당부(304)에 입력된다. 할당부(304)는, 서브캐리어의 배치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N개의 신호 계열의 순서를 재배열하여, 무선부(306)에 제공한다. 무선부(306)에서는, 의의가 있는 데이터 내용을 갖는 N-1개의 신호 계열(k번째를 제외한 모든 변조 데이터)과, 1개의 신호 계열(k번째의 제로 데이터 계열)의 N개의 신호 계열을 변조한다. 이 변조는, OFDM에 방식이면 역푸리에 변환을 행하게 되지만, 본 발명은 OFDM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발진기를 설치하도록 하여, 다른 맵핑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느 방식을 채용하든, 서브캐리어마다 입력된 데이터를, 각 서브캐리어에 태울 수 있으면 된다. 이후, 파형 정형이나 주파수 변환 등의 기존의 방법을 이용하여, 멀티캐리어 무선 신호가 작성된다.When the communication link is established, processing for converting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data into a multicarrier radio signal for transmission from the antenna section is performed. In general, the solid arrow indicates the flow of transmission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side, and the broken line arrow indicates the flow of zero data. First, the serial-to-parallel converter 302 converts a serial signal into a parallel signal at a ratio of 1: N. The N signal sequences to which the signal sequence having zero data is added to these N-1 signal sequences are input to the allocatingunit 304. The allocatingunit 304 rearranges the order of the input N signal sequences based on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subcarriers and provides them to theradio unit 306. Theradio section 306 modulates N-1 signal sequences (all modulated data except the kth) having meaningful data contents and N signal sequences of one signal sequence (kth zero data series). do. This modulation is subjected to inverse Fourier transform if the OFDM method is us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FDM. For example, an oscillator may be provided, and other mapping may be performed. In either case, the data input for each subcarrier can be burned onto each subcarrier. Subsequently, a multicarrier radio signal is created using existing methods such as waveform shaping and frequency conversion.

도 4는 본원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주요한 기능에 관한 블록도이다. 수신 장치(400)는, 적응 어레이 안테나부(402)를 갖는다. 적응 안테나부(402)는, 멀티캐리어 무선 신호의 불요한 신호 성분을 억제하면서 그것을 수신하여, 후단의 복조부(404)에 제공한다. 복조부(404)는, 멀티캐리어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N개의 신호 계열로 이루어지는 병렬 신호(복조 데이터1∼N)를 도출한다. 이 병렬 신호를 복조함으로써 서브캐리어마다의 N개의 신호 계열이 얻어진다. OFDM 방식이 채용되어 있으면, 이 복조는 고속 푸리에 변환에 의해 행해진다.4 is a block diagram of the main functions of the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receiver 400 has an adaptivearray antenna unit 402. Theadaptive antenna unit 402 receives the suppressed undesired signal component of the multicarrier radio signal and provides it to thedemodulation unit 404 at a later stage. Thedemodulator 404 receives a multicarrier radio signal and derives parallel signals (demodulation data 1 to N) consisting of N signal sequences. By demodulating this parallel signal, N signal sequences for each subcarrier are obtained. If the OFDM method is employed, this demodulation is performed by fast Fourier transform.

수신 장치(400)는 할당부(406)를 갖고, 이것은 N개의 신호 계열로 이루어지는 병렬 신호를 수신하며, 서브캐리어의 배치 정보에 기초하여 그들의 순서를 재배열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N개의 신호 계열(복조 데이터 계열) 중으로부터, 버추 얼 서브캐리어에 대응하는 신호 계열(k번째의 신호 계열)을 배제하고, N-1개의 신호 계열로 이루어지는 병렬 신호를 출력한다. 서브캐리어의 배치 정보는, 예를 들면, 송신 장치(300) 및 수신 장치(400) 사이의 통신 링크의 확립 시에 결정된다.The receivingdevice 400 has anallocation unit 406, which receives parallel signals consisting of N signal sequences and rearranges their order based on the placement information of the subcarriers. More precisely, from among the N signal sequences (demodulated data series), a signal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subcarrier (k-th signal sequence) is excluded and a parallel signal composed of N-1 signal sequences is output.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subcarriers is determined at the time of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link between thetransmitter 300 and thereceiver 400, for example.

수신 장치(400)는 병렬직렬 변환부(P/S)(408)를 갖고, 이것은 병렬적으로 수신한 N-1개의 신호 계열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를 순서대로, 하나의 신호 계열로 변환함으로써, 수신 정보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 계열을 작성한다.Thereception apparatus 400 has a parallel-serial conversion unit (P / S) 408, which receives received information by converting data obtained from N-1 signal sequences received in parallel into one signal sequence in order. Create a signal sequence representing the data.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적응 어레이 안테나부(402)의 상세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적응 어레이 안테나부(402)는, 복수의 (M개의) 안테나 소자(502)와, 안테나 소자(502)마다 설치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A/D)(504)를 갖는다. 적응 어레이 안테나부(402)는, 이들 안테나 소자(502)를 통해 얻어지는 신호에 가중치(웨이트)를 부가하기 위한 가중치 조정부(506)를 갖는다. 적응 어레이 안테나 소자(502)는 합성부(508)를 갖고, 이것은 안테나 소자(502)로부터의 신호를 적절하게 합성하여, 후단의 복조부(404)에 제공한다. 또한, 적응 어레이 안테나 소자(502)는 웨이트 제어부(510)를 갖고, 이것은 각 아테나 소자(502)에 의해 수신된 신호 Xi(n)에 기초하여, 가중치 조정부(506)에 제공하는 제어 신호 wj(n)을 산출한다. 단, i는 1 이상 M 이하의 정수이며, j는 2 이상 M 이하의 정수이고, n은 샘플 번호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details of the adaptivearray antenna unit 402 shown in FIG. As shown, the adaptivearray antenna section 402 includes a plurality of (M)antenna elements 502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s (A / D) 504 provided for eachantenna element 502. The adaptivearray antenna unit 402 has aweight adjusting unit 506 for adding weights (weights) to signals obtained through theseantenna elements 502. The adaptivearray antenna element 502 has acombiner 508, which suitably synthesizes the signal from theantenna element 502 and provides it to thedemodulator 404 at a later stage. In addition, the adaptivearray antenna element 502 has aweight control unit 510, which is a control signal w provided to theweight adjusting unit 506 based on the signals Xi (n) received by each of theathena elements 502.Calculate j (n). However, i is an integer of 1 or more and M or less, j is an integer of 2 or more and M or less, n is a parameter which shows a sample number.

각 안테나 소자(502)에서 수신된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프론트 엔드에 의해 적절한 파형 정형 및 주파수 변환 등의 처리에 일임되며, 각자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504)를 통해, M개의 디지털 신호 Xi(n)이 얻어진다. 가중치 조정부(506)에서는, 이들의 디지털 신호 Xi(n)에 적절한 가중치가 부여되며, 합성부(508)에서 그들이 합성된다. 한편, 웨이트 제어부(510)는, 서브캐리어의 배치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버추얼 서브캐리어에 관한 신호 성분이 작아지도록(제로로 되도록) 제어 신호 wj(n)을 산출하고, 이 제어 신호 wj(n)에 응답하여, 가중치 조정부(506)에서 수신 신호에 가해지는 웨이트가 설정된다. 따라서, 합성부(50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버추얼 서브캐리어에 관한 신호 성분이 억제된 신호이다. 또한, w1(n)에 대응하는 가중치 조정부(506)가 도시되어 있지 않은 것은, 웨이트의 최적화를 행할 때에, 자명한 해가 출현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이지만, 보다 일반적으로 w1(n)에 대응하는 가중치 조정부(506)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ignal received at eachantenna element 502 is responsible for proper waveform shaping and frequency conversion, etc., by a front end (not shown), and through each of the analog anddigital converters 504, M digital signals Xi. (n) is obtained. In theweight adjusting unit 506, appropriate weights are given to these digital signals Xi (n), and they are synthesized in the combiningunit 508. On the other hand, theweight control unit 510 calculates the control signal wj (n) so that the signal component related to the virtual subcarrier specified by the subcarrier arrangement information becomes small (zero), and the control signal wj ( In response to n), the weight applied to the received signal by theweight adjusting unit 506 is set. Therefore,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mbiningsection 508 is a signal whose signal component relating to the virtual subcarrier is suppressed. Theweight adjustment unit 506 corresponding to w1 (n) is not shown in order to avoid the occurrence of self-explanatory solutions when optimizing the weight, but more generally in w1 (n).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correspondingweight adjusting unit 506.

상술한 바와 같이, 버추얼 서브캐리어는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지 않는 서브캐리어이기 때문에, 수신 신호 중의 그 성분은 제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주파수 오프셋 등의 간섭원에 기인하여, 수신 신호의 버추얼 서브캐리어에 관한 신호 성분이 제로로 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것이 간섭 성분으로 되어, 신호 품질을 열화시키게 된다. 버추얼 서브캐리어에 관한 신호 성분을 제로로 하도록 웨이트 wj(n)을 조정하면서 안테나의 지향성 패턴을 갱신해 감으로써, 수신 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virtual subcarrier is a subcarrier not used for data transmission, the component of the received signal is preferably zero. However, if a signal component with respect to the virtual subcarrier of the received signal does not become zero due to an interference source such as a frequency offset, it becomes an interference component and degrades signal quality. By updating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antenna while adjusting the weight wj (n) to zero the signal component relating to the virtual subcarri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도 3에 도시한 송신 장치(300) 및 도 4에 도시한 수신 장치(400)를 이용하 면, 서브캐리어의 배치 정보를 사용하여,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간에서, 버추얼 서브캐리어의 위치를 임의로 동적으로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캐리어의 배치 패턴에서의 (적어도 일부의) 버추얼 서브캐리어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다.When using thetransmitter 300 shown in FIG. 3 and thereceiver 400 shown in FIG. 4, the position of a virtual subcarrier can be arbitrarily changed between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using the subcarrier arrangement information. It becomes possible to change to. In other words, 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 of (at least part of) the virtual subcarriers in the subcarrier arrangement pattern is not fixed.

도 6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k번째의 서브캐리어를 버추얼 서브캐리어로 설정하고, m번째를 포함하는 다른 서브캐리어를 데이터 서브캐리어로 설정하여 통신을 행하는 무선 단말기 A와, m번째의 서브캐리어를 버추얼 서브캐리어로 설정하고, k번째를 포함하는 다른 서브캐리어를 데이터 서브캐리어로 설정하여 통신을 행하는 무선 단말기 B가 있는 것으로 한다. 무선 기지국측에서, k번째의 서브캐리어를 버추얼 서브캐리어로 설정하고, 버추얼 서브캐리어의 신호 성분이 작아지도록 안테나 패턴 PA를 변화시키면서 도래파를 수신하면, 무선 단말기 A로부터의 도래파를 양호하게 수신하는 한편, 무선 장치 B로부터의 도래파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k번째의 서브캐리어의 신호 성분을 억압하도록 안테나의 지향성 패턴 PA를 조정함으로써, k번째의 서브캐리어를 데이터 서브캐리어로서 사용하는 송신 장치 B로부터의 도래파로 널을 향하게 하여 억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면에서 실선의 화살표는 무선 단말기 A로부터의 도래파를 나타내고, 파선의 화살표는 무선 단말기 B로부터의 도래파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무선 기지국에서 m번째의 서브캐리어를 버추얼 서브캐리어로 설정하고, 버추얼 서브캐리어의 신호 성분이 작아지도록 안테나 패턴 PB를 변화시키면서 도래파를 수신하면, 무선 단말기 B로부터의 도래파를 양호하게 수신하는 한편, 무선 장치 A로부터의 도래파를 억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버추얼 서브캐리어의 배치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무선 단말기 A, B로부터의 도래파를 구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서브캐리어의 배치 패턴이, 도래파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로 된다.6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for example, the wireless terminal A which sets the kth subcarrier as a virtual subcarrier and sets another subcarrier including the mth as a data subcarrier to communicate with the mth th, It is assumed that there is a wireless terminal B that performs communication by setting the subcarrier to virtual subcarrier and the other subcarrier including the k-th as the data subcarrier. On the radio base station side, when the k-th subcarrier is set as the virtual subcarrier and the incoming wave is received while changing the antenna pattern PA so that the signal component of the virtual subcarrier becomes small, the arrival wave from the radio terminal A is satisfactorily achieved. While receiving,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wave coming from the wireless device B. This is because by adjusting the directional pattern PA of the antenna so as to suppress the signal component of the k-th subcarrier,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wave from the transmitting device B using the k-th subcarrier as the data subcarrier. . In the figure, the solid arrows indicate the wave coming from the wireless terminal A, and the dashed arrows indicate the wave coming from the wireless terminal B. FIG. Similarly, when the radio base station sets the mth subcarrier to the virtual subcarrier and receives the arrival wave while changing the antenna pattern PB so that the signal component of the virtual subcarrier becomes smaller, the arrival wave from the wireless terminal B is satisfactorily achieved. While receiving,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wave coming from the wireless device A. This means that the arrival waves from the wireless terminals A and B can be distinguished by different arrangement of the virtual subcarriers. In other words,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subcarriers becom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the arrival wave.

도 7은 본원 실시예에 따른 별도의 송신 장치의 주요한 기능에 관한 블록도이다. 대체로, 실선의 화살표는, 수신측에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정보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고, 파선의 화살표는 제로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다. 송신 장치(600)는 직렬병렬 변환기(S/P)(602)를 갖고, 이것은 일련의 송신 정보 데이터인 직렬 신호를 병렬 신호로 하여 출력한다. 일련의 송신 정보 데이터는, 도시하지 않은 부호기에 의해 부호화되어 있다. 다양한 부호화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컨볼루션 부호화, 블록 부호화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7 is a block diagram of the main functions of a separate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general, the solid arrow indicates the flow of transmission information data for transmission to the receiving side, and the broken arrow indicates the flow of zero data. Thetransmitter 600 has a serial-parallel converter (S / P) 602, which outputs a serial signal which is a series of transmission information data as a parallel signal. The series of transmission information data is encoded by an encoder (not shown). Various codings can be used, for example, convolutional coding, block coding, or the like.

송신 장치(600)는 할당부(604)를 갖고, 이것은 N개의 신호 계열로 이루어지는 병렬 신호를 수신하며, 서브캐리어의 배치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신호 계열의 내용을, 버추얼 서브캐리어에 대응하는 신호 내용으로 설정한다. 설정 후의 신호 계열이 갖는 신호 내용은, 예를 들면 제로의 값을 항상 나타내는 것(제로 데이터)이다. 그 이외의 신호 계열에 대해서는, 그 상태 그대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서브캐리어의 배치 정보는, N개의 서브캐리어 중, 어느 서브캐리어를 버추얼 서브캐리어로 할지(또는 어느 서브캐리어를 데이터 서브캐리어로 할지)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것은 통신 링크를 확립할 때에 결정된다.The transmittingdevice 600 has an allocatingunit 604, which receives a parallel signal consisting of N signal sequences, the contents of the signal sequence specified by the subcarrier arrangement information, and the signal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subcarriers. Set to. The signal content of the signal sequence after setting is always the zero value (zero data), for example. The signal sequence other than that is output as it is. In this way, the subcarrier arrangement information indicates which subcarrier is the virtual subcarrier (or which subcarrier is the data subcarrier) among the N subcarriers, and this is determined when establishing the communication link.

송신 장치(600)는 무선부(606)를 갖고, 이것은 N개의 신호 계열로 이루어지는 병렬 신호를 수신하며, 그것을 각 서브캐리어에 대응시켜 변조하여, 직렬 신호로 변환하고, 파형 정형 및 주파수 변환 등의 처리를 실시하여, 멀티캐리어 무선 신호를 출력한다. 변조는, OFDM 방식이면 역푸리에 변환을 행하게 되지만, 본 발명은 OFDM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맵핑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멀티캐리어 무선 신호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안테나부로부터 방사된다.Thetransmitter 600 has aradio unit 606, which receives a parallel signal consisting of N signal sequences, modulates it in correspondence with each subcarrier, converts it into a serial signal, and performs waveform shaping and frequency conversion. The process is performed to output a multicarrier radio signal. Modulation is performed by inverse Fourier transform if the OFDM method is us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FDM, and other mapping can be performed. The multicarrier radio signal is radiated from an antenna portion not shown.

본 실시예에서는, 직렬병렬 변환부(602)가 출력하는 신호 계열 수 N과, 무선부(606)가 수신하는 신호 계열 수 N이 동일하다. 따라서, 수신 장치측도, 복조된 N개의 신호 계열에 맞춰, N개의 신호 계열을 직렬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수신 정보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도 4의 할당부(406)와 같은 신호 계열 수를 조정하는 요소는 불필요하다. 복조부로부터의 병렬 신호는 그 상태 그대로 직병렬 변환부에 제공된다. 단, k번째의 서브캐리어(버추얼 서브캐리어)에 관한 신호 성분이 작아지도록, 적응 어레이 안테나부에 의한 지향성의 제어가 행해지는 점은, 도 4의 수신 장치(400)와 마찬가지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N of signal sequences output from the serial-parallel converter 602 and the number N of signal sequences received by theradio section 606 are the same. Therefore, the reception apparatus side can also obtain the reception information data by converting the N signal sequences into serial signals in accordance with the demodulated N signal sequences. An element for adjusting the number of signal sequences such as theallocator 406 in FIG. 4 is unnecessary. The parallel signal from the demodulator is provided as it is to the serial to parallel converter. However, the control of the directivity by the adaptive array antenna unit is the same as that of the receivingapparatus 400 of FIG. 4 so that the signal component of the kth subcarrier (virtual subcarrier) is reduced.

본 실시예에서는, S/P(602)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정보 데이터를 나타내는 N개의 신호 계열 중, 하나의 신호 계열(k번째)이 제로로 억제된 후에 무선부(606)에 입력되어, 송신 정보 데이터의 일부가 소실된다. 그러나, 직병렬 변환부(602)에 입력되는 송신 정보 데이터가 적절하게 부호화되어 있으면, N개의 데이터의 일부가 결락되었다고 해도, 수신측에서 적절하게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무릇 부호화는, 통신 환경이 악화되어 송신 환경 데이터의 일부가 소실되었다고 해도, 그것을 복호함으로써 송신 데이터를 적절하게 복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N개의 신호 계열 중, k번째의 신호 계열의 내용을 제로로 하는 것은, 수신측에서 보면, 그 정도로 통신 환경이 나쁘다는 것과 등가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one signal sequence (kth) of the N signal sequences representing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data output from the S /P 602 is suppressed to zero and then input to theradio section 606 to transmit information. Part of the data is lost. However, if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data input to the serial-to-parallel conversion unit 602 is properly encoded, even if a part of the N pieces of data is missing, the reception side can appropriately restore the data. In any encoding, even if a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deteriorated and a part of transmission environment data is lost,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restore the transmission data by decoding it. Of the N signal sequences, setting the content of the k-th signal sequence to zero is equivalent to a bad communication environment from the receiving sid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송신 데이터의 일부를 희생함으로써, 송신 신호를 식별 가능하게 함과 함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종래와 동일한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송신 데이터를 의도적으로 희생하지 않지만, 데이터 전송 속도는 종래의 (N-1)/N배로 되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송신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것에 맞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신 장치를 필요로 한다. 이에 대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송신 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종래의 요소에 대한 수정은 적어진다. 송신 장치(600)에 관해서는, 서브캐리어의 배치 정보에 의해 지정된 신호 계열을 제로로 설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족하다. 수신 장치에 관해서는, 적응 어레이 안테나부가, 서브캐리어의 배치 정보에 의해 지정된 서브캐리어의 신호 성분을 억압하도록 제어 가능하게 함으로써 족하다. 따라서, 데이터의 신뢰성 등의 관점에서는 도 3에 도시한 실시예가 바람직하고, 데이터의 전송 속도나 기존 시스템에 대한 수정량 등의 관점에서는, 도 7에 도시한 실시예가 바람직하다. 이것은, 설정되는 버추얼 서브캐리어 수가 증가할수록 현저해지는 경향에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at the expense of a part of the transmission data, the transmission signal can be identified and the data transmission speed can be maintained at the same level as befor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the transmission data is not intentionally sacrificed, but the data transfer rate is conventional (N-1) / N times. In addition, when using the transmitter shown in FIG. 3, the receiver shown in FIG. 4 is required accordingly. On the other hand, when using the transmission apparatus shown in FIG. 7, the correction with respect to a conventional element becomes few. Regarding thetransmission device 600, it is sufficient by enabling the signal sequence designated by the subcarrier arrangement information to be set to zero. Regarding the receiving apparatus, the adaptive array antenna unit can be controlled to suppress the signal component of the subcarrier specified by the subcarrier arrangement information. Therefore,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data reliability and the like, and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the data transmission rate, the amount of correction to the existing system, and the like. This tends to become remarkable as the number of virtual subcarriers set increases.

도 8은 본 발명을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상승 회선에 사용한 경우의 양태를 도시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셀 A∼G 중에서, 인접하는 셀끼리의 사이에서는 서로 다른 서브캐리어의 배치 패턴을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셀 A에 서는 m번째, 셀 F, B, D에서는 n번째, 셀 G, C, E에서는 k번째의 서브캐리어가 버추얼 서브캐리어로 설정되고, 그 이외에는 데이터 서브캐리어로 설정되어 있다. 각 셀 중에서는 동일한 서브캐리어의 배치 패턴을 이용하여 통신이 행해진다. 따라서, 1개의 셀 내에서는 시분할 형식으로 무선 기지국과 무선 단말기가 통신을 행한다. 셀 A의 무선 기지국(도시 생략)은, m번째의 서브캐리어에 관한 신호 성분을 억압하도록 적응 어레이 안테나부를 제어함으로써, 자셀로부터의 도래파를 양호하게 수신하는 한편, 인접하는 셀로부터의 도래파(간섭파)를 억압하도록, 지향성 패턴 PA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셀(또는 섹터)마다, 서브캐리어의 배치 패턴을 상위하게 함으로써, 자타의 셀(또는 섹터)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8 shows an aspect in the cas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n uplink of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In this system, cells A to G are set to use different subcarrier arrangement patterns between adjacent cells. Specifically, the mth cell in cell A, the nth cell in cells F, B, and D, and the kth subcarrier in cells G, C, and E are set as virtual subcarriers, and the data subcarriers are otherwise set. . In each cell, communication is performed using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same subcarrier. Therefore, the wireless base station and the wireless terminal communicate in time division format in one cell. The radio base station (not shown) of the cell A controls the adaptive array antenna unit so as to suppress the signal component relating to the mth subcarrier, thereby receiving well the incoming wave from its cell and arriving wave from an adjacent cell. The directional pattern PA can be adjusted to suppress the interference wave). In this manner, it is possible to identify other cells (or sectors) by making the subcarrier arrangement pattern different for each cell (or sector) of the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도 9는 본 발명을 사설망 또는 프라이빗 에리어 네트워크(PAN : Private Area Network)에 적용한 경우의 양태를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그룹 A, B가 존재하고, 그룹 내의 통신 단말기는, 적응 어레이 안테나를 갖는 송수신기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그룹 A, B는, 서로 다른 서브캐리어의 배치 패턴을 사용한다. 그룹 A에서는 m번째의 서브캐리어를, 그룹 B에서는 k번째의 서브캐리어를 버추얼 서브캐리어로 설정하고, 다른 서브캐리어는 데이터 서브캐리어로 설정된다. 동일 그룹 내에서는 동일한 배치 패턴에 기초하여 통신을 행한다. 이와 같이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통신 단말기는 자신이 소속하는 그룹 이외의 그룹으로부터의 도래파를 억제하면서 통신을 행할 수 있다.FIG. 9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rivate network or a private area network (PAN). As shown, two adjacent groups A and B exist,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s in the group have a function as a transceiver having an adaptive array antenna. Groups A and B use arrangement patterns of different subcarriers. In group A, the mth subcarrier is set, in group B, the kth subcarrier is set as a virtual subcarrier, and the other subcarriers are set as data subcarriers. In the same group, communic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same arrangement pattern. By configuring the system in this way,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communicate while suppressing the arrival waves from groups other than the group to which the communication terminal belongs.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 그룹 내에서는 동일 배치 패턴을 이용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그룹 A에 속하는 통신 단말기(902)가 통신하고 있는 동안에, 통신 단말기(904)는 통신을 할 수 없다. 동일 그룹 내의 통신의 경합 또는 충돌을 회피하는 데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단말기(904)가 통신을 개시하기 전에, k번째의 서브캐리어에 관련되는 신호 성분을 조사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 신호 성분이 의의가 있는 크기이면, 그룹 내의 누군가가(예를 들면 통신 단말기(902)) 이미 통신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통신 단말기(904)는 신호를 송신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대로, 그 신호 성분이 제로이면, 그 그룹 내에서 아무도 통신을 행하고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룹 B로부터의 도래파에 대해서는, k번째의 서브캐리어는 버추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룹 B에서의 도래파가 있었다고 해도 검출되는 신호 성분의 크기는 제로이다. 따라서, k번째의 서브캐리어에 관한 신호 성분의 유무는, 그룹 A 내에서 통신하고 있는 통신 단말기의 존부로 직결된다. 또한, k+1번째의 서브캐리어의 신호 성분의 유무를 조사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신호 성분이 검출된 경우에, 그것이 그룹 A 내의 것인지 그룹 B로부터의 것인지를 구별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그룹 B에서는, 통신을 개시하기 전에 m번째의 서브캐리어의 신호 성분을 조사함으로써, 동일 그룹 내의 통신의 경합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서브캐리어 배치 패턴을 이용하는 복수의 그룹 중 어느 하나에 소속하는 통신 단말기는, 자신이 속하는 그룹 이외에서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배치 패턴에서, 버추얼 서브캐리어로 설정되어 있는 서브캐리어의 신호 성분의 크기를 조사함으로써, 신호 송신의 가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ame arrangement pattern is used within the same group, for example, while thecommunication terminal 902 belonging to the group A is communicating, thecommunication terminal 904 cannot communicate. There are various ways to avoid contention or collision of communications within the same group. For example, it is advantageous to examine the signal component associated with the kth subcarrier before thecommunication terminal 904 starts communication. If the signal component is of a significant magnitude, it can be seen that thecommunication terminal 904 should not transmit a signal because someone in the group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terminal 902) is already communicating. Conversely, if the signal component is zero, it can be seen that nobody in the group is communicating. Since the kth subcarrier is set to virtual for the arrival wave from the group B, the magnitude of the signal component detected even if there is an arrival wave in the group B is zero. Therefor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ignal component relating to the kth subcarri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ng in the group A. In addition, it is not appropriate to check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ignal component of the k + 1th subcarrier. This is because, when a signal component is detected, it cannot be distinguished whether it is in group A or from group B. Similarly, in group B, it is possible to avoid contention for communication in the same group by checking the signal component of the mth subcarrier before starting the communication. In this way, a communication terminal belonging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groups using different subcarrier arrangement patterns may have a signal component of a subcarrier set as a virtual subcarrier in a subcarrier arrangement pattern used outside the group to which it belongs. By investigating the size of,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signal transmission is possible.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1개의 버추얼 서브캐리어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통신 단말기, 셀(또는 섹터), 그룹 등을 구별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버추얼 서브캐리어의 다양한 배치 패턴을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구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terminal, cell (or sector), group, and the like are distinguish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one virtual subcarri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form, and makes it possible to distinguish radio signals by using various arrangement patterns of virtual subcarriers.

도 10은 프라이빗 에리어 네트워크에서의 3개의 그룹을 구별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서브캐리어의 배치 패턴을 도시한다. 간단하게 하기 위해, 6개의 서브캐리어만 도시하고 있지만, 더 많은 서브캐리어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한 바와 같이, 그룹 A에서는 서브캐리어 f3, f5가, 그룹 B에서는 서브캐리어 f1, f3이, 그룹 C에서는 서브캐리어 f1, f5가, 버추얼 서브캐리어로 설정되고, 다른 서브캐리어는 데이터 서브캐리어로 설정되어 있다. 그룹 A 내에서 통신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는, 도래파에 포함되는 서브캐리어 f3, f5의 신호 성분이 억압되도록 지향성 패턴이 조정되기 때문에, 다른 그룹 B, C로부터의 도래파를 효과적으로 억압할 수 있다. 그룹 A 내에서 통신을 개시하고자 할 때에는, 서브캐리어 f1의 신호 성분의 유무를 조사한다. 서브캐리어 f1은 그룹 B, C에서는 버추얼 서브캐리어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룹 B, C로부터의 기여는 실질적으로 제로이다. 따라서, 서브캐리어 f1의 신호 성분의 유무는, 그룹 A에서의 통화 중인 통신 단말기의 유무로 직결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그룹 B에서는 서브캐리어 f5의 신호 성분의 유무를 조사함으로써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그룹 C에서는 서브캐리어 f3의 신호 성분의 유무를 조사함으로써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동일 그룹 내에서의 충돌을 회피하고, 또한 다른 그룹으로부터의 도래파를 억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10 shows a placement pattern of subcarriers that can be used to distinguish three groups in a private area network. For simplicity, only six subcarriers are shown, but it is possible to place more subcarriers. As shown, subcarriers f3 and f5 are set in group A, subcarriers f1 and f3 are set in group B, and subcarriers f1 and f5 are set as virtual subcarriers in group C. The carrier is set to a data subcarrier. While performing communication in the group A, since the directional pattern is adjusted so that the signal components of the subcarriers f3 and f5 included in the arriving wave are suppressed, the arrival wave from the other groups B and C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 When communication is to be started in group A,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ignal component of subcarrier f1 is checked. Since subcarriers f1 are set to virtual subcarriers in groups B and C, the contributions from groups B and C are substantially zero. Therefor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ignal component of the subcarrier f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 call in group A. Similarly, in group B, collision can be avoided by exa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ignal component of subcarrier f5 . In group C, collision can be avoided by exa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ignal component of subcarrier f3 .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avoid collisions in the same group and suppress incoming waves from other groups.

보다 일반적으로는, N개의 그룹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N-1개의 서브캐리어를 버추얼 서브캐리어로 설정하고, N개의 서로 다른 배치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또한, 동일 그룹 내에서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임의의 1개의 배치 패턴에서 데이터 서브캐리어로 설정되어 있는 적어도 1개의 서브캐리어(예를 들면, 그룹 A에서는 f1, 그룹 B에서는 f5, 그룹 C에서는 f3)가, 다른 N-1개 모두의 배치 패턴에서 버추얼 서브캐리어로 설정되어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 서브캐리어의 신호 성분의 유무를 통신 개시 전에 조사함으로써, 동일 그룹 내에서 이미 통신이 이루어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서브캐리어의 배치 패턴은, 프라이빗 에리어 네트워크의 그룹의 식별에 한하지 않고, 임의의 도래파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More generally, in order to distinguish N groups, it is necessary to set at least N-1 subcarriers as virtual subcarriers and form N different arrangement patterns. In order to avoid collisions in the same group, at least one subcarrier (for example, f1 in group A and f in group B) set as a data subcarrier in any one arrangement pattern5 , in group C, f3 ) needs to be set as a virtual subcarrier in all other N-1 arrangement patterns. By check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ignal component of the subcarrier before the start of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communication has already been made in the same group. The arrangement pattern of such subcarriers is not limited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group of the private area network, but can be used to identify any coming wave.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 various deformation | transformation and a change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Claims (17)

Translated fromKorean
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인 데이터 서브캐리어와,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지 않는 서브캐리어인 버추얼 서브캐리어에 기초하여 무선 전송을 행하는 멀 티캐리어 전송 시스템에서의 수신 장치로서,A receiving apparatus in a multicarrier transmission system that performs wireless transmission based on a data subcarrier, which is a subcarrier used for data transmission, and a virtual subcarrier, which is a subcarrier not used for data transmission.수신 신호에 포함되는 버추얼 서브캐리어에 관한 신호 성분이 억제되도록, 적응적으로 제어되는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단과,Adaptive array antenna means adapted to be controlled so that signal components relating to virtual subcarriers included in the received signal are suppressed;적어도 일부의 버추얼 서브캐리어의 배치가 서로 다른 복수의 서브캐리어 배치 패턴 중, 어느 패턴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할지를 설정하는 수단Means for setting which of the plurality of subcarrier arrangement patterns, in which at least some of the virtual subcarriers are arranged, is used for communication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Receiving device having a.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 배치 패턴에 소속하는 임의의 서브캐리어 배치 패턴에서 데이터 서브캐리어로 설정되어 있는 서브캐리어의 적어도 1개가, 그들에 소속하는 다른 서브캐리어 배치 패턴에서는 버추얼 서브캐리어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At least one subcarrier set as a data subcarrier in any subcarrier arrangement pattern belonging to the plurality of subcarrier arrangement patterns is set as a virtual subcarrier in another subcarrier arrangement pattern belonging to them. Receiver device.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인 데이터 서브캐리어와,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지 않는 서브캐리어인 버추얼 서브캐리어에 기초하여 무선 전송을 행하는 멀티캐리어 전송 시스템으로서,A multicarrier transmission system for performing wireless transmission based on a data subcarrier, which is a subcarrier used for data transmission, and a virtual subcarrier, which is a subcarrier not used for data transmission,버추얼 서브캐리어로 설정되는 적어도 1개의 서브캐리어가, 서브캐리어의 배치 정보에 따라 동적으로 설정되는 송신 장치와,A transmission device in which at least one subcarrier set to a virtual subcarrier is dynamically set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subcarrier,수신 장치를 갖고,Has a receiving device,상기 수신 장치가,The receiving device,수신 신호에 포함되는 버추얼 서브캐리어에 관한 신호 성분이 억제되도록, 적응적으로 제어되는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단과,Adaptive array antenna means adapted to be controlled so that signal components relating to virtual subcarriers included in the received signal are suppressed;적어도 일부의 버추얼 서브캐리어의 배치가 서로 다른 복수의 서브캐리어 배치 패턴 중, 어느 패턴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할지를 설정하는 수단Means for setting which of the plurality of subcarrier arrangement patterns, in which at least some of the virtual subcarriers are arranged, is used for communication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캐리어 전송 시스템.Multicarrier transmis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인 데이터 서브캐리어와,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지 않는 서브캐리어인 버추얼 서브캐리어에 기초하여 무선 전송을 행하는 멀티캐리어 전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송신 장치로서,A transmission apparatus for use in a multicarrier transmission system that performs wireless transmission based on a data subcarrier that is a subcarrier used for data transmission and a virtual subcarrier that is a subcarrier not used for data transmission.직렬 신호를, 소정 수의 신호 계열을 포함하는 병렬 신호로 변환하는 직렬병렬 변환 수단과,Serial and parallel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a serial signal into a parallel signal includ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signal sequences;상기 소정 수보다 많은 신호 계열을, 서브캐리어마다 병렬적으로 수신 및 변조하여, 무선 송신 신호를 제조하는 무선 수단과,Radio means for receiving and modulating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signal sequences for each subcarrier in parallel to produce a radio transmission signal;서브캐리어의 배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수보다 많은 신호 계열의 적어도 1개에, 버추얼 서브캐리어에 대응하는 신호 계열을 할당하는 수단Means for allocating signal sequences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subcarriers to at least one of the signal sequence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number based on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subcarriers.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Transmitter having a.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상기 직렬 신호가, 송신 데이터의 부호화된 신호 계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And said serial signal is a coded signal sequence of transmission data.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적어도 일부의 서브캐리어의 배치가 서로 다른 복수의 서브캐리어 배치 패턴에 기초하여, 송신 신호가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A transmission device characterized by distinguishing transmission signals based on a plurality of subcarrier arrangement patterns in which at least some subcarriers are arranged differently.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 배치 패턴에 소속하는 임의의 서브캐리어 배치 패턴에서 데이터 서브캐리어로 설정되어 있는 서브캐리어의 적어도 1개가, 그들에 소속하는 다른 서브캐리어 배치 패턴에서는 버추얼 서브캐리어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At least one subcarrier set as a data subcarrier in any subcarrier arrangement pattern belonging to the plurality of subcarrier arrangement patterns is set as a virtual subcarrier in another subcarrier arrangement pattern belonging to them. Transmission device.복수의 서브캐리어에 기초하여 무선 전송을 행하는 멀티캐리어 전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 장치로서,A receiving apparatus used in a multicarrier transmission system that performs wireless transmission based on a plurality of subcarriers,적응 어레이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무선 신호를 복조하고, 각각이 서브캐리어에 대응하는 복수의 신호 계열을 갖는 병렬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수단과,Radio means for demodulating radio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daptive array antenna and outputting parallel signals each having a plurality of signal sequences corresponding to subcarriers;병렬 신호를 직렬 신호로 변환하는 병렬직렬 변환 수단과,Parallel to serial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a parallel signal into a serial signal,상기 무선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병렬 신호 중, 서브캐리어의 배치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신호 계열 이외의 신호 계열을, 상기 병렬직렬 변환 수단에 입력되는 병렬 신호에 할당하는 할당 수단Allocation means for allocating a signal sequence other than the signal sequence specified by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subcarrier among the parallel signals output from the radio means to the parallel signal input to the parallel serial conversion means.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Receiving device having a.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적어도 일부의 서브캐리어의 배치가 서로 다른 복수의 서브캐리어 배치 패턴에 기초하여, 도래파가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An incoming wave is distinguished based on a plurality of subcarrier arrangement patterns in which at least some subcarriers are arranged differently.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 배치 패턴에 소속하는 임의의 서브캐리어 배치 패턴에서 데이터 서브캐리어로 설정되어 있는 서브캐리어의 적어도 1개가, 그들에 소속하는 다른 서브캐리어 배치 패턴에서는 버추얼 서브캐리어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At least one subcarrier set as a data subcarrier in any subcarrier arrangement pattern belonging to the plurality of subcarrier arrangement patterns is set as a virtual subcarrier in another subcarrier arrangement pattern belonging to them. Receiver device.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인 데이터 서브캐리어와,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지 않는 서브캐리어인 버추얼 서브캐리어에 기초하여 무선 전송을 행하는 멀티캐리어 전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송신 장치로서,A transmission apparatus for use in a multicarrier transmission system that performs wireless transmission based on a data subcarrier that is a subcarrier used for data transmission and a virtual subcarrier that is a subcarrier not used for data transmission.직렬 신호를, 소정 수의 신호 계열을 포함하는 병렬 신호로 변환하는 직렬병렬 변환 수단과,Serial and parallel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a serial signal into a parallel signal includ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signal sequences;복수의 신호 계열을, 서브캐리어마다 병렬적으로 수신 및 변조하여, 무선 송신 신호를 제조하는 무선 수단과,Radio means for receiving and modulating a plurality of signal sequences in parallel for each subcarrier to produce a radio transmission signal;상기 소정 수의 신호 계열 중, 서브캐리어의 배치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적어도 1개의 신호 계열의 내용을, 버추얼 서브캐리어에 대응하는 신호 내용으로 설 정하는 수단Means for setting the contents of at least one signal sequence designated by subcarrier arrangement information among the predetermined number of signal sequences as signal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subcarriers.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Transmitter having a.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상기 직렬 신호가, 송신 데이터의 부호화된 신호 계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And said serial signal is a coded signal sequence of transmission data.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적어도 일부의 서브캐리어의 배치가 서로 다른 복수의 서브캐리어 배치 패턴에 기초하여, 송신 신호가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A transmis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transmission signal is distinguished based on a plurality of subcarrier arrangement patterns in which at least some subcarriers are arranged differently.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 배치 패턴에 소속하는 임의의 서브캐리어 배치 패턴에서 데이터 서브캐리어로 설정되어 있는 서브캐리어의 적어도 1개가, 그들에 소속하는 다른 서브캐리어 배치 패턴에서는 버추얼 서브캐리어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At least one subcarrier set as a data subcarrier in any subcarrier arrangement pattern belonging to the plurality of subcarrier arrangement patterns is set as a virtual subcarrier in another subcarrier arrangement pattern belonging to them. Transmission device.
KR1020057014251A2005-08-032003-06-30 Multicarrier radio transmission systems, transmitters and receiversExpired - Fee RelatedKR1006971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57014251AKR100697144B1 (en)2005-08-032003-06-30 Multicarrier radio transmission systems, transmitters and receiv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57014251AKR100697144B1 (en)2005-08-032003-06-30 Multicarrier radio transmission systems, transmitters and receiv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050106411A KR20050106411A (en)2005-11-09
KR100697144B1true KR100697144B1 (en)2007-03-20

Family

ID=37283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57014251AExpired - Fee RelatedKR100697144B1 (en)2005-08-032003-06-30 Multicarrier radio transmission systems, transmitters and receivers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069714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2001148678A (en)*1999-11-192001-05-29Yrp Mobile Telecommunications Key Tech Res Lab Co LtdMulti-carrier communication equipment
JP2001339361A (en)*2000-05-292001-12-07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ulti-carrier communication device and multi-carrier communication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2001148678A (en)*1999-11-192001-05-29Yrp Mobile Telecommunications Key Tech Res Lab Co LtdMulti-carrier communication equipment
JP2001339361A (en)*2000-05-292001-12-07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ulti-carrier communication device and multi-carrier communication method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EEE 2001년 논문 "A novel OFDM adaptive antenna a*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3-148678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050106411A (en)2005-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10084585B2 (en)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O2024046138A1 (en)Wireless baseband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implementing integrated sensing and communication
CN103178884B (en)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MIMO) transmitter, equipment, system and the method communicated in the wireless network
KR102105051B1 (en)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883942B1 (en) Multiplexing of Real-time and Non-Real-Time Services of OPDM System
RU2518085C2 (en)Method for channelis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versions) and central station use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367044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143643B2 (en) Multi-carrier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WO2010032791A1 (en)Base station apparatuses, terminal apparatuse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ose apparatuses, and programs base stations of that system are caused to execute
KR20100133497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uplink structure and minimizing pilot signal overhead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306141B2 (en)Method and a device for determining shifting parameters to be used by at least a first and a second telecommunication devices
US9543992B2 (en)Simulcasting MIMO communication system
CN101499988A (en)Wideband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method, system and equipment
JP2001111518A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TW202412498A (en)Antenna switching in frequency bands with power spectral density (psd) limits
KR100697144B1 (en) Multicarrier radio transmission systems, transmitters and receivers
JP2004254335A (en) Wireless base station, wireless terminal
KR101359840B1 (en)Apprar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 in communication system using ofdm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5-nap-PA0105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T11-X000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U-3-3-T10-T11-oth-X000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R17-X000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7-oth-X000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30227

Year of fee payment:7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7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40220

Year of fee payment:8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8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50224

Year of fee payment:9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9

LAPS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603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60314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