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 본체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vacuum cleaner body.
도 2는 종래의 집진유니트의 분리 상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ion state of the conventional dust collecting unit.
도 3은 종래의 필터의 장착 및 분리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mounting and detachment of a conventional filter.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집진유니트의 단면 예시도.Figure 4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집진유니트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the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케이싱110 ..... 필터100 ..... Casing 110 ..... Filter
112 ..... 상부프레임114 ..... 하부프레임112 .....
130 ..... 크리닝부재132 ..... 크리닝부130 .....
134 ...... 고정부140 ..... 커버134 ...... Fixture 140 ..... Cover
F ..... 필터어셈블리F ..... Filter Assembly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싸이클론방식의 집진과 필터에 의한 집진을 동시에 수행하는 집진유니트에서 필터의 청소를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크리닝 장치를 구비한 집진유니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ter cleaning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onfigured to more easily perform cleaning of a filter in a dust collecting unit which simultaneously performs cyclone dust collection and dust collection by a fil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on unit provided.
도 1에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본체(10)가 도시되어 있다.  진공청소기의 본체에는, 청소를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수단이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흡입수단에 의하여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노즐(도시 생략)을 통하여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된다.1 shows a
그리고 이렇게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진공청소기의 본체(10) 내부에서 필터링된다.  이와 같은 이물질의 필터링은, 상기 집진유니트(20)에서 진행된다.  즉, 상기 집진유니트(20)는,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에서, 싸이클론집진 방식에 의한 1차집진과,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22)에 의한 2차집진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2차집진에 의하여 정화된 공기는, 본체(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배기부(12)를 통하여 본체(10)에서 완전히 빠져나가게 된다.And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sucked in this way, is filtered in the
다음에는 도 2를 참고하면서, 상기 집진유니트(2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집진유니트(20)는, 상단부가 개구된 원통상의 케이싱(24)과, 상기 케이싱(24)의 개구된 상단부를 개폐하는 커버(2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상기 케이싱(24)은,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유입되면서 내부에서 형성되는 나선류에 의하여 1차적으로 싸이클론방식의 집진을 수행한다.  이러한 싸이클론방식의 1차집진시, 상대적으로 무거운 이물질은 상기 집진케이싱(24)의 하방으로 떨어지게 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그리고 상기 커버(26)의 하측면에는 원통상의 필터(22)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필터(22)는, 외부에서 내측으로 공기가 통과하면서 미세한 먼지 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원통형상으로 성형되고 있다.The
상기 케이싱(24)의 내부에서, 상기 필터(2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필터(22)의 내부와 연통하면서 커버(26)의 상면에 형성된 출구(27)를 통하여 나오게 된다.  상기 출구(27)를 통하여 나오는 공기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경로를 따라서, 상술한 배기부(12)를 통하여 완전히 외부로 배기될 것이다.In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본체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필터(22)의 외측면에는 이물질이 쌓이게 된다.  필터(22)의 경우, 이와 같이 이물질이 표면에 쌓이게 되면, 공기를 통과시키는 힘이 미약해지게 되어 전체적으로 진공청소기의 흡입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필터의 집진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However, when the main body is used for a long time, foreign matters accumulat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따라서 상기 필터(22)는 일정한 시간 주기별로 청소를 해주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이 필터(22)를 청소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26)에서 필터를 분리한 후에, 물 또는 에어스프레이 등을 이용하여 필터를 청소하게 된다.Therefore, the
이와 같이 필터(22)를 커버(26)에서 분리하여, 별도의 청소를 수행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진공청소기의 사용상의 불편함을 가중시키게 된다.Separating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집진유니트 에 필터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필터의 크리닝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필터의 크리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ing device for a filter configured to be capable of cleaning the filter while the filter is attached to the dust collecting unit.
이와 같이,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내부에 장착된 필터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필터를 크리닝할 수 있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진공청소기 자체의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filter can be cleaned without removing the filter mount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unit of the vacuum cleaner, thereby substantially providing convenience in using the vacuum cleaner itself.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는, 상단부가 개구된 원통형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개구된 상단부를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저면 중심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하는 원통형 필터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커버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단부에서 필터어셈블리의 필터에 접촉하는 크리닝부를 구비하는 크리닝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ust collecting uni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ylindrical casing with an upper end opened;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ed upper end of the casing; A cylindrical filter assembly rotatably install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the cylindrical filter assembly including a filter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And a cleaning member having a fixing part fixed to the bottom of the cover and a cleaning part contacting the filter of the filter assembly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art.
그리고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는 필터어셈블리와 연동하여 회전한다.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is provided with a handle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the handle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lter assembly.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커버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형상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서 하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링형상의 하부프레임, 그리고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원통상의 필터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이 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lter assembly may include a ring-shaped upper frame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cover, a ring-shaped lower frame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fram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stalled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The upper frame is rotatably mounted on the cover.
그리고, 상기 크리닝부재는 원통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크리닝부재는 고정부와 크리닝부가 일체로 된 것이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The cleaning member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r the cleaning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xed parts and a cleaning part integrated therein.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Nex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본 발명에 의한 집진유니트의 단면도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집진유니트는, 상단부가 개구된 케이싱(100)과, 상기 케이싱의 개구된 상단부를 개폐하는 커버(140)를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FIG. 4,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그리고 상기 커버(140)의 중심부분 하부에는, 필터어셈블리(F)가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필터어셈블리(F)는, 커버(140)의 중심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F)의 회동 가능한 각도는 제한될 수 없지만, 후술하는 크리닝부재(130)가 필터(110)의 전체 외주면과 접촉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The filter assembly F is mounted below the central portion of the
예를 들면 상기 크리닝부재(130)가 180도 간격으로 설치된 크리닝부(132)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필터어셈블리(F)는 적어도 180도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어셈블리(F)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구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제한될 수 없다.  예를 들면 상기 필터어셈블리(F)의 상단부를 나사결합방식으로 커버(140)에 결합함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고, 상기 필터어셈블리(F)의 상단부가 커버(14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For example, when the
다음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F)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F)는, 상단부를 형성하는 링형상의 상부프레임(112)과, 상기 상부프레임(112)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고 하단부를 형성하는 링형상의 하 부프레임(114),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112)과 하부프레임(114) 사이에 개재되는 원통상의 필터(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Next, a more specific embodiment of the filter assembly F will be described. The filter assembly F may include a ring-shaped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112,114)은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그 중간부분을 연결할 수 있도록 일체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필터(110)는, 종이재질 또는 합성수지재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상하부프레임(112,114) 사이에 원통형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110)는, 외측에서 내부로 향하는 공기가 흐르게 되면,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게 될 것이다.The upper and
그리고 상기 필터(110)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원주방향으로 주름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필터(110)는 원주방향으로의 주름이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는 일정한 직선형상이 나타나도록 성형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필터어셈블리(F)의 상부프레임(112)은, 커버(14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12)을 커버(14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구성에는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상기 커버(140)의 저면에는, 크리닝부재(130)가 설치된다.  상기 크리닝부재(130)는, 커버(140)의 저면에 장착되는 고정부(134)와, 상기 고정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후, 그 단부가 상기 필터(110)의 외측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크리닝부(132)로 구성된다.And a cleaning
상기 고정부(134) 및 크리닝부(132)는,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상으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로 구성하여 필터(110)의 외측에 각각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크리닝부(132)는, 필터(110)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상태로 구성되어, 상기 필터(110)의 회전에 의하여 그 외측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크리닝부(132)는, 단부에 복수개의 브러시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예를 들면 필터(110)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면 어떠한 부재 또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 fixing
다음의 도 5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140)의 상면에는, 손잡이(11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116)는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손잡이(116)의 회전에 의하여, 커버의 하부에 설치된 필터어셈블리(F)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5, a
상기 손잡이(116)는 필터어셈블리(F)의 상부프레임(112)과 일체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부재로 성형하고 상부프레임(112)과 연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이면 어떠한 결합구성을 가지는 것도 무방하다.The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필터크리닝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filter cleaning devic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진공청소기를 일정 시간 이상 사용하게 되면, 상기 필터(110)의 외측면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붙게 된다.  이러한 이물질은, 상기 필터(1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공기가 통과하는 경우 필터(110)에 의하여 걸러지는 이물질임은 당연하다.When the vacuum cleaner is u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dher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그리고 이물질이 일정 수준 이상 필터(110)의 외측면에 붙어 있으면,  필터(110)를 청소해야 한다.  필터(110)의 청소를 위하여, 상기 커버(140)의 상면에 설치된 손잡이(116)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손잡이(116)의 회전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필터(110)도 같이 연동하여 회전하게 될 것이다.And if foreign matter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상기 필터(110)가 회전하게 되면, 고정된 상태의 상기 크리닝부(132)는 필터(110)의 외측면과 접촉하면서, 그 외측면에 붙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필터(110)의 외측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필터(110)를 상기 커버(140)에서 분리하지 않고서도 털어낼 수 있게 된다.When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어셈블리(F)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크리닝부재를 이용하여 필터어셈블리를 분리하지 않고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내용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basic technical content of the filter assembly F is rotatably mounted and configured such that the filter assembly can be cleaned without separating the filter assembly using the cleaning membe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자명하다.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ppended claims. Is self explanatory.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어셈블리를 커버에서 분리하지 않고, 필터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한 진공청소기는, 필터의 외측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보다 편리하게 털어낼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어서, 사용상 더욱 편리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filter assembly is configured to shake off the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filter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cover. Therefore, the vacuum clean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hake off th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more conveniently, and thus the effect that becomes more convenient in use can be expected.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20065006AKR100572866B1 (en) | 2002-10-23 | 2002-10-23 |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20065006AKR100572866B1 (en) | 2002-10-23 | 2002-10-23 |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0036185A KR20040036185A (en) | 2004-04-30 | 
| KR100572866B1true KR100572866B1 (en) | 2006-04-24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20065006AExpired - Fee RelatedKR100572866B1 (en) | 2002-10-23 | 2002-10-23 |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572866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0595696B2 (en) | 2018-05-01 | 2020-03-24 | Sharkninja Operating Llc | Docking station for robotic cleaner | 
| US10952578B2 (en) | 2018-07-20 | 2021-03-23 | Sharkninja Operating Llc | Robotic cleaner debris removal docking station | 
| US11013378B2 (en) | 2018-04-20 | 2021-05-25 | Omachon Intellectual Property Inc. | Surface cleaning apparatus | 
| US11445873B2 (en) | 2014-12-17 | 2022-09-20 |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 
| US11445874B2 (en) | 2014-12-17 | 2022-09-20 |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566312B1 (en) | 2009-05-11 | 2015-11-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vibration suppression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1445873B2 (en) | 2014-12-17 | 2022-09-20 |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 
| US11445874B2 (en) | 2014-12-17 | 2022-09-20 |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 
| US11759066B2 (en) | 2014-12-17 | 2023-09-19 |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 
| US11896185B2 (en) | 2014-12-17 | 2024-02-13 |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 
| US11013378B2 (en) | 2018-04-20 | 2021-05-25 | Omachon Intellectual Property Inc. | Surface cleaning apparatus | 
| US11375861B2 (en) | 2018-04-20 | 2022-07-05 |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 Surface cleaning apparatus | 
| US11930987B2 (en) | 2018-04-20 | 2024-03-19 |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 Surface cleaning apparatus | 
| US10595696B2 (en) | 2018-05-01 | 2020-03-24 | Sharkninja Operating Llc | Docking station for robotic cleaner | 
| US11234572B2 (en) | 2018-05-01 | 2022-02-01 | Sharkninja Operating Llc | Docking station for robotic cleaner | 
| US10952578B2 (en) | 2018-07-20 | 2021-03-23 | Sharkninja Operating Llc | Robotic cleaner debris removal docking station | 
| US11191403B2 (en) | 2018-07-20 | 2021-12-07 | Sharkninja Operating Llc | Robotic cleaner debris removal docking station | 
| US11497363B2 (en) | 2018-07-20 | 2022-11-15 | Sharkninja Operating Llc | Robotic cleaner debris removal docking station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0036185A (en) | 2004-04-30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398834B2 (en) | Cyclone 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 |
| US6916351B2 (en) | Cyclone-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 |
| KR100936065B1 (en) |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 |
| RU2314011C2 (en) |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variants) | |
| EP1674022B1 (en) | Dust collection unit and vacuum cleaner with the same | |
| US6598263B2 (en) | Vacuum cleaner dirt collecting system with filter cleaning devices | |
| RU2437611C2 (en) | Portable cleaning device | |
| US6596047B2 (en) |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 |
| CA2342993A1 (en) | Air cleaner with washable filter | |
| US20170209013A1 (en) | Cleaner | |
| KR100883197B1 (en) | Grill assembly of cyclone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 |
| KR100572866B1 (en) |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 |
| KR100657923B1 (en) | Cyclone Dus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 |
| KR100657922B1 (en) | Vacuum cleaner | |
| KR100582063B1 (en) | Dust collection casing for vacuum cleaner | |
| KR100633619B1 (en) |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 |
| KR100582047B1 (en) | Dust collection casing for vacuum cleaner | |
| KR100587094B1 (en) |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 |
| KR100593383B1 (en) | Dust filter for vacuum cleaner | |
| KR100582061B1 (en) |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 |
| KR20060008364A (en) |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 |
| KR20060034403A (en) |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 |
| KR20040041275A (en) | Cyclone-type dust collect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 |
| KR100587096B1 (en) |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 |
| KR20030094875A (en) | Cyclone dust collector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7-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0904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090415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