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0582046B1 - Paper backing and adhesive sheet using it - Google Patents

Paper backing and adhesive sheet us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046B1
KR100582046B1KR1020007011971AKR20007011971AKR100582046B1KR 100582046 B1KR100582046 B1KR 100582046B1KR 1020007011971 AKR1020007011971 AKR 1020007011971AKR 20007011971 AKR20007011971 AKR 20007011971AKR 100582046 B1KR100582046 B1KR 100582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layer
backing
paper layer
mixing ratio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9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43089A (en
Inventor
사카키바라마코토
Original Assignee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filedCritical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10043089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010043089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046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0582046B1/en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Expired - Lifetime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특히 접착 시이트 제조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2차 층 지지용 종이 백킹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중층 종이 구조를 보유한 종이 백킹은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은 각각 목재 펄프 및 단섬유로부터 제조되며 제1 및 제2 종이층내 목재 펄프에 대한 단섬유의 혼합 비율이 상이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in particular to a paper backing for secondary layer support which can advantageously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adhesive sheets. The paper backing having the double layer pap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paper layer and a second paper layer, wherein 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second paper layer are made from wood pulp and short fibers,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papers. The mixing ratio of short fibers to the layered wood pulp is different.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종이 백킹 및 이를 사용한 접착 시이트{PAPER BACKING AND ADHESIVE SHEET USING THE SAME}Paper backing and adhesive sheet using the same {PAPER BACKING AND ADHESIVE SHEE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종이 백킹, 더욱 구체적으로는 2차 층을 지지하는 종이 백킹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2차 층"이란 종이 백킹에 의해 그 종이 백킹상에 지지시키고자 하는 층, 또는 달리 말하면 종이 백킹상에 부가적으로 또는 부수적으로 형성시키고자 하는 층을 의미한다. 예로서 각종 유형의 층 또는 필름, 예컨대 접착제층, 코팅층 또는 잉크층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이 백킹의 용도,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종이 백킹을 사용한 접착 시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접착 시이트는, 특히 이 시이트를 마스킹 재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수동 인열성(hand-tearability)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소정의 형상으로 찢어서 적당한 마스킹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 후, 인할, 파단 또는 슬리버링(slivering)을 수반하지 않고 1회 조작으로 깨끗하게 박리할 수 있다. 또한, "수동 인열성"이란 종이 백킹을 손으로 인열시키는 경우 소정의 인열선을 따라 잘 인열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예컨대 종이층의 상층과 하층 사이에서 분리가 일어나서, 상층만이 인열되고 하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남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aper backing, and more particularly to paper backing supporting the secondary layer. By "secondary layer" is meant herein a layer to be supported on the paper backing by means of paper backing, or in other words a layer to be additionally or incidentally formed on the paper backing. Examples include various types of layers or films, such as adhesive layers, coating layers or ink lay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use of the paper back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dhesive sheet using the paper back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when the sheet is used as a masking material, th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ropriately masked by tearing to a predetermined shape without impairing hand-tearability. In addition, after use, it can be peeled off cleanly by one operation, without cutting, breaking, or slivering. In addition, "manual tearing" means that the paper backing can be teared well along a predetermined tear line when tearing the paper by hand, and thus, for example, separation occur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s of the paper layer, so that only the upper layer is teared. And the lower layer does not have at least partially remaining problems.

종래, 접착 시이트로서 사용하기 위한 각종 제품이 제안되어 있으며, 시판되고 있다. 유사하게, 접착 시이트내 접착제층을 지지하는 백킹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각종 유형의 백킹이 알려져있다. 여러 종류의 백킹 중에서, 접착 시이트를 특정 목적을 위해 피착체에 부착한 다음 그 목적을 달성한 후 접착 시이트를 박리하는 경우, 고해(叩解)된 목재 펄프 및 합성 단섬유 등을 혼합한 후 부틸 고무 등과 같은 합성 고무의 균일한 함침 고정에 있어서 다공성 백킹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다공성 백킹에서는, 합성 고무 함량이 너무 낮으면 접착 시이트의 박리시 백킹 강도가 접착 강도를 이겨낼 수 없어, 그 결과 인열 또는 파단 문제가 초래된다. 역으로, 합성 고무 함량이 너무 높은 경우, 물리적 강도가 개선되어 상기 문제는 해소되더라도, 테이프가 들어올려지는 형태의 새로운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Conventionally, various products for use as an adhesive sheet have been proposed and are commercially available. Similarly, various types of backings are known for use as a backing for supporting an adhesive layer in an adhesive sheet. Among various kinds of backing, when the adhesive sheet is attached to the adherend for a specific purpose and then peeling the adhesive sheet after achieving the purpose, the butyl rubber after mixing the hardened wood pulp and synthetic short fibers, etc. Porous backings are commonly used for uniform impregnation fixing of synthetic rubbers, and the like. However, in this type of porous backing, if the synthetic rubber content is too low, the backing strength at peeling off of the adhesive sheet cannot withstand the adhesive strength, resulting in tearing or breaking problems. Conversely, if the synthetic rubber content is too high, a new problem in the form of lifting the tape may result, although the physical strength is improved so that the problem is solved.

일본 특허 제2589357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접착 시이트용 다공성 백킹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한 다공성 백킹에 관한 것이다. 이 다공성 백킹에서, 제1층 면과 제2 표면층 면의 섬유상 물질 밀도가 다르며, 제1 표면층 면이 제2 표면층 면보다 섬유상 물질 밀도가 더 큰 섬유상 물질로 구성된 다공성 조직 재료내에 고무 및/또는 합성 수지를 함침시키고, 함침된 양은 제2 표면층 면보다 제1 표면층 면상에서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다공성 백킹이 접착 시이트에 사용되는 경우, 제1 표면층 면의 고무 등의 함침량이 제2 표면층 면보다 크기 때문에, 물리적 강도를 개선시킬 수 있으며, 제2 표면층 면의 존재로 인하여 강성이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시이트 접착 과정에서 피착체에 대한 접착 시이트의 정합성은 개선되며, 들림 현상없이 접착 시이트를 도포할 수 있고, 슬리버링 또는 파단 없이 접착 시이트를 박리할 수 있다.Japanese Patent No. 2589357 relates to the porous backing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orous backing for the adhesive sheet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n this porous backing, the rubber and / or synthetic resin in a porous tissue material composed of a fibrous material of different fibrous material density o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 layer faces, wherein the first surface layer face is made of a fibrous material having a higher density of fibrous material than the second surface layer face. Impregnated, and the impregnated amount is more on the first surface layer side than on the second surface layer side. When this porous backing is used for the adhesive sheet, since the impregnation amount of rubber or the like on the first surface layer surface is larger than that on the second surface layer surface, physical strength can be improved, and the rigidity is suppressed due to the presence of the second surface layer surface. As a result, the conformity of the adhesive sheet to the adherend in the sheet bonding process is improved, the adhesive sheet can be applied without lifting, and the adhesive sheet can be peeled off without sleeving or breaking.

그러나, 일본 특허 제2589357호에 개시된 다공성 백킹의 경우에, 강도 증가에 해당하는 제1 표면층 면의 고무 등의 함침량을 증가시켜 물리적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시이트의 인열 및 파단을 방지할 수 있지만, 시이트를 손으로 쉽게 인열할 수 없다는 단점이 초래된다. 다시 말하면, 이 시이트는 수동 인열성이 불량한 단점이 있다. 손으로 쉽게 접착제 테이프를 인열시킬 수 있다는 것은 접착 작업성, 용이한 취급성 등의 측면에서 대단히 중요한 특성이다.In the case of the porous backing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2589357, however, tearing and breaking of the sheet can be prevent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impregnation of rubber or the like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layer corresponding to the increase in strength to improve physical strength. The disadvantage is that it cannot be easily torn by hand. In other words, this sheet has a disadvantage of poor passive tearability. The ability to tear the adhesive tape easily by hand is a very important characteristic in terms of adhesive workability, easy handling, and the like.

또한, 일본 특허 제2589357호에 개시된 다공성 백킹에서, 상기 다공성 백킹을 구성하는 다공성 박엽재료의 제1 표면층 면은 섬유상 물질 밀도가 제2 표면층 면보다 높은 섬유상 물질(즉, 크래프트 종이, 크레이프 종이 또는 일본 종이, 바람직하게는 고해된 목재 펄프 및 합성 단섬유의 혼합물로 구성된 일본 종이)로부터 형성되지만, 이러한 종류의 섬유상 물질에서 목재 펄프 및 합성 단섬유의 혼합 비율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경우 일부 문제를 피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접착제층을 다공성 백킹의 한면에 도포하고 이를 접착 시이트로서 사용하는 경우, 백킹 중 목재 펄프에 대한 합성 단섬유의 혼합 비율이 너무 낮으면, 생성 백킹은 물리적 강도가 부족하여 접착 시이트를 박리할 때 피착체에 대한 접착제층의 접착 강도가 백킹 자체의 강도보다 커서 접착 시이트의 인열 및 파단이 발생되고, 접착 시이트가 바람직하게 박리되지 못하게 한다. 역으로, 합성 단섬유의 혼합 비율이 너무 크면, 인열 강도 향상으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 시이트내 인열 및 파단 문제는 해결할 수 있지만, 동시에 손으로 접착 시이트를 인열시키거나 절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 작업성의 저하를 의미하는 "수동 인열성" 저하 등의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Further, in the porous backing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2589357, the first surface layer face of the porous thin material constituting the porous backing is a fibrous material having a higher density of fibrous material than the second surface layer face (ie kraft paper, crepe paper or Japanese paper). , Preferably a Japanese paper composed of a mixture of beaten wood pulp and synthetic short fibers), but some problems cannot be avoided if one wants to change the mixing ratio of wood pulp and synthetic short fibers in this kind of fibrous material. . For example, if an adhesive layer is applied to one side of a porous backing and used as an adhesive sheet, if the mixing ratio of the synthetic short fibers to wood pulp during the backing is too low, the resulting backing may lack physical strength to form an adhesive sheet. When peeling off,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layer to the adherend is greater than that of the backing itself so that tearing and breaking of the adhesive sheet occur, and the adhesive sheet is not preferably peeled off. Conversely, if the mixing ratio of the synthetic short fibers is too large, the problems of tearing and breaking in the adhesive sheet can be solved 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improvement in tear strength, but at the same time, it is difficult to tear or cut the adhesive sheet by hand. Therefore, a new problem such as "passive tearing", which implies a decrease in adhesion workability, occurs as described above.

발명의 개요Summary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접착 시이트의 백킹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수동 인열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인열 또는 절단할 수 있고, 접착 시이트의 사용 후에 슬리버링 또는 파단을 수반하지 않고 깨끗하에 박리될 수 있는 개선된 백킹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마스킹 재료로서 유용하게 사용가능한 개선된 접착 시이트를 제공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ed as a backing of an adhesive sheet, to provide improved backing that can tear or cut without compromising passive tearability and that can be peeled off cleanly without involving sleeving or breaking after use of the adhesive sheet. To provid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improved adhesive sheet which can be usefully used as a masking material.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을 포함하는 이중층 종이 구조를 갖는 2차 층을 지지하는 종이 백킹이 제공되며, 상기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은 각각 목재 펄프 및 단섬유로부터 제조되며,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은 목재 펄프에 대한 단섬유의 혼합 비율에서 차이가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per backing for supporting a secondary layer having a double-layer paper structure comprising a first paper layer and a second paper layer, wherein 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second paper layer are each made of wood. Prepared from pulp and short fibers, 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second paper layer differ in the mixing ratio of short fibers to wood pulp.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종이 백킹과 이의 표면 중 하나에 제공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접착 시이트가 제공되며, 상기 종이 백킹은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을 포함하는 이중층 종이 구조를 갖고,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은 각각 목재 펄프 및 단섬유로부터 제조되며,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은 목재 펄프에 대한 단섬유의 혼합 비율에서 차이가 나며, 제1 종이층의 표면에 제공된 접착제층은 목재 펄프에 대한 단섬유의 혼합 비율이 상기 제2 종이층의 목재 펄프에 대한 단섬유의 혼합 비율보다 크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dhesive sheet comprising a paper backing and an adhesive layer provided on one of the surfaces thereof, the paper backing having a double layer paper structure comprising a first paper layer and a second paper layer. 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second paper layer are made from wood pulp and short fibers, respectively, and 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second paper layer differ in the mixing ratio of short fibers to wood pulp. The adhesive layer provided on the surface has a mixing ratio of short fibers to wood pulp greater than a mixing ratio of short fibers to wood pulp of the second paper layer.

본 발명에 따른 접착 시이트에서, 상기 종이 백킹은, 종이 백킹 전체를 함침시킨 고무 및/또는 합성 수지 외에도, 제1 종이층의 대향면에 배치된 제2 종이층의 표면상에 상부 코팅층을 갖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 시이트는 마스킹 재료로서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per backing may have a top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paper layer dispos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paper layer, in addition to the rubber and / or synthetic resin impregnated with the entire paper backing. desirabl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sheet can be particularly usefully used as a masking material.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종이 백킹은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 사이에서, 각각 종이층을 구성하는 목재 펄프 및 단섬유 중 단섬유의 혼합 비율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단섬유의 "혼합 비율"이란 종이가 목재 펄프 및 단섬유로부터 제조되는 경우 펄프액내 함유된 종이 섬유 대 목재 펄프의 혼합 비율을 의미하는 것이다. 종이는, 고해된 목재 펄프에 물을 첨가한 후 반죽(gruel)을 형성하는 단계, 단섬유를 첨가하여 펄프액을 만드는 단계, 및 제지기를 사용하여 펄프액을 종이로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으로 목재 펄프 및 단섬유로부터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을 포함하는 종이 백킹을 특징으로 하며, 이 때 제1 종이층은 현재 1 개의 종이층인 제2 종이층보다 섬유 혼합 비율이 더 크다.As described above, the paper back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xing ratio of the short fibers among the wood pulp and the short fibers constituting the paper layer, respectively, between 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second paper layer. Here, the "mixing ratio" of short fibers refers to the mixing ratio of paper fibers to wood pulp contained in the pulp liquid when the paper is made from wood pulp and short fibers. Paper is a process comprising the steps of adding water to the beaten wood pulp to form a dough, adding short fibers to make pulp liquid, and using a paper machine to make the pulp liquid into paper. Are made from wood pulp and short fibers. The present invention also features a paper backing comprising a first paper layer and a second paper layer, wherein the first paper layer has a greater fiber mixing ratio than the second paper layer, which is currently one paper layer.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을 수행하는 바람직한 방식을 하기에 설명한다.Preferred ways of carrying out the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종이 백킹은 특히 2차 층을 지지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종이 백킹은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을 포함하는 이중층 종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은 목재 펄프와 단섬유로 제조되며,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은 단섬유와 목재 펄프의 혼합 비율에서 차이가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paper back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ecifically designed to support the secondary layer. Therefore, the paper back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double-layer paper structure comprising a first paper layer and a second paper layer, 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second paper layer is made of wood pulp and short fibers, 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second paper layer differ in the mixing ratio of short fibers and wood pulp.

제1 종이층 및 제2 종이층 각각에서, 제1 혼합 성분으로서 사용된 목재 펄프는 제지 분야에서 제지 원료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목재 펄프일 수 있으며, 보통 고해된 목재 펄프이다.In each of 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second paper layer, the wood pulp used as the first blending component may be wood pulp commonly used as a paper stock in the papermaking field, and is usually a hardened wood pulp.

또한, 제2 혼합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단섬유는 유사하게 제지 분야에서 제지 원료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단섬유일 수 있으며, 각종 유형의 천연 또는 합성 단섬유를 포함한다. 적절한 단섬유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합성 단섬유, 예를 들면 "비닐론"이라는 일반명으로 불리우는 폴리비닐 알코올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예컨대 이.아이. 듀퐁(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톤에 소재)에서 상표명 "나일론"으로 시판되는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및 폴리아크릴로 니트릴; 반합성 단섬유, 예를 들면 셀룰로스; 재생형 단섬유, 예컨대 레이온; 천연 단섬유, 예를 들어 인피, 종자모, 잎맥, 과실, 모피 및 석면; 및 무기 단섬유, 예컨대 유리 및 금속 등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종이 백킹을 제조하는 경우, 합성 단섬유는 제2 혼합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단섬유의 길이는 약 3∼2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hort fibers used as the second mixed component may similarly be short fibers conventionally used as a papermaking raw material in the papermaking field, and include various types of natural or synthetic short fibers. Non-limiting examples of suitable short fibers include synthetic short fibers such as polyvinyl alcohol fibers, polyamide fibers such as E.I. Polyamide fibers, polyesters, polyethylenes, polypropylenes, polyurethanes, polyvinyl chlorides, polyvinylidene chlorides and polyacrylonitriles sold under the name "nylon" by DuPont (Wilmington, Delaware); Semisynthetic short fibers such as cellulose; Regenerated short fibers such as rayon; Natural short fibers such as bast, seed hair, leaf veins, fruit, fur and asbestos; And inorganic short fibers such as glass and metal. In particular, when producing the paper back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advantageous to use synthetic short fibers as the second mixed component. Typically, the length of the short fibers is preferably about 3-20 mm.

보통, 목재 펄프 및 단섬유로 형성된 제1 및 제2 종이층에서, 목재 펄프에 대한 단섬유의 혼합 비율은 약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Usually, in the first and second paper layers formed of wood pulp and short fibers, the mixing ratio of short fibers to wood pulp is preferably about 50% or less.

또한, 본 발명의 종이 백킹에 있어서, 2개의 종이층의 각 혼합 비율은 동일하지 않다. 2개 층에서의 혼합 비율의 차이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그 차이는, 예컨대 몇 % 정도로 작을 수도 있다, 또는, 약 20∼30%로 클 수도 있다. 그러나, 2층 사이의 혼합 비율의 차이가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불량한 수동 인열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혼합 비율의 차이를 50% 미만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종이 백킹을 마스킹용의 접착 시이트의 제조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생성된 접착 시이트를 피착체에 도포한 후 박리시에 발생하는 인열(통상적으로 "슬리버링"으로 알려져 있음)에는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 사이의 혼합 비율의 차이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합 비율을 크게 증가시키거나, 제1층과 2차 층 사이에서 혼합 비율을 역전시킨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슬리버링이 악화된다. 과거에는, 슬리버링을 억제하기 위해서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을 구별하지 않고 전체 종이층의 혼합 비율을 증가시켰다.In addition, in the paper backing of this invention, each mixing ratio of two paper layers is not the same.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difference in mixing ratio in the two layers. The difference may be as small as a few%, for example, or as large as about 20 to 30%. However, when the difference in the mixing ratio between the two layers exceeds 50%, poor manual tearing may occur, so it is usually preferable to make the difference in the mixing ratio less than 50%.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paper back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sed for the manufacture of the adhesive sheet for masking, there is a tear (commonly known as "sleeving") that occurs during peeling after applying the resulting adhesive sheet to the adherend. Differences in the mixing ratio between 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second paper layer can affect. For example, even when the mixing ratio is greatly increased or the mixing ratio is reversed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ary layer, slivering is generally worsened. In the past, to suppress slivering, the mixing ratio of the entire paper layer was increased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본 발명에서,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 사이의 혼합 비율의 차이는 각 종이층의 제조 단계에서 최종으로 목적하는 혼합 비율을 고려하여 목재 펄프 및 단섬유의 혼합 비율을 변경하여 실현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in the mixing ratio between 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second paper layer is realized by changing the mixing ratio of wood pulp and short fibers in consideration of the final mixing ratio desired in the manufacturing step of each paper layer.

본 발명의 종이 백킹이 특히 접착제 층을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즉 본 발명의 종이 백킹을 사용하여 접착 시이트를 제조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제1 종이층에서 단섬유의 혼합 비율이 최대이고, 접착제층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1 종이층의 표면에 제공된다.When the paper backing of the invention is used in particular to support the adhesive layer, i.e. when producing the adhesive sheet using the paper backing of the invention, preferably the mixing ratio of short fibers in the first paper layer is maximum, and the adhesive The layer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paper layer as described below.

통상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종이층을 함께 생성하여 이중층 조합 구조를 제조하는 것은, 예를 들어 판지의 제조시 사용되는 장치, 예컨대 다중층 성형기를 사용하는 제지 방법에 따라서 제1 및 제2 종이층을 별도로 제조한 후에 양자의 계면을 인식할 수 없는 정도로 제1 종이층 및 제2 종이층을 일체형으로 조합하여 유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종이 백킹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의 기본 중량(g/m2)을 조정하여 제1층 대 2차 층의 기본 중량비가 95:5 내지 5:95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본 중량비를 조정한 종이 백킹은 인열 강도, 파단 강도 및 층간 강도를 비롯하여 제1 종이층의 물리적 강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Typically, as described above, producing the first and second paper layers together to produce a double layer combination structure is, for example, the first according to a papermaking method using an apparatus used in the manufacture of cardboard, such as a multilayer molding machine. And after the second paper layer is manufactured separately, 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second paper layer can be advantageously combined to an extent such that the interface between the two can not be recognized. Further, in manufacturing the paper back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manner, the basis weight ratio of the first layer to the second layer is adjusted to 95: 5 by adjusting the basis weight (g / m2 ) of 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second paper layer. To 5:95. Paper backing in which the basis weight ratio is adjusted in this manner can improve the physical strength of the first paper layer, including tear strength, breaking strength and interlaminar strength.

본 발명의 종이 백킹은 각종 추가층을 지지하는 제품의 제조에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접착 시이트의 제조시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접착 시이트는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종이 백킹을 이의 표면 중 하나에 제공된 접착제층과 함께 포함하는 구성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접착제층은 제2 종이층과 비교하여 목재 펄프에 대한 단섬유의 혼합 비율이 더 큰 제1 종이층의 표면상에 제공된다. 상기 접착 시이트에서 종이 백킹의 두께, 그 상부의 접착제층의 두께, 접착제 종류 등은 본 기술 분야의 전문가들에게는 모두 공지된 것이거나, 또는 물품의 최종 용도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착 시이트는 접착제층의 대향면 또는 접착제 층과 동일한 면에 있는 또 다른 층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층의 예로는 박리층이 있다.The paper back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ly used for the production of products supporting various additional layers, and may be particularly advantageous for use in the production of adhesive sheets. The adhesive sheet typically has a configuration comprising the paper back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n adhesive layer provided on one of its surfaces, preferably the adhesive layer has a mixing ratio of short fibers to wood pulp as compared to the second paper layer. It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arger first paper layer. The thickness of the paper backing in the adhesive sheet,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thereon, the type of adhesive, etc. are a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r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end use of the article. Th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have another layer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dhesive layer or on the same side as the adhesive layer. An example of such a layer is a release layer.

본 발명의 접착 시이트는 특히 도장 작업 등에서 마스킹 재료로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용도를 위해서, 종이 백킹은 추가로 종이 백킹에 함침시킨 수분산형 함침제, 바람직하게는 고무, 합성 수지 또는 이의 조합물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수분산형 함침제를 포함하고, 제1 종이층의 대향면에 위치한 제2 종이층의 표면상에 상부 코팅층을 보유하는 것이 유리하다.Th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vantageously used as a masking material, particularly in painting operations. In addition, for this use, the paper backing further comprises a water dispersible impregnant impregnated in the paper backing, preferably a water dispersible impregnant containing rubber, synthetic resin or a combination thereof as the main component, the first paper layer It is advantageous to have a top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paper layer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본 발명의 접착 시이트 제조시 수분산형 함침제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고무의 예로는 천연 고무, 합성 이소프렌 고무, 부틸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및 아크릴 고무 등이 있다. 또한, 유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합성 수지의 예로는 아크릴 수지 등이 있다. 이들 함침제의 바람직한 함침량은,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한 경우, 통상적으로 1∼30 g/m2, 바람직하게는 5∼20 g/m2이다. 종이 백킹내 함침제의 함침량이 1 g/m2미만인 경우, 섬유의 결속이 불충분하여 마스킹용 접착 시이트의 백킹으로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종이 백킹이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 사이에서 인열되어, 일부 층(들)이 잔존하여 종이 백킹이 다시 박리될 수 없게 한다. 반대로, 함침제의 함침량이 30 g/m2를 초과하는 경우, 백킹의 강성이 과도하게 강해지기 때문에 인열 강도가 저하되고 그 결과 단섬유의 첨가 효과가 소실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백킹은 종이를 주체로 한 수지 필름이 되어 버린다. 상기 함침제의 종이 백킹에 대한 적용은 각종 기법, 바람직하게는 코팅법, 사이즈 가압법 및 침지법 등으로 수행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rubber that can be usefully used as the water-dispersible impregnating agent in the production of th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natural rubber, synthetic isoprene rubber, butyl rubber, styrene butadiene rubber, acrylic rubber, and the like. In addition, examples of the synthetic resin that can be used similarly include acrylic resins. Preferred impregnation amounts of these impregnants are usually 1 to 30 g / m2 , preferably 5 to 20 g / m2 , based on the solid content. If the impregnating amount of the impregnating agent in the paper backing is less than 1 g / m2 , the binding of the fiber is insufficient and it cannot be used as the backing of the adhesive sheet for masking. In addition, the paper backing is torn between 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second paper layer so that some layer (s) remain to prevent the paper backing from peeling back. On the contrary, when the impregnation amount of the impregnating agent exceeds 30 g / m2 , since the rigidity of the backing becomes excessively strong, the tear strength is lowered, and as a result, the effect of adding short fibers can be lost. In other words, the backing becomes a resin film mainly composed of paper. Application of the impregnant to the paper backing can be carried out by various techniques, preferably coating, size pressing and dipping.

제2 종이층의 표면에 도포하고자 하는 상부 코팅층은 각종 상부 코팅제로부터 형성할 수 있다. 상부 코팅제의 바람직한 예로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 및 폴리아크릴 에멀젼 등이 있으며, 각종 코팅 방법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top coating layer to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econd paper layer may be formed from various top coating agents. Preferred examples of the top coating agent include polyvinylacetate emulsion and polyacrylic emulsion, and various coating methods can be advantageously used.

전술한 방식으로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을 조합하고, 고무 및/또는 합성 수지로 함침하여 제조한 종이 백킹을 사용하여 마스킹용 접착 시이트를 제조하는 것은 각종 절차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이 백킹의 제2 종이층 표면에 상기 언급한 상부 코팅제를 먼저 도포하여 상부 코팅층을 형성한 다음, 그 층의 상부에 규소 수지 또는 장쇄 알킬 에스테르 수지와 같은 약한 접착제 물질의 층을 이면 처리제의 형태로 제공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종이 백킹의 표면 중 제1 종이층의 표면(제2 종이층과 접촉하지 않는 표면)에 전술한 바와 같은 천연 고무 또는 아크릴 고무 등의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Combining 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second paper layer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and manufacturing the adhesive sheet for masking using a paper backing prepared by impregnation with rubber and / or synthetic resin can be carried out according to various procedures. However, the above-mentioned top coating agent is first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econd paper layer of the paper backing to form a top coating layer, and then a layer of a weak adhesive material such as a silicon resin or a long chain alkyl ester resin is formed on top of the layer. It is preferable to provide by form and to implement. Next, an adhesive layer is formed by applying a commonly used adhesive such as natural rubber or acrylic rubber as described above to the surface of the first paper layer (the surface which is not in contact with the second paper layer) among the surfaces of the paper backing. Can be.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종이 백킹의 제조Manufacture of paper backing

20 중량%(총량 기준)의 폴리비닐 알코올(비닐론) 단섬유(길이: 대략 3∼20 mm, 일본 쿠라레에서 시판)를 고해된 목재 펄프와 혼합하여 펄프 반죽을 제조한 후, 제지 기계를 사용하여 기본 중량이 20 g/m2인 종이로 만들어 제1 종이층을 제조하였다. 또한, 비닐론 단섬유를 혼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유사한 절차를 반복하여 기본 중량이 20 g/m2인 제2 종이층을 얻었다. 그 다음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을, 다층 성형기를 사용하는 제지 방법으로 양 종이층의 계면이 구별되지 않을 정도의 일체형으로 조합하여 일본 종이의 외관을 보유하고 기본 중량이 40 g/m2인 종이 백킹을 제조하였다. 고체 부분의 함침량이 5 g/m2가 되는 조건하에서 생성된 종이 백킹을 통해 아크릴 수지 에멀젼 형태의 함침제로 함침시켰다. 이러한 방식으로 얻은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의 수동 인열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종이 백킹의 종방향 및 횡방향의 인열 강도를 일본 산업 기준 JIS P8116에 명기된 절차에 따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1에 제시되어 있다.Pulp dough is prepared by mixing 20% by weight of polyvinyl alcohol (vinyllon) short fibers (length: approximately 3-20 mm, commercially available from Kurare, Japan) with beaten wood pulp and then using a paper machine. The first paper layer was prepared by making a paper having a basis weight of 20 g / m2 . In addition, a similar procedure was repeated except that no vinylon short fibers were mixed to obtain a second paper layer having a basis weight of 20 g / m2 . Then, 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second paper layer are combined in an integral form such that the interface between the two paper layers is not distinguished by a papermaking method using a multilayer molding machine to retain the appearance of Japanese paper, and the basis weight is 40 g / m.A paper backing oftwo was prepared. It was impregnated with an impregnating agent in the form of an acrylic resin emulsion through a paper backing produced under conditions where the solid part was impregnated to 5 g / m2 . In order to evaluate the manual tearability of the acrylic resin impregnated paper backing obtained in this manner, the tear strength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of the paper backing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specified in Japanese Industrial Standard JIS P8116. Th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접착제 테이프의 제조Manufacture of adhesive tape

아크릴 감압 접착제인 마스킹용 아크릴 접착제(제품명 MT TACK5268ER, 일본 미츠이 케미칼에서 시판)를 전술한 단계에서 제조된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의 제1 종이층(비닐론 단섬유 함유)의 표면에 도포하여 필름 두께가 30 ㎛인 접착제 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인 스미카플렉스(등록 상표명, 일본 스미토모 케미칼에서 시판)를, 비닐론 단섬유를 함유하지 않는 제2 종이층의 표면에 3 g/m2의 덮힘량으로 도포하고 건조하였다. 장쇄 알킬 아크릴 수지(분리 촉진제)를 상기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의 상부에 덮힘량 0.05 g/m2로 도포하고 건조하였다. 결과적으로, 종이 백킹의 한면에 접착제층을 갖는 접착제 테이프를 얻었다.Masking acrylic adhesive (product name MT TACK5268ER, commercially available from Mitsui Chemicals, Japan),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wa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first paper layer (containing vinylon short fibers) of the acrylic resin-impregnated paper backing prepared in the above-mentioned steps. An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30 μm was formed. Furthermore, Sumicaplex (registered trademark, commercially available from Sumitomo Chemical, Japan), which is a polyvinylacetate emulsion, wa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econd paper layer containing no vinylon short fibers in a coating amount of 3 g / m2 and dried. A long chain alkyl acrylic resin (separation accelerator) was applied on the top of the polyvinylacetate emulsion with a covering amount of 0.05 g / m2 and dried. As a result, an adhesive tape having an adhesive layer on one side of the paper backing was obtained.

생성된 접착제 테이프의 슬리버링 내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5개의 알루미늄 패널(30 mm 폭 ×100 mm 길이)을 JIS Z2307 절차에 따라 제조한 후, 15 mm 폭으로 측정되는 소폭의 스트립으로 절단한 접착제 테이프 조각을 각 알루미늄 패널에 고정하였다. 그 다음, 하중 2 kg의 롤러를 300 mm/분의 속도로 접착제 테이프상에서 전후로 통과시켰다. 롤러에 의해 가해진 압력으로 인해 접착제 테이프가 알루미늄 패널에 완전히 부착된 후에, 알루미늄 패널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정치시켰다. 소정의 정치 시간이 끝난 후에, 180°의 박리 방향을 이용하여 손으로 알루미늄 패널로부터 접착제 테이프를 신속하게 박리하였다. 알루미늄 패널상에 가압된 5 조각의 접착제 테이프 중에서 슬리버링이 발생한 접착제 테이프 조각의 수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슬리버링 내성(즉, 접착제 테이프의 슬리버링이 어떤 접착제 테이프 조각에서도 발생하지 않음)에 관해 얻은 결과는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얻었다.In order to evaluate the sleeving resistance of the resulting adhesive tape, five aluminum panels (30 mm width x 100 mm length) we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JIS Z2307 procedure, and then the adhesive tape cut into narrow strips measured 15 mm wide. Pieces were fixed to each aluminum panel. A roller with a load of 2 kg was then passed back and forth on the adhesive tape at a rate of 300 mm / min. After the adhesive tape was completely attached to the aluminum panel due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roller, the aluminum panel was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for 16 hours. After the predetermined settling time was over, the adhesive tape was quickly peeled from the aluminum panel by hand using the 180 ° peeling direction. The number of pieces of adhesive tape in which slivering occurred among the five pieces of adhesive tape pressed on the aluminum panel was visually confirmed. The results obtained for the sleeving resistance (ie, the sleeving of the adhesive tape does not occur in any piece of adhesive tape) were obtained as shown in Table 1.

실시예 2Example 2

다음에 설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개시된 절차를 반복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동 인열성 및 슬리버링 내성에 대한 혼합 비율 변화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제1 종이층에서 비닐론 단섬유의 혼합 비율을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20 중량%에서 30 중량%로 증가시켰다.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을, 다층 성형기를 사용하는 제지 방법으로 양 종이층의 계면이 구별되지 않을 정도의 일체형으로 조합하여 일본 종이의 외관을 보유하고 기본 중량이 40 g/m2인 종이 백킹을 제조하였다. 결과적으로, 실시예 1에서 얻은 것과 유사한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과 접착제 테이프를 얻었다.The procedure disclosed in Example 1 was repeated except as described below. In this example,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mixing ratio change on passive tearing and sleeving resistance, the mixing ratio of short vinylon fibers in the first paper layer was increased from 20% to 30% by weight as shown in Table 1 I was. 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second paper layer are combined in an integral form such that the interface between the two paper layers is indistinguishable by a papermaking method using a multilayer molding machine to retain the appearance of Japanese paper and have a basis weight of 40 g / m2 . Paper backings were made. As a result, an acrylic resin impregnated paper backing and an adhesive tape similar to those obtained in Example 1 were obtained.

생성된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의 수동 인열성 및 슬리버링 내성을 각각 상기 실시예 1에 개시된 절차에 따라 평가하여, 표 1에 제시된 결과를 얻었다.Passive tearing and sleeving resistance of the resulting acrylic resin impregnated paper backing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in Example 1, respectively, to obtain the results shown in Table 1.

실시예 3Example 3

다음에 설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개시된 절차를 반복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동 인열성 및 슬리버링 내성에 대한 혼합 비율 변화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1 종이층내 비닐론 단섬유의 혼합 비율을 20 중량%로 유지하였지만, 제2 종이층에서는 비닐론 단섬유 혼합 비율을 0 중량%로 하던 것을 상기 실시예 1에 개시된 절차에 따라서 10 중량%의 혼합 비율로 하였다.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을, 다층 성형기를 사용하는 제지 방법으로 양 종이층의 계면이 구별되지 않을 정도의 일체형으로 조합하여 일본 종이의 외관을 보유하고 기본 중량이 40 g/m2인 종이 백킹을 제조하였다. 결과적으로, 실시예 1에서 얻은 것과 유사한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과 접착제 테이프를 얻었다.The procedure disclosed in Example 1 was repeated except as described below. In this example,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mixing ratio change on passive tearing and sleeving resistance, the mixing ratio of the short vinylon fibers in the first paper layer was maintained at 20% by weight as shown in Table 1, but the second In the paper layer, the vinylon short fiber mixing ratio of 0% by weight was set to 10% by weight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in Example 1. 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second paper layer are combined in an integral form such that the interface between the two paper layers is indistinguishable by a papermaking method using a multilayer molding machine to retain the appearance of Japanese paper and have a basis weight of 40 g / m2 . Paper backings were made. As a result, an acrylic resin impregnated paper backing and an adhesive tape similar to those obtained in Example 1 were obtained.

생성된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의 수동 인열성 및 슬리버링 내성을 각각 상기 실시예 1에 개시된 절차에 따라 평가하여, 표 1에 제시된 결과를 얻었다.Passive tearing and sleeving resistance of the resulting acrylic resin impregnated paper backing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in Example 1, respectively, to obtain the results shown in Table 1.

실시예 4Example 4

다음에 설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개시된 절차를 반복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동 인열성 및 슬리버링 내성에 대한 혼합 비율 변화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1 종이층에서 비닐론 단섬유의 혼합 비율을 20 중량%에서 30 중량%로 증가시키고, 제2 종이층에서는 비닐론 단섬유 혼합 비율을 0 중량%로 하던 것을 상기 실시예 1에 개시된 절차에 따라서 10 중량%의 혼합 비율로 하였다.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을, 다층 성형기를 사용하는 제지 방법으로 양 종이층의 계면이 구별되지 않을 정도의 일체형으로 조합하여 일본 종이의 외관을 보유하고 기본 중량이 40 g/m2인 종이 백킹을 제조하였다. 결과적으로, 실시예 1에서 얻은 것과 유사한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과 접착제 테이프를 얻었다.The procedure disclosed in Example 1 was repeated except as described below. In this example,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mixing ratio change on passive tearing and sleeving resistance, the mixing ratio of short vinylon fibers in the first paper layer was increased from 20% to 30% by weight as shown in Table 1. In the second paper layer, the vinylon short fiber mixing ratio was 0% by weight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in Example 1 above. 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second paper layer are combined in an integral form such that the interface between the two paper layers is indistinguishable by a papermaking method using a multilayer molding machine to retain the appearance of Japanese paper and have a basis weight of 40 g / m2 . Paper backings were made. As a result, an acrylic resin impregnated paper backing and an adhesive tape similar to those obtained in Example 1 were obtained.

생성된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의 수동 인열성 및 슬리버링 내성을 각각 상기 실시예 1에 개시된 절차에 따라 평가하여, 표 1에 제시된 결과를 얻었다.Passive tearing and sleeving resistance of the resulting acrylic resin impregnated paper backing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in Example 1, respectively, to obtain the results shown in Table 1.

비교예 1-1Comparative Example 1-1

다음에 설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개시된 절차를 반복하였다. 본 발명의 비교예에서는, 비교를 위해서 이중층 조합된 구조를 갖는 종이 백킹 대신에 단층으로 구성된 종이 백킹을 제조하였다. 즉, 비닐론(쿠라레에서 시판) 20 중량%를 고해된 목재 펄프와 혼합하여 펄프 반죽을 제조한 다음 제지 기계를 사용하여 기본 중량이 20 g/m2인 종이로 만들었다. 일본 종이 외관을 갖고 기본 중량이 40 g/m2인 단층 종이 백킹을 얻었다. 그 다음 이 종이 백킹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과 접착제 테이프를 제조하였다.The procedure disclosed in Example 1 was repeated except as described below. In the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mparison, a paper backing composed of a single layer was produced instead of a paper backing having a double layer combined structure. That is, 20% by weight of vinylon (available from Kuraray) was mixed with pulverized wood pulp to prepare pulp dough and then made into paper having a basis weight of 20 g / m2 using a papermaking machine. A single layer paper backing having a Japanese paper appearance and a basis weight of 40 g / m2 was obtained. This paper backing was then used to produce an acrylic resin impregnated paper backing and an adhesive tape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bove.

생성된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의 수동 인열성 및 슬리버링 내성을 각각 상기 실시예 1에 개시된 절차에 따라 평가하여, 표 1에 제시된 결과를 얻었다.Passive tearing and sleeving resistance of the resulting acrylic resin impregnated paper backing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in Example 1, respectively, to obtain the results shown in Table 1.

비교예 1-2Comparative Example 1-2

다음에 설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1에 개시된 절차를 반복하였다. 본 비교예에서는, 수동 인열성 및 슬리버링 내성에 대한 혼합 비율 변화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종이 백킹내 비닐론 단섬유의 혼합 비율을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20 중량%에서 30 중량%로 증가시켰다. 일본 종이 외관을 보유하고 기본 중량이 40 g/m2인 단층 종이 백킹을 얻었다. 후속 처리의 결과로서, 비교예 1-1에서 얻은 것과 유사한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과 접착제 테이프를 얻었다.The procedure disclosed in Comparative Example 1-1 was repeated except as described below. In this comparative example, in order to assess the influence of the mixing ratio change on passive tearing and sleeving resistance, the mixing ratio of the vinylon short fibers in the paper backing was increased from 20% to 30% by weight as shown in Table 1. . A single layer paper backing having a Japanese paper appearance and having a basis weight of 40 g / m2 was obtained. As a result of the subsequent treatment, an acrylic resin impregnated paper backing and an adhesive tape similar to those obtained in Comparative Example 1-1 were obtained.

생성된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의 수동 인열성 및 슬리버링 내성을 각각 상기 실시예 1에 개시된 절차에 따라 평가하여, 표 1에 제시된 결과를 얻었다.Passive tearing and sleeving resistance of the resulting acrylic resin impregnated paper backing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in Example 1, respectively, to obtain the results shown in Table 1.

비교예 2-1Comparative Example 2-1

다음에 설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개시된 절차를 반복하였다. 본 발명의 비교예에서는, 비교를 위해서 이중층 조합 구조를 갖는 종이 백킹 중 제1 종이층에서보다 제2 종이층에서의 비닐론 단섬유의 혼합 비율이 커지도록 혼합 비율을 변경하였다. 즉, 펄프 반죽을 고해된 목재 펄프로부터 제조하고, 제지 기계를 사용하여 이 펄프 반죽을 기본 중량이 20 g/m2인 종이로 만들어 비닐론 단섬유를 함유하지 않는 제1 종이층을 제조하였다. 또한, 폴리비닐 알코올(비닐론) 단섬유(길이: 대략 3∼20 mm, 쿠라레에서 시판) 20 중량%(총량 기준)를 고해된 목재 펄프와 혼합하여 펄프 반죽을 제조한 다음, 제지 기계를 사용하여 기본 중량이 20 g/m2인 종이로 만들어 제2 종이층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을, 다층 성형기를 사용하는 제지 방법으로 양 종이층의 계면이 구별되지 않을 정도의 일체형으로 조합하여 일본 종이의 외관을 보유하고 기본 중량이 40 g/m2인 종이 백킹을 제조하였다.The procedure disclosed in Example 1 was repeated except as described below. In the comparative example of this invention, for comparison, the mixing ratio was changed so that the mixing ratio of the short vinylon fibers in a 2nd paper layer might become larger than the 1st paper layer among the paper backings which have a double layer combination structure. That is, the pulp dough was prepared from beaten wood pulp, and the pulp dough was made into paper having a basis weight of 20 g / m2 using a papermaking machine to prepare a first paper layer containing no vinylon short fibers. In addition, 20% by weight (based on total) of polyvinyl alcohol (vinyllon) short fibers (length: approximately 3-20 mm, sold by Kuraray) is mixed with pulverized wood pulp to prepare pulp dough, and then using a paper machine. To make a paper having a basis weight of 20 g / m2 to prepare a second paper layer. Then, 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second paper layer are combined in an integral form such that the interface between the two paper layers is not distinguished by a papermaking method using a multilayer molding machine to retain the appearance of Japanese paper, and the basis weight is 40 g / m.A paper backing oftwo was prepared.

이어서, 고체 부분의 함침량이 5 g/m2가 되는 조건하에서 생성된 종이 백킹을 아크릴 수지 에멀젼 형태의 함침제로 함침시켰다. 이러한 방식으로 얻은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의 수동 인열성을 실시예 1에 개시된 절차에 따라 평가하는 경우, 하기 표 1에 제시된 결과를 얻었다.The resulting paper backing was then impregnated with an impregnating agent in the form of an acrylic resin emulsion under conditions such that the impregnation amount of the solid portion was 5 g / m2 . When the manual tearability of the acrylic resin impregnated paper backing obtained in this manner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in Example 1, the results shown in Table 1 were obtained.

아크릴 감압 접착제를, 상기 언급한 단계로 제조된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의 제1 종이층(비닐론 단섬유를 함유하지 않음)의 표면에 도포하여 필름 두께가 30 ㎛인 접착제 층을 형성하였다.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을,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의 제2 종이층(비닐론 단섬유 함유)의 표면에 3 g/m2의 덮힘량으로 도포하고 건조하였다. 장쇄 알킬 아크릴 수지를 상기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의 상부에 덮힘량 0.05 g/m2로 도포하고 건조하였다. 결과적으로, 종이 백킹의 한면에 접착제층을 갖는 접착제 테이프를 얻었다. 생성된 접착제 테이프의 수동 인열성을 상기 언급한 실시예 1에 개시된 절차에 따라서 평가하는 경우, 표 1에 제시된 결과를 얻었다.An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wa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first paper layer (containing no vinylon short fibers) of the acrylic resin impregnated paper backing prepared in the above-mentioned steps to form an adhesive layer having a film thickness of 30 μm. The polyvinylacetate emulsion wa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econd paper layer (containing vinylon short fibers) of the acrylic resin impregnated paper backing in a covering amount of 3 g / m2 and dried. A long chain alkyl acrylic resin was applied on the top of the polyvinylacetate emulsion with a covering amount of 0.05 g / m2 and dried. As a result, an adhesive tape having an adhesive layer on one side of the paper backing was obtained. When the manual tearability of the resulting adhesive tape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in Example 1 mentioned above, the results presented in Table 1 were obtained.

비교예 2-2Comparative Example 2-2

다음에 설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1에 개시된 절차를 반복하였다. 본 비교예에서는, 수동 인열성 및 슬리버링 내성에 대한 혼합 비율 변화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제2 종이층내 비닐론 단섬유의 혼합 비율을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20 중량%에서 30 중량%로 증가시켰다.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을, 다층 성형기를 사용하는 제지 방법으로 양 종이층의 계면이 구별되지 않을 정도의 일체형으로 조합하여 일본 종이의 외관을 보유하고 기본 중량이 40 g/m2인 종이 백킹을 제조하였다. 결과적으로, 비교예 2-1에서 얻은 것과 유사한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과 접착제 테이프를 얻었다.The procedure disclosed in Comparative Example 2-1 was repeated except as described below. In this comparative example,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mixing ratio change on passive tearing and sleeving resistance, the mixing ratio of the short vinylon fibers in the second paper layer was increased from 20% to 30% by weight as shown in Table 1 I was. 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second paper layer are combined in an integral form such that the interface between the two paper layers is indistinguishable by a papermaking method using a multilayer molding machine to retain the appearance of Japanese paper and have a basis weight of 40 g / m2 . Paper backings were made. As a result, an acrylic resin impregnated paper backing and an adhesive tape similar to those obtained in Comparative Example 2-1 were obtained.

생성된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의 수동 인열성 및 슬리버링 내성을 각각 상기 실시예 1에 개시된 절차에 따라 평가하여, 표 1에 제시된 결과를 얻었다.Passive tearing and sleeving resistance of the resulting acrylic resin impregnated paper backing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in Example 1, respectively, to obtain the results shown in Table 1.

비교예 2-3Comparative Example 2-3

다음에 설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2-1에 개시된 절차를 반복하였다. 본 비교예에서는, 수동 인열성 및 슬리버링 내성에 대한 혼합 비율 변화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2 종이층내 비닐론 단섬유의 혼합 비율을 20 중량%로 유지하였지만, 제1 종이층에서는 비닐론 단섬유 혼합 비율을 0 중량%로 하던 것을 상기 비교예 2-1에 개시된 절차에 따라서 10 중량%의 혼합 비율로 하였다.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을, 다층 성형기를 사용하는 제지 방법으로 양 종이층의 계면이 구별되지 않을 정도의 일체형으로 조합하여 일본 종이의 외관을 보유하고 기본 중량이 40 g/m2인 종이 백킹을 제조하였다. 결과적으로, 비교예 2-1에서 얻은 것과 유사한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과 접착제 테이프를 얻었다.The procedure described in Comparative Example 2-1 was repeated except as described below. In this comparative example, in order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mixing ratio change on passive tearing and sleeving resistance, the mixing ratio of the short vinylon fibers in the second paper layer was maintained at 20% by weight, as shown in Table 1, In the paper layer, the vinylon short fiber mixing ratio was 0% by weight,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in Comparative Example 2-1. 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second paper layer are combined in an integral form such that the interface between the two paper layers is indistinguishable by a papermaking method using a multilayer molding machine to retain the appearance of Japanese paper and have a basis weight of 40 g / m2 . Paper backings were made. As a result, an acrylic resin impregnated paper backing and an adhesive tape similar to those obtained in Comparative Example 2-1 were obtained.

생성된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의 수동 인열성 및 슬리버링 내성을 각각 상기 실시예 1에 개시된 절차에 따라 평가하여, 표 1에 제시된 결과를 얻었다.Passive tearing and sleeving resistance of the resulting acrylic resin impregnated paper backing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in Example 1, respectively, to obtain the results shown in Table 1.

비교예 2-4Comparative Example 2-4

다음에 설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1에 개시된 절차를 반복하였다. 본 비교예에서는, 수동 인열성 및 슬리버링 내성에 대한 혼합 비율 변화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2 종이층내 비닐론 단섬유의 혼합 비율을 20 중량%에서 30 중량%로 증가시키고, 제1 종이층에서는 비닐론 단섬유 혼합 비율을 0 중량%로 하던 것을 상기 비교예 2-1에 개시된 절차에 따라서 10 중량%의 혼합 비율로 하였다.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을, 다층 성형기를 사용하는 제지 방법으로 양 종이층의 계면이 구별되지 않을 정도의 일체형으로 조합하여 일본 종이의 외관을 보유하고 기본 중량이 40 g/m2인 종이 백킹을 제조하였다. 결과적으로, 비교예 2-1에서 얻은 것과 유사한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과 접착제 테이프를 얻었다.The procedure disclosed in Comparative Example 2-1 was repeated except as described below. In this comparative example, in order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mixing ratio change on passive tearing and sleeving resistance, the mixing ratio of the vinylon short fibers in the second paper layer was increased from 20% to 30% by weight as shown in Table 1. In the first paper layer, the vinylon short fiber mixing ratio was 0% by weight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in Comparative Example 2-1. 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second paper layer are combined in an integral form such that the interface between the two paper layers is indistinguishable by a papermaking method using a multilayer molding machine to retain the appearance of Japanese paper and have a basis weight of 40 g / m2 . Paper backings were made. As a result, an acrylic resin impregnated paper backing and an adhesive tape similar to those obtained in Comparative Example 2-1 were obtained.

생성된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의 수동 인열성 및 슬리버링 내성을 각각 상기 실시예 1에 개시된 절차에 따라 평가하여, 표 1에 제시된 결과를 얻었다.Passive tearing and sleeving resistance of the resulting acrylic resin impregnated paper backing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in Example 1, respectively, to obtain the results shown in Table 1.

비교예 2-5Comparative Example 2-5

다음에 설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1에 개시된 절차를 반복하였다. 본 비교예에서는, 수동 인열성 및 슬리버링 내성에 대한 혼합 비율 변화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2 종이층내 비닐론 단섬유의 혼합 비율을 20 중량%에서 30 중량%로 증가시키고, 제1 종이층에서는 비닐론 단섬유 혼합 비율을 0 중량%로 하던 것을 상기 비교예 2-1에 개시된 절차에 따라서 10 중량%의 혼합 비율로 하였다.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을, 다층 성형기를 사용하는 제지 방법으로 양 종이층의 계면이 구별되지 않을 정도의 일체형으로 조합하여 일본 종이의 외관을 보유하고 기본 중량이 40 g/m2인 종이 백킹을 제조하였다. 결과적으로, 비교예 2-1에서 얻은 것과 유사한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과 접착제 테이프를 얻었다.The procedure disclosed in Comparative Example 2-1 was repeated except as described below. In this comparative example, in order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mixing ratio change on passive tearing and sleeving resistance, the mixing ratio of the vinylon short fibers in the second paper layer was increased from 20% to 30% by weight as shown in Table 1. In the first paper layer, the vinylon short fiber mixing ratio was 0% by weight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in Comparative Example 2-1. 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second paper layer are combined in an integral form such that the interface between the two paper layers is indistinguishable by a papermaking method using a multilayer molding machine to retain the appearance of Japanese paper and have a basis weight of 40 g / m2 . Paper backings were made. As a result, an acrylic resin impregnated paper backing and an adhesive tape similar to those obtained in Comparative Example 2-1 were obtained.

생성된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의 수동 인열성 및 슬리버링 내성을 각각 상기 실시예 1에 개시된 절차에 따라 평가하여, 표 1에 제시된 결과를 얻었다.Passive tearing and sleeving resistance of the resulting acrylic resin impregnated paper backing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in Example 1, respectively, to obtain the results shown in Table 1.

실시예Example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1One2233441One221One22334455종이 백킹의 비닐론 혼합 비율Vinylon Mixing Ratio Of Paper Backing제1 종이층First paper layer2020303020203030202030300000101010102020제2 종이층Second paper layer000010101010----20203030202030303030층간 강도(gf/15 mm)Interlayer Strength (gf / 15 mm)200200200200200200210210220220235235200200200200200200210210230230종방향 인열 강도(g)Longitudinal tear strength (g)25.625.63232303048484242484825.625.63232303048484545횡방향 인열 강도(g)Lateral tear strength (g)6363656565.765.76868767696966363656565.765.768688080슬리버링 내성Sleeving Resistant0/50/50/50/50/50/50/50/50/50/50/50/54/54/53/53/54/54/53/53/50/50/5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수동 인열성을 평가하기 위한 횡방향 인열 강도 및 슬리버링 내성이 우수한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 및 접착제 테이프가 얻어졌지만, 종이 백킹이 비교예 1에서와 같이 단층인 경우, 슬리버링 내성은 우수하더라도 횡방향 인열 강도가 지나치게 높아서 수동 인열성이 악화된다. 또한,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을 비교예 2에서와 같이 역전시키면 수동 인열성은 우수하지만, 슬리버링 내성은 불량하다. 또한, 비교예 2-5의 경우에, 슬리버링 내성은 우수하지만 횡방향 인열 강도가 지나치게 높아서 수동 인열성이 나빠진다.As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of Table 1, in the examples, an acrylic resin-impregnated paper backing and an adhesive tape excellent in lateral tear strength and sleeving resistance for evaluating passive tearing were obtained, but paper backing was a comparative example. In the case of a single layer as in 1, even if the sleeving resistance is good, the lateral tear strength is too high and the passive tearing property deteriorates. In addition, when 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second paper layer are reversed as in Comparative Example 2, the passive tearability is excellent, but the slivering resistance is poor. Moreover,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example 2-5, although the slivering resistance is excellent, the lateral tearing strength is too high and passive tearing property worsens.

실시예 5Example 5

본 실시예에서, 수분산형 함침제의 함침량이 생성 테이프의 강도 등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접착제 테이프 제조 단계에서 평가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의 평가 시험을 수행하는데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중층 조합형 구조를 갖는 종이 백킹 대신에 단층 종이 백킹을 사용하였다. 즉, 10 중량% 비닐론(쿠라레에서 시판)을 고해된 목재 펄프와 혼합하여 펄프 반죽을 제조한 다음, 제지 기계를 이용하여 기본 중량이 30 g/m2인 종이로 만들었다. 일본 종이 외관을 보유하고 기본 중량이 40 g/m2인 단층 종이 백킹을 얻었다.In the present Example, the degree to which the impregnation amount of the water-dispersible impregnation agent affects the strength of the produced tape and the like was evaluated in the adhesive tape manufacturing step. In addition, a single layer paper backing was used instead of a paper backing having a double layer combination structure to provide convenience in performing the evaluation test of this example. That is, 10 wt% vinylon (commercially available from Kuraray) was mixed with pulverized wood pulp to prepare pulp dough, which was then made into paper having a basis weight of 30 g / m2 using a paper machine. A single layer paper backing having a Japanese paper appearance and having a basis weight of 40 g / m2 was obtained.

계속해서, 생성된 종이 백킹을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의 형태로 존재하는 함침제로 하기 표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고체 부분의 함침량이 0.5, 1, 5, 15, 30 및 45 g/m2인 조건하에서 침지법을 사용하여 함침시켰다. 이러한 방식으로 얻은 고무 함침형 종이 백킹의 종방향의 인장 강도, 신장율, 그리고 횡방향 및 종방향의 인열 강도는 상기 실시예 1에 개시된 절차에 따라 측정하였다. 또한, 하기 표 2에 제시된 측정 결과를 얻었으며, 슬러버링 시험은 상기 실시예 1에 개시된 슬리버링 내성의 평가에 따라 수행하였다. 접착제 테이프를 알루미늄 패널로부터 박리한 경우 테이프 슬리버링의 존재 또는 부재를 "양호" 또는 "불량"의 2단계로 평가하였다. 하기 표 2에 제시된 평가 결과를 얻었다.Subsequently, the resulting paper backing was used as an impregnation agent in the form of styrene butadiene rubber, soaking under the conditions of impregnation of the solid part of 0.5, 1, 5, 15, 30 and 45 g / m2 as disclosed in Table 2 below. It was impregnated using. The longitudinal tensile strength, elongation, and tear strength in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rubber impregnated paper backing obtained in this manner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disclosed in Example 1 above. In addition, the measurement results shown in Table 2 below were obtained, and the slubling test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of the sleeving resistance disclosed in Example 1 above. When the adhesive tape was peeled from the aluminum panel,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ape slivering was evaluated in two stages of "good" or "bad". The evaluation results shown in Table 2 were obtained.

함침된 고무량 (g/m2)Impregnated rubber content (g / m2 )종방향 인장 강도 (kg/15 mm)Longitudinal tensile strength (kg / 15 mm)신장율 (%)Elongation (%)횡방향 인장 강도(g)Transverse tensile strength (g)종방향 인장 강도(g)Longitudinal tensile strength (g)슬리버링 테스트Slivering test0.50.54.14.16658583333불량(층간 분리)Poor (Interlayer Separation)1One4.24.26656563333양호Good554.54.57753533030양호Good15155.25.27750502828양호Good30307.17.14430302424양호Good4545883324242020불량(슬리버링)Poor (sleeving)

상기 표 2에 개시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섬유 결합은 함침량이 0.5 g/m2일 때 불충분하기 때문에, 접착제 테이프에서 백킹의 층간 파단이 일어나서 깨끗하게 박리될 수 없다.As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disclosed in Table 2 above, since fiber bonding is insufficient when the impregnation amount is 0.5 g / m2 , interlayer breakage of the backing occurs in the adhesive tape and cannot be peeled off cleanly.

또한, 함침량이 45 g/m2인 경우, 인장 강도가 현저하게 감소되어 접착제 테이프의 슬리버링 생기고, 이는 접착제 테이프가 깨끗하게 박리될 수 없게 한다. 함침량이 1∼30 g/m2인 경우, 섬유 결합은 적절하며, 인장 강도의 현저한 감소가 없어, 슬리버링의 발생없이 접착제를 깨끗하게 박리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mpregnation amount is 45 g / m2 , the tensile strength is significantly reduced, resulting in slivering of the adhesive tape, which prevents the adhesive tape from being peeled off cleanly. When the impregnation amount is 1 to 30 g / m2 , the fiber bonds are appropriate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ecrease in tensile strength, so that the adhesive can be peeled off cleanly without the occurrence of slivering.

실시예 6Example 6

다음에 설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에 개시된 절차를 반복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수동 인열성 및 슬리버링 내성에 대한 평균 혼합 비율(제1 종이층의 혼합 비율과 제2 종이층의 혼합 비율의 평균)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1 종이층내 비닐론 단섬유의 혼합 비율을 20 중량%에서 10 중량%로 감소시켜 평균 혼합 비율을 5%로 하였다.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을, 다층 성형기를 사용하는 제지 방법으로 양 종이층의 계면이 구별되지 않을 정도의 일체형으로 조합하여 일본 종이의 외관을 보유하고 기본 중량이 40 g/m2인 종이 백킹을 제조하였다. 결과적으로, 실시예 1에서 얻은 것과 유사한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과 접착제 테이프를 얻었다.The procedure disclosed in Example 1 was repeated except as described below. In this example, in order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average mixing ratio (average of the mixing ratio of 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mixing ratio of the second paper layer) on passive tearing and sleeving resistance, as shown in Table 3, The mixing ratio of the short vinylon fibers in 1 paper layer was reduced from 20% by weight to 10% by weight to obtain an average mixing ratio of 5%. 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second paper layer are combined in an integral form such that the interface between the two paper layers is indistinguishable by a papermaking method using a multilayer molding machine to retain the appearance of Japanese paper and have a basis weight of 40 g / m2 . Paper backings were made. As a result, an acrylic resin impregnated paper backing and an adhesive tape similar to those obtained in Example 1 were obtained.

생성된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의 수동 인열성 및 슬리버링 내성을 각각 상기 실시예 1에 개시된 절차에 따라 평가하여, 표 3에 제시된 결과를 얻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의 결과는 참고로 표 3에도 제시한다.Passive tearing and sleeving resistance of the resulting acrylic resin impregnated paper backing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in Example 1, respectively, to obtain the results shown in Table 3. In addition, the results of Example 1 are also presented in Table 3 for reference.

비교예 1-3Comparative Example 1-3

다음에 설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1에 개시된 절차를 반복하였다. 본 비교예에서, 수동 인열성 및 슬리버링 내성에 대한 평균 혼합 비율(제1 종이층의 혼합 비율과 제2 종이층의 혼합 비율의 평균)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1 종이층내 비닐론 단섬유의 혼합 비율을 20 중량%에서 5 중량%로 감소시켰다. 일본 종이의 외관을 보유하고 기본 중량이 40 g/m2인 단층 종이 백킹을 얻었다. 결과적으로, 비교예 1-1에서 얻은 것과 유사한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과 접착제 테이프를 얻었다.The procedure described in Comparative Example 1-1 was repeated except as described below. In this comparative example, in order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average mixing ratio (average of the mixing ratio of 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mixing ratio of the second paper layer) on passive tearing and slivering resistance, The mixing ratio of the short vinylon fibers in one paper layer was reduced from 20% by weight to 5% by weight. A single layer paper backing having the appearance of Japanese paper and having a basis weight of 40 g / m2 was obtained. As a result, an acrylic resin impregnated paper backing and an adhesive tape similar to those obtained in Comparative Example 1-1 were obtained.

생성된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의 수동 인열성 및 슬리버링 내성을 각각 상기 실시예 1에 개시된 절차에 따라 평가하여, 표 3에 제시된 결과를 얻었다.Passive tearing and sleeving resistance of the resulting acrylic resin impregnated paper backing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in Example 1, respectively, to obtain the results shown in Table 3.

비교예 1-4Comparative Example 1-4

다음에 설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1에 개시된 절차를 반복하였다. 본 비교예에서, 수동 인열성 및 슬리버링 내성에 대한 평균 혼합 비율(제1 종이층의 혼합 비율과 제2 종이층의 혼합 비율의 평균)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제1 종이층내 비닐론 단섬유의 혼합 비율을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20 중량%에서 10 중량%로 감소시켰다. 일본 종이의 외관을 보유하고 기본 중량이 40 g/m2인 단층 종이 백킹을 얻었다. 결과적으로, 비교예 1-1에서 얻은 것과 유사한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과 접착제 테이프를 얻었다.The procedure described in Comparative Example 1-1 was repeated except as described below. In this comparative example, in order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average mixing ratio (average of the mixing ratio of 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mixing ratio of the second paper layer) on passive tearing and sleeving resistance, the vinylon short fibers in the first paper layer The mixing ratio of was reduced from 20% to 10% by weight as shown in Table 3. A single layer paper backing having the appearance of Japanese paper and having a basis weight of 40 g / m2 was obtained. As a result, an acrylic resin impregnated paper backing and an adhesive tape similar to those obtained in Comparative Example 1-1 were obtained.

생성된 아크릴 수지 함침형 종이 백킹의 수동 인열성 및 슬리버링 내성을 각각 상기 실시예 1에 개시된 절차에 따라 평가하여, 표 3에 제시된 결과를 얻었다.Passive tearing and sleeving resistance of the resulting acrylic resin impregnated paper backing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in Example 1, respectively, to obtain the results shown in Table 3.

실시예 6Example 6실시예 1Example 1비교예 1-3Comparative Example 1-3비교예 1-4Comparative Example 1-4종이 백킹의 비닐론 혼합 비율(%)% Vinylon mix of paper backing제1 종이층First paper layer10102020551010제2 종이층Second paper layer0000----평균 혼합 비율(%)Average blend percentage551010551010층간 강도(gf/15 mm)Interlayer Strength (gf / 15 mm)290290200200205205200200종방향 인열 강도(g)Longitudinal tear strength (g)252525.625.628282929횡방향 인열 강도(g)Lateral tear strength (g)6666636358586161슬리버링 내성Sleeving Resistant0/50/50/50/53/53/50/50/5

표 3에 개시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수동 인열성을 평가하기 위한 횡방향 인장 강도 및 슬리버링 내성이 우수한 함침된 종이 백킹 및 접착제 테이프를 얻었지만, 종이 백킹이 비교예에서와 같이 단층 구조인 경우에는, 종이내 비닐론 혼합 비율이 구체예의 혼합 비율과 같다고 하더라도 슬리버링 내성이 불량하다.As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disclosed in Table 3, in this example, impregnated paper backing and adhesive tape having excellent transverse tensile strength and sleeving resistance for evaluating passive tearing were obtained, but paper backing was used in the comparative example. In the case of a single layer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slivering resistance is poor even if the vinylon mixing ratio in paper is the same as that of the specific exampl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특히 접착 시이트의 백킹으로서 접착 시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접착 시이트는 들림 현상을 수반하지 않고 피착체에 접착시킬 수 있으며, 접착 시이트는 마스킹 영역을 따라 인열되는 경우 수동 인열성의 손상 없이 찢거나 절단할 수 있어서, 양호한 선출 효과 및 마스킹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접착 시이트를 사용한 후에, 시이트의 슬리버링 또는 파단 없이 접착 시이트를 깨끗하고 쉽게 박리하여 양호한 종이 백킹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킹 목적의 접착제 테이프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는 종이 백킹 및 접착 시이트가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when using the adhesive sheet as a backing of the adhesive sheet, the adhesive sheet can be adhered to the adherend without involving the lifting phenomenon, and the adhesive sheet is torn along the masking area. It can be torn or cut without damaging the passive tearability, so that a good election effect and a masking effect can be obtained. In addition, after using the adhesive sheet, the adhesive sheet can be cleanly and easily peeled off without sleeving or breaking of the sheet to provide good paper backing.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per backing and adhesive sheet which may be useful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adhesive tapes for masking purposes.

Claims (4)

Translated fromKorean
제1 종이층 및 제2 종이층은 각각 목재 펄프 및 단섬유로부터 제조되고, 제1 종이층의 목재 펄프에 대한 단섬유의 혼합 비율이 제2 종이층의 목재 펄프에 대한 단섬유의 혼합 비율보다 크며, 그 차이가 50% 미만인, 제1 종이층과 제2 종이층을 포함하는 이중층 종이 구조를 보유한 2차 층 지지용 종이 백킹.The first paper layer and the second paper layer are made from wood pulp and short fibers, respectively, and the mixing ratio of short fibers to wood pulp of the first paper layer is higher than that of short fibers to wood pulp of the second paper layer. A secondary backing paper backing having a double layer paper structure comprising a first paper layer and a second paper layer, the difference being less than 50%.제 1 항의 종이 백킹과 이의 표면 중 하나에 제공된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접착 시이트.An adhesive sheet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provided on one of the paper backings of claim 1 and a surface thereof.삭제delete삭제delete
KR1020007011971A1998-05-011999-04-16 Paper backing and adhesive sheet using itExpired - LifetimeKR10058204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JP12214598AJP4149559B2 (en)1998-05-011998-05-01 Adhesive sheet
JP10/1221451998-05-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010043089A KR20010043089A (en)2001-05-25
KR100582046B1true KR100582046B1 (en)2006-05-23

Family

ID=1482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07011971AExpired - LifetimeKR100582046B1 (en)1998-05-011999-04-16 Paper backing and adhesive sheet using it

Country Status (5)

CountryLink
JP (1)JP4149559B2 (en)
KR (1)KR100582046B1 (en)
CN (1)CN1202310C (en)
DE (1)DE19983171B4 (en)
WO (1)WO199905737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2006130459A (en)*2004-11-092006-05-25Nagoya Oil Chem Co LtdMasking material
KR100751283B1 (en)2006-10-312007-08-27고중신 Back ground of veneer sheet
JP4456662B2 (en)*2007-06-072010-04-28株式会社クラレ Resin-impregnated flat paper and adhesive tape comprising the same
JP5511042B2 (en)*2007-08-092014-06-04カモ井加工紙株式会社 Masking tape and masker with excellent solvent penetration resistance
CA2652063C (en)*2009-01-302016-03-08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Tape comprising recycled paper
EP2386614A1 (en)*2010-04-212011-11-16Neenah Gessner GmbHEnvironmentally friendly adhesive tape paper and adhesive paper made from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2589357B2 (en)*1988-12-021997-03-12日東電工株式会社 Porous substrate and adhesive tape
EP0402513A1 (en)*1989-06-161990-12-19Kämmerer GmbhProcess for making highly compressed paper containing synthetic fibres, with a volumetric weight equal to or greater than 0,84 kg/dm3
US5204173A (en)*1990-11-291993-04-20Dvsg Holding GmbhPaperboard product and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WO1999057372A1 (en)1999-11-11
DE19983171T1 (en)2001-06-13
DE19983171B4 (en)2010-07-29
KR20010043089A (en)2001-05-25
JP4149559B2 (en)2008-09-10
CN1202310C (en)2005-05-18
CN1299427A (en)2001-06-13
JPH11323789A (en)199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DE69420383T2 (en) Vibration-damping material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EP1243697B1 (en)Multi-layer paper peelable into at least two thin sheets
US4865912A (en)Precious-wood-faced sheet for decoration, board having the same laminated thereupon, and process of manufacture
EP1710076B1 (en)Nonwoven fibrous mat laminate and method
US5187000A (en)Cellulosic construction panel
US4582735A (en)Impregnated fibrous laminates
WO2002094563A1 (en)Laminates including cellulosic materials and processe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429302A (en) Paper or cardboard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laminate
KR100582046B1 (en) Paper backing and adhesive sheet using it
EP1241240B1 (en)Non-woven carrier material for an adhesive tape with improved hand tearing property
US2364001A (en)Translucent fiber tissu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NO773753L (en) CELLULOSE FIBER PLATE AND METHODS FOR MAKING IT
US6565709B1 (en)Process for producing dimensionally stable release liner and product produced thereof
DE2721759A1 (en) SEPARABLE PAPER
EP1844747A1 (en)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JP4779366B2 (en) wallpaper
JP2004277897A (en)Method for producing liner paper and liner paper
US2358760A (en)Adhesive sheet materials
JP4389640B2 (en) wallpaper
WO2013091798A2 (en)Impregnated abrasive base papers and abrasive papers produced therefrom
JP3100999B2 (en) Process release pap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3848439B2 (en) Porous substrate and paper adhesive tape using the same
JPS61213142A (en)Substrate for printed wiring
JP4779367B2 (en) wallpaper
KR20190025926A (en) Plaster wall boards and methods comprising laminated multi-ply paper cover sheets bonded with non-ionic polymeric binder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5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001027

Patent event code:PA01051R01D

Comment text: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040414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050906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060215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060515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20060516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090508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100512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110330

Start annual number:6

End annual number:6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120423

Start annual number:7

End annual number:7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30419

Year of fee payment:8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130419

Start annual number:8

End annual number:8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40418

Year of fee payment:9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140418

Start annual number:9

End annual number:9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50416

Year of fee payment:10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150416

Start annual number:10

End annual number:10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60419

Year of fee payment:11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160419

Start annual number:11

End annual number:11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70420

Year of fee payment:12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170420

Start annual number:12

End annual number:12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80417

Year of fee payment:13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180417

Start annual number:13

End annual number:13

EXPYExpiration of term
PC1801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20191016

Termination category:Expiration of duration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