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블록완구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ck to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응용도.2 is an application diagra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블록완구의 사용상태도.3A is a use state diagram of a block to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b는, 도3a에 대한 응용도.FIG. 3B is an application diagram to FIG. 3A. FIG.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블록완구의 다른 사용상태도.4 is another use state of the block to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블록완구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5 is yet another state of use of the block to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응용 예에 따른 블록완구의 사용상태도.6 is a use state diagram of a block toy according to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블록완구의 평면도.7 is a plan view of a block to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음성전기신호모듈의 블록도.8 is a block diagram of a voice electric signal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블록완구의 사용상태도.9 is a use state of a block to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및 61 : 제1블록2 및 62 : 제2블록1 and 61:
3 및 63-1 : 제3블록63-2 : 제4블록3 and 63-1: 3rd block 63-2: 4th block
4 내지 7 : 연결단자8 및 68 : 음성전기신호모듈4 to 7: connection terminals 8 and 68: voice electric signal module
9 및 69 : 전지10, 51 및 60 : 스피커9 and 69:
62a : 제1식별코드모듈63-1a : 제2식별코드모듈62a: first identification code module 63-1a: second identification code module
      63-2a : 제3식별코드모듈64 내지 67 : 연결단자      63-2a: third
71 : 음성전기신호부72 : 음성데이터저장부71: voice electrical signal unit 72: voice data storage unit
73 : 제어부73: control unit
본 발명은 학습용 블록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면에 문장의 일부분, 단어, 글자, 그림이나 도안이 양각, 음각 또는 인쇄 되어있는 블록들로 구성되는 블록완구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블록의 조합에 의해 문장 등을 완성케 함으로써 어린이들로 하여금 언어학습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블록완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toy for learn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block toy consisting of blocks in which a part of a sentence, a word, a letter, a picture or a pattern is embossed, engraved or print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It is about block toys that naturally lead children to language learning by completing sentences and the like by combination.
종래의 언어학습용 블록완구는 각각의 블록에 돌기부와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와 삽입홈을 서로 짜맞춤으로써 문장 또는 단어를 완성시켜 언어학습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졌다. 그러나 단순한 블록의 짜맞춤 만으로는 어린이의 흥미를 유발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Conventional language learning block toys are designed to form a projection or an insertion groove in each block by combining the protrusion and the insertion groove to complete a sentence or word to learn language. However, the simple block-fitting alone had a limit in inducing children's interest.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96-0004369호에 개시되어 있는 유아용 학습완구에서는, 문제가 표시된 조각과 그 문제에 맞는 답안조각을 다같이 끼웠을 때 답이 맞았음을 알리는 불빛과 음악이 울리도록 함으로써 유아들의 주의를 끌어 흥미와 유희감을 가진 채 학습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학습완구에 관한 것 이 개시되어 있는 데, 상기 유아용 학습완구에 있어서 본체판이 항상 구비 되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또한 단순히 블록이 바르게 끼워졌음을 알리는 음악만을 제공함으로써 어린이들이 블록완구를 통해 언어학습을 하는 데 청각적 작용이 미흡하였으며, 블록간의 조합이 아닌 블록과 본체와의 조합을 통한 학습이므로 직관적인 언어학습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learning toy for children discl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6-0004369, lights and music ringing to indicate that the answer was correct when the problem piece and the answer piece that fits the problem toge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toy for infants, which enables children to learn with interest and amusement by attracting attention of the children, which has a problem that a main board must always be provided in the learning toy, and also simply blocks. By providing only the music that informs that it is properly inserted, children have a lack of auditory effect in learning language through block toys. In addition, intuitive language learning is not possible because it is a combination of blocks and the body, not a combination of blocks. There was a problem.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블록의 조합에 의해 문장이 완성되면, 완성된 문장에 해당하는 내용이 블록으로부터 음성으로 출력되어 청각으로 다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린이들이 흥미와 유희감을 가진 채 언어학습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ntence is completed by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block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mpleted sentence is output from the block as a voice so that you can check again by hearing The aim is to provide improved skills that enable children to learn language naturally with interest and amusemen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완구는, 블록 상면에 글자 단어, 문장의 일부분이 양각, 음각 또는 인쇄되어 있고, 측면에는 이웃하는 블록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하는 연결단자를 갖는 복수개의 블록; 상기 복수개의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에 배치되어 음향을 출력시키는 스피커; 상기 복수개의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에 배치되어 상기 스피커로 음성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음성전기신호모듈; 상기 복수개의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에 배치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 및 상기 복수개의 블록의 조합에 의해 문장 또는 단어가 어순, 의미, 문법 등 에 맞게 완성되면, 상기 스피커, 음성전기신호모듈 및 전지가 상기 연결단자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완성된 문장 또는 단어에 상응하는 음성전기신호가 상기 음성전기신호모듈을 통해 상기 스피커로 전송될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블록 각각에 배치되는 전기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lock to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letter word, a portion of the sentence is embossed, engraved or printed on the upper surface, a plurality of side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ighboring block block; A speaker dispos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locks to output sound; A voice electrical signal module dispos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locks to transmit a voice electrical signal to the speaker; A battery dispos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blocks to supply power; And when the sentence or word is completed according to word order, meaning, grammar, etc. by the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blocks, the speaker, the voice electrical signal module and the battery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terminal, thereby completing the completed sentence or An electrical circuit dis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s such that a voice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a word is transmitted to the speaker through the voice electrical signal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복수개의 블록은, 상기 각 블록의 조합에 의해 문장 또는 단어가 완성될 수 있는 경우에만 블록들 상호간에 결합이 가능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block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only if a sentence or a word can be completed by a combination of the blocks.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완구는, 블록상면에 도형의 일부분, 그림의 일부분이 양각, 음각 또는 인쇄되어 있고, 측면에는 이웃하는 블록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하는 연결단자를 갖는 복수개의 블록; 상기 복수개의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에 배치되어 음향을 출력시키는 스피커; 상기 복수개의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에 배치되어 상기 스피커로 음성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음성전기신호모듈; 상기 복수개의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에 배치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 및 상기 복수개의 블록의 조합에 의해 도형이나 그림의 모양이 완성되면, 상기 스피커, 음성전기신호모듈 및 전지가 상기 연결단자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조합에 의해 완성된 도형에 상응하는 음성전기신호가 상기 음성전기신호모듈을 통해 상기 스피커로 전송될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블록 각각에 배치되는 전기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block to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ortion of the figure, a portion of the figure is embossed, engraved or printed on the block upper surface, the side of the connecting terminal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ighboring block Having a plurality of blocks; A speaker dispos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locks to output sound; A voice electrical signal module dispos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locks to transmit a voice electrical signal to the speaker; A battery dispos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blocks to supply power; And when the shape of the figure or the figure is comple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blocks, the speaker, the voice electrical signal module, and the battery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terminal, and thus the voice corresponding to the figure completed by the combination. An electrical circuit dis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s such that an electrica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peaker through the voice electrical signal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복수개의 블록은, 상기 각 블록의 조합에 의해 도형이나 그림의 조합이 완성되어 완전한 도형이나 그림의 형상이 표현될 수 있는 경우에만 블록들 상호간에 결합이 가능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block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only when the combination of the figures or the figures is comple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blocks, so that a complete figure or figure can be expressed.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완구는, 블록 상면에 글자 단어, 문장의 일부분이 양각, 음각 또는 인쇄되어 있고, 측면에는 이웃하는 블록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하는 연결단자를 갖는 복수개의 블록; 상기 복수개의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에 배치되어 음향을 출력시키는 스피커; 상기 복수개의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에 배치되어 상기 스피커로 음성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음성전기신호모듈; 상기 복수개의 블록 각각에 배치되어 상면에 표시된 문자에 해당하는 식별코드를 상기 음성전기신호모듈로 전송하는 식별코드모듈; 상기 복수개의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에 배치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 및 상기 복수개의 블록의 조합에 의해 문장 또는 단어가 완성되면, 상기 스피커, 음성전기신호모듈, 식별코드모듈 및 전지가 상기 연결단자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완성된 문장 또는 단어에 상응하는 음성전기신호가 상기 음성전기신호모듈을 통해 상기 스피커로 전송될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블록 각각에 배치되는 전기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lock to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letter word, a portion of the sentence is embossed, engraved or printed on the upper surface, and has a connecting terminal on the sid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ighboring block A plurality of blocks; A speaker dispos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locks to output sound; A voice electrical signal module dispos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locks to transmit a voice electrical signal to the speaker; An identification code module dis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s and transmitting an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a character displayed on an upper surface to the voice electrical signal module; A battery dispos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blocks to supply power; And when the sentence or word is comple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blocks, the speaker, the voice electrical signal module, the identification code module and the battery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mpleted sentence or word. An electrical circuit dis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s such that a voice electrica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peaker through the voice electrical signal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음성전기신호모듈은, 상기 스피커로 음성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음성전기신호부; 완성된 문장 또는 단어에 상응하는 음성데이터정보를 저장하는 음성데이터저장부; 및 상기 식별코드모듈로부터 블록 각각의 식별코드를 수신-처리하여, 상기 음성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완성된 문장 또는 단어에 상응하는 음성데이터정보를 상기 음성전기 신호부를 통해 상기 스피커로 보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더 구체적인 특징으로 한다.The voice electric signal module may include a voice electric signal unit for transmitting a voice electric signal to the speaker; A voice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voice dat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pleted sentence or word;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identification code of each block from the identification code module to send voice dat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pleted sentence or word stored in the voice data storage unit to the speaker through the voice electric signal unit. ; It includes a more specific feature to include.
상기 복수개의 블록은, 상기 각 블록의 조합에 의해 문장 또는 단어가 완성될 수 있는 경우에만 블록들 상호간에 결합이 가능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block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only if a sentence or a word can be completed by a combination of the block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제1실시 예>First Embodiment
본 실시 예 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I am a boy" 라는 문장을 학습하는 데 구현되는 블록완구를 일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을 참조하면, 상면에 'I' 라고 표시된 제1블록(1)과 상면에 'am' 이라고 표시된 제2블록(2) 및 상면에 'a boy' 라고 표시된 제3블록(3)이 마련된다. 상기 제1블록(1)의 우측면에는 상기 제2블록(2)과 연결되어지는 연결단자(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블록(2)에도 상기 제1블록(1) 및 제3블록(3)과 연결되어지는 연결단자(5)(6)가 좌-우측면에 배치되어 진다. 또한, 상기 제3블록(3)에도 상기 제2블록(2)과 연결되어지는 연결단자(7)가 좌측면에 배치되어 진다. 상기 연결단자들은 여러 가지 형상일 수 있으나, 일예를 들자면 도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한 쪽 블록은 돌기부, 다른 쪽 블록은 삽입홈으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어질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block toy implemented to learn the sentence "I am a boy"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1, a
한편 블록간의 적절한 조립은, 본 실시 예들에서처럼 이웃하는 블록의 연결단자(7)들의 형상, 이웃하는 블록의 연결단자(7)들의 배치 위치 등에 의해 연결단자(&)들 간의 대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나, 본 출원인이 선행 발명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10-2004-0109715호를 바탕으로 하여 도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블록간의 적절한 조립은, 블록측면에 자석을 부착하여 자석(M)의 인력이나 척력작용을 활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거나, 본 출원인이 선행 발명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10-2004-0109845호를 바탕으로 하여 이웃하는 블록 간의 돌기와 돌기홈의 형상, 배치위치 또는 형성된 개수 등에 의해 블록간의 적절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연결단자는 단순히 이웃하는 블록들 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만 하는 역할만 수행하도록 구성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블록을 배열하여 문장이 어순, 의미, 문법 등에 맞게 완성될 수 있는 경우에만 블록들 상호간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oper assembly between blocks may be made by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connecting terminals (&) by the shape of the connecting
계속하여 도1을 참조해 보면, 상기 제1블록(1)과 제2블록(2) 및 제3블록(3)은 어순, 문법, 의미에 맞도록 연결되어져야 문장이 완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연결단자(4)(5)는 서로 끼워 맞춰질 수 있는 형상을 구비하고, 또한 그 연결단자(4)(5)의 배치 위치도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상기 제2블록(2)과 제3블록(3)의 연결단자(6)(7)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도3a 및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블록(1)과 제3블록(3)이 서로 연결되어지면, 그 문장이 어순, 의미, 문법 등에 맞지 않으므로, 상기 제1블록(1)의 연결단자(4)와 제3블록(3)(3-1)의 연결단자(7)(7-1)는 서로 끼워 맞춰질 수 없도록 돌기와 돌기홈의 크기나 형상을 다 르게 해서 구비하거나, 또는 그 연결단자가 배치된 위치를 달리하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1, the
또한, 상기 제1블록(1)에는 상기 블록들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지(9)가 배치되고, 음성을 외부로 출력시키기 위한 스피커(10)가 배치되며, 상기 블록들의 결합에 의해 완성된 "I am a boy" 에 상응하는 음성전기신호를 상기 스피커(10)로 보내 "아이엠어보이" 의 음성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음성전기신호모듈(8)이 배치된다. 물론, 응용에 따라서는 전지(9), 스피커(10) 및 음성전기신호모듈(8)이 하나의 블록에 배치될 필요는 없으며,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면, 상호 다른 블록에 배치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한편, 상기 각 블록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단자들의 결합에 의해 전기(9), 스피커(10), 음성전기신호모듈(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로가 완성되도록 전기회로가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 circuit is arranged inside the blocks to complete the circuit including the electric 9, the
이하에서는 상기 블록들의 조합에 의해 문장이 완성되는 경우와 완성되지 않는 경우를 나누어 그 작동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ividing the case in which the sentence is completed or the case incomplete by the combination of the blocks.
<문장이 완성된 경우><If sentence is completed>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개의 블록(1)(2)(3)이 어순, 의미, 문법 등에 맞게 조합되어 "I am a boy" 를 구성하게 되면 각 블록의 내부 회로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1블록(1)의 전지(9)에서 공급하는 전력이 회로에 공급된다. 상기 음성전기신호모듈(8)은 상기 전지(9)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블록 상면에 있는 "아이 엠어보이"에 상응하는 음성전기신호를 상기 스피커(10)로 보낸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10)로부터 "아이엠어보이" 음성이 외부로 출력되어, 블록을 조합한 이용자(어린이)는 상기 조합된 블록이 "아이엠어보이"로 발음되는 것을 직관적으로 인식하게 되어 영어를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음성전기신호모듈(8)에는 "아이엠어보이"에 상응하는 음성데이터정보가 미리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블록의 올바른 조합에 의하여 문장이 완성되어, 회로가 구성되면 상기 음성데이터정보가 상기 음성전기신호모듈(8)에서 음성전기신호화 되어 상기 스피커(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전기신호모듈(8)에는 제어장치가 마련되어 상기 스피커(10)로 음성이 일정횟수만큼만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서는 음성데이터저장부와 녹음부를 더 구성시키고, 녹음부를 통해 음성데이터저장부에 부모나 선생님이 임의적으로 음성을 지웠다 녹음했다 할 수 있도록 구성시켜서, 블록의 상면에 단어, 문장의 일부분이 양각, 음각 또는 인쇄되어 있는 스티커와 같은 착탈판을 부착하거나, 필기도구를 활용하여 블록의 상면에 단어, 문장의 일부분을 썼다 지웠다 할 수 있도록 하면, 일정한 수의 블록을 가지고도 무수히 많은 문장들에 대한 표현과 학습 및 그 문장에 대한 음성 청취가  가능하게 되어서 더 바람직한 것이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three blocks (1) (2) (3) are combined according to word order, meaning, grammar, and the like to form “I am a boy”, the internal circuits of each block are connected to each other. Power supplied from the
도4의 일점쇄선을 나타내는 부분은 각 블록의 내부 회로가 서로 연결되어 회로가 완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The part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of FIG. 4 shows that the internal circuit of each block is 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a circuit is completed.
<문장이 완성되지 않은 경우><If the sentence is not complete>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블록(1)과 제2블록(2)만이 조합되면 문장이 완성되지 않게 되고, 또한 제2블록(2)의 우측에 구비된 연결단자(6)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개방되기 때문에 회로가 완성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합된 블록의 미완성 회로는 제1블록(1)에 배치된 전지(9)에서 공급하는 전력을 수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블록(1)에 배치되어 있는 스피커(10)에서는 어떠한 음성도 출력되지 않아 이용자(어린이)는 아직 문장이 완성되지 않았음을 직관적으로 알게 된다. 이는, 상기 제2블록(2)과 제3블록(3)만을 조합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Referring to FIG. 5, when only the
도3a는 상기 제1블록(1)과 제3블록(3)의 조합의 경우를 도시한 경우인 데, 상기 제1블록(1)의 우측에 배치된 연결단자(4)와 상기 제3블록(3)의 좌측에 배치된 연결단자(7)가 서로 크기가 달라 끼워 맞출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연결단자(4)(7)가 서로 연결되어 질 수 없게 되고, 따라서 상기 제1블록(1)과 제3블록(3)의 내부 회로가 서로 연결되지 못하게 되어 상기 제1블록(1)에 배치되어 있는 스피커(10)에서는 어떠한 음성도 출력되지 않게 된다. 도3a는 상기 연결단자(4)(7)가 서로 크기가 달라 끼워 맞출 수 없는 경우를 도시한 경우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도3b와 같이 연결단자(4)(7-1)의 위치를 서로 대응되지 않게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제1블록(1)과 제3블록(3-1)의 내부 회로가 서로 연결되지 못하게 할 수도 있다.FIG. 3A illustrates a case where a combination of the
<제1실시 예의 응용 예><Application Example of First Embodiment>
제1실시 예에서는 블록의 조합에 의해 문장을 완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응용에 따라서는 상면에 도형이나 그림의 일부분이 양각, 음각 또는 인쇄되어 있는 블록의 조합에 의해 도형이나 그림의 전체 모양이 완성되는 경우에도 제1실시 예와 같은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a case of completing a sentence by a combination of blocks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the entire figure or figure is formed by a combination of blocks in which a part of the figure or figure is embossed, engraved, or printed on the upper surface. Even when the shape is completed, it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도6을 참조하여 본 응용 예에 대해 설명하면, '꽃'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블록을 조합하여 '꽃' 모양이 완성되면 상기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에 배치되어 있는 스피커(51)에서 "꽃" 또는 "플라워"라는 음성을 출력시킨다. 그 음성이 출력되는 작동과정은 제1실시 예에서의 작동과정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도6의 일점쇄선을 나타내는 부분은 각 블록의 내부 회로가 서로 연결되어 회로가 완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Referring to FIG. 6,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When the 'flower' shape is complet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flower', the 'flower' is arranged in the
<제2실시 예>Second Embodiment
본 실시 예 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I am a boy" 와 "I am a student" 라는 문장을 학습하는 데 구현되는 블록완구를 일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block toy implemented to learn the sentences "I am a boy" and "I am a studen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7을 참조하면, 상면에 'I' 라고 표시된 제1블록(61)과 상면에 'am' 이라고 표시된 제2블록(62)과 상면에 'a boy' 라고 표시된 제3블록(63-1) 및 상면에 'a student' 라고 표시된 제4블록(63-2)이 마련된다. 상기 제1블록(61)의 우측면에는 상기 제2블록(62)과 연결되어지는 연결단자(6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블록(62)에도 상기 제1블록(61) 및 제3블록(63-1)(또는 제4블록(63-2))과 연결되어지는 연결단자(65)(66)가 좌-우측면에 배치되어 진다. 또, 상기 제3블록(63-1)에( 또는 제4블록(63-2))도 상기 제2블록(62)과 연결되어지는 연결단자(67)가 좌측면에 배치되어 진다. 상기 연결단자들은 여러 가지 형상일 수 있으나, 일예를 들자면 한 쪽 블록은 돌기부, 다른 쪽 블록은 삽입홈으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블록(61)과 제2블록(62)은 서로 연결되어져야 문장이 완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연결단자(64)(65)는 서로 끼워 맞춰질 수 있는 형상을 구비하고, 또한 그 연결단자(64)(65)의 배치 위치도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상기 제2블록(62)과 제3블록(63-1)(또는 제4블록(63-2))의 연결단자(67)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상기 제1블록(61)과 제3블록(63-1)(또는 제4블록(63-2))이 서로 연결되어지면 문장의 어순, 의미, 문법 등에 맞지 않게 되므로, 상기 제1블록(61)의 연결단자(64)와 제3블록(63-1)(또는 제4블록(63-2))의 연결단자(67)는 서로 끼워 맞춰질 수 없는 형상을 구비하거나, 또는 그 연결단자가 배치된 위치를 달리하도록 마련된다. 물론 본 실시 예에서도 연결단자는 단지 이웃하는 블록 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도록 하도, 블록 간의 적절한 조립은, 블록측면에 자석을 부착하여 이웃하는 블록들 간에 자석의 인력 또는 척력작용을 이용하거나, 이웃하는 블록들 간에 돌기나 돌기홈의 형상, 형성 개수, 배치 위치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한편, 상기 각 블록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단자들의 결합에 의해 회로가 완성되도록 전기회로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블록(61)에는 상기 블록들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지(69)가 배치되고, 음성을 외부로 출력시키기 위한 스피커(60)가 배치되며, 상기 블록들의 결합에 의해 완성된 "I am a  boy" 또는 "I am a student"에 상응하는 음성전기신호를 상기 스피커(60)로 보내 "아이엠어보이" 또는 "아이엠어스튜던트"의 음성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음성전기신호모듈(68)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블록(62) 내부에는 블록 상면에 표시된 'am' 에 대응하는 식별코드가 저장되어있는 제1식별코드모듈(62a)이 배치되어있고, 상기 제3블록(63-1) 내부에는 블록 상면에 표시된 'a boy' 에 대응하는 식별코드가 저장되어있는 제2식별코드모듈(63-1a)이 배치되어있으며, 상기 제4블록(63-2) 내부에는 블록 상면에 표시된 'a student' 에 대응하는 식별코드가 저장되어있는 제3식별코드모듈(63-2a)이 배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 circuit is arranged inside the blocks so that the circuit is completed by the coupling of the connection terminals. In addition, the
한편,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블록(61)에 배치되어 있는 음성전기신호모듈(68)은, 상기 스피커(60)로 음성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음성전기신호부(71)와 블록의 조합에 의해 문장이 완성되었을 경우, 완성된 문장에 해당하는 "아이엠어보이" , "아이엠어스튜던트" 등 복수개의 음성데이터정보를 저장하는 음성데이터저장부(72)와 상기 각각의 블록에 배치되어있는 제1 식별코드와 제2 또는 제3식별코드모듈로부터 블록 각각의 식별코드를 수신한 후 처리하여, 상기 음성데이터저장부(72)에 저장된 "아이엠어보이" 또는 "아이엠어스튜던트"의 음성데이터정보를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음성전기신호부(71)를 통해 스피커(60)로 보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8, the voice
이러한 구성적 특징의 예를 구체적인 예를 들어 살펴보자. 예를 들어, "I"에 상응하는 식별코드를 00이라 하고, "am"에 상응하는 식별코드를 11이라 하고, "a boy"에 상응하는 식별코드를 10이라 하고, "a student"에 해당하는 식별코드를 01 이라 가정하였을 경우에, "I"에 상응하는 식별코드는 음성전기신호모듈(68)이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am"에 상응하는 식별코드인 11은 제1식별코드모듈(62a)이 가지고 있고, "a boy"에 상응하는 식별코드인 10은 제2식별코드모듈(63-1a)이 가지고 있으며, "a student"에 해당하는 식별코드인 01은 제3식별코드모듈(63-2a)이 가지고 있다. 따라서 블록들의 조립에 의해 "I am a boy" 가 완성되면, 제1 및 제2 식별코드모듈(62a, 63-1a)은 음성전기신호모듈(68)로 11 및 10을 보내고, 음성전기신호모듈(68)의 제어부에서는 음성데이터저장부(72)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음성정보 중 00, 11, 10(또는 00, 10, 11)에 해당되는 음성인 "아이엠어보이"에 대한 음성정보를 추출하여 음성전기신호부(71)을 통해 스피커(60)로 전송시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I am a student"가 완성되면, 제1 및 제3식별코드모듈(62a, 63-1a)은 음성전기신호모듈(68)로 11 및 01을 보내고, 음성전기신호모듈(68)의 제어부에서는 00, 11, 01에 해당하는 음성인 "아이엠어스튜던트"에 대한 음성정보를 음성데이터저장부(72)로부터 추출하여 음성전기신호부(71)을 통해 스피커(60)로 전송시키는 것이다.Let's look at an example of such a constructive feature with a specific example. For example, an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I" is 00, an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am" is 11, an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a boy" is 10, and corresponds to "a student". Assuming that the identification code is 01, the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I" is owned by the voice
이하에서는 상기 블록의 조합에 의해 문장이 완성된 경우의 작동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제1실시 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가급적 피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when the sentence is comple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block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ut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avoided for the sake of brevity.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용자(어린이)가 상기 제1 내지 제3블록(61)(62)(63-1)을 알맞게 조합하여 "I am a boy"의 문장을 완성하면, 전체 회로가 완성되어 상기 회로에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제2블록(62)에 배치되어있는 제1식별 코드모듈(62a)에서는 상기 회로를 통해 자신의 식별코드를 제1블록(61)의 제어부(73)로 송신한다. 또, 제3블록(63-1)에 배치되어있는 제2식별코드모듈(63-1a)에서도 상기 회로를 통해 자신의 식별코드를 제1블록(61)의 제어부(73)로 송신한다. 상기 제1블록(61)에 배치되어 있는 제어부(73)에서는 상기 송신된 식별코드들을 수신-처리하여 상기 완성된 문장이 "I am a boy"임을 인식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제어부(73)는 상기 음성데이터저장부(72)에 저장되어 있는 "아이엠어보이"의 음성데이터정보를 상기 음성전기신호부(71)로 보내도록 제어한다. 상기 음성전기신호부(71)로 보내진 "아이엠어보이"의 음성데이터정보는 상기 음성전기신호부(71)에서 음성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스피커(60)로 보낸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60)는 "아이엠어보이" 음성을 외부로 출력하게 되어, 블록을 조합한 이용자(어린이)는 상기 조합된 블록이 "아이엠어보이"로 발음되는 것임을 직관적으로 인식하게 되어 영어를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이용자(어린이)가 블록을 조합하여 "I am a student"의 문장을 완성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73)는 상기 제3식별코드모듈(63-2a)로부터 'a student' 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를 수신하여 완성된 문장이 "I am a student" 임을 인식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스피커(60)로 하여금 저장된 복수개의 음성정보 중 "아이엠어스튜던트"의 음성정보를 선택하여 외부로 출력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음성전기신호모듈(68)의 제어부(73)에는 상기 스피커(60)로 음성이 일정횟수만큼만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8 and 9, when a user (child) completes the sentence of "I am a boy" by appropriately combining the first to
물론,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음성데이터저장부(72)에 저장되는 음성정보를  부모나 선생님이 임의적으로 녹음 저장시키거나 지울 수 있도록 구성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녹음부를 더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녹음부를 통해 상기 음성데이터저장부(72)에 임의적인 음성을 녹음시키거나 지울 수 있도록 구성시켜서,블록의 상면에 단어, 문장의 일부분이 양각, 음각 또는 인쇄되어 있는 스티커와 같은 착탈판을 부착하거나, 필기도구를 활용하여 블록의 상면에 단어, 문장의 일부분을 썼다 지웠다 할 수 있도록 하면, 일정한 수의 블록을 가지고도 무수히 많은 문장들에 대한 표현과 학습 및 그 문장에 대한 음성청취가 가능하게 되어서 더 바람직하게 된다.Of cours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lso preferable to configure the voice information stored in the voice
상기 제1실시 예와 제2실시 예에서는 상기 각 블록의 상면에 문장의 일부분이 표시되어 있고, 문장의 일부분을 조합해서 완성된 문장을 만들도록 하여, 이용자(어린이)로 하여금 문장을 학습할 수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각 블록의 상면에 알파벳 또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이 표시되어 있어 블록의 조합에 의해 단어 또는 글자가 완성되면 그 단어 또는 글자에 상응하는 발음이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 part of a sentence is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block, and a part of the sentence is combined to form a completed sentence, so that a user (child) can learn the sentenc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onsonants and vowels of alphabets or Korean characters are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block. When a word or letter is completed by a combination of blocks, a pronunciation corresponding to the word or letter is spoken. You can also output from.
또한, 상기 제1실시 예와 제2실시 예에서는 전지, 음성전기신호모듈 및 스피커가 제1블록에 모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전지, 음성전기신호모듈 및 스피커가 각각 다른 블록에 배치되어도 본 기술사상의 목적은 달성된다.In addition,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battery, the voice electrical signal module and the speaker are all described as being disposed on the first block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Even if placed in another block, the object of the technical idea is achieved.
또한, 바람직한 실시를 위해 제2실시 예에서는 제1블록의 상면에 표시되어 있는 'I' 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모듈을 구성시키지 않았으나, 상기 제1블록에 'I' 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모듈을 구성시켜 제어부와 연결시키더라도 본 기술사상의 목적은 달성된다.In add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for the preferred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code module corresponding to 'I'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lock is not configured, but the identification code module corresponding to 'I' is configured in the first block. Even if 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technical idea.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로 들어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의 예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carried out by other specific forms of example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 can understan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aspects. That i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claims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의 조합에 의해 문장 등이 완성되면 그 완성된 문장에 상응하는 음성이 스피커로부터 출력됨으로써 시각과 촉각, 청각을 통해 효과적으로 언어학습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문장 등이 완성될 때에만 음성이 출력되기 때문에 블록을 조합하는 이용자(어린이)가 성취감을 느끼면서 언어학습을 할 수 있게 되고, 더불어 흥미와 유희감을 가진 채 언어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entence or the like is completed by a combination of blocks,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completed sentence is output from the speaker, thereby enabling language learning through visual, tactile, and auditory sense. In addition, the voice is output only when the sentence is completed, so that the user (child) who combines the blocks can learn the language while feeling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an also learn the language with interest and pleasure. There is.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112054AKR100602591B1 (en) | 2004-12-24 | 2004-12-24 | Block Toys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112054AKR100602591B1 (en) | 2004-12-24 | 2004-12-24 | Block Toys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04-0036844UDivisionKR200379520Y1 (en) | 2004-12-27 | 2004-12-27 | A toy using blocks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073183A KR20060073183A (en) | 2006-06-28 | 
| KR100602591B1true KR100602591B1 (en) | 2006-07-25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40112054AExpired - LifetimeKR100602591B1 (en) | 2004-12-24 | 2004-12-24 | Block Toys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602591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89352B1 (en) | 2012-02-13 | 2013-07-29 | 노승기 | Block toy for learning a foreign language | 
| KR101552255B1 (en)* | 2014-03-20 | 2015-09-09 | 김관석 | Block toy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198723B1 (en)* | 2010-09-28 | 2012-11-12 | 최읍제 | recoding media saving language learning program | 
| KR20130039889A (en)* | 2011-10-13 | 2013-04-23 | 윤성원 | Solar manufacturing technology, lego blocks | 
| KR101348403B1 (en)* | 2012-05-30 | 2014-01-09 | 이학용 | Electronic brick support structure | 
| CN104112714B (en)* | 2013-04-19 | 2017-03-08 | 武汉赛丰科技有限公司 | Core shell, core casket and core system | 
| KR101516807B1 (en)* | 2013-12-26 | 2015-05-04 | (주)짐월드 | Block Toy | 
| KR101520772B1 (en)* | 2014-01-15 | 2015-05-15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Free transformable bluetooth speaker | 
| KR101641510B1 (en)* | 2015-02-24 | 2016-07-21 | 추범규 | Free transformable bluetooth LED speaker | 
| KR101712487B1 (en)* | 2015-05-26 | 2017-03-07 | 주식회사 프레도 | Smart block toy | 
| KR20180058030A (en)* | 2016-11-23 | 2018-05-31 | 손승희 | Block for program coding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89352B1 (en) | 2012-02-13 | 2013-07-29 | 노승기 | Block toy for learning a foreign language | 
| WO2013122315A1 (en)* | 2012-02-13 | 2013-08-22 | Noh Seung Ki | Block toy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s | 
| KR101552255B1 (en)* | 2014-03-20 | 2015-09-09 | 김관석 | Block toy | 
| WO2015141889A1 (en)* | 2014-03-20 | 2015-09-24 | 김관석 | Block toy | 
| JP2017507759A (en)* | 2014-03-20 | 2017-03-23 | キム、カンソク | Block toys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073183A (en) | 2006-06-28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602591B1 (en) | Block Toys | |
| US7792480B2 (en) | Electrographic position location apparatus including recording capability and data cartridge including microphone | |
| KR20160138608A (en) | Smart block toy | |
| KR101876275B1 (en) | Cube for Learning Multiplication Tables | |
| CN101206521A (en) | Interactive electronic learning white board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US5993217A (en) | Learning apparatus | |
| KR200379520Y1 (en) | A toy using blocks | |
| KR100602589B1 (en) | Block toy | |
| KR100602590B1 (en) | Block Toys | |
| KR101075242B1 (en) | Device for leaning braille | |
| CN106781725A (en) | Rotary assembled pinyin learning toy | |
| KR20030066839A (en) | Digital toy for education | |
| JP6661851B2 (en) | Communication aid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
| CN211529348U (en) | Spelling and reading learning device | |
| KR20190105986A (en) | Learning dioceses in arranging visually identifiable alphanumeric objects into their devices and entering them with electronic signals | |
| KR20060133624A (en) | Digital Educational Character Recognition System | |
| KR200274498Y1 (en) | Digital toy for education | |
| TWI664610B (en) | Interactive game picture book teaching system and method | |
| CN108427898B (en) | Course selecting device and course selecting method | |
| KR200184044Y1 (en) | Educational aid for children | |
| KR101620603B1 (en) | Educational puzzle apparatus for a blind person | |
| CN201084291Y (en) | Sounding education toy with lamp | |
| US11132912B1 (en) | Electronic educational device | |
| CN211742320U (en) | English natural phonetic learning game multifunctional board | |
| KR20210026671A (en) | Diorama Audio Book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041224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06052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060711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060712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090702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00713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10711 Start annual number:6 End annual number: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20706 Start annual number:7 End annual number: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30710 Year of fee payment: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30710 Start annual number:8 End annual number: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40709 Year of fee payment: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40709 Start annual number:9 End annual number: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50709 Year of fee payment: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50709 Start annual number:10 End annual number:1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60811 Year of fee payment: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60811 Start annual number:11 End annual number:1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70712 Year of fee payment: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70712 Start annual number:12 End annual number: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00714 Start annual number:15 End annual number:1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20712 Start annual number:17 End annual number:17 |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date:20250624 Termination category:Expiration of du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