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MIMO-OFDM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IMO-OFDM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MIMO-OFDM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IMO-OFDM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향 링크 고유빔형성(Eigenbeamforming)을 적용한 MIMO-OFDM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MO-OFDM system to which downlink eigenbeamforming is applied.
빔형성(beamforming) 기술은 공간적 멀티플렉싱 이득을 얻거나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데, MIMO 시스템에서도 공간 영역을 이용하기 위하여 하향 채널에 빔형성(beamforming)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폐루프(closed-loop) 하향링크 빔형성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이 하향 링크의 순시채널을 미리 알고 있어야 하는데,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모드에서는 상하향 채널의 주파수 대역이 다르므로 이동 단말이 순시 채널정보를 기지국에 피드백해 주어야만 한다. 이 때 피드백 정보량이 많으면 폐루프 빔형성 기술의 장애가 되므로 피드백 정보량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The beamforming technique is used to obtain spatial multiplexing gain or to improve performance. In the MIMO system, the beamforming technique may be applied to the downlink channel to use the spatial domain. In general, in order to apply a closed-loop downlink beamforming technique, the base station must know the downlink instantaneous channel in advance. In the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FDD) mode, since the frequency band of the uplink and downlink channels is different, Instantaneous channel information should be fed back to the base station. At this time, a large amount of feedback information is an obstacle to the closed loop beamforming technology. Therefore, a method of reducing the amount of feedback information should be sought.
블라인드(blind) 빔형성 기술은 상하향 링크의 전파환경의 구조가 서로 유사하므로 채널의 공간적 통계 특성도 유사하다는 가정 하에 상향 채널을 측정하여 적응적으로 하향 링크 빔형성을 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채널의 상호성(reciprocity)을 이용하기 때문에 피드백 정보가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지만, 빔형성 벡터가 순시 채널변이(instantaneous channel variation)를 따르지 않으므로 다이버시티 이득을 상실한다는 단점이 있다. 공간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해서는 하향 링크의 순시 채널정보를 반드시 피드백해야 하는데, 송신 안테나 수가 증가할수록 피드백 정보량이 더 늘어나고 또 채널의 변이를 추적하기 위해 피드백 율(feedback rate)도 높아지므로 송신 안테나 수가 많거나 이동체의 이동속도가 높은 경우 빔형성 기술을 적용하기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Blind beamforming technology adaptively performs downlink beamforming by measuring an uplink channel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spatial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annel are similar because the structures of the propagation environment of the uplink and downlink are similar to each other. This technique has the advantage of not requiring feedback information because it uses the reciprocity of the channel, but has a disadvantage of losing diversity gain because the beamforming vector does not follow instantaneous channel variation. In order to obtain the spatial diversity gain, the instantaneous channel information of the downlink must be fed back. As the number of transmitting antennas increases, the amount of feedback information increases, and the feedback rate increases to track channel variation. In addition,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moving object is high, there is a considerable difficulty in applying the beamforming technique. In order to alleviate this problem, various techniques are proposed as follows.
3GPP(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제안한 고유빔 형성 기술은 피드백 정보량은 많지만 장기 피드백(long-term feedback)이 가능한 채널의 공간 상관성과 순시 채널 변이에 따라 단기 피드백(short-term feedback)이 필요하지만 아주 적은 피드백 정보량이 요구되는 선택 다이버시티(selection diversity)를 이용하는 기술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고유빔 형성기술에 따르면, 이동 단말이 잦은 업데이트가 필요하지 않은 채널의 공간 공분산 행렬(spatial covariance matrix)을 이용하여 우세한 고유모드(dominant eigenmodes)를 구하여 피드백시키고, 순시 채널 변이를 이용하여 우세한 고유모드 중 제일 강한 고유모드(the strongest eigenmode)를 상향 링크를 통해 알려주면, 기지국이 제일 강한 고유모드를 선택하여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신호대잡음비 이득뿐만 아니라 선택 다이버시티 이득도 얻을 수 있다.Although the unique beamforming technique proposed by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has a large amount of feedback information, short-term feedback is required due to spatial correlation and instantaneous channel variation of channels capable of long-term feedback. It is a technique using selection diversity in which a very small amount of feedback information is required.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eigenbeam shaping technique, a mobile terminal obtains dominant eigenmodes and feeds back using a spatial covariance matrix of a channel that does not need frequent updating, and uses instantaneous channel variation. If the strongest eigenmode of the dominant eigenmodes is informed via the uplink, the base station selects the strongest eigenmode and transmits a signal, thereby obtaining not only the signal-to-noise ratio gain but also the selection diversity gain.
일반적으로 도심의 기지국 안테나 어레이는 빌딩의 옥상과 같은 높은 곳에 위치하므로 주위에 지역적 산란들(local scatters)이 없다. 그러므로, 하향 링크 채널은 공간 상관성(spatial correlation)이 높고 몇 개의 우세한 고유모드(dominant eigenmodes)를 갖는다. 이 때의 고유모드는 기지국과 이동체간의 독립된 경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고유빔형성 기술이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In general, a base station antenna array in a city center is located high, such as a roof of a building, so there is no local scatters around. Therefore, the downlink channel has high spatial correlation and has some dominant eigenmodes. In this case, the eigen mode may be referred to as an independent path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body. In this environment, intrinsic beamforming technology can work effectively.
그러나, 고유빔형성 기술을 OFDM 시스템에 적용하는 경우, ODFM의 각 부반송파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을 겪게 되므로 각 부반송파마다 서로 다른 빔형성 벡터를 가지게 되어 모든 부반송파가 자기의 빔형성 벡터들을 피드백해야 한다. 이 경우 피드백 정보량이 단일 부반송파의 경우보다 상당히 많아지므로 시스템에 심각한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eigenbeamforming technique is applied to an OFDM system, since each subcarrier of the ODFM undergoes different frequency selective fading, each subcarrier has a different beamforming vector, so all subcarriers must feed back their beamforming vectors. . In this case, since the amount of feedback information is considerably greater than that of a single subcarrier, there is a problem that places a serious burden on the system.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OFDM 시스템에 고유빔 형성을 위한 피드백 정보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amount of feedback information for forming a unique beam in an OFDM syste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MIMO-OFDM 시스템은MIMO-OFDM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L 개의 송신안테나를 갖는 송신부와, M 개의 수신안테나를 갖는 수신부의 정보를 상기 송신부로 피드백하는 상향링크 피드백장치를 포함하는 MIMO-OFDM 시스템으로서,A MIMO-OFDM system including a transmitter having L transmit antennas and an uplink feedback device for feeding back information of a receiver having M transmit antennas to the transmitter,
상기 상기 송신부는The transmitting unit
부반송파의 개수 만큼씩 연속 입력된 심볼들을 K개의 병렬 신호로 바꾸는 직렬/병렬 변환기;A serial / parallel converter for converting consecutively inputted symbols into K parallel signals by the number of subcarriers;
상기 직렬/병렬 변환기에 의해 출력된 K개의 병렬 신호를 송신안테나 수에 대응하는 수만큼 복사하는 신호복사기;A signal copyer for copying K parallel signals output by the serial / parallel converter by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ransmission antennas;
상기 피드백 장치를 통해 장기 피드백된개의 고유빔형성 벡터와, 단기 피드백된 각 부반송파별로 하나의 고유빔형성 벡터 정보에 기초하여 각 부반송파별로 상기 신호 복사기로부터 출력된 복사 신호의 고유빔을 생성하는 고유모드 생성기; 및Long-term feedback through the feedback device An eigenmode generator for generating eigenbeams of the radiated signals output from the signal copier for each subcarrier based on the eigenbeamforming vectors and one eigenbeamforming vector information for each short-term feedback; And
상기 고유모드 생성기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OFDM 심볼을 생성하는 다수의 역푸리에변환기를 포함한다.It includes a plurality of inverse Fourier transformer for receiving the signal output by the eigenmode generator to generate an OFDM symbol.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MIMO-OFDM 시스템은On the other hand, MIMO-OFDM system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부반송파의 개수 만큼씩 연속 입력된 심볼들을 K개의 병렬 신호로 바꾸는 직렬/병렬 변환기;A serial / parallel converter for converting consecutively inputted symbols into K parallel signals by the number of subcarriers;
상기 직렬/병렬 변환기에 의해 출력된 K개의 병렬 신호를 송신안테나 수에 대응하는 수만큼 복사하는 신호복사기;A signal copyer for copying K parallel signals output by the serial / parallel converter by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ransmission antennas;
상향링크 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순시 채널 공분산과 공간 공분산 행렬을 구하고, 상기 공간 공분산 행렬을 고유분할하여개의 고유빔 벡터를 구하고, 순시 채널 공분산의 고유치를 구하는 고유빔계산기;Instantaneous channel covariance and spatial covariance matrix are obtained by using uplink channel information, and the spatial covariance matrix is inherently divided by An eigenbeam calculator for obtaining eigenbeam vectors and obtaining eigenvalues of instantaneous channel covariances;
상기 고유빔계산기에서 얻어진개의 고유빔형성 벡터를 입력받아 순시 채널 공분산이 업데이트될 때마다개중 순시 채널 공분산의 고유치가 가장 큰 고유모드를 선택하는 고유모드선택기; 및Obtained from the eigenbeam calculator Inputted eigenbeamforming vectors each time instantaneous channel covariance is updated An eigenmode selector for selecting an eigenmode with the largest eigenvalue of the instantaneous instantaneous channel covariance; And
상기 고유모드 생성기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OFDM 심볼을 생성하는 다수의 역푸리에변환기를 포함한다.It includes a plurality of inverse Fourier transformer for receiving the signal output by the eigenmode generator to generate an OFDM symbol.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Like parts are designated by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송신안테나 수가 L, 수신안테나 수가 M인 단일반송파 (Single carrier) MIMO 시스템에서,q번째 심볼 구간의 수신신호 벡터(r(q))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다.In a single carrier MIMO system in which the number of transmit antennas is L and the number of receive antennas is M, the received signal vectorr (q) of theq- th symbol period is expressed by
여기서,는 송신신호대잡음비,,H(q) (here, Is the signal-to-noise ratio, ,H (q) (
)는 채널을 나타내며, w(=)는 가중치 벡터이고이라 가정한다. 그리고, 잡음벡터n(q)()는로 공간적으로 백색잡음이라 가정한다. ) Represents the channel and w (= ) Is a weight vector Assume that And, noise vectorn (q) ( ) This is assumed to be spatially white noise.
수학식 1에 규정한 수신신호r(q)의 평균 신호대잡음비를 최대로 갖는 최적의 가중치 벡터는 채널의 공간 공분산 행렬RH(q)()의 최대 고유치(maximum eigenvalue)에 대응되는 고유벡터 (maximum eigenvector)이다.The optimal weight vector having the maximum average signal-to-noise ratio of the received signalr (q) defined in
(는 장기 공간 공분산 행렬(long-term spatial covariance matrix)이라 칭함)라 하면, 장기 공간 공분산 행렬는 다음의 수학식 2로 구할 수 있다. ( Is a long-term spatial covariance matrix, a long-term spatial covariance matrix Can be obtained from
여기서,Rst()는 순시 채널 공분산이며,()는 망각 인자(forgetting factor)이다. 고유빔형성 벡터를 찾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를 고유분할(eigendecomposition)하면 다음의 수학식 3을 구할 수 있다.WhereRst ( ) Is instantaneous channel covariance, ( ) Is a forgetting factor. To find the eigenbeam formation vector, When eigendecomposition is obtained, the following equation (3) can be obtained.
여기서,D는 대각행렬(),E는 단위행렬(E=[e1, e2, ..., eL])이고, el는 고유치(eigenvalue)이며,은 고유치에 대응하는 고유벡터이다. WhereD is the diagonal matrix ( ),E is the unit matrix (E = [e1 , e2 , ..., eL ]), el is the eigenvalue, Eigenvalue Eigenvector corresponding to.
기지국이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큰 고유치에 대응하는개의 우세한 고유벡터를 찾아낸다고 가정하면, 장기 공간 공분산 행렬은 천천히 변하므로 이 고유빔 벡터를 송신하기 위한 피드백 율(feedback rate)도 낮게 되며, 이에 따라 피드백 정보량 (amount of feedback)도 작게 된다. 이때, 고유빔 벡터는 하향 링크 빔형성을 위한 가중치 벡터로 사용되고, 직교성이 있어 이동 단말로의 독립된 채널 혹은 송신모드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고유모드(eigenmode)라고도 부른다.The base station corresponds to the largest eigenvalue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Assuming that the dominant eigenvectors are found, the long-term spatial covariance matrix changes slowly, so that the feedback rate for transmitting the eigenbeam vector is low,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feedback. In this case, the eigenbeam vector is used as a weight vector for downlink beamforming, and is also called an eigenmode because it is orthogonal to generate an independent channel or transmission mode to the mobile terminal.
개의 고유빔 벡터의 장기 피드백과 함께 빠른 페이딩(fast fading)으로 인한 순시 채널 공분산의 고유치를 구하여개의 고유벡터 중 최고의 고유치를 갖는 고유벡터(best eigenvector)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피드백한다. 최선의 고유벡터w(q)는 순시 신호대잡음비를 최대로 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이 최대의 단기 채널 이득을 통해 구할 수 있다. Eigenvalue of instantaneous channel covariance due to fast fading with long term feedback of two eigenbeam vectors Information is fed back so that the best eigenvector among the eigenvectors is selected. The best eigenvectorw (q) is to maximize the instantaneous signal-to-noise ratio, which can be obtained through the maximum short-term channel gain as shown in Equation 4 below.
여기서, 단기 피드백 율은 장기 피드백율에 비해 높지만 단순히개의 고유벡터 중에서 최선의 것을 선택하는 것이므로 정보량은에 불과하다.Here, the short-term feedback rate is higher than the long-term feedback rate, but simply Is to choose the best among the eigenvectors Is nothing.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빔형성 기술을 OFDM 시스템에 적용하는 경우, 각 부반송파가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 상에서 서로 다른 페이딩을 경험하므로 각 부반송파는 서로 다른 빔형성 벡터를 사용할 것이다. 그러므로 서로 다른 빔형성 벡터를 사용하기 위한 피드백 양도 증가하게 된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eamforming technique is applied to the OFDM system, each subcarrier will use a different beamforming vector since each subcarrier experiences different fading on a frequency selective fading channel. Therefore, the amount of feedback for using different beamforming vectors is also increa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먼저 공간 공분산 행렬이 모든 부반송파에 동일하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고유벡터의 피드백량을 줄이고 고유빔형성 기술이 OFDM 시스템에서도 상당히 효과적인 기술임을 보이고자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spatial covariance matrix is the same for all subcarriers,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feedback of the eigenvector and to show that the eigenbeam formation technique is a very effective technique in an OFDM system.
송신안테나 수가 L, 수신안테나 수가 M인 MIMO-OFDM 시스템의 하향링크에서 하나의 이동 단말을 위해 K개의 부반송파가 할당되었다고 가정한다.It is assumed that K subcarriers are allocated for one mobile terminal in downlink of a MIMO-OFDM system having a transmission antenna number L and a reception antenna number M.
OFDM 심볼을라 하고, 가중치 벡터를의 k번째 심볼의 빔형성 벡터라 한다. 그러면 공간 및 주파수영역에서의 송신신호는 다음의 수학식 5와 같다. OFDM symbol , Weight vector To K symbol of This is called the beamforming vector of. Then transmit signal in space and frequency domain Is the same as Equation 5 below.
여기서,는 데이터 심볼들의 대각선행렬로서, 이다.here, Is the diagonal matrix of data symbols, to be.
송신안테나l과 수신안테나m간 채널의 주파수 응답은 다음의 수학식 6과 같다.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channel between the transmit antennal and the receive antennam is shown in Equation 6 below.
여기서,은 송신안테나l과 수신안테나m간의 채널 임펄스 응답 (Channel Impulse Response, CIR)이며, P는 채널 임펄스 응답의 길이 즉, 다중 경로의 수이며, k는 부반송파의 인덱스이다. 채널 임펄스 응답이 평균 0인 임의의 시퀀스이고 다음의 수학식 7을 만족한다고 가정한다.here, Is the channel impulse response (CIR) between the transmitting antennal and the receiving antennam , P is the length of the channel impulse response, that is, the number of multipaths, and k is the index of the subcarrier. Assume that the channel impulse response is any sequence with an average of zero and satisfies the following equation (7).
여기서,이며,는 채널 임펄스 응답의 전력 지연 프로파일(power delay profile)이고,를 나타낸다.here, Is, Is the power delay profile of the channel impulse response, Indicates.
수학식 7에 의해 시간영역에서의 정규화된 공간 공분산 행렬(normalized spatial covariance matrix)는 모든 다중경로에 동일하며 다중 경로 계수들 (multipath coefficients)이 서로 상관성이 없다고 가정할 때, k번째 부반송파에 해당하는 MIMO 채널 행렬은 수학식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Normalized spatial covariance matrix in the time domain by Equation 7 Assuming that the multipath coefficients are the same for all multipaths and that multipath coefficients are not correlated with each other, the MIMO channel matrix corresponding to the k th subcarrier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8).
그러면, 주파수영역에서 채널의 공간 공분산 행렬은 수학식 9로 나타낼 수 있다.Then, the channel in the frequency domain The spatial covariance matrix of may be represented by Equation 9.
이를 수학식 6을 이용하면, 다음의 수학식 10과 같다.Using this equation (6), it is equal to the following equation (10).
수학식 10은 수학식 7의 가정 하에서, 각 부반송파의 채널의 공간 공분산 행렬이 임의의 부반송파k에 독립적이고 항상 동일하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OFDM 시스템은 부반송파마다 각기 다른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을 겪게 되므로 각 부반송파마다 서로 다른 채널 특성을 갖게 되지만, 수학식 6, 7, 10에 의하면 공간 공분산 행렬은 모든 부반송파에 동일하다는 사실을 얻을 수 있다.Since the OFDM system undergoes different frequency selective fading for each subcarrier, each subcarrier has different channel characteristics. However, according to
따라서, 고유빔형성에 필요한 공간 공분산 행렬을 모든 부반송파마다 계산할 필요없이 하나의 부반송파에서만 구함으로써 계산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체 부반송파의 주파수영역과 시간영역을 동시에 이용한 2차원 영역에서 공간 공분산 행렬을 구함으로써 평균하는 시간(averaging length)을 줄여 채널 변화에 더욱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모든 부반송파가 동일한 고유벡터 집합을 공유하므로 피드백 정보량이 상당히 감소하게 되어 단일반송파 시스템의 경우와 같아지므로 OFDM 시스템에서 고유빔형성 기술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calculation amoun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by obtaining the spatial covariance matrix required for eigenbeam formation only from one subcarrier without having to calculate every subcarrier. In addition, by obtaining a spatial covariance matrix in a two-dimensional region using both the frequency domain and the time domain of all subcarriers, the average length can be reduced to more actively respond to channel changes. In addition, since all subcarriers share the same set of eigenvectors, the amount of feedback information is considerably reduced, which is the same as in the case of a single carrier system.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MIMO-OFDM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FDD모드에서 본 발명의 개념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IMO-OFDM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an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FDD mod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MIMO-OFDM 시스템은 K개의 부반송파를 갖는 OFDM시스템으로서, L개의 송신안테나(131a, 131b …,131L)를 갖는 송신부(10), M 개의 수신안테나(231a, 231b …,231M)를 갖는 수신부(20) 및 수신부(20)의 정보를 송신부(10)로 피드백하는 상향링크 피드백장치(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MIMO-OFDM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FDM system having K subcarriers, and includes a
송신부(10)는 직렬/병렬 변환기(S/P변환기)(100), 신호복사기(Copier)(110), 고유모드생성기(Eigenmode generator)(120), 역푸리에변환기(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er)(130a, 130b, …, 130L) 및 송신안테나(131a, 131b,...131L)를 포함한다.The
수신부(20)는 수신안테나(231a, 231b, ..., 231M), 수신안테나 수(M) 만큼의 푸리에변환기 (Fast Fourier Transformer)(230a, 230b, …, 230M), 고유빔 계산기(Eigenbeam Calculator)(220), 심볼검출기 (Detector)(210) 및 병렬/직렬 변환기(P/S 변환기)(200)를 포함한다.The
송신부(10)의 직렬/병렬 변환기(100)는 부반송파의 개수(K) 만큼씩 연속 입력된 심볼들을 K개의 병렬 신호로 바꾸는 장치이며, 신호복사기(110)는 직렬/병렬 변환기(100)에 의해 출력된 K개의 병렬 신호(101a, 101b, …,101K)를 송신안테나 수(L) 만큼 복사하는 장치이다. 즉, 신호복사기(110)로부터 출력되는 복사신호  111a, 111b, …,111L의l번째 신호들은 서로 같다 (l=1,2,…,L).The serial /
고유모드생성기(120)는 수신부(20)의 고유빔계산기(220)로부터 계산되어 상향링크의 피드백장치(40)를 통해 장기 피드백된개의 고유빔형성 벡터(부반송파가 동일한 고유빔형성 벡터 집합을 가짐)와, 상향링크 피드백장치(40)를 통해 단기 피드백된 각 부반송파별 최고의 고유빔형성 벡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각 부반송파별로 상기 신호 복사기(110)로부터 출력된 복사 신호(111a, 111b, …,111L)의 고유빔을 생성하는 장치이다. 다시 말하면, 고유모드생성기(120)는 장기 피드백된개의 고유빔형성 벡터를 이용하여개의 고유모드를 생성하고, 단기 피드백된 최선의 고유빔형성 벡터의 번호에 따라 이미 생성된개의 고유모드 중에 가장 좋은 단 하나의 고유모드를 선택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이때 최선의 고유빔형성 벡터 정보는 코히어런트 시간(coherent time) 내에 피드백되도록 한다.개의 고유모드는 고유빔형성 벡터가 피드백될 때마다 업데이트되며 그 중에서 최선의 고유빔형성 벡터를 단기적으로 선택하게 된다.The
L 개의 역푸리에변환기(130a, 130b, …, 130L)는 각각 K개의 신호를 입력받아 하나의 OFDM 심볼을 생성해 내는 장치이며, 이때, 상기 L개의 역푸리에변환기(130a, 130b, …, 130L)에 의해 생성된 OFDM 심볼들은 모두 동일하다. 역푸리에변환기에 의해 생성된 OFDM 심볼은 대응하는 안테나(130a, 130b, ...130c)를 통해 전송된다.L inverse Fourier transformers (130a, 130b, ..., 130L) is a device for generating one OFDM symbol by receiving each of the K signals, wherein the L inverse Fourier transformers (130a, 130b, ..., 130L) The OFDM symbols generated by are all the same. The OFDM symbol generated by the inverse Fourier transformer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rresponding
수신부(20)의 푸리에변환기(230a, 230b,..,230M)는 M 개의 수신안테나를 통 해 수신된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여 K개의 신호(221a, 221b, …, 221M)를 출력하게 된다. 고유빔계산기(220)는 푸리에변환기(230a, 230b,..,230M)로부터 출력된 상기 신호에 대하여 채널추정을 하여 수학식 2에 의해 순시 채널 공분산과 공간 공분산 행렬을 구하고, 수학식 3을 이용해개의 우세한(dominant) 고유 벡터를 구하는 장치이다. 이 때, 공간 공분산 행렬은 수학식 10에 의해 하나의 부반송파에서만 구하거나, 혹은 전체 부반송파의 주파수영역과 시간영역을 동시에 이용한 2차원 영역에서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순시 채널 공분산은 부반송파별로 구한다. 고유빔 계산기(220)는개의 고유빔형성 벡터중에서 순시 채널 공분산의 최고의 고유치를 갖는 벡터의 번호를 상향링크 피드백 장치(40)로 보낸다.The
심볼검출기(210)는 고유빔계산기(220)에서 얻어진 채널 추정값을 이용하여 송신부(10)의 신호복사기(110)에 입력된 K 심볼들을 동시에 검출해 내는 장치이며, 병렬/직렬 변환기(200)는 이를 직렬 신호로 바꾸는 장치이다.The
상향링크 피드백 장치(40)는 수신부(20)의 고유빔계산기(220)에서 얻어진 고유빔형성 벡터를 장기 피드백하며, 최선의 고유빔형성 벡터의 번호를 단기 피드백하는 장치이다. 수학식 10에 의하면 모든 부반송파가 동일한 고유빔형성 벡터를 공유하므로, 피드백할 때 모든 부반송파를 이용할 필요 없이 하나의 부반송파를 통해 피드백하거나 피드백 정보를 각 부반송파에 나누어 피드백하여 피드백 지연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순시 채널 공분산은 부반송파에 따라 다르므로 전체 부반송파를  통해 피드백해야 한다.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고유빔형성에 필요한 공간 공분산 행렬을 모든 부반송파에서 계산할 필요 없이 하나의 부반송파에서만 구함으로 계산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체 부반송파의 주파수영역과 시간영역을 동시에 이용한 2차원 영역에서 공간 공분산 행렬을 구함으로 평균하는 시간을 줄여 채널 변화에 더욱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특히, 송신기의 고유빔형성을 위한 정보를 수신기로부터 피드백받아야 하는 FDD 모드에서, 모든 부반송파의 고유빔형성 벡터를 피드백할 필요 없이 단 하나의 부반송파의 고유빔형성 벡터만 피드백하면 되므로 장기 피드백 정보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computation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by obtaining the spatial covariance matrix required for the eigenbeam formation from only one subcarrier without having to calculate all subcarriers. In addition, by obtaining a spatial covariance matrix in a two-dimensional region using the frequency domain and the time domain of all subcarriers simultaneously, the average time can be reduced to more actively respond to channel changes. Particularly, in the FDD mode in which information for eigenbeam formation of a transmitter needs to be fed back from a receiver, long-term feedback information is greatly increased because only eigenbeam formation vectors of only one subcarrier need to be fed back without feedback of eigenbeam formation vectors of all subcarriers. Can be reduced.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MIMO-OFDM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TDD(Time Division Duplexing)모드에서 본 발명의 개념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IMO-OFDM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an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time division duplexing (TDD) mode.
도 2를 참조하면, TDD 모드는 채널 상호관계성(channel reciprocity)에 의해 채널 정보를 피드백할 필요가 없으므로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는 달리 기지국송신부에만 초점을 맞춘다.Referring to FIG. 2, since the TDD mode does not need to feed back channel information by channel reciprocity, the TDD mode focuses only on the base station transmitter, unlik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1.
도2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OFDM 시스템은 K개의 부반송파를 갖는 MIMO-OFDM시스템의 송신부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부는 기지국 시스템에 설치된다.2, an OFDM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nsmitter of a MIMO-OFDM system having K subcarriers. And, the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base station system.
도 2을 참조하면, 송신부는(30)는 직렬/병렬 변환기(S/P변환기)(300), 신호복사기(310), 고유빔계산기(320), 고유모드선택기(330), 역푸리에변환기(340a,  340b, …, 340L) 및 L 개의 송신 안테나(341a, 341b …,341L)를 포함하고, 고유빔형성된 신호를 L개의 송신안테나를 통하여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2, the
송신부(30)의 직렬/병렬 변환기(300)는 부반송파의 개수(K) 만큼씩 연속 입력된 심볼들을 K개의 병렬 신호로 바꾸는 장치이며, 신호복사기(310)는 상기된 K개의 병렬 신호(301a, 301b, …,301K)를 송신안테나 수(L) 만큼 복사하는 장치이다.The serial / parallel converter 300 of the
고유빔계산기(320)는 기지국 수신부(도시되지 않음)에서 얻어진 상향링크 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수학식 2에 의해 순시 채널 공분산과 공간 공분산 행렬을 구하고, 공간 공분산 행렬을 수학식 3과 같이 고유분할하여개의 우세한(dominant) 고유빔 벡터를 구하고, 순시 채널 공분산의 고유치를 구하는 장치이다. 이 때, 순시 채널 공분산은 부반송파별로 구하고 공간 공분산 행렬은 수학식 10에 의해 하나의 부반송파에서만 구하거나, 혹은 전체 부반송파의 주파수영역과 시간영역을 동시에 이용한 2차원 영역에서 구한다. 순시 채널 공분산은 코히어런트 시간(coherent time)내에 한번씩 자주 업데이트하는 반면, 공간 공분산 행렬은 평균하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평균하는 시간마다 한번씩 느리게 업데이트한다.The
고유모드선택기(330)는 고유빔계산기(320)에서 얻어진개의 고유빔형성 벡터를 입력받아 순시 채널 공분산이 업데이트될 때마다개중 순시 채널 공분산의 고유치가 가장 큰 단 하나의 고유모드 선택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각 역푸리에변환기(340a, 340b, …, 340L)는 K개의 신호를 입력하여 하나의 OFDM 심볼을 생성해 내는 장치이며 상기 L개의 역푸리에변환기(340a, 340b, …, 340L)에 의해  생성된 OFDM 심볼들은 모두 동일하다.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Example mentioned above, A various other change and a deformation | transformation are possible. For example,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software.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유빔형성 기술을 OFDM 시스템에 적용할 때, 고유빔형성에 필요한 공간 공분산 행렬을 모든 부반송파에서 계산할 필요없이 하나의 부반송파에서만 구함으로 계산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거나, 혹은 전체 부반송파의 주파수영역과 시간영역을 동시에 이용한 2차원 영역에서 공간 공분산 행렬을 구함으로 평균하는 시간을 줄여 채널 변화에 더욱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pplying the eigenbeam formation technique to an OFDM system, the calculation amoun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by finding only one subcarrier without calculating the spatial covariance matrix required for the eigenbeam formation on all subcarriers, Alternatively, the spatial covariance matrix is obtained in a two-dimensional region using both the frequency domain and the time domain of all subcarriers, thereby reducing the averaging time and more actively responding to channel changes.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30098216AKR100594816B1 (en) | 2003-12-27 | 2003-12-27 | MIO-OPEM System with Unique Beam Forming Technology | 
| PCT/KR2004/003065WO2005062729A2 (en) | 2003-12-27 | 2004-11-25 | A mimo-ofdm system using eigenbeamforming method | 
| CN2004800421522ACN1922800B (en) | 2003-12-27 | 2004-11-25 | A MIMO-OFDM system using eigenbeamforming method | 
| US10/584,641US7872963B2 (en) | 2003-12-27 | 2004-11-25 | MIMO-OFDM system using eigenbeamforming method | 
| JP2006546811AJP4425925B2 (en) | 2003-12-27 | 2004-11-25 | MIMO-OFDM system using eigenbeamforming technique | 
| EP04800128AEP1698086A2 (en) | 2003-12-27 | 2004-11-25 | A mimo-ofdm system using eigenbeamforming method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30098216AKR100594816B1 (en) | 2003-12-27 | 2003-12-27 | MIO-OPEM System with Unique Beam Forming Technology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67335A KR20050067335A (en) | 2005-07-01 | 
| KR100594816B1true KR100594816B1 (en) | 2006-06-30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30098216AExpired - LifetimeKR100594816B1 (en) | 2003-12-27 | 2003-12-27 | MIO-OPEM System with Unique Beam Forming Technology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594816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594817B1 (en)* | 2003-12-27 | 2006-06-30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MIO-OPEM system and beamforming method using inherent beam forming technology | 
| KR100749451B1 (en) | 2005-12-02 | 2007-08-14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smart antenna beam in ODF base station system | 
| KR101338975B1 (en)* | 2006-11-14 | 2013-12-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 
| KR101375916B1 (en)* | 2007-06-08 | 2014-03-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precoding data signal in communication system | 
| US8169950B2 (en) | 2007-06-21 | 2012-05-01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Selection of orthogonal covering sequences and phase ramped sequences | 
| KR101234245B1 (en)* | 2011-05-31 | 2013-02-18 | 한국과학기술원 | The Compatibility of Linear Precoder for Blind Channel Estimation and Capacity Optimal Linear Precoder based on MIMO-OFDM System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131016A (en) | 1997-08-27 | 2000-10-10 | At&T Corp |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communication reception at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30033601A (en)* | 2001-10-24 | 2003-05-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having transmitting/receiving multiantenna | 
| KR20030059374A (en)* | 2001-12-29 | 2003-07-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having transmitting/receiving mutiantenna | 
| KR20030080593A (en)* | 2002-04-09 | 2003-10-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having transmitting/receiving multiantenna | 
| KR20050067336A (en)* | 2003-12-27 | 2005-07-0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A mimo-ofdm system using eigenbeamforming technology and eigenbeamforming method in the sam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131016A (en) | 1997-08-27 | 2000-10-10 | At&T Corp |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communication reception at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30033601A (en)* | 2001-10-24 | 2003-05-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having transmitting/receiving multiantenna | 
| KR20030059374A (en)* | 2001-12-29 | 2003-07-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having transmitting/receiving mutiantenna | 
| KR20030080593A (en)* | 2002-04-09 | 2003-10-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having transmitting/receiving multiantenna | 
| KR20050067336A (en)* | 2003-12-27 | 2005-07-0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A mimo-ofdm system using eigenbeamforming technology and eigenbeamforming method in the same | 
| Title | 
|---|
| 1020050067336 *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67335A (en) | 2005-07-01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872963B2 (en) | MIMO-OFDM system using eigenbeamforming method | |
| EP1423926B1 (en) | A closed-loop signaling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transmit beams and correspondingy adapted transceiver device | |
| KR101478843B1 (en) |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coordinated multi-cel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 KR10100981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pace-division multiple access | |
| US8098616B2 (en) |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 |
| US7684761B2 (en) | Closed-loop signalling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transmit beams and correspondingly adapted transceiver devices | |
| KR101065897B1 (en)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 |
| KR101023366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 receiving signals in a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beamforming method | |
| US20090080560A1 (en) | Closed-loop beamforming weight estimation in frequency division duplex systems | |
| US7729442B2 (en) |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 |
| US8175184B2 (en) | Method for transmitting beam forming information and a method for tracking position of a mobile station in multi input multi output system using codebook-based beam forming scheme | |
| CN101617522B (en) |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beamformed channels in a multi-input multi-output network | |
| KR20050109789A (en) | Beamforming method for sdm/mimo system | |
| WO2010002491A1 (en) | Beamforming weight generation f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 | |
| KR2012005569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keeping the precoding channel coherency in a communication network | |
| KR100809016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by Using Multiple Antenna Transmission Techniques Combined Beam Forming, MIMO and Diversity | |
| KR100594817B1 (en) | MIO-OPEM system and beamforming method using inherent beam forming technology | |
| US7876715B1 (en) | Beamforming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wireless techniques using spatial decomposition for frequency division duplex systems | |
| KR100594816B1 (en) | MIO-OPEM System with Unique Beam Forming Technology | |
| KR20090043174A (en) | Transmission data generation method using precoding, transmission data generation method, generated transmission data reception method, and transmission device | |
| KR101092831B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multiple eigen-beamforming in multiple antenna systems | |
| Kudo et al. | Novel downlink beamforming method using selective STBC with common eigenvectors for MIMO-OFDM systems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031227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040211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031227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060117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06062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060622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060623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090602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00601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10609 Start annual number:6 End annual number: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20611 Start annual number:7 End annual number: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30527 Year of fee payment: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30527 Start annual number:8 End annual number: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40529 Year of fee payment: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40529 Start annual number:9 End annual number: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50527 Year of fee payment: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50527 Start annual number:10 End annual number:1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60527 Year of fee payment: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60527 Start annual number:11 End annual number:1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70529 Year of fee payment: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70529 Start annual number:12 End annual number:12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90527 Year of fee payment:1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90527 Start annual number:14 End annual number:1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00525 Start annual number:15 End annual number:1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10525 Start annual number:16 End annual number:1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11125 Start annual number:17 End annual number:1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30523 Start annual number:18 End annual number:18 |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date:20240627 Termination category:Expiration of du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