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신호 수신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그리고,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 sig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의한 부가데이터 저장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storing additional data according to FIG. 1.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0 : 디지털 방송신호 수신장치120 : 역다중화부100: digital broadcast signal receiver 120: demultiplexer
130 : PMT 처리부140 : 제어부130: PMT processing unit 140: control unit
150 : 파싱처리부160 : 저장처리부150: parsing processing unit 160: storage processing unit
170 : 서브저장부180 : 메인저장부170: sub storage unit 180: main storage uni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신호 수신장치 및 그의 부가데이터 저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 주기로 전송되는 부가데이터의 DSM-CC 섹션을 한 주기내에서 모두 저장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신호 수신장치 및 그의 부가데이터 저 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broadcast signal receiver and an additional data storage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broadcast signal receiver and a digital broadcast signal receiver capable of storing all of the DSM-CC sections of additional data transmitted in a predetermined cycle within one period. It is about how to store additional data.
최근, DTV(Digital TV) 방송과 관련된 기술로서, DSM-CC(Digital Storage Media-Command and Control) 기반의 데이터 방송(Data Broadcasting)이 주요 관심사로 자리잡고 있다. DSM-CC는 방송 채널에 디지털 방송신호와 함께 부가데이터를 디지털 수신기로 전송하는 스펙이며, 데이터 방송은 DSM-CC 스펙에 의해 날씨, 증권, 여행, 뉴스와 같은 대화형 부가데이터를 제공하는 방송이다.Recently, as a technology related to DTV (Digital TV) broadcasting, data broadcasting based on Digital Storage Media-Command and Control (DSM-CC) has become a major concern. DSM-CC is a specification that transmits additional data to digital receiver along with digital broadcasting signal in broadcasting channel, and data broadcasting is broadcasting that provides interactive additional data such as weather, stock, travel and news according to DSM-CC specification. .
데이터 방송을 제공하기 위하여 디지털 수신기는 수신되는 부가데이터를 하나의 디지털 서비스 테이블 섹션(Digital Service Table, 이하 "DST 섹션"이라 한다) 및 다수의 실제 부가데이터 섹션(이하, "DSM-CC 섹션"이라 한다)으로 분리한다. 그리고, 디지털 수신기는 먼저 DST 섹션을 파싱(Parsing)한 후, 파싱결과에 따라 다수의 DSM-CC 섹션을 저장한 후 저장된 DSM-CC 섹션과 관련된 부가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In order to provide data broadcasting, the digital receiver receives received additional data as one digital service table s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ST section") and a plurality of actual additional data sectio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DSM-CC sections"). Separate). The digital receiver first parses the DST section, stores a plurality of DSM-CC sections according to the parsing result, and then provides additional data services related to the stored DSM-CC section.
이 때, 디지털 수신기는 다수의 DSM-CC 섹션 모두가 저장되었을 경우에만 DSM-CC 섹션과 관련된 부가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디지털 수신기는 DST 섹션을 파싱한 후 DSM-CC 섹션을 저장함으로써 DST 섹션을 파싱하는 동안 수신되는 소정 개수의 DSM-CC 섹션을 저장하지 못 하게 된다. 이로써, 종래의 디지털 수신기는 재수신되는 부가데이터로부터 저장되지 않은 소정 개수의 DSM-CC 섹션을 저장한 후, 부가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At this time, the digital receiver provides additional data services related to the DSM-CC section only when all of the plurality of DSM-CC sections are stored. However, the digital receiver fails to store a predetermined number of DSM-CC sections received while parsing the DST section by parsing the DST section and storing the DSM-CC section. Thus, the conventional digital receiver stores a predetermined number of DSM-CC sections which are not stored from re-received additional data and then provides additional data services.
그러나, 디지털 방송신호는 지속적으로 전송되는 반면 부가데이터는 소정 주기로 반복전송된다. 즉, 부가데이터는 한 번 전송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야 재전송된다. 예를 들어, 부가데이터의 총 전송시간이 10분이고, 소정 시간이 20분인 경우, 초기 부가데이터가 끝까지 전송된 후, 다시 20분이 경과하여야만 동일한 부가데이터가 재전송된다. 따라서, 종래의 디지털 수신기는 동일한 부가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부가데이터의 총 전송시간 뿐만 아니라 소정 시간 간격만큼 더 기다려야 한다. 즉, 종래의 디지털 수신기는 다수의 DSM-CC 섹션이 끝까지 저장될 때까지 소요된 시간 및 소정 시간만큼 지체한 후 저장하지 못 한 소정 개수의 DSM-CC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로써, 종래의 디지털 수신기는 시청자에게 부가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많은 시간을 허비하게 된다.However, digital broadcast signals are continuously transmitted while additional data is repeatedly transmit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at is, the additional data is retransmitted only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once. For example, when the total transmission time of the additional data is 10 minutes and the predetermined time is 20 minutes, the same additional data is retransmitted only after 20 minutes have elapsed after the initial additional data has been transmitted to the end. Therefore, the conventional digital receiver has to wait for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s well as the total transmission time of the additional data to receive the same additional data. That is, the conventional digital receiver receives and stores a time required until a plurality of DSM-CC sections are stored to the end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DSM-CCs that cannot be stored after being del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As a result, the conventional digital receiver spends a lot of time in providing additional data services to the viewe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부가데이터를 이루는 다수의 DSM-CC 섹션을 한 주기내에서 모두 저장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신호 수신장치 및 그의 부가데이터 저장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 digital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storing additional data thereof capable of storing all of a plurality of DSM-CC sections constituting additionally transmitted additional data within one period.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가데이터 방송을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신호 수신장치는, 수신되는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서비스 테이블 섹션인 제1섹션 및 다수의 부가데이터 섹션인 다수의 제2섹션을 각각 필터링하는 역다중화부와, 상기 역다중화부에게 상기 제1섹션의 필터링을 요구하며, 필터링되는 상기 제1섹션을 파싱하여 파싱결과를 출력하는 파싱처리부와, 상기 역다중화부에게 다수의 상기 제2섹션의 필터링을 요구하며, 필터링되는 다수의 상기 제2섹션을 저장가능한 부가데이터로 신호처리하는 저장처리부와, 신호처리되 는 상기 부가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파싱처리부 및 상기 저장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및 제2섹션의 필터링을 동시에 요구하도록 하며, 상기 파싱처리부의 상기 파싱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처리부의 신호처리 지속여부를 판단 및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digital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for providing additional data broadcas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ection, which is a data service table section and a plurality of additional data sections, from a received transport stream. A demultiplexer for filtering each of the two sections, a parsing processor for requesting the demultiplexer to filter the first section, parsing the filtered first section, and outputting a parsing result; and a plurality of the demultiplexer A storage processor for requesting filtering of the second section of the signal, and storing a plurality of the second sections to be filtered as additional data that can be store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additional data to be processed, and the parsing processor; Controlling the storage processor to simultaneously request filtering of the first and second sections, and parsing the parser And by a controller to determine and control the signal processing continue whether or not the storing process based on.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역다중화부는 상기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전송스트림의 구성정보를 목록화한 프로그램 맵 테이블을 추출하며, 추출되는 상기 프로그램 맵 테이블을 파싱하여 상기 제1섹션의 제1패킷 식별자 및 상기 제2섹션의 제2패킷 식별자가 존재하면, 상기 제1 및 제2패킷 식별자의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프로그램 맵 테이블 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출력된 상기 제1 및 제2패킷 식별자의 정보를 갖는 상기 제1섹션 및 상기 제2섹션의 필터링을 요구하도록 상기 파싱처리부 및 상기 저장처리부를 제어한다.More specifically, the demultiplexer extracts a program map table lis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port stream from the transport stream, parses the extracted program map table, and parses the extracted program map table into a first packet identifier of the first section. If there is a second packet identifier of the second section, a program map table processing unit for outputting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acket identifier to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outputs the first and second packet identifier The parsing processing unit and the storage processing unit are controlled to request filtering of the first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having information of.
바람직하게는, 상기 역다중화부는 상기 파싱처리부 및 상기 저장처리부의 요구에 의해 각각 상기 제1 및 제2패킷 식별자 정보를 갖는 상기 제1 및 제2섹션을 필터링하며, 상기 파싱처리부는 상기 제1패킷 식별자 정보 갖는 상기 제1섹션을 파싱하며, 상기 저장처리부는 상기 제2패킷 식별자 정보를 갖는 다수의 상기 제2섹션을 신호처리한다.Preferably, the demultiplexer filters the first and second sections having the first and second packet identifier information, respectively, at the request of the parsing processor and the storage processor, and the parsing processor is configured to filter the first packet. The first section having identifier information is parsed, and the storage processor signal-processes the plurality of second sections having the second packet identifier information.
상세하게는, 상기 제1섹션의 파싱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처리를 중지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필터링되는 상기 제2섹션의 신호처리를 중지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부가데이터를 삭제하도록 상기 저장처리부를 제어한다.Specifical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processing should be stopped based on the parsing result of the first section, the controller stops the signal processing of the second section to be filtered and deletes the additional data stored in the storage. The storage processing unit to control the storage processing unit.
또한, 상기 제1섹션의 파싱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처리를 지속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필터링되는 상기 제2섹션의 신호처리를 지속하여 상기 저장부에 상기 부가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상기 저장처리부를 제어한다.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processing should be continued based on the parsing result of the first section, the control unit continues the signal processing of the filtered second section to store the additional data in the storage unit. Control the processing unit.
또한, 다수의 상기 제2섹션은 소정의 소프트웨어 및 애플릿으로 구현되는 부가정보 중 어느 하나이다.Also, the plurality of second sections may be any one of additional information implemented by predetermined software and applets.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싱결과는 상기 제2섹션의 버전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싱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제2섹션의 버전이 기저장된 버전보다 최신버전이면 다수의 상기 제2섹션의 신호처리를 지속하도록 상기 저장처리부를 제어한다.Preferably, the parsing result includes a version of the second section,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ignal processing of the plurality of second sections if a version of the second section obtained by the parsing is a newer version than a previously stored version. Control the storage processor to continue.
또한, 상기 부가데이터가 상기 소프트웨어인 경우, 상기 파싱결과는 상기 제2섹션의 제조사 및 상기 소프트웨어의 명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싱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제2섹션의 버전이 기저장된 버전보다 최신버전이고, 상기 제조사 및 상기 소프트웨어의 명칭이 기저장된 제조사 및 명칭과 동일하면 다수의 상기 제2섹션의 신호처리를 지속하도록 상기 저장처리부를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the additional data is the software, the parsing result further includes a name of the manufacturer of the second section and the software, and the control unit is a version in which a version of the second section obtained by the parsing is pre-stored. The storage processing unit is controlled to continue the signal processing of the plurality of second sections if the name of the manufacturer and the software is the same as that of the latest vers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역다중화부에 의해 필터링된 상기 제1섹션의 파싱 및 상기 제2섹션의 신호처리를 동시에 실행하도록 상기 파싱처리부 및 상기 저장처리부를 제어한다.The controller controls the parser and the storage processor to simultaneously perform parsing of the first section and signal processing of the second section filtered by the demultiplexer.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가데이터 저장 방법은, 데이터 서비스 테이블 섹션인 제1섹션 및 다수의 부가데이터 섹션인 다수의 제2섹션의 필터링을 동시에 요구하는 필터링요구단계와, 상기 요구에 의해, 수신되는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제1섹션 및 다수의 상기 제2섹션을 각각 필터링하는 필터링단계와, 필터링되는 상기 제1섹션을 파싱하여 제1파싱결과를 출력하는 파싱처리단계와, 필터링되는 다수의 상기 제2섹션을 저장가능한 부가데이터로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단계와, 신호처리되는 상기 부가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단계, 및 상기 파싱처리단계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섹션의 파싱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처리단계의 신호처리 지속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additional data storag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ing request for simultaneously filtering the first section that is a data service table section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ections that are a plurality of additional data section And a filtering step of filtering the first section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ections, respectively, from the received transport stream by the request, and parsing processing of parsing the filtered first section and outputting a first parsing result. A signal processing step of signal processing the plurality of second sections to be filtered into additional data that can be stored; a storing step of storing the additional data to be signal processed; and a first processing section of the first section output from the parsing processing step. And determining whether to continue the signal processing of the signal processing step based on the parsing result.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링요구단계 이전에, 상기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전송스트림의 구성정보를 목록화한 프로그램 맵 테이블을 추출하는 추출단계, 및 추출되는 상기 프로그램 맵 테이블을 파싱하여 상기 제1섹션의 제1패킷 식별자 및 상기 제2섹션의 제2패킷 식별자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파싱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파싱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패킷 식별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필터링요구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패킷 식별자의 정보를 갖는 상기 제1섹션 및 상기 제2섹션의 필터링을 동시에 요구한다.Preferably, before the filtering request step, an extracting step of extracting a program map table listing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port stream from the transport stream, and parsing the extracted program map table to extract the first section of the first section. And a pars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first packet identifier and a second packet identifier of the second section exist,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and second packet identifiers exist in the parsing step, the filtering request step is performed. Requesting filtering of the first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with in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acket identifiers simultaneously.
또한, 상기 필터링단계는 상기 필터링요구단계에 의해 각각 상기 제1 및 제2패킷 식별자 정보를 갖는 상기 제1 및 제2섹션을 필터링하고, 상기 파싱처리단계는 상기 제1패킷 식별자 정보를 갖는 상기 제1섹션을 파싱하며, 상기 신호처리단계는 상기 제2패킷 식별자 정보를 갖는 다수의 상기 제2섹션을 신호처리한다.In addition, the filtering step may filter the first and second sections having the first and second packet identifier information, respectively, by the filtering request step, and the parsing processing may include the first packet having the first packet identifier information. Parsing one section, the signal processing step signals a plurality of the second sections having the second packet identifier informa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신호 수신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 signal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신호 수신장치(100) 는 튜너(110), 역다중화부(DeMultiplexer, 이하 "DeMUX"라 한다)(120), 프로그램 맵 테이블(Program Map Table, 이하 "PMT"라 한다) 처리부(130), 제어부(140), 파싱처리부(150), 저장처리부(160), 서브저장부(170) 및 메인저장부(180)를 포함한다.  먼저, 도 1의 디지털 방송신호 수신장치(100)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날씨, 증권, 여행 등의 부가데이터 방송을 제공하는 셋탑박스로서, 부가데이터의 저장과 관련된 블럭만을 도시한다.Referring to FIG. 1, a digital broadcast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다수의 채널, 예를 들어, 공중파 방송, 위성 방송 등이 갖는 채널 중 소정 채널을 선국한다.  선국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는 전송 스트림 형태를 갖는다.  전송 스트림은 디지털 방송신호 뿐만 아니라 PMT를 포함한다.  또한, 선국된 채널이 부가데이터 방송을 제공하는 경우, 전송 스트림은 디지털 방송신호 및 PMT 뿐만 아니라, 부가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섹션을 갖는다.The
PMT는 전송 스트림의 구성 정보를 가지고 있다. 즉, PMT는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각 데이터(즉, 섹션)의 패킷 식별자(Packet Identifier, 이하 "PID"라 한다)를 목록화한 테이블이다. 패킷 식별자는 후술할 DeMUX(120)가 전송 스트림이 포함하고 있는 각 데이터를 종류별로 역다중화하는 데 사용된다.The PMT has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a transport stream. In other words, the PMT is a table listing packet identifi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IDs") of each data (ie, sections) included in the transport stream. The packet identifier is used by the DeMUX 120 to be described later to demultiplex each type of data included in the transport stream.
DeMUX(120)는 튜너(110)에 의해 선국된 채널의 전송 스트림을 특성별로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DeMUX(120)는 수신되는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디지털 방송신호를 추출하여 방송신호 처리부(미도시)로 제공하며, PMT를 추출하여 PMT 처리부(130)로 제공한다.  또한, 선국된 채널을 통해 부가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DeMUX(120)는 DST 섹션을 추출하여 파싱처리부(150)로 제공하며, 부가데이터를 이루는 다수의 DSM-CC 섹션을 추출하여 저장처리부(160)로 제공한다.  DST 섹션 및 DSM-CC 섹션과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DeMUX 120 demultiplexes the transport stream of the channel tuned by
PMT 처리부(130)는 PMT를 모니터링(monitoring)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PMT 처리부(130)는 추출된 PMT의 버전을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PMT 처리부(130)는 모니터링한 PMT의 버전이 이전에 전송된 PMT의 버전보다 높으면 PMT를 파싱하여 파싱결과를 출력한다.  여기서, PMT의 버전은 PMT를 이루는 각 데이터의 일부가 수정, 추가, 또는 삭제에 의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다.The
[표 1]을 참조하면, PMT는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섹션, VCT(Virtual Channel Table) 섹션, ST 섹션, DST(Data Service Table) 섹션 및 DSM-CC 섹션의 PID와, 각 섹션의 버전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각 섹션을 이루는 데이터의 일부가 변경된 경우 각 섹션의 버전 또한 변경되며, 이로써 PMT의 버전도 변경된다.Referring to [Table 1], the PMT includes PIDs of the Program Association Table (PAT) section, the Virtual Channel Table (VCT) section, the ST section, the Data Service Table (DST) section, and the DSM-CC section, and the version information of each section. Consists of Here, when a part of the data constituting each section is changed, the version of each section is also changed, thereby changing the version of the PMT.
[표 1]에 표시된 각 섹션 중 본 발명과 관련된 섹션은 DST 섹션 및 DSM-CC 섹션이다.  DST 섹션은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부가데이터의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DSM-CC 섹션은 데이터 방송을 위한 실제 부가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부가데이터의 식별정보는 예를 들어, 부가데이터의 버전, 제조사, 부가데이터의 서비스 이름 등 다양하다.  부가데이터는 디지털 방송신호 수신장치(100)에 기저장된 소프트웨어, 또는 자바 애플릿(Java Applet)으로 구현되는 날씨, 증권, 여행, 영화 등의 대화형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부가데이터가 메인저장부(180)에 저장된 소프트 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위한 데이터인 경우, 부가데이터의 서비스 이름은 소프트웨어명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전송 스트림은 다수의 크기(비트)를 갖으며, 전송 스트림 중 DST 섹션은 1 크기를 갖는 반면, DST 섹션 이후에 수신되는 DSM-CC 섹션은 다수의 크기 예를 들어, 1부터 1000까지의 크기를 갖는다.Of the sections shown in [Table 1], the sec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DST section and the DSM-CC section. The DST section h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dditional data included in the transport stream, and the DSM-CC section has actual additional data for data broadcas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dditional data may vary, for example, the version of the additional data, the manufacturer, and the service name of the additional data. The additional data provides interactive information such as weather, stocks, travel, movies, etc., which are implemented by software pre-stored in the digital broadcasting
[표 1]에서와 같이 PMT 파싱 결과 제1섹션으로 적용된 DST 섹션의 PID(이하, "제1PID"라 한다) 및 제2섹션으로 적용된 DSM-CC 섹션의 PID(이하, "제2PID"라 한다)가 존재하는 경우, PMT 처리부(130)는 제1PID 정보(예를 들어, '0X14') 및 제2PID 정보(예를 들어, '0X15')를 제어부(140)로 제공한다.As shown in [Table 1], the PID of the DST s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PID”) applied to the first section as a result of PMT parsing and the PID of the DSM-CC section applied to the second s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PID”) ), The
PMT 처리부(130)로부터 제1PID 정보 및 제2PID 정보가 제공되면, 제어부(140)는 선국된 채널이 부가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부가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시청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제1PID 정보를 갖는 DST 섹션 및 제2PID 정보를 갖는 DSM-CC 섹션의 필터링을 동시에 요구하도록 파싱처리부(150) 및 저장처리부(160)를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140)는 필터링을 동시에 요구하도록 파싱처리부(150) 및 저장처리부(160)를 동시에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싱처리부(150) 및 저장처리부(160)는 각각 제1섹션 및 다수의 제2섹션을 처리하는 소정의 타스크(TASK)이다.When the first PID information and the second PID information are provided from the
파싱처리부(15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DeMUX(120)에게 제1PID 정보 를 갖는 DST 섹션을 필터링하도록 요구한다.  DeMUX(120)로부터 DST 섹션이 필터링되면, 파싱처리부(150)는 DST 섹션을 파싱하여 파싱결과를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DST 섹션의 파싱결과는 DSM-CC 섹션이 생성된 버전, 제조사, 부가데이터 방송의 서비스명 등 상술한 식별정보를 의미한다.The parsing
저장처리부(16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DeMUX(120)에게 제2PID 정보를 갖는 다수의 제2섹션을 필터링하도록 요구한다.  여기서, 파싱처리부(150) 및 저장처리부(16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동시에 필터링을 요구한다.  DeMUX(120)로부터 다수의 DSM-CC 섹션이 소정 순서로 필터링되면, 저장처리부(160)는 필터링되는 다수의 DSM-CC 섹션을 저장가능한 실제 부가데이터로 신호처리한다.  즉, 저장처리부(160)는 필터링되는 각 DSM-CC 섹션의 헤더를 제거하여 서브저장부(170)로 출력한다.The
한편, 파싱처리부(150) 및 저장처리부(160)가 동시에 필터링을 요구하면, 제어부(140)는 파싱처리부(150)에게 필터링된 제1PID 정보를 갖는 DST 섹션을, 저장처리부(160)에게 필터링된 제2PID 정보를 갖는 DSM-CC 섹션을 동시에 제공하도록 DeMUX(120)를 제어할 수도 있다.Meanwhile, when the parsing
서브저장부(170)는 저장처리부(160)로부터 출력되는 실제 부가데이터를 소정 어드레스에 저장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실제 부가데이터가 100개의 DSM-CC섹션으로 이루어진 경우, DeMUX(120)는 초기 DSM-CC 섹션부터 100번째 DSM-CC 섹션을 순서대로 필터링한다.  그리고, 저장처리부(160)는 초기 DSM-CC 섹션부터 소정 순서로 신호처리하므로, 서브저장부(170)에는 초기 DSM-CC 섹션부터 순서대로 각  DSM-CC 섹션이 저장된다.  이는, 이전에 수신된 소정 DST 섹션의 파싱에 의해 획득 및 저장된 것이다.The
메인저장부(180)는 디지털 방송신호 수신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과, 다수의 소프트 웨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메인저장부(180)에는 최근에 저장된 실제 부가데이터와 관련된 식별정보도 저장된다.  예를 들어, 메인저장부(180)에는 최근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버전, 제조사, 소프트웨어 명 등이 저장되며, 자바 애플릿으로 구현되는 부가데이터의 버전 등이 저장된다.The
한편, 제어부(140)는 파싱처리부(150)로부터 출력되는 파싱결과에 기초하여 저장처리부(160)의 신호처리 지속여부를 판단한 후, 판단결과에 따라 저장처리부(160)를 제어한다.On the other hand, the
자세히 설명하면, 파싱처리부(150)로부터 출력되는 파싱결과와 메인저장부(180)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비교한다.  비교결과 저장처리부(160)의 신호처리를 지속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각 DSM-CC 섹션의 신호처리를 지속하도록 저장처리부(160)를 제어한다.  이로써, 저장처리부(160)는 초기 DSM-CC 섹션부터 필터링되는 각 DSM-CC 섹션을 실제 부가데이터로 신호처리하며, 신호처리된 부가데이터가 서브저장부(170)에 저장되도록 처리한다.  초기 DSM-CC 섹션부터 최종 DSM-CC 섹션까지의 신호처리 및 저장이 완료되면 저장처리부(160)는 다수의 DSM-CC 섹션이 저장된 어드레스 정보를 제어부(140)에게 통지한다.  판단기준은, 예를 들어, 현재 수신되는 부가데이터의 제조사와 저장된 제조사가 동일하 고, 현재 수신되는 부가데이터의 버전이 상위버전이면, 제어부(140)는 저장처리부(160)의 신호처리를 중지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한다.In detail, the parsing result output from the parsing
예를 들어, 파싱처리부(150)의 파싱에 의해 획득된 버전이 메인저장부(180)에 기저장된 버전보다 최신버전이면, 제어부(140)는 각 DSM-CC 섹션을 계속해서 신호처리하도록 저장처리부(160)를 제어한다.  특히, 각 DSM-CC 섹션에 의해 전송되는 부가데이터 서비스가 소프트웨어인 경우, DSM-CC 섹션의 제조사 및 소프트웨어 명이 메인저장부(180)에 기저장된 제조사 및 소프트웨어명과 동일하고 버전이 최신버전이면, 제어부(140)는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인 것으로 판단하고, 신호처리를 지속하도록 저장처리부(160)를 제어한다.For example, if a version obtained by parsing of the parsing
반면, 파싱처리부(150)로부터 출력되는 파싱결과와 메인저장부(180)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비교한다.  비교결과 저장처리부(160)의 신호처리를 중지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각 DSM-CC 섹션의 신호처리를 중지하고, 서브저장부(170)에 저장된 부가데이터를 삭제하도록 저장처리부(160)를 제어한다.  이로써, 저장처리부(160)는 필터링되는 DSM-CC 섹션의 신호처리를 중지하고, 서브저장부(170)에 저장된 소정 부가데이터를 삭제한다.  예를 들어, 현재 수신되는 부가데이터의 제조사가 저장된 제조사와 상이하거나, 또는, 현재 수신되는 부가데이터의 버전이 하위버전이거나 동일하면, 제어부(140)는 저장처리부(160)의 신호처리를 중지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arsing result output from the parsing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부가데이터 방송을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신호 수신장치(100)는 선국된 채널이 부가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DST 섹셔 및  다수의 DSM-CC 섹션의 필터링을 동시에 요구함으로써 초기 필터링되는 소정 개수의 DSM-CC 섹션을 놓치지 않고 모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Thus, the digital broadcast
도 2는 도 1에 의한 부가데이터 저장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storing additional data according to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DeMUX(120)는 소정 채널에 의해 수신 중인 전송 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PMT를 추출한다.  PMT 처리부(130)는 DeMUX(120)로부터 추출된 PMT를 모니터링하여, PMT의 버전 업 여부를 확인한다(S205, S210).1 and 2,
S210단계에서 PMT의 버전이 업된 것으로 확인되면, PMT 처리부(130)는 PMT를 파싱하여 DST 섹션의 PID(이하, "제1PID"라 한다) 및 DSM-CC 섹션의 PID(이하, "제2PID"라 한다)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215).  S215단계에서 제1 및 제2PID가 존재하면, PMT 처리부(130)는 제1 및 제2PID의 정보를 제어부(140)에게 통지한다(S22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10 that the version of the PMT is up, the
제어부(140)는 제1PID 및 제2PID 정보와 동일한 PID 즉, 제1PID를 갖는 DST 섹션 및 제2PID를 갖는 DSM-CC 섹션의 필터링을 동시에 요구하도록 파싱처리부(150) 및 저장처리부(160)를 동시에 제어한다.  이에 의해, 파싱처리부(150) 및 저장처리부(160)는 제1PID를 갖는 DST 섹션 및 제2PID를 갖는 DSM-CC 섹션의 필터링을 DeMUX(120)에게 동시에 요구한다(S225).The
S225단계에 의해 DeMUX(120)는 제1PID를 갖는 DST 섹션 및 제2PID를 갖는 DSM-CC 섹션을 동시에 또는 소정 시간차로 필터링한다(S230).  파싱처리부(150)는 DeMUX(120)로부터 필터링되는 제1PID를 갖는 DST 섹션을 파싱하여 파싱결과를 제어 부(140)로 출력한다(S235).  또한, 저장처리부(160)는  DeMUX(120)로부터 필터링되는 제2PID를 갖는 DSM-CC 섹션을 신호처리하여 저장가능한 부가데이터를 생성한 후, 서브저장부(170)에 저장되도록 처리한다(S240).  이로써, 다수의 DSM-CC 섹션은 초기 DSM-CC 섹션부터 저장된다.In operation S225, the
한편, 제어부(140)는 S235단계에서 출력되는 파싱결과와 메인저장부(180)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S240단계에서 수행되는 DSM-CC 섹션의 신호처리 지속여부를 판단한다(S245).  S245단계에서 필터링되는 DSM-CC 섹션의 신호처리를 지속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DSM-CC 섹션의 신호처리를 지속하도록 저장처리부(160)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저장처리부(160)는 필터링되는 DSM-CC 섹션의 신호처리를 지속하며, 신호처리된 부가데이터가 서브저장부(170)에 저장되도록 처리한다(S250).On the other hand, the
S250단계에 의해 다수의 DSM-CC 섹션의 신호처리 및 저장이 완료되면, 저장처리부(160)는 다수의 DSM-CC 섹션이 저장된 어드레스를 제어부(140)에 통지한다(S255).  이로써, 부가데이터 서비스 요청이 외부입력장치(예를 들어, 원격제어기)로부터 수신되면, 제어부(140)는 서브저장부(170)의 소정 어드레스에 저장된 부가데이터를 독출하여 시청가능한 신호로 출력되도록 처리한다.When signal processing and storage of the plurality of DSM-CC sections is completed by the step S250, the
또한, S245단계에서 신호처리를 지속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S235단계에서 출력되는 DST 섹션의 파싱결과가 메인저장부(180)에 저장되도록 처리한다(S260).  이는, 이후 소정 채널을 통해 다른 부가데이터 방송이 제공되는 경우, 다른 부가데이터의 수신 및 저장여부를 비교판단할 때 사용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signal processing should be continued in step S245, the
한편, S245단계에서 필터링되는 DSM-CC 섹션의 신호처리를 중지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DMS-CC 섹션의 신호처리를 중지하도록 저장처리부(160)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저장처리부(160)는 제2PID를 갖는 DSM-CC 섹션의 필터링을 중지하도록 DeMUX(120)에게 요구한다(S265).  그리고, 저장처리부(160)는 S65단계를 수행하기 이전까지 필터링된 DSM-CC 섹션의 신호처리를 중지하며, 서브저장부(170)에 저장된 부가데이터를 삭제처리한다(S270).Meanwhil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45 that signal processing of the filtered DSM-CC section should be stopped, the
이로써, 선국된 채널이 소정 주기로 부가데이터 방송을 제공하는 경우, 수신되는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다수의 DSM-CC 섹션을 한 주기내에 처음부터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DST 섹션 및 DSM-CC 섹션의 필터링을 동시에 요구함으로써, DST 섹션의 파싱 후에 DSM-CC 섹션의 신호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DST 섹션의 파싱과 거의 동시에 DSM-CC 섹션의 신호처리를 수행하기 때문에 가능하다.Thus, when the tuned channel provides additional data broadcasting in a predetermined period, it is possible to store a plurality of DSM-CC sections included in the received transport stream from the beginning within one period. This requires the filtering of the DST section and the DSM-CC section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signal processing of the DSM-CC section is performed almost simultaneously with the parsing of the DST section without parsing the DSM-CC section after parsing the DST section. Is possible.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신호 수신장치 및 그의 부가데이터 저장 방법에 의하면, 선국된 채널의 전송 스트림에 부가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DST 섹션의 필터링 및 다수의 DSM-CC 섹션의 필터링을 동시에 요구한다. 이로써, 다수의 DSM-CC 섹션은 초기 DSM-CC 섹션부터 최후 DSM-CC 섹션까지 한 번에 저장된다. 따라서, 소정 주기로 반복전송되는 소정의 부가데이터 방송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신호 수신장치는 다수의 DSM-CC 섹션을 한 주기내에 모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빠른 시간안에 부가데이터 방송을 제공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signals and the method of storing additional data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dditional data is included in a transport stream of a tuned channel, filtering of a DST section and a plurality of DSM-CC sections are filtered. Demand simultaneously. As such, multiple DSM-CC sections are stored at one time from the initial DSM-CC section to the last DSM-CC section. Therefore, in the predetermined additional data broadcast repeatedly transmitted at a predetermined period, the digital broadcas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additional data broadcasting to the user in a faster time by storing a plurality of DSM-CC sections in one period. Can be.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representativ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030072256AKR100548205B1 (en) | 2003-10-16 | 2003-10-16 | Digital broadcast signal receiver and additional data storage method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030072256AKR100548205B1 (en) | 2003-10-16 | 2003-10-16 | Digital broadcast signal receiver and additional data storage method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36552A KR20050036552A (en) | 2005-04-20 | 
| KR100548205B1true KR100548205B1 (en) | 2006-02-02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030072256AExpired - Fee RelatedKR100548205B1 (en) | 2003-10-16 | 2003-10-16 | Digital broadcast signal receiver and additional data storage method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548205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97051B1 (en) | 2007-06-25 | 2014-05-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 
| KR101405965B1 (en) | 2007-06-25 | 2014-06-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 
| KR101456002B1 (en) | 2007-06-26 | 2014-11-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 
| KR101405966B1 (en) | 2007-06-26 | 2014-06-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 
| KR101405967B1 (en) | 2007-06-28 | 2014-06-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 
| KR101405968B1 (en) | 2007-06-28 | 2014-06-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 
| KR101405970B1 (en) | 2007-06-28 | 2014-06-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 
| KR101405969B1 (en) | 2007-06-28 | 2014-06-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 
| KR101461958B1 (en) | 2007-06-29 | 2014-11-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 
| KR101467785B1 (en) | 2007-07-06 | 2014-12-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 
| KR101556123B1 (en) | 2007-07-25 | 2015-09-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 
| WO2009028854A1 (en) | 2007-08-24 | 2009-03-05 | Lg Electronics Inc. |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 
| US8059210B2 (en) | 2007-08-24 | 2011-11-15 | Lg Electronics, Inc. |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 
| CA2695548C (en) | 2007-08-24 | 2013-10-15 | Lg Electronics Inc. |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 
| US7936786B2 (en) | 2007-09-20 | 2011-05-03 | Lg Electronics, Inc. |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 
| US8160009B2 (en) | 2007-09-20 | 2012-04-17 | Lg Electronics Inc. |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36552A (en) | 2005-04-20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548205B1 (en) | Digital broadcast signal receiver and additional data storage method | |
| WO2006131754A2 (en) | Data carousel delivery | |
| KR100499039B1 (en) | (A) digital tv and method for setting channel of the same | |
| US7555019B2 (en) |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digital broadcast apparatus, digital broadcast receiving method, digital broadcast method, and digital broadcast receiving program | |
| KR20080078829A (en) | Broadcast receiver, video storage device and multimedia distribution system | |
| JP3549442B2 (en) | Digital broadcast receiver | |
| JPH11275476A (en) | Channel selection method for digital broadcast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 |
| KR100640424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witching of a broadcast channel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 |
| KR101490254B1 (en) | Broadcast receiver and background channel EPG providing method | |
| EP1703733B1 (en) | System for processing of television data streams and method for processing of television data streams | |
| US8272005B2 (en) | Information monitoring and updating method and system for transport stream | |
| KR20090024885A (en) | How to update software on video display device | |
| KR20090063638A (en) | Gathering method of data broadcasting receiver and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 |
| KR20060068671A (en) | Digital TV and its channel setting method | |
| US20070288972A1 (en) | Open cable broadcast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KR20180040333A (en) | Method for Processing and Transmitting Supplementary Data of Terrestrial Broadcasting Signal | |
| EP1043897B1 (en) | Process of managing service informations in a digital television and associated receiver | |
| KR101088121B1 (en) | Receivers in a content delivery system, and how to manage service lists at this receiver level | |
| KR100672410B1 (en) | How to handle inactive channels in digital receivers | |
| KR100609143B1 (en) | Ancillary data Output Apparatus and Method of Data Broadcasting Receiver When Changed Channel | |
| JP2002344906A (en) | Broadcasting system, broadcasting device, receiving device | |
| KR20060125265A (en) | Channel Switching Device and Method of Digital TV | |
| KR100870181B1 (en) | Channel chang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et top box caching channel frequency and PID | |
| KR20100071181A (en) | A method for section filtering and an apparatus thereof | |
| EP2252058B1 (en) | Frequency redirection for inband signaling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1-asn-PN23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1-asn-PN23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7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21228 Year of fee payment: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31230 Year of fee payment: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41223 Year of fee payment: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601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6012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