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하여 음악파일을 처리하는 동작의 흐름도.2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of processing a music file through an exter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b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라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하여 음악파일을 처리하는 동작의 흐름도.3A-B are flowcharts of an operation of processing a music file through an exter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외부 입력 장치의 움직임을 표시한 예시도.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tion of an exter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라 외부 입력 장치의 움직임을 표시한 예시도.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ovement of an exter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악파일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입력 장치(터치 휠)를 이용하여 음악파일을 처리하는 중 오작동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cessing a music fil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preventing a malfunction during processing of a music file using an external input device (touch wheel).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휴대폰, 셀룰라 폰, 개인 정보 단말(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각종 무선 통신장치)는 사용자가 전화선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하기 위해 등장하였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급격한 발전을 거듭하여 근래에는 단순한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 및 인터넷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서비스의 발전과 더불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도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많은 기능들이 내장되도록 구성되고 있다.In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cellular 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etc.) have emerged for use regardless of telephone lines. Su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undergone rapid development, and in recent years, various services such as data services and Internet services, as well as simple voice calls, can be provid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se services, many functions are buil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receive such services.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닐 수 있어야 한다는 과제를 가진다. 즉, 너무 큰 부피를 가지거나 또는 너무 무거워질 경우 휴대하고 다니기 불편함이 따르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노력 및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한 개발은 계속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여러 가지 수단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수단의 다른 한 예로써 외부 입력 장치(예를 들어 스크롤디스크 타입 터치패드, 터치 휠)가 있다. 상기 스크롤디스크 타입 터치패드(터치 휠)는 손가락이 직접 접촉하는 층, 수평ㅇ수직 전극봉이 격자 모양을 형성한 층, 연결된 회로판 층 등 몇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손가락이 접촉한 처음 위치, 접촉한 마지막 위치 및 손가락의 움직임을 계속 파악하여 기록한다. 따라서 접촉된 처음 위치 및 마지막 위치를 감지하고 이에 대음되는 명령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하여 사용자는 키패드를 통한 입력 없이 해당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problem that the user should be able to carry around. That is, since it is inconvenient to carry when it has too large volume or is too heavy, efforts to reduce the size and weigh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underway. 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various means. Another example of such a means is an external input device (for example, a scroll disk type touch pad or a touch wheel). The scroll disc type touch pad (touch wheel) is composed of several layers such as a layer in which a finger contacts directly, a layer in which a horizontal and vertical electrode forms a grid shape, and a connected circuit board layer. Keep track of your location and finger movements and record them.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function by detecting the first position and the last position of contact and outputting the command signal corresponding to it. Through this operation, the user can execute the corresponding function without input through the keypad.
그러나 종래의 스크롤디스크 타입 터치패드(터치 휠)와 같은 외부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작동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크롤디스크 타입 터치패드(터치 휠)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음악파일을 재생시킨 상태에서 주머니에 넣고 이동할 때, 주머니 또는 사용자의 무의식적인 손동작으로 인하여 상기 스크롤디스크 타입 터치패드(터치 휠)를 접촉하여 사용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상기 재생되는 음악파일을 정지시키거나, 앞으로 빠르게 재생 또는 뒤로 빠르게 재생과 같은 기능들이 실행된다. 현재는 홀드 키(hold key)와 같은 잠금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으나, 이러한 홀드 키(hold key)를 이용한 잠금 기능설정은 사용자가 상기 홀드 키의 위치를 반드시 알아야하고 여러 동작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무의식으로 인하여 설정되지 않고 사용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However, a conventional external input device such as a scroll disk type touch pad (touch wheel) has a problem of operating irrespective of a user's intention. For example, when a user mov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croll disk type touch pad (touch wheel) into a pocket while playing a music file, the scroll disk type touch pad ( Touch the touch wheel) to stop the music file being played, or to fast forward or fast backward. Currently, the above-mentioned problem is solved by separately providing a locking device such as a hold key. However, the setting of the lock function using the hold key requires the user to know the position of the hold key and to perform various operations. There is discomfort to be done. In addition, due to the carelessness or unconsciousness of the user, it is often used without being se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음악파일을 처리하는 중 오작동을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method of preventing a malfunction during processing of a music file using an external input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입력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악파일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악파일 재생 중 상기 외부입력 장치로부터 소정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신호의 방향정보를 분 석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신호가 임계범위 이상 이동되어 출력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신호가 임계범위 이상 이동되어 출력되면 상기 방향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cessing a music fil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external input device, wherein a predetermined signal is inputted from the external input device during playback of the music file. Analyzing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signal is moved beyond the threshold range and outputting; and executing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information when the input signal is moved beyond the threshold range and output. It features.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입력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악파일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악파일 재생 중 상기 외부입력 장치로부터 소정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신호의 방향정보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신호가 임계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신호가 임계시간 이상 지속되면 상기 방향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cessing a music fil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external input device, wherein a predetermined signal is input from the external input device during playback of the music file. Analyzing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signal;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signal lasts longer than the threshold time; and execut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information when the input signal lasts longer than the threshold time.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RF부(21)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RF부(2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1 is an overall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모뎀(MODEM)(23)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The
오디오 처리부(25)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25)는 상기 모뎀(23)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23)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거나 또는 제어부(10)에 포함될 수 있다.The
키패드(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 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The
메모리(29)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외부입력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데이터 메모리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복수개의 음악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다.The
외부입력 장치(스크롤디스크 타입 터치패드)(30)는 직접 접촉하는 층, 수평ㅇ수직 전극봉이 격자 모양을 형성한 층, 연결된 회로판 층 등 몇 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처음 접촉한 위치, 마지막 접촉한 위치 및 접촉되는 움직임을 계속 파악할 수 있게 기록된다. 전극봉이 있는 층은 일정한 교류에 의해 충전되며, 인체의 일부 또는 물체가 전극봉 격자에 접근하면 전류가 차단되고 차단 사실이 회로판에 의해 감지되는 원리로 동작된다.The external input device (scroll-disk type touch pad) 30 is composed of several layers such as a layer in direct contact, a layer in which a horizontal and vertical electrode is formed in a lattice shape, and a connected circuit board layer. The location of the first contact, the location of the last contact, and the movement in contact are recorded so that they can be identified. The electrode layer is charged by a constant alternating current and operates on the principle that when a part or object of the human body approaches the electrode grid, the current is cut off and the cutoff is sensed by the circuit board.
제어부(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모뎀(23) 및 코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음악파일 재생 중 상기 외부입력 장치(30)로부터 소정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신호의 방향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입력신호가 임계범위 이상 이동되어 출력되는지 판단하며 상기 입력신호가 임계범위 이상 이동되어 출력되면 상기 방향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시킨다. 또한 상기 음악파일 재생 중 상기 외부입력 장치(30)로부터 소정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신호의 방향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입력신호가 임계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판단하며 상기 입력신호가 임계시간 이상 지속되면 상기 방향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The
카메라(5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문서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신호처리부(60)는 상기 카메라(5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이미지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처리부(6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The
영상처리부(70)는 상기 신호처리부(6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처리부(7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표시부(80)의 규격에 맞춰 하는 전송하며, 또한 상기 영상데이터를 압축 및 신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표시부(80)에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의 시작주소 값을 전송하거나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상기 시작 주소 값을 변경 설정하여 전송한다.The
표시부(80)는 상기 영상처리부(70)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8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80)는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27)와 LCD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 표시부(80)는 영상데이터가 출력되는 영상데이터 표시부를 포함한다.The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시 사용자가 키패드(27)를 통해 다이얼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고 모뎀(23)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얼정보를 처리한 후 RF부(21)를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RF부(21) 및 모뎀(23)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시 상기 제어부(10)는 모뎀(23)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고, 역시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는 모뎀(23)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데이터를 표시부(80) 상에 표시한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eference to FIG. 1, when the user performs the dialing operation through the
또한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외부입력 장치를 통하여 음악파일을 처리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음악파일 재생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음악파일을 재생하고 상기 음악파일 재생 중 사용자가 접촉을 통하여 외부입력 장치(터치 휠)가 소정 신호를 발생시키면, 제어부(10)는 상기 발생된 신호의 방향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신호가 임계범위 이상 이동되어 출력되는지 판단하여 상기 신호가 임계범위 이상 이동되어 출력되면, 상기 방향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한다.In addition, referring to an operation of processing a music file through an exter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when a user inputs a music file play key using the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외부입력 장치를 통하여 음악파일을 처리하는 동작의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외부입력 장치의 움직임을 표시한 예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processing a music file through an exter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exter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와 도 4를 참조하여 음악파일 재생 중 외부입력 장치(터치 휠)를 통하여 발생된 신호가 임계범위 이상 입력되면 상기 입력신호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대기상태인 201단계에서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음악파일 재생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05단계에서 메모리(29)와 오디오처리부(25)를 재어하여 음악파일을 재생한다. 여기서 음악파일 재생키 입력시, 저장된 음악파일 목록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된 음악파일 목록 중 소정 음악파일을 선택하면 선택된 음악파일이 재생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4, when a signal generated through an external input device (touch wheel) is input over a threshold range while playing a music file, an operation of executing a function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will be described. When the user inputs the music file play key using the
이후 사용자의 접촉에 의하여 외부 입력 장치(터치 휠)(30)로부터 입력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0)는 2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 력신호의 방향정보를 분석하여 입력방향을 판별한다. 즉, 도 4의(B)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외부 입력 장치(터치 휠)(30)에 접촉하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제어부(10)는 상기 입력신호의 방향정보를 오른 방향으로 인식하고 도 4의(C)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외부 입력 장치(터치 휠)(30)에 접촉하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면 제어부(10)는 상기 입력신호의 방향정보를 왼 방향으로 인식한다.Then, when an input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external input device (touch wheel) 30 by the user's contact, the
그리고 제어부(10)는 211단계에서 상기 외부 입력 장치(터치 휠)(30)의 접촉을 통해 발생된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입계범위 이상 이동하여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입력 장치(터치 휠)(30)에 접촉이 발생하면 상기 외부 입력 장치(터치 휠)(30)는 처음 접촉이 가해진 지점의 좌표값과 접촉이 끝난 지점의 좌표값에 따른 위치데이터를 발생함으로 상기 입력신호가 이동한 범위를 알 수 있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입계범위 미만으로 이동하여 입력되면 제어부(10)는 상기 발생된 입력신호를 오류신호로 간주하여 상기 205단계로 진행하고, 반면에 상기 판단결과, 상기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입계범위 이상으로 입력되면 제어부(10)는 213단계로 진행하고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상기 방향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즉, 상기 입력신호가 도 4의(A)와 같이 처음 접촉이 가해진 위치(400)부터 임계범위(예를 들어 시작 위치로부터 180ㅀ의 위치)(401) 미만으로 이동하여 입력되면 상기 발생된 입력신호를 오류신호로 간주한다. 그러나 도 4의(B)와 같이 상기 입력신호의 방향정보가 오른 방향이고 상기 입력신호가 처음 접촉이 가해진 위치(400)부터 임계범위(401) 이상으로 이동하여 입력되면 상기 방향정보에 대응하여 앞으로 빠르게 재생(FF)기능을 실행하고 도 4의(C)와 같이 상기 입력신호가의 방향정보가 왼 방향이고 상기 입력신호가 처음 접촉이 가해진 위치(400)부터 임계범위(401) 이상으로 이동하여 입력되면 상기 방향정보에 대응하여 뒤로 빠르게 재생(RW)기능을 실행한다.In
이후 사용자가 키패드(29)를 이용하여 종료키를 입력하면 2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7단계에서 오디오처리부(25)를 제어하여 상기 음악파일 재생을 종료시킨다.Thereafter, when the user inputs an end key by using the
도 3a-b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라 외부입력 장치를 통하여 음악파일을 처리하는 동작의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라 외부입력 장치의 움직임을 표시한 예시도이다.3A and 3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processing a music file through an exter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an exter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3a-b와 도 5를 참조하여 음악파일 재생 중 외부입력 장치(터치 휠)를 통하여 발생된 신호가 임계시간 이상 입력되면 상기 입력신호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대기상태인 301단계에서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음악파일 재생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3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5단계에서 메모리(29)와 오디오처리부(25)를 재어하여 음악파일을 재생한다. 여기서 음악파일 재생키 입력시, 저장된 음악파일 목록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된 음악파일 목록 중 소정 음악파일을 선택하면 선택된 음악파일이 재생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A-B and 5, when a signal generated through an external input device (touch wheel) is input for more than a threshold time while playing a music file, an operation of executing a function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will be described. When the user inputs a music file play key using the
이후 사용자의 접촉에 의하여 외부 입력 장치(터치 휠)(30)로부터 입력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0)는 3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신호에 방향정보가 있는지 분석하여 입력방향을 판별한다. 즉, 도 5의(A)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외부 입력 장치(터치 휠)(30)에 접촉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면 제어부(10)는 방향성이 없는 즉, 무 방향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도 5의(B)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외부 입력 장치(터치 휠)(30)에 접촉하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제어부(10)는 상기 입력신호의 방향정보를 오른 방향으로 인식하고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면 제어부(10)는 상기 입력신호의 방향정보를 왼 방향으로 인식한다.Then, if an input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external input device (touch wheel) 30 by the user's contact, the
첫 번째, 상기 판별 결과 상기 입력신호에 방향정보가 없는 무 방향이면 제어부(10)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외부 입력 장치(터치 휠)(30)의 접촉을 통해 발생된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입계시간 이상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입계시간 미만으로 입력되면 제어부(10)는 상기 발생된 입력신호를 오류신호로 간주하고 상기 305단계로 진행하고, 반면에 상기 판단결과, 상기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입계시간 이상으로 입력되면 제어부(10)는 3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무 방향에 대응하는 기능인 음악파일 재생 종료기능을 실행한다. 즉, 도 5의(A)와 같이 처음 접촉이 가해진 위치(500)에 고정된 상태로 임계시간(예를 들어 2초) 이상으로 입력되면 상기 무 방향에 대응하는 종료(stop)기능을 실행하여 상기 음악파일 재생을 정지시킨다.First,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ndicates that the input signal has no direction information, the
두 번째, 상기 판별 결과 상기 입력신호에 방향정보 존재하면 제어부(10)는 3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방향정보를 판별한다. 즉, 도 5의(B)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외부 입력 장치(터치 휠)(30)에 접촉하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입력신호의 방향정보를 오른 방향으로 인식하고 도 4의(C)와 같이 사용자가 손 가락을 외부 입력 장치(터치 휠)(30)에 접촉하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입력신호의 방향정보를 왼 방향으로 인식한다.Second, if direction information exists in the input signal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상기 판별결과, 왼 방향으로 인식되면 제어부(10)는 3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외부 입력 장치(터치 휠)(30)의 접촉을 통해 발생된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입계시간 이상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입계시간 미만으로 입력되면 제어부(10)는 상기 발생된 입력신호를 오류신호로 간주하고 상기 305단계로 진행하고, 반면에 상기 판단결과, 상기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입계시간 이상으로 입력되면 제어부(10)는 왼 방향에 대응하는 기능인 이전 음악파일을 선택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상기 선택된 이전 음악파일을 재생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it is recognized in the left direction, the
그러나 상기 판별결과, 오른 방향으로 인식되면 제어부(10)는 32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외부 입력 장치(터치 휠)(30)의 접촉을 통해 발생된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입계시간 이상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입계시간 미만으로 입력되면 제어부(10)는 상기 발생된 입력신호를 오류신호로 간주하고 상기 305단계로 진행하고, 반면에 상기 판단결과, 상기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입계시간 이상으로 입력되면 제어부(10)는 오른 방향에 대응하는 기능인 다음 음악파일을 선택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상기 선택된 다음 음악파일을 재생한다.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the right direction that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즉, 상기 입력신호가 도 5의(B)와 같이 처음 접촉이 가해진 위치(500)부터 마지막 접촉이 가해진 위치(501)로 이동하여 입력되면 왼 방향으로 인식하고 상기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입계시간 미만으로 입력되면 상기 발생된 입력신호를 오류신호로 간주하고, 반면에 상기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입계시간 이상으로 입력되면 왼 방향에 대응하는 기능인 이전 음악파일을 선택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처음 접촉이 가해진 위치(502)부터 마지막 접촉이 가해진 위치(503)로 이동하여 입력되면 오른 방향으로 인식하고 상기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입계시간 미만으로 입력되면 상기 발생된 입력신호를 오류신호로 간주하고, 반면에 상기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입계시간 이상으로 입력되면 오른 방향에 대응하는 기능인 다음 음악파일을 선택하는 기능을 실행한다.That is, when the input signal is inputted by moving from the position 500 at which the first contact was applied to the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상기 임계범위 및 임계시간은 설정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In particular, the threshold range and the threshold time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etting.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but also by those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악파일 재생 중 외부 입력 장치(터치 휠)를 이용함에 있어서, 설정된 임계범위 및/또는 임계시간을 만족할 경우 해당기능을 실행하게 함으로써, 홀드 키(hold key)와 같은 별도의 잠금장치 없이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무의식으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s an external input device (touch wheel) while playing a music file, when a set threshold range and / or threshold time is satisfied, a corresponding function is executed to hold a hold key.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preventing the malfunction due to carelessness or unconsciousness of the user without a separate locking device such as).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50465AKR100630161B1 (en) | 2005-06-13 | 2005-06-13 | Music file process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50465AKR100630161B1 (en) | 2005-06-13 | 2005-06-13 | Music file process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630161B1true KR100630161B1 (en) | 2006-10-02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50050465AExpired - Fee RelatedKR100630161B1 (en) | 2005-06-13 | 2005-06-13 | Music file process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630161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67686B1 (en) | 2006-03-30 | 2007-10-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erminal with touch wheel and command input method therefor |
| WO2009157654A3 (en)* | 2008-06-27 | 2010-03-18 |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slide touch, and recording medium where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is recorded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67686B1 (en) | 2006-03-30 | 2007-10-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erminal with touch wheel and command input method therefor |
| WO2009157654A3 (en)* | 2008-06-27 | 2010-03-18 |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slide touch, and recording medium where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is recorded |
| US8547352B2 (en) | 2008-06-27 | 2013-10-01 | Chemtronics Co., Ltd | Method, apparatus for sensing moved touch and computer readable record-medium on which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8189429B2 (en) | Microphone proximity detection | |
| CN101681227B (en)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ouch input with scrolling function | |
| US20100285844A1 (en) | Cellular phone and display orientation control program of cellular phone | |
| US20130116007A1 (en) | Camera as input interface | |
| JP4764329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
| KR101460609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telephone receiving mode of a mobile terminal | |
| JP2008544643A (en)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improved user interface including openable cover and soft keys | |
| US20100177037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otion detection in a portable terminal | |
| KR101493089B1 (en) |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Touch Input Recognizing Apparatus And Touch Input Recognizing Device Performing The Same | |
| JP4082352B2 (en) | Mobile phone, display control method for mobile phone, and program thereof | |
| KR100630161B1 (en) | Music file process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US8326367B2 (en) | Foldable image processing apparatus | |
| EP3941027B1 (en) | Adaptive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 terminal, and terminal | |
| KR100849293B1 (en) | Key input device and method in slide type mobile terminal | |
| KR20060056591A (en) | Character input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20140013606A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audio signal and method for the same | |
| KR100774533B1 (en) | Sound effect generation method using external input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100664150B1 (en) | How to set the operation mode of the mobile phone | |
| JP2004297648A (en) | Mobile phone and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menu display | |
| US20140337739A1 (en) |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Activating Voice Intercom Function of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 Software | |
| KR100651387B1 (en) | How to input data in mobile terminal | |
| JP2004112392A (en) |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key function assignment method | |
| US20130210495A1 (en) | Mobile telephone and its display control method | |
| KR101002864B1 (en) | How to control the use mode in the slide portable terminal | |
| KR20080018332A (en) | Information list display method of communication terminal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1-asn-PN23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20830 Year of fee payment: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30829 Year of fee payment: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40828 Year of fee payment: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50828 Year of fee payment: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609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6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