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래, 휴대게임기나 가정용 텔레비젼 게임기(TV 게임기)등의 게임장치에 있어서는 1회의 키조작만으로 1문자의 알파벳, 아라비아 숫자, 기호를 입력할 수 있지만, 한글문자와 같은 자음과 모음의 조합 및/또는 자음과 모음의 조합에 의해 특정되는 문자뿐만 아니라 받침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특정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기술이 없었다.Conventionally, in a game device such as a portable game machine or a home TV game machine (TV game machine), one letter of alphabet, Arabic numerals, and symbols can be input by only one key operation, but combinations of consonants and vowels such as Korean characters and / or There is no technique for entering a character specified by combining the consonants as well as a character specified by the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한편, 퍼스널컴퓨터(이하, 「PC」라고 함)에 있어서는 한글 문자를 입력하는방법으로서, 알파벳 키군(群)을 좌우의 2그룹으로 나눠, 좌측 그룹을 자음용, 우측 그룹을 모음용으로 나누고, 자음키와 모음키의 조작의 조합에 의해 자음과 모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한개의 문자를 입력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a personal compu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C"), as a method of inputting Hangul characters, the alphabet key group is divided into two groups on the left and right, the left group for consonants, and the right group for vowels. By using the combination of the consonant key and the vowel key, one character consisting of the combination of the consonant and the vowel is input.
종래는 게임장치의 조작 스위치의 수가 매우 적어, 영어판 또는 일본어판 등의 다른 언어의 게임 소프트웨어를 한글어판으로 이식하는 것이 매우 곤란했다.Conventionally, the number of operation switches of a game device is very small, and it was very difficult to port game software of other languages, such as an English version or a Japanese version, to a Korean language version.
또, 키보드를 이용한 한글 문자 입력 기술은 키보드를 갖지 않은 휴대 게임기나 TV 게임기 등의 게임장치에 그대로 채용할 수 없었다. 만약, 키보드를 별도로 접속하여 사용한다면 추가의 하드웨어나 비용 부담이 필요해지고, 휴대 게임기에서는 휴대성이 없어져 버린다. 또, 키보드는 어른 손의 크기에 맞춰 키의 크기, 간격, 배열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손이 작은 어린아이는 사용하기 어려워 사용상 숙련을 요해 간단히 사용할 수 없었다.Also, Hangul character input technology using a keyboard could not be adopted as it is in game devices such as portable game machines or TV game machines that do not have a keyboard. If the keyboard is connected and used separately, additional hardware and cost are required, and the portable game machine loses portability. In addition, since the size, spacing, and arrangement of keys are set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an adult's hand, a child with a small hand is difficult to use and requires skill in use and cannot be used simply.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키보드를 갖지 않은 게임기에 있어서도 게임에 사용하는 조작 스위치만으로 한글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한 한글 문자 입력 가능 게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a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orean character input capable game apparatus capable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only by using an operation switch used for a game even in a game machine without a keyboar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이 작은 어린아이라도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작 가능한 한글 문자 입력 가능 게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gul character input game device that can be operated simply and easily even small infant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을 잡는 양손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한글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한 한글 문자 입력 가능 게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gul character input capable game apparatus capable of efficiently inputting Hangul characters using both hands holding the housing.
도 1은 본 발명의 한글문자 입력가능한 게임장치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외관도,1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game apparatus capable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한글문자 입력 가능한 게임장치의 한 실시예의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game apparatus capable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ROM(15b)의 메모리맵을 도해적으로 나타낸 도면,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emory map of the ROM 15b;
도 4는 문자입력모드에서의 표시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4 is a diagram showing a display example of a display screen in the character input mode;
도 5는 커서 이동표시처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5 is a diagram showing a display example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cursor movement display processing;
도 6은 검색코드의 구성과, 문자입력이 있은 경우의 부수(部首)코드·검색코드의 입력상태와의 관계를 도해적으로 나타낸 도면,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e of the search code and the input state of the minor code and the search code when there is character input;
도 7은 본 실시예를 이용한 문자입력예에서의 문자입력순서와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7 is a diagram showing a character input sequence and display example in the character input example using this embodiment;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자음과 모음을 지정하여 한글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by specifying consonants and vowe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자음과 모음을 지정하여 한글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by specifying consonants and vowe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자음과 모음을 지정하여 한글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및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by specifying consonants and vowe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11은 입력한 한글문자를 취소할 때의 소거(또는 변경)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Fig. 1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rase (or change) process when canceling an inputted Hangul characte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휴대 게임기 11 : 하우징10: portable game machine 11: housing
12 : 액정 디스플레이 13 : 조작 스위치12 liquid crystal display 13 operation switch
20 : 제어 회로 21 : CPU 코어20: control circuit 21: CPU core
23 : LCD 컨트롤러 24 : 작업 RAM23: LCD controller 24: working RAM
25 : 비디오 RAM 26 : 인터페이스 회로25: video RAM 26: interface circuit
131 : 방향 지시 스위치 132 : 스타트 스위치131: direction indicator switch 132: start switch
본 발명은 표시수단이 관련적으로 설치되어 게임에 사용되는 한글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한 게임장치(한글 문자 입력 가능한 게임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방향지시 스위치, 제 1 누름버튼 스위치, 폰트 데이터 기억수단, 자음 표시 처리수단, 모음 표시 처리수단, 커서 이동 표시 처리수단, 제 1 입력 문자 표시 처리수단 및 제 2 입력 문자 표시 처리수단을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me device (a game device capable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n which a display means is installed and that can input Korean characters used in a game, the housing, a direction command switch, a first push button switch, and font data storage. Means, consonant display processing means, vowel display processing means, cursor movement display processing means, first input character display processing means, and second input character display processing means.
하우징(실시예와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면, 휴대 게임기의 경우는 그 하우징, 텔레비젼 게임기의 경우는 컨트롤러의 하우징. 이하, 괄호안의 설명은 실시예와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은 플레이어의 양손으로 잡는 형상을 갖는다. 방향 지시 스위치는 하우징의 한 쪽 영역(표면의 좌측)에 배치되어 플레이어의 한손(왼손)으로 조작된다. 제 1 누름 버튼 스위치는 하우징의 다른 쪽 영역(표면의 우측)에 배치되어 플레이어의 다른 손(오른손)으로 조작된다. 폰트 데이터 기억수단(ROM)은 복수의 자음의 폰트 데이터와, 복수의 모음 폰트 데이터와, 1개의 자음 및 1개의 모음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복수의 받침없는 한글 문자의 폰트 데이터와, 적어도 2개의 자음 및 1개의 모음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받침있는 복수의 한글 문자의 폰트 데이터를 각각 기억한다.The housing (in the case of a portable game machine, the housing of the portable game machine, the housing of the controller in the case of a TV game machine. The descriptions in parentheses below correspond to the embodiment). It has a shape. The direction indicating switch is disposed in one region (left side of the surface) of the housing and operated by one hand (left hand) of the player. The first push button switch is disposed in the other region (right side of the surface) of the housing and operated by the other hand (right hand) of the player. The font data storing means (ROM) includes font data of a plurality of consonants, a plurality of vowel font data, a plurality of unsupported Hangul characters font data constituted by combining one consonant and one vowel, and at least two consonants And font data of a plurality of supported Hangul characters formed by combining one vowel.
자음 표시 처리수단(프로그램과 CPU)은 표시수단에 있어서의 제 1 표시영역에 복수의 자음 폰트를 표시한다. 모음 표시 처리수단(프로그램과 CPU)은 표시수단에 있어서의 제 2 표시영역에 복수의 모음의 폰트를 표시한다. 커서 이동 표시 처리수단(프로그램과 CPU)은 방향 지시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서 커서를 이동시켜 제 1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자음 중 어느 하나의 자음 및/또는 제 2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모음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을 지정한다.The consonant display processing means (program and CPU) displays a plurality of consonant fonts in the first display area of the display means. The vowel display processing means (program and CPU) displays a plurality of vowel fonts in the second display area in the display means. The cursor movement display processing means (program and CPU) moves the cursor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indicating switch, and the plurality of vowels displayed o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nsonant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area and / or on the second display area. Specifies a collection of either.
제 1 입력 문자 표시 처리수단(프로그램과 CPU)은 방향 지시 스위치와 제 1 누름버튼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자음과 모음이 차례로 선택된 것에 따라서 당해 자음과 당해 모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1자의 받침없는 한글문자의 폰트 데이터가 폰트 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기억되어 있는 것을 판별했을 때는 당해 자음과 당해 모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당해 받침없는 한글 문자를 상기 표시수단의 제 3 표시영역에 표시시키고,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것을 판별했을 때는 당해 자음과 당해 모음을 개별로 표시수단의 제 3 표시영역에 입력순으로 표시시킨다.The first input character display processing means (program and CPU) is composed of one unsupported Hangul character composed of the combination of the consonant and the vowel according to the consonant and the vowel being selected in turn by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indication switch and the first pushbutton switch.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 font data is stored in the font data storage means,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stored, the unsupported Korean character composed of the combination of the consonant and the vowel is displayed on the third display area of the display means,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stored, the consonants and the vowels are individually displayed in the input order in the third display area of the display means.
제 2 입력 문자 표시 처리수단(프로그램과 CPU)은 방향 지시 스위치와 제 1 누름 버튼 스위치의 조작 상태에 따라서 제 1 입력 문자 표시처리수단에 의해 받침없는 한글문자가 표시된 후, 또 자음이 선택된 것에 따라서 제 3 표시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직전에 입력된 받침없는 한글문자와 당해 자음을 조합한 받침있는 한글 문자의 폰트데이터가 폰트 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기억되어 있는 것을 판별했을 때는 직전에 입력된 받침없는 한글 문자와 또 선택된 당해 자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받침있는 한글문자를 상기 표시수단의 제 3 표시영역에 받침없는 한글 문자로 바꿔 표시시키고, 당해 받침있는 한글 문자의 폰트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것을 판별했을 때는 직전에 표시되어 있는 당해 받침없는 한글 문자와 당해 자음을 개별적으로 상기 표시수단의 제 3 표시영역에 입력순으로 표시시킨다.After the second input character display processing means (program and CPU) displays unsupported Hangul characters by the first input character display processing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state of the direction indication switch and the first push button switch, and according to the consonant being selected. W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ont data of the unsupported Korean character inputted immediately before the third display area and the consonant Korean character which combine the consonant are stored in the font data storage means, and when it is stored Supported Hangul characters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the unsupported Hangul characters and the selected consonant which were input immediately before are displayed in the third display area of the display means by displaying unsupported Hangul characters, and the font data of the supported Hangul characters are stor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the unsupported Hangul characters displayed immediately before Of the display means that the individual third and displays the input order on the display region.
(실시예)(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한글 문자 입력 가능한 게임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게임장치의 일례의 휴대 게임기(10)는 직사각형 형상인 하우징(11)을 포함한다. 하우징(11)의 한쪽 주면(표면)에는 액정 디스플레이(이하 「LCD」라고 함)(12)가 장착되고, 또 LCD(12)를 끼우는 그 한측(좌측)과 다른측(우측)에 조작 스위치(13)가 장착된다. 조작 스위치(13)는 플레이어가 게임조작을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방향 지시 스위치(131), 스타트 스위치(132), 선택 스위치(133)가 LCD(12)의 좌측에 배치되고, 동작 지시 스위치(A버튼, B버튼)(13a, 13b)가 LCD(12)우측에 배치되어, 필요에 따라서 다른 동작 스위치(13R, 13L)가 하우징(11)의 상부 측면의 좌우에 배치된다. 방향 지시 스위치(131)는 게임시에 캐릭터의 이동 방향의 지시 또는 지정에 사용되고, 문자입력시에 커서를 이동하여 선택해야 하는 자음 및/또는 모음의 지시에 사용된다. 동작 지시 스위치(13a, 13b)는 게임시에는 플레이어가 조작하는 캐릭터의 동작 지시(점프, 차기, 던지기등)에 사용되고, 문자 입력시에 한쪽이 문자 선택(또는 입력 결정), 다른쪽이 선택(또는 입력)한 문자의 삭제 등에 사용된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방향 지시 스위치(131)와 동작 지시 스위치(A버튼, B버튼)(13a, 13b)의 적은 수의 조작 스위치에 의해 한글 문자의 입력 수단이 구성된다. 또, 스타트 스위치(132)는 게임 스타트의 지시에 사용되고, 선택 스위치(133)는 화면에 표시된 메뉴의 선택 등에 사용된다.1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game apparatus capable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game machine 10 of an example of the game device includes a housing 11 having a rectangular shape. On one main surface (surface) of the housing 11, a liquid crystal display (hereinafter referred to as "LCD") 12 is mounted, and on one side (left side) and the other side (right side) to which the LCD 12 is fitted, an operation switch ( 13) is mounted. The operation switch 13 is a switch for the player to input an operation signal for game operation, the direction indication switch 131, the start switch 132, the selection switch 133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LCD 12, Operation instruction switches (A button, B button) 13a, 13b are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LCD 12, and other operation switches 13R, 13L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1 as necessary. The direction indication switch 131 is used for instructing or designating a character's movement direction during a game, and for instructing consonants and / or vowels to be selected by moving the cursor during character input. The operation instruction switches 13a and 13b are used for operation instruction (jumping, kicking, throwing, etc.) of a character operated by the player during the game, and one character selection (or input determination) and the other selection ( Or delete a character). That is, in this embodiment, a small number of operation switches of the direction indicating switch 131 and the operation indicating switches (A button, B button) 13a, 13b constitute a Hangul character input means. The start switch 132 is used for instructing game start, and the selection switch 133 is used for selecting a menu displayed on the screen.
또, 휴대 게임기(10)의 배면 상부에는 게임 카트리지(이하「카트리지」라고함)(15)를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하기 위한 카트리지 삽입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카트리지 삽입구멍의 근방에 커넥터(도 2의 27 참조)가 장착된다. 카트리지(15)는 게임 프로그램, 한글 문자 입력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메모리(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ROM(15b))을 하우징(15a)에 내장하고 있다.In addition, a cartridge insertion hole (not shown)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game cartrid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rtridge") 15 freely is formed in the upper rear side of the portable game machine 10, and a connector is provided near the cartridge insertion hole. (See 27 in FIG. 2) is mounted. The cartridge 15 incorporates a memory (for example, ROM 15b shown in Fig. 2) in which a game program and a Hangul character input processing program are stored in the housing 15a.
또,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게임장치의 일례로서 휴대 게임기의 경우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가정용 텔레비젼 게임기(TV 게임기)와 같은 거치형에도 적용할 수 있다. TV 게임기의 경우는 하우징이 게임 조작기(또는 컨트롤러)의 하우징이 되고, 표시수단이 액정표시기를 대신하여 TV 게임기의 촬상 출력단자(AV 단자 또는 RGB 단자 등)에 접속된 가정용 텔레비젼 수상기가 된다. 또, 게임 프로그램, 한글 문자 입력 처리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 메모리로서는 카트리지(15)를 대신하여 CD-ROM 또는 DVD 등의 광학식 정보 기억매체가 이용되어도 좋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 case of a portable game machin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game device.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tationary type such as a home television game machine (TV game machine). In the case of a TV game machine, the housing is a housing of a game operating device (or controller), and the display means is a home television receiver connected to an image pickup output terminal (such as an AV terminal or an RGB terminal) of the TV game machine in pl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As a memory storing a game program, a Hangul character input processing program, and the like, an optical information storage medium such as a CD-ROM or a DVD may be used instead of the cartridge 15.
도 2는 본 발명의 한글 문자 입력 가능한 게임장치의 한실시예의 블록도이다. 게임기(10)에는 제어회로(예를 들면, CPU칩)(20)가 내장된다. 제어회로(20)에는 CPU 코어(21)가 포함된다. CPU 코어(21)에는 버스(어드레스 버스 및 데이터 버스)(22)를 통해 LCD 컨트롤러(23), 작업RAM(24), 비디오 RAM(25) 및 인터페이스 회로(26)가 접속된다. 제어회로(20)에는 조작 스위치(13), 커넥터(27) 및 사운드 회로(28)가 접속된다. 사운드 회로(28)에는 스피커(29)가 접속된다. 커넥터(27)에는 게임의 개시에 앞서 원하는 카트리지(15)가 장착된다. 그리고, 플레이어(사용자)는 카트리지(15)를 교환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게임 소프트웨어를 플레이할수 있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a game device capable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me machine 10 includes a control circuit (for example, a CPU chip) 20. The control circuit 20 includes a CPU core 21. The CPU core 21 is connected to the LCD controller 23, the work RAM 24, the video RAM 25, and the interface circuit 26 via a bus (address bus and data bus) 22. An operation switch 13, a connector 27, and a sound circuit 28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circuit 20. The speaker 29 is connected to the sound circuit 28. The connector 27 is equipped with a desired cartridge 15 prior to the start of the game. Then, the player (user) can play the desired game software by replacing the cartridge 15.
제어회로(20)의 CPU 코어(21)는 커넥터(27)에 접속된 카트리지(15)에서 게임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조작 스위치(13)에 의해 입력되는 조작 신호와 당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게임 처리 또는 문자 입력 처리를 실행하여 처리 도중의 데이터를 작업RAM(24)에 기억시키고, 또 표시 데이터(화상 또는 문자 데이터)를 비디오RAM(25)에 일시 기억시킨다. CPU 코어(21)는 비디오 RAM(25)에 일시 기억되어 있는 표시 데이터를 표시 타이밍에 맞춰 LCD 컨트롤러(23)에 제공한다. LCD 컨트롤러(23)는 CPU 코어(21)로부터 공급된 화상(또는 표시)데이터를 LCD(12)에 표시시키기 위한 표시 제어를 실시한다. 또, CPU 코어(21)는 게임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게임의 진행에 따른 게임 음악 또는 효과음의 음성 데이터를 발생하여 사운드 회로(28)에 제공한다. 사운드 회로(28)는 D-A 변환회로 및 증폭회로를 포함하며,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또 적절히 증폭하여 스피커(29)로부터 음성 출력시킨다.The CPU core 21 of the control circuit 20 reads the game program from the cartridge 15 connected to the connector 27, and based on the operation signal input by the operation switch 13 and the program, the game process or The character input process is executed to store data in the process in the work RAM 24, and the display data (image or character data)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video RAM 25. The CPU core 21 provides the display data temporarily stored in the video RAM 25 to the LCD controller 23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y timing. The LCD controller 23 performs display control for displaying on the LCD 12 image (or display) data supplied from the CPU core 21. In addition, the CPU core 21 generates the voice data of the game music or the effect sound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game based on the game program and provides it to the sound circuit 28. The sound circuit 28 includes a D-A conversion circuit and an amplifying circuit, and converts audio data into an audio signal (analog signal), and amplifies appropriately to output audio from the speaker 29.
한편, 게임 카트리지(15)는 ROM(15b) 및 RAM(15c)을 포함한다. ROM(15b)에는 게임 프로그램, 한글 문자 처리 프로그램이 고정적으로 기억된다. ROM(15b)에는 게임 소프트웨어 고유의 게임 프로그램이 기억되는 기억 영역(151) 및 문자 입력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영역(152)이 포함되는데, 기억 영역(152)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game cartridge 15 includes a ROM 15b and a RAM 15c. In the ROM 15b, a game program and a Hangul character processing program are fixedly stored. The ROM 15b includes a storage area 151 for storing game programs unique to game software and a storage area 152 for storing character input processing programs,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do.
RAM(15c)에는 게임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얻어진 게임 데이터가 고쳐쓰기 가능하고 불휘발적으로 기억된다. RAM(15c)에 기억되는 게임 데이터로서는 예를들면 플레이어가 게임의 개시에 앞서 등록한 플레이어명, 임의의 이름을 등록가능하게 한 캐릭터명 등의 등록 데이터나, 게임을 종료했을 때의 경과를 나타내는 백업 데이터(예로서, 취득한 아이템, 몬스터, 라이프, 진행된 맵수 등)가 포함된다.In the RAM 15c, game data obtained by execution of a game program is rewritable and nonvolatile. As the game data stored in the RAM 15c, for example, registration data such as a player name registered prior to the start of the game, a character name that allows any name to be registered, or a backup indicating the progress when the game is finished. Data (eg, acquired items, monsters, life, number of advanced maps, etc.) is included.
도 3은 ROM(15b)의 메모리맵을 도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ROM(15b)에는 종래의 카트리지와 동일한 게임 프로그램을 기억한 게임 프로그램 기억 영역(151)뿐만 아니라 문자 입력 처리 프로그램 기억영역(152)이 포함된다. 기억영역(152)은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문자 입력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영역으로서, 기억영역(153∼156)을 포함한다.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emory map of the ROM 15b. The ROM 15b includes a character input processing program storage area 152 as well as a game program storage area 151 that stores the same game program as a conventional cartridge. The storage area 152 is an area for storing a character input processing program which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storage areas 153 to 156.
기억영역(153)에는 자음 표시 처리 프로그램, 모음 표시 처리 프로그램, 커서 이동 표시 처리 프로그램, 입력 문자 표시처리 프로그램 및 검색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자음 표시 처리 프로그램은 자음의 폰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모든 자음을 표시하는 프로그램이며, 바람직하게는 기본 자음 뒤에 된소리 발음하는 자음의 문자를 표시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자음 표시 처리의 프로그램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LCD(12)의 표시 화면을 세로 방향으로 3분할했을 때, 중단의 상반(上半)분의 자음 표시 영역(12a)에 복수의 자음을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The storage area 153 stores a consonant display processing program, a vowel display processing program, a cursor movement display processing program, an input character display processing program, and a search program. The consonant display processing program is a program for displaying all consonants based on the font data of the consonants, and preferably displays the characters of the consonants pronounced after the basic consonants. More specifically, the program of the consonant display processing is divided into three consonant display regions 12a for the upper half of the interruption when the display screen of the LCD 12 is divided into three lengthwise directions as shown in FIG. Program to display consonants.
모음 표시 처리 프로그램은 모음의 폰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모든 모음을 표시하는 프로그램이며, 바람직하게는 기본 모음 뒤에 합성 모음의 문자를 표시하도록 프로그램이 설정되는 것에 의해 사용 빈도가 높은 기본 모음의 선택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모음 표시 처리에서는 모든 합성 모음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에 의해, 1회의 입력(또는 선택)으로 모든 합성 모음을입력할 수 있다). 또, 자음 표시 처리 및 모음 표시 처리에서는 바람직하게 후술하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문자수(도시한 예에서는 4문자)마다 간격을 두고 표시되는 것에 의해 자음 또는 모음의 배치 위치를 알기 쉽게 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모음 표시 처리 프로그램은 표시 화면 중단의 하반분의 모음 표시 영역(12b)에 복수의 모음을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The vowel display processing program is a program for displaying all vowels based on the font data of the vowel. Preferably, the program is set to display the characters of the composite vowel after the main vowel, thereby simplifying the selection of the frequently used vowel. Make it quick. In the vowel display process, it is preferable to display all the compound vowels (by this, all the compound vowels can be input by one input (or selection)). In the consonant display process and the vowel display process, as shown in FIG. 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displayed at intervals for each predetermined number of characters (four characters in the illustrated example)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consonant or the vowel. More specifically, the vowel display processing program is a program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vowels in the vowel display area 12b of the lower half of the display screen interruption.
커서 이동 표시처리 프로그램은 방향 지시 스위치(131)의 조작에 기초하여 커서를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는 프로그램이다. 바꿔 말하면, 커서 이동 표시 처리 프로그램은 방향 지시 스위치(131)의 조작에 따라서 커서를 이동시켜 자음 표시 영역(12a)에 표시되는 복수의 자음 중 어느 하나의 자음 및/또는 모음 표시영역(12b)에 표시되는 복수의 모음 중 어떠한 모음을 지시하고, 결정버튼(13a)의 조작에 따라서 그 때 커서에 의해 지시되고 있는 자음 또는 모음을 개별적으로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방향지시 스위치(131)의 조작에 따라서 커서를 이동시키고, 자음 또는 모음을 지정하는 경우는 커서가 자음행의 좌단의 위치(「ㄱ」을 지시)에 있을 때(도 5의 1번째 단의 표시예 참조), 방향지시 스위치(131)의 오른쪽을 1회 누르면, 커서가 오른쪽으로 1문자 이동하여 왼쪽으로부터 2번째 문자로 이동해서 「ㄴ」을 지정한다(도 5의 2번째 단의 표시예 참조). 그 다음에 방향지시 스위치(131)의 아래를 1회 누르면, 커서가 아래로 1행 이동하여 자음 2번째 행의 왼쪽으로부터 2번째 문자로 이동해서 「ㅎ」을 지정한다(도 5의 3번째 단 표시예 참조). 모음을 지정하는 경우는 또한 방향지시 스위치(131)의 아래를 1회 누르면, 커서가 아래로 1행 이동하여 모음 1번째 행의 왼쪽으로부터 2번째 문자로 이동하여 「ㅑ」를 지정한다(도 5의 4번째 단의 표시예 참조). 이렇게 방향지시 스위치(131)의 상하 좌우를 지정함으로써 커서를 상하 좌우로 이동시켜 원하는 문자의 부수를 구성하는 자음 또는 모음을 지정한다.The cursor movement display processing program is a program for moving the cursor up, down, left, and right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indicating switch 131. In other words, the cursor movement display processing program moves the cursor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indicating switch 131 to the consonant and / or vowel display area 12b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nsonants displayed in the consonant display area 12a. Any vowel from among the plurality of vowels displayed is instructed, a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ecision button 13a, the consonants or vowels indicated by the cursor at that time are individually selected. Specifically, when the cursor is mov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indicating switch 131, and the consonants or vowels are designated, when the cursor is at the left end of the consonant row (indicated "a") (the first in FIG. 5). When the right side of the direction indication switch 131 is pressed once, the cursor moves one character to the right, moves to the second character from the left, and designates "b" (the second column in FIG. 5). See example). Next, when the direction switch 131 is pressed down once, the cursor moves down one line, moves to the second character from the left of the second consonant line, and designates "ㅎ" (the third column in FIG. 5). See example). In the case of designating a vowel, when the bottom of the direction indicating switch 131 is pressed once, the cursor moves down one line and moves to the second character from the left of the first line of the vowel to designate "ㅑ" (Fig. 5). See example 4). By specifying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direction indicating switch 131, the consonants or vowels that constitute the number of copies of the desired character are designated by moving the cursor up, down, left, and right.
입력문자 표시처리 프로그램은 커서에 의해 지시되고, 동작 스위치(13a)와 겸용되는 결정버튼이 조작되었을 때에 커서에 의해 지정된 자음 또는 모음의 부수 또는 자음과 모음의 조합에 의해 특정되는 문자를 입력문자로 판단하여, 입력문자 표시영역(12a)에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입력문자 표시처리 프로그램은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입력된 문자를 표시화면 상단의 입력문자 표시영역(12c)에 소정 문자수만큼 표시시킨다. 입력문자 표시처리 프로그램은 받침 없는 문자입력을 처리하는 제 1 입력문자 표시처리 프로그램과, 받침 있는 문자 입력을 처리하는 제 2 입력문자 표시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요소와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면, 제 1 입력문자 표시처리 프로그램과 CPU 코어(21)에 의해 제 1 입력문자 표시처리수단이 구성되고, 제 2 입력문자 표시처리 프로그램과 CPU 코어(21)에 의해 제 2 입력문자 표시처리수단이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입력문자 표시처리 프로그램과 CPU(21)와의 공동 작용에 의해, 방향지시 스위치와 제 1 누름버튼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자음과 모음이 차례로 선택됨에 따라서 당해 자음과 당해 모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1자의 받침 없는 한글문자의 폰트 데이터가 폰트 데이터 기억영역(154)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기억되어 있는 것을 판별하였을 때는 당해 자음과 당해 모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당해 받침 없는 한글문자를 표시수단의 입력문자 표시영역(12c)으로 표시시키고, 기억되어 있지 않다는것을 판별하였을 때는 당해 자음과 당해 모음을 개별적으로 입력문자 표시영역(12c)으로 입력순으로 표시시킨다. 또, 제 2 입력문자 표시처리 프로그램과 CPU(21)의 공동 작용에 의해 제 1 입력문자 표시처리수단에 의해 받침 없는 한글문자가 표시된 후, 다시 방향지시 스위치와 제 1 누름버튼 스위치의 조작상태에 의해 자음이 선택됨에 따라서 입력문자 표시영역(12c)에 표시되어 있는 직전에 입력된 받침 없는 한글문자와 다시 선택된 자음을 조합시킨 받침 있는 한글 문자의 폰트 데이터가 폰트 데이터 기억영역(153)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색(또는 판별)하고, 기억되어 있는 것을 검출(판별)하였을 때는 직전에 입력된 받침 없는 한글문자와 당해 자음과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받침 있는 한글문자를 입력문자 표시영역(12c)에 받침 없는 한글문자로 바꾸어 표시시키고, 당해 받침 있는 한글문자의 폰트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판별하였을 때는 직전에 표시되어 있는 당해 받침 없는 한글문자와 당해 자음을 개별적으로 입력문자 표시영역(12c)에 입력순으로 표시시킨다.The input character display processing program is instructed by the cursor, and when the decision button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operation switch 13a is operated, the character specified by the number of consonants or vowels specified by the cursor or a combination of the consonants and vowels is designated as the input character. Judgment is made on the input character display area 12a. More specifically, the input character display processing program displays the input characters by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in the input character display area 12c at the top of the display screen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characters. The input character display processing program includes a first input character display processing program for processing unsupported character input and a second input character display processing program for processing a supported character input. When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described in the claims is shown, the first input character display processing program and the CPU core 21 constitute the first input character display processing means, and the second input character display processing program and the CPU core ( 21), the second input character display processing means is constituted. Then, the consonant and the vowel are sequentially sel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indicating switch and the first pushbutton switch by the joint action of the first input character display processing program and the CPU 21, and the combination of the consonant and the vowel is formed. Display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font data of one unsupported Hangul character is stored in the font data storage area 154, and if it is stored, the unsupported Hangul character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consonant and the vowe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formation is not stored, the consonants and the vowels are individually displayed in the input character display area 12c in the order of input. Also, after the Hangul characters not supported by the first input character display processing means are displayed by the joint action of the second input character display processing program and the CPU 21, the operation state of the direction indication switch and the first push button switch is again displayed. As the consonants are selected, font data of the unsupported Hangul characters input immediately before the displayed consonants in the input character display area 12c and the selected Hangul consonants are stored in the font data storage area 153. When searching (o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stored data and detecting (determining) what is stored, the input character display area 12c receives a supported Hangul character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he unsupported Hangul character and the consonant. If it is displayed by replacing with Korean characters that do not exist,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font data of the supported Korean characters is not stored, And displays are shown as inputs in order to support the art Hangul characters, and displays the art consonants individually enter text region (12c) which do not.
검색 프로그램은 입력된 한글문자의 폰트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여 판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즉, 검색 프로그램은 기능적으로는 검색코드에 기초하여 입력된 문자(자음과 모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문자)의 폰트데이터의 유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입력문자 표시처리 프로그램과의 공동 작용에 의해 입력문자를 특정 또는 결정한다.The search program is a program for searching and determining whether font data of input Hangul characters is registered. That is, the retrieval program includes a retrieval program for functionally retriev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nt data of characters (character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based on the retrieval code. Specifies or determines input characters by
기억영역(154)은 검색코드에 대응하여 복수의 자음 또는 복수의 모음 또는 자음과 모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문자의 각각의 폰트데이터를 기억하는 폰트데이터 기억영역이다. 구체적으로는 기억영역(154)은 한글문자의 1자를, 예를 들면 8×16 도트의 폰트데이터로 기억하는 것으로서, 폰트의 종류로서는 복수(19자)의 자음 폰트데이터와, 복수(21자)의 모음의 폰트데이터와, 하나의 자음 및 하나의 모음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복수의 받침 없는 한글문자의 폰트데이터와, 적어도 2개의 자음 및 하나의 모음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복수의 받침 있는 문자의 폰트데이터를 각각 기억한다. 이 때, 각 문자의 폰트데이터에 대응하여 2바이트(16비트)로 구성되는 검색코드가 할당된다. 이 검색코드는 제 1 비트~제 5 비트의 5비트로 자음을 지정하고, 제 6비트~제 10비트의 5비트로 모음을 지정하고, 제 11비트~제 15 비트의 5비트로 받침을 지정함으로써 이들의 조합에 의해 1문자(당해 문자의 폰트)를 지정한다. 예를 들면 받침 없는 문자의 경우는 제 11비트~제 15비트가 전부 제로가 되고, 제 1 비트~제 5비트의 데이터에 의해 결정되는 자음과 제 6 비트~제 10 비트에 의해 결정되는 모음의 조합에 의해 특정되는 받침 없는 자음과 모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문자가 특정된다. 받침 있는 문자의 경우는 제 1 비트~제 5비트의 데이터에 의해 결정되는 자음과 제 6 비트~제 10 비트에 의해 결정되는 모음의 조합에 의해 특정되는 받침 없는 자음과 모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문자에 더하여 제 11 비트~제 15 비트에 의해 결정되는 자음을 받침으로서 부가한 문자가 특정된다. 또한, 제 16번째 비트는 사용되지 않는다(의미가 없는 비트가 된다).The storage area 154 is a font data storage area for storing respective font data of a plurality of consonants or a plurality of vowels or a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corresponding to a search code. Specifically, the storage area 154 stores one character of Hangul characters, for example, font data of 8 x 16 dots. As the type of font, a plurality of (19 characters) consonant font data and a plurality (21 characters) are used. Font data of vowels of vowels, font data of a plurality of unsupported Hangul characters composed of one consonant and one vowel, and fonts of plural supported characters constituted by combining at least two consonants and one vowel Store the data separately. At this time, a search code composed of two bytes (16 bits) is assigned corresponding to the font data of each character. This search code designates consonants with five bits of the first to fifth bits, sets the vowels into five bits of the sixth to tenth bits, and supports the five bits of the eleventh to fifteenth bits. Specifies one character (the font of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unsupported characters, the 11th to 15th bits are all zeros, and the consonants determined by the data of the first to fifth bits and the vowels determined by the sixth to tenth bits are determined. Character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unsupported consonants and vowels specified by the combination are specified. In the case of a backed character, a character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unsupported consonants and vowels specified by a combination of consonants determined by the data of the first to fifth bits and vowels determined by the sixth to tenth bits. In addition, the added character is specified by supporting the consonants determined by the 11th to 15th bits. Also, the sixteenth bit is not used (it becomes an unsigned bit).
기억영역(155)은 부수코드 기억영역 또는 부수 테이블로서 각각 복수의 자음, 모음, 받침 별로 5비트의 코드를 기억한다. 기억영역(156)은 복합 받침 참조테이블로서 2개의 받침이 부여되었을 때에 이들 받침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복합 받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정의한 테이블이다.The storage area 155 stores a 5-bit code for each of a plurality of consonants, vowels, and supports as a sub code storage area or a sub table. The storage area 156 is a table which defines whether or not a composite support constituted by a combination of these supports exists when two supports are provided as the compound support reference table.
도 6은 검색코드의 구성과 문자입력이 있은 경우의 부수코드·검색코드의 입력상태의 관계를 도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검색코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5비트의 자음 부수코드, 5비트의 모음 부수코드 및 5비트의 받침 부수코드로 구성된다. 그리고, 최초로 자음이 입력되었을 때는 자음 부수코드가 제 1~제 5 비트의 자음부수를 지정하는 데이터(도시에서는 「00101」)가 된다. 또한, 자음만이 입력되고, 모음 및 받침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는 모음 부수코드 및 받침 부수코드(제 6~제 10 비트 및 제 1 ~제 15 비트)가 전부 제로가 되어, 모음도 받침도 부가되지 않은 문자가 지정되게 된다(도 6의 (1) 참조).Fig.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e of the search code and the input state of the supplementary code and the search code when there is a character input.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he retrieval code is composed of a 5-bit consonant minor code, a 5-bit vowel minor code, and a 5-bit supporting minor code. When the consonants are input for the first time, the consonant part code becomes data ("00101" in the figure) specifying the consonant part number of the first to fifth bits. If only consonants are input, and vowels and supports are not input, the vowel attachment code and the support attachment code (the sixth to tenth bits and the first to fifteenth bits) are all zeros, and both the vowel and the support are added. Characters not specified are designated (see FIG. 6 (1)).
다음에 모음이 지정되어 입력된 경우는 모음의 부수코드인 제 6~제 10비트가 모음부수를 지정하는 데이터가 되고, 제 1 ~제 10비트의 10비트로 지정되는 검색코드(받침 부수코드에 대응하는 제 11~제 15 비트가 전부 제로)에 의해 받침 없는 문자가 선택되게 된다(도 6의 (2) 참조).In the case where the vowel is specified and entered, the sixth to tenth bits, which are the minor codes of the vowels, become data specifying the number of vowels, and the search code designated by the ten bits of the first to tenth bits (corresponding to the supporting minor code). The unsupported character is selected by the 11th to 15th bits to be zero (see FIG. 6 (2)).
자음과 모음이 지정되어 받침 없는 문자가 선택된 후에 받침 부수코드가 입력된 경우, 즉 자음과 모음을 지정하여 받침없는 문자의 선택에 더하여, 또한 자음이 지정되었을 때는 당해 자음이 받침부수이기 때문에 직전에 입력된 받침 없는 문자에 받침부수를 추가한 받침 있는 문자의 입력으로서 처리된다. 그 경우의 검색코드가 도 6의 (3)에 도시되게 된다. 이 검색코드에 의해 특정되는 받침 있는 문자의 폰트데이터가 등록되어 있다면 당해 문자가 입력문자 표시영역(12c)에 표시되고,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직전에 입력된 받침 없는 문자와 받침부수와 자음 문자의 2문자가 차례로 표시되게 된다.If the consonant code is entered after the consonant and vowels have been selected and the unsupported character is selected, that is, in addition to the selection of the unsupported character by specifying the consonant and vowels, and when the consonant is specified, the consonant is the supporting part. It is treated as the input of supporting characters by adding the supporting part to the input unsupported characters. The search code in that case is shown in Fig. 6 (3). If the font data of the supported character specified by this search code is registered, the character is displayed in the input character display area 12c, and if not registered, two characters of the unsupported character, the number of supporting characters, and the consonant character entered immediately before The characters will be displayed in sequence.
도 7은 이 실시예를 이용한 문자입력예에서의 문자입력 순서와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 7의 입력·표시예에서는 한국에 있어서 가장 많은 성인 「金」의 한글문자 「김」(1번째 단에서 3번째 단)과 남자 이름으로서 가장 일반적인(또는 인기가 있는) 「哲洙」의 한글문자 「철수」(4번째 단에서 8번째 단)를 입력하는 경우의 입력문자 표시영역(13c)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1번째 단에서 3번째 단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金」을 입력하는 경우의 조작순서의 흐름과, 이에 기초하여 입력표시영역(12c)의 표시예는 방향지시 스위치(131)에 의해 커서를 조작하여 「김」의 자음인 「ㄱ」(도 5의 자음표시영역(12a)의 1번째 단 좌단에 나타내는 자음)을 지시하고, 또한 결정버튼(13a)을 누른 후(이하, 커서에 의한 이동지시와 결정버튼(13a)을 누르는 것에 의한 조작을 합해서 「선택」이라고 함), 십자키(131)를 조작하여 커서를 모음표시영역(12b)으로 이동시켜서, 「김」의 모음인 「ㅣ」(도 5의 모음표시영역(12b)의 1번째 단 왼쪽에서 10번째에 나타내는 모음)을 선택한 후, 또한 「김」의 받침인 「ㅁ」(도 5의 자음표시영역(12a)의 1번째 단 왼쪽에서 5번째에 나타내는 자음)을 선택한다.Fig. 7 is a diagram showing a character input order and display example in the character input example using this embodiment. For example, in the example of input and display of FIG. 7, the most common Korean character “Kim” (Kim) (the first to third columns) of “金” and the male name “哲 洙” Shows a display example of the input character display area 13c in the case of inputting the Korean character " retract " (4th to 8th stage). Specifically, referring to the first to third stages, the flow of the operation procedure in the case of inputting "金" and the display example of the input display area 12c are based on the direction indicating switch 131. The cursor is operated to indicate "a" (a consonant indicated at the left end of the first stage of the consonant display area 12a in FIG. 5) by pressing the decision button 13a (hereinafter, the cursor By moving the cursor and pressing the decision button 13a together, " selection " and by using the arrow keys 131 to move the cursor to the vowel display area 12b. After selecting " (vowels shown from the left to the tenth stage of the vowel display area 12b in Fig. 5), " ㅁ " Select the fifth consonant from the left of the first column.
또, 4번째 단에서 8번째 단을 참조하여 「철수」를 입력하는 경우의 예를 설명하면, 커서를 조작하여 「철」의 자음인 「ㅊ」(도 5의 자음표시영역(12a)의 1번째 단 좌단에서 10번째에 나타내는 자음)을 선택하고, 커서를 모음표시영역(12b)으로 이동시켜서, 「철」의 모음인 「ㅓ」(도 5의 모음표시영역(12b)의 1번째 단 왼쪽에서 3번째에 나타내는 모음)을 선택한 후, 또한 「철」의 받침인 「ㄹ」(도 5의 자음표시영역(12a)의 1번째단 왼쪽에서 4번째에 나타내는 자음)을 선택한다. 다음에 커서를 조작하여 「수」의 자음인 「ㅅ」(도 5의 자음표시영역(12a)의 1번째 단 왼쪽에서 7번째에 나타내는 자음)을 선택하고, 커서를 모음표시영역(12b)으로 이동시켜서, 「수」의 모임인 「ㅜ」(도 5의 모음표시영역(12b)의 1번째 단 왼쪽에서 7번째에 나타내는 모음)을 선택한다(이 경우는 받침 없는 문자).In addition, referring to the fourth stage to the eighth stage, the example of inputting "withdrawal" will be described. When the cursor is operated, "vo" which is a consonant of "iron" (1 in the consonant display area 12a of FIG. The consonant shown in the tenth step from the left end of the first column), and moves the cursor to the vowel display area 12b, whereby "ㅓ" which is a vowel of "iron" (left of the first row of the vowel display area 12b in Fig. 5). After selecting the vowel shown in the 3rd), the user also selects “d” (the consonant shown in the fourth from the left of the first end of the consonant display area 12a in FIG. 5). Next, the cursor is operated to select "s" (a consonant shown in the seventh to the left of the first column of the consonant display area 12a in FIG. 5), and the cursor is moved to the vowel display area 12b. And select "TT" (vowels shown in the seventh to the left of the first column of the vowel display area 12b in Fig. 5), which is a collection of "numbers" (in this case, unsupported characters).
도 8~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자음과 모음을 지정하여 한글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8~도 10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8 to 10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by specifying consonants and vowe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게임의 개시에 앞서서 플레이어의 이름을 입력하는 경우 또는 게임에 등장하는 캐릭터에 원하는 이름을 붙이는 경우는 메뉴화면에 있어서 문자입력모드를 선택하면, CPU 코어(21)는 문자입력처리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도 7의 동작을 시작한다. 우선, 시작 직후의 어떠한 키 또는 스위치도 조작되고 있지 않은 경우는 단계(도시에서는 기호 「S」로 나타낸다)(11)에서 방향지시 스위치(이하, 평면형상이 십자형태를 하고 있기 때문에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서 「십자키」라 한다)(131)가 조작되고 있지 않은 것이 판단되고, 단계(12)에서 결정 스위치(「A버튼」이라고도 한다)(13a)가 조작되고 있지 않은 것이 판단되고, 단계(13)에서 삭제 스위치(「B버튼」라고도 한다)(13b)가 조작되고 있지 않은 것이 판단되고, 단계(11~13)의 동작이 반복됨으로써 키 입력이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When entering a player's name prior to the start of the game, or when a character input mode is selected on the menu screen when a desired name is given to a character appearing in the game, the CPU core 21 is based on the character input processing program. Start the operation of 7. First, when no key or switch immediately after the start has been operated, the direction indicating switch (hereinafter referred to as symbol "S" in Fig. 11) (11) simplifies the description because the planar shape has a cross shape. It is determined that the "cross key" 131 is not being operated, and it is determined at step 12 that the decision switch (also called "A button") 13a is not being operated, and step 13 ), It is determined that the delete switch (also referred to as "B button") 13b is not operated, and the operation of steps 11 to 13 is repeated to wait until there is a key input.
키 입력 대기 상태에서 십자키(131)가 조작되면, 단계(11)에서 그것이 판단되고, 단계(14)로 진행한다. 단계(14)에서 십자키(131)의 조작에 따라서 커서의 이동처리가 실시된다. 이 때, 십자키(131)의 오른쪽이 눌려지면, 자음표시영역 또는 모음표시영역 중 어떠 위치에 존재하는 커서가 1문자 분만큼 오른쪽으로 이동된다. 동일하게 십자키(131)의 아래가 눌려지면 커서를 아래로 이동시키고, 왼쪽이 눌려지면 커서를 왼쪽으로 이동시키고, 위가 눌려지면 커서를 위로 이동시키도록 표시 처리된다.If the cross key 131 is operated in the key input standby state, it is judged in step 11, and the procedure proceeds to step 14. In step 14, the cursor movement processing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cross keys 131. At this time, if the right side of the cross key 131 is pressed, the cursor existing in any of the consonant display area or the vowel display area is moved to the right by one character. Similarly, if the bottom of the cross key 131 is pressed, the cursor is moved downward, if the left side is pressed, the cursor is moved to the left, and if the top is pressed, the cursor is moved upward.
다음에, 결정 스위치가 조작되면, 단계(12)에서 그것이 판단되고, 단계(15)로 진행한다. 단계(15)에 있어서 현재 커서에 의해 지시(또는 선택)되고 있는 자음(또는 모음) 중 어떠한 부수가 선택된 문자로 결정된다. 단계(16)에 있어서 선택문자(이 단계에서는 자음 또는 모음)의 부수코드가 생성된다. 이 경우, 처음에 입력되는 부수코드는 많은 경우가 자음의 부수코드이다. 단계(17)에 있어서 현재의 입력란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가 1번째 문자인 것이 판단되고, 다음 단계(18)(도 9의 왼쪽 중단)로 진행한다.Next, if the decision switch is operated, it is judged in step 12, and the procedure proceeds to step 15. In step 15, any number of consonants (or vowels) currently being indicated (or selected) by the cursor is determined as the selected character. In step 16, an additional code of a selection character (in this step, consonants or vowels) is generated. In this case, the first minor code input is often the minor code of the consonant. In step 17,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current input box is the first character, and the flow advances to the next step 18 (the left break in FIG. 9).
단계(18)에서 현재의 입력란에 대응하는 선택문자가 표시된다. 단계(19)에 서 현재의 입력란이 최후의 입력란인지(즉, 입력문자 표시영역(12c)에 표시되어 있는 입력문자수가 소정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되고, 최후의 입력란이 아닌것이 판단되면, 단계(20)에 있어서 입력커서를 다음 입력란으로 이동시킨 후, 전술한 단계(11)로 되돌아가 다음 문자입력을 기다린다.In step 18, a selection letter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input field is displayed. In step 19,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input field is the last input field (i.e., whether the number of input characters displayed in the input character display area 12c has reached a predetermined number),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input field is not the last input field. In step 20, the input cursor is moved to the next input box, and then the process returns to the above step 11 and waits for the next character input.
한편, 전술의 단계(17)에 있어서 현재의 입력란이 1번째 문자가 아닌(즉 2번재 문자 이후이다) 것이 판단되면, 단계(21)로 진행한다. 단계(21)에 있어서 앞의입력란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가 자음만 있는 것인지 여부가 판단되고, 자음만 있는 것이 판단되면, 단계(22)에 있어서 선택된 문자가 모음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모음이 아닌 것(즉, 자음인 것)이 판단되면, 전술의 단계(18)로 진행하여, 앞의 입력란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자음)와는 별도로 선택된 문자(자음)을 현재의 입력란에 표시한다. 역으로, 모음인 것이 판단되면, 다음 단계(23)(도 10의 왼쪽 위)로 진행하여, 「자음+모음」의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처리를 실시한다. 단계(23)에 있어서 앞의 입력란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자음)의 검색코드와, 선택문자(모음)의 부수코드에 기초하여 검색코드가 생성된다. 단계(24)에 있어서 작성된 검색코드에 기초하여 폰트데이터 기억영역(154)에 기억되어 있는 대응하는 검색코드가 검색된다. 단계(25)에 있어서 검색의 결과, 대응하는 검색코드가 있는지(즉, 폰트데이터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대응하는 검색코드가 있는 것이 판단되면, 단계(26)에 있어서 검색코드에 대응하는 문자(자음과 모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문자)의 폰트데이터가 판독되어, 앞의 입력란에 표시된 후, 전술의 단계(11)로 되돌아간다. 또한, 검색코드가 없는 것이 판단되면, 전술의 단계(18)로 진행하여, 앞의 입력란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자음)와는 별도로 선택문자(모음)를 현재의 입력란에 표시한다.On the other hand, in step 17,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input field is not the first character (that is, after the second character), the flow advances to step 21. In step 21,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previous input field have only consonants. If it is determined that only the consonants exis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haracters selected in step 22 are vowel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owel is not a vowel (i.e., it is a consonan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8, where the selected text (consonant) is displayed in the current input box separately from the character (consonant) displayed in the previous input box. . Conversely,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a vowel, the process proceeds to the next step 23 (upper left corner in FIG. 10), and a process for displaying the characters of "consonants + vowels" is performed. In step 23, a search code is generated based on the search code of the character (consonant) displayed in the preceding input box and the accessory code of the selected character (collection). Based on the retrieval code created in step 24, the corresponding retrieval code stored in the font data storage area 154 is retrieved. In step 25, as a result of the search,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re is a corresponding search code (i.e., font data is register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corresponding search code, in step 26, font data of a character (character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corresponding to the search code is read out, displayed in the preceding input box, and then the above-described step ( Return to 1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search code, the flow advances to step 18, where the selected text (collection) is displayed in the current text input box separately from the text (consonant) displayed in the previous text input box.
또, 전술의 단계(17)에 있어서 2번째 문자 이후인 것이 판단되고, 또한 단계(21)에 있어서 자음만이 아닌 것이 판단되면, 단계(27)에 있어서 앞의 입력란의 문자가 모음만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모음만 있는 것이 판단되면 전술의 단계(18)로 진행하여, 앞의 입력란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모음)와는 별도로 선택문자(자음 또는 모음 중 어느 것)를 현재의 입력란에 표시한다. 한편, 모음만이 아닌 것이 판단되면 단계(28)로 진행한다.If it is determined in the above step 17 that it is after the second character, 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1 that it is not only consonants, it is determined in step 27 whether the character of the preceding input box is only a vowel. Judging.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only a vowel,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8, in which the selected text (either consonants or vowels) is displayed in the current text box separately from the text (collection) displayed in the previous text box.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only vowel,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8.
단계(28)에 있어서 앞의 입력란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가 「자음과 모음을 조합한 문자」(받침 없음)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당해 조합문자인 것이 판단되면, 단계(29)에서 선택문자가 자음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자음이 아닌 것이 판단되면 전술의 단계(18)로 진행하여, 앞의 입력란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자음+모음」)와는 별도로 선택문자(모음)를 현재의 입력란에 표시한다. 한편, 선택문자가 자음인 것이 판단되면, 그 자음이 받침으로서 입력된 것이라고 판단하고, 단계(30)(도 10의 중앙 위)로 진행하여, 받침 있는 문자의 표시처리가 실시된다. 즉, 단계(30)에서, 선택문자의 부수코드(단계(16)에서 자음의 부수코드가 생성되어 있다)가 받침의 부수코드로 변환된다. 단계(31)에서, 앞의 입력란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의 검색코드와, 선택문자(받침)의 부수코드에 기초하여 받침 있는 문자의 검색코드가 생성된 후, 전술의 단계(24)로 진행한다. 이 경우는 단계(24)에서 작성된 검색코드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검색코드가 검색된다. 단계(25)에서 대응하는 검색코드가 있는 것이 판단되면, 단계(26)에서 검색코드에 대응하는 문자(받침 있는 문자)의 폰트데이터가 판독되어, 당해 문자가 앞의 입력란에 표시된 후, 전술의 단계(11)로 되돌아간다.In step 28,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preceding input field is a "character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no suppor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mbination character is selected, it is determined in step 29 whether the selected character is a consonan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sonant is not a consonant, the flow advances to step 18, where the selected character (vowel) is displayed in the current input box separately from the character ("consonant + vowel") displayed in the preceding input box.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lected character is a consonant,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sonant has been input as a support,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0 (above the center of FIG. 10) to perform display processing of the supported character. That is, in step 30, the minor code of the selected character (the minor code of the consonant is generated in step 16) is converted into the minor code of the supporting character. In step 31, after the search code of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preceding input field and the search code of the supported character is generated based on the accessory code of the selected character (suppor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4 described above. . In this case, the corresponding search code is retrieved based on the search code created in step 24.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5 that there is a corresponding search code, in step 26 the font data of the character (supported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search code is read, and the character is displayed in the preceding input box, Return to step 11.
또한, 전술의 단계(17)에 있어서 2번째 문자 이후인 것, 단계(21)에 있어서 앞의 입력란의 문자가 자음만이 아닌 것, 단계(27)에 있어서 모음만이 아닌 것, 단계(28)에 있어서 자음과 모음을 조합한 문자(받침없음)가 아닌 것이 각각 판단되면, 단계(32)로 진행한다(단계(32)로 진행하는 경우는 앞의 입력란의 문자가 받침 있는 한글문자인 경우이다). 단계(32)에 있어서 선택문자가 모음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모음이 아닌 것(즉, 자음문자인 것)이 판단되면, 복합 받침의 입력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단계(33)(도 10의 오른쪽 위)로 진행하여, 복합 받침의 입력처리를 실시한다. 즉, 단계(33)에 있어서, 앞의 입력란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가 복합 받침 있는 문자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복합 받침 있는 문자인 것이 판단되면, 선택문자(자음문자)가 받침일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전술의 단계(18)로 진행하여, 앞의 입력란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복합 받침 있는 한글문자)와는 별도로 선택문자(자음)를 현재의 입력란에 표시한다. 한편, 앞의 입력란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가 복합 받침 있는 문자가 아닌 것이 판단되면, 단계(34)에서 선택문자의 부수코드(단계(16)에서 자음의 부수코드가 생성되고 있다)가 받침의 부수코드로 변환된다. 계속되는 단계(35)에서, 앞의 입력란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의 받침과 선택문자의 받침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받침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도 3의 복합 받침 참조 테이블(156)을 참조하여 처리된다). 복합 받침이 있는 것이 판단되면, 단계(36)에서 당해 복합 받침의 부수코드가 작성된다. 단계(37)에서 앞의 입력란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의 검색코드와 복합 받침의 부수코드에 기초하여 검색코드가 작성된다. 그 후, 단계(24)에서, 작성된 검색코드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검색코드가 검색된다. 단계(25)에서, 당해 검색코드에 대응하는 복합 받침 있는 문자가 폰트데이터에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당해 복합 받침 있는 문자가 있는 것이 판단되면, 단계(26)에서 당해 복합 받침 있는 문자의 폰트데이터가 판독되어, 당해 문자가 앞의 입력란에 표시된다.Further, after the second character in the above step 17, the character of the preceding input field in step 21 is not only consonant, not only vowel in step 27, step 28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is not a character (no suppor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2 (whe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2, when the character of the preceding input field is a supported Hangul character). to be). In step 3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lected character is a vowel.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a vowel (ie, it is a consonant letter), it is possible that the input of the composite bearing is possible. Therefore, the flow advances to step 33 (upper right corner in Fig. 10) to perform the input processing of the composite bearing. That is, in step 33,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preceding input box is a compound supporting charact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acter is a compound supporting character, it is unlikely that the selected character (consonant character) is a supporting character, and therefor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8 above, separately from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preceding input box (the Korean character with the compound supporting character). Display the selected letter (consonant) in the current field.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preceding input box is not a compound supporting character, the accessory code of the selected character (in step 16, the consonant code of consonants is generated) is determined in step 34. Is converted to code. In a subsequent step 35,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re is a compound support consisting of the support of th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preceding input box and the support of the selected characters (processed with reference to the compound support reference table 156 of FIG. 3). . If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composite bearing, in step 36, an additional code of the composite bearing is created. In step 37, a search code is created based on the search code of th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preceding text box and the minor code of the compound bearing. Then, in step 24, the corresponding search code is retrieved based on the created search code. In step 25,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ompound bearer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search code exists in the font data.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the compound bearer character, in step 26, the font data of the compound bearer character is read and the character is displayed in the preceding input box.
또한, 전술의 단계(35)에 있어서, 복합 받침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판단되면, 단계(18)로 진행하여, 앞의 입력란에 표시되고 있는 문자(받침이 하나 있는 한글문자)와는 별도로 선택문자(자음)를 현재의 입력란에 표시한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step 35,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compound bearing,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8, in which the selected character (a Korean character with one support) is displayed separately from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preceding input box. Consonants) in the current field.
한편, 상술의 단계(32)에 있어서, 선택문자가 모음인 것이 판단되면, 앞의 입력란의 문자에 받침으로서 붙은 자음이 다음 문자의 자음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단계(38)(도 9의 오른쪽 위)로 진행하여, 이를 위한 처리를 실시한다(이 경우에는 앞의 입력란의 문자의 받침이 삭제되고, 다음 문자의 자음으로서 취급된다). 즉, 단계(38)에서, 앞의 입력란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의 받침(복합 받침인 경우는 2개째의 받침)에 대응하는 자음의 부수코드와 선택문자의 부수코드에 기초하여 검색코드가 작성된다. 단계(39)에 있어서, 작성된 검색코드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검색코드가 검색된다. 단계(40)에 있어서, 검색결과가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고, 없는 것이 판단되면 전술의 단계(18)로 진행하여, 앞의 입력란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받침 있는 한글문자)와는 별도로 선택문자(모음)를 현재의 입력란에 표시한다. 또, 검색코드가 있는 것이 판단되면, 단계(41)에 있어서 앞의 입력란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의 받침(복합 받침인 경우는 2개째의 받침)이 삭제된다. 계속되는 단계(42)에서, 검색된 문자의 폰트데이터가 판독되어, 현재의 입력란에 표시된다. 그 후, 전술의 단계(19)로 되돌아간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step 3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lected character is a vowel, since the consonant attached to the character of the previous input field may be the consonant of the next character, the step 38 (the right of FIG. 9). Proceed to the above), and the processing for this is carried out (in this case, the support of the character of the previous input box is deleted and is treated as the consonant of the next character). That is, in step 38, a search code is created based on the consonant subsignal code and the selected subscript cod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of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preceding input box (the second support in the case of the compound support). . In step 39, the corresponding search code is retrieved based on the created search code. In step 4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re is a search result,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search,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8 described above, and selects characters (collections) separately from the characters (supported Hangul characters) displayed in the previous input box. ) In the current fiel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search code, in step 41, the support of th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previous input box (the second support in the case of a compound support) is deleted. In subsequent step 42, the font data of the retrieved character is read out and displayed in the current input box. Thereafter, the process returns to step 19 described above.
도 11은 입력한 한글문자를 취소할 때의 소거(또는 변경)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전술 단계(11~13)(도 8 참조)의 처리가 실시되고 있을 때에단계(13)에서 삭제버튼(동작 스위치를 겸한다)(13b)이 눌려진 것이 판단되면, 도 11의 단계(51)로 진행한다. 단계(51)에서 현재의 입력란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가 1번째 문자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1번째 문자인 경우는 삭제해야 하는 문자의 입력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단계(11)로 되돌아간다. 한편, 1번째 문자가 아닌(즉, 2번째 문자 이후) 것이 판단되면, 단계(52)에서 앞의 문자입력란에 자음만 또는 모음만이 표시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자음만 또는 모음만이 표시되어 있는 것이 판단되면, 단계(53)에서 그 자음 또는 모음이 소거 처리되고, 단계(54)에서 커서가 하나앞의 입력란으로 이동된 후, 단계(11)로 되돌아간다.Fig. 1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rase (or change) process when canceling an inputted Hangul charact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lete button (which also serves as an operation switch) 13b is pressed in step 13 when the processing of the above-described steps 11 to 13 (see FIG. 8) is carried out, proceed to step 51 of FIG. Proceed. In step 5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current input box is the first character. In the case of the first character, since the character to be deleted is not input, the process returns to step 11.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the first character (that is, after the second character), it is determined in step 52 whether only consonants or vowels are displayed in the preceding character input field. If it is determined that only consonants or only vowels are displayed, the consonants or vowels are erased in step 53, the cursor is moved to the previous input field in step 54, and then the process returns to step 11 .
한편, 단계(52)에서 앞의 입력란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가 자음만 또는 모음만이 아닌 것이 판단되면, 단계(55)로 진행한다. 단계(55)에 있어서 앞의 입력란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가 자음과 모음을 조합시킨 문자(받침없음)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당해 조합한 문자일 때는 단계(56)에서 앞의 입력란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로부터 모음을 제거한 문자(자음만의 문자)로 변경하는 처리가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52 that th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preceding input box are not only consonants or vowel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55. In step 55,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preceding input box is a character (no support) combining a consonant and a vowel. In the case of the combined characters, in step 56, a process is performed in which the vowels are removed from th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preceding input box (characters of consonants only).
또, 단계(55)에서 자음과 모음을 조합한 문자(받침없음)가 아닌 것이 판단되면, 단계(57)에서 앞의 입력란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가 하나의 받침 있는 문자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하나의 받침 있는 문자인 것이 판단되면, 단계(58)에서 앞의 입력란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로부터 받침을 제외한 문자(받침 없는 문자)로 변경하는 처리가 실시된다. 또한, 단계(57)에서 하나의 받침 있는 문자가 아닌 것(즉, 복합 받침 있는 문자인 것)이 판단되면, 단계(59)에서 앞의 입력란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로부터 하나의 받침을 제거한 문자(하나의 받침 있는 문자)로 변경하는 처리가실시된다.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55 that the character (no support) that combines consonants and vowels is determined, in step 57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preceding input field is a single supported charact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acter is one supported character, in step 58, a process of changing from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preceding input box to the character except the supported character (character not supported) is performed. 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57 that it is not one support character (that is, it is a compound support character), then in step 59 the character with one support removed from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previous input box ( Processing to change to one supported character).
이렇게 하여 앞의 입력란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가 자음만 또는 모음만인지, 자음과 모음을 조합한 문자(받침 없는 문자)인지, 하나의 받침 있는 문자인지, 2개의 받침 있는 문자인지에 따라 그에 따른 소거(또는 변경)처리가 실시되게 된다.In this way, depending on whether the characters in the preceding field are consonants or vowels only, a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unsupported), a single or two supported characters, Or change) processin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휴대 게임기에 있어서 키보드를 이용하지 않고 한글문자를 입력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정용 텔레비젼 게임이나 사업용 비디오 게임(게임센터에 설치되는 아케이드 게임)에도 적용할 수 있고, 또한 휴대정보 단말정보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지적해 둔다.As described abov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in which Korean characters are input without using a keyboard in a portable game machine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be applied to the arcade game installed in the center), and also to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키보드를 갖지 않는 게임기에 있어서도 게임에 사용하는 조작 스위치만으로 한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손이 작은 어린아이라도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고, 신속하게 한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ame machine that does not have a keyboard has a peculiar effect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only by using an operation switch used for a gam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small infants can be operated simply and easily, and Korean characters can be input quickly.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2-0021942AKR100458397B1 (en) | 2002-04-22 | 2002-04-22 | Game apparatus enabling input by hangeul and information storage media storing program used therefor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2-0021942AKR100458397B1 (en) | 2002-04-22 | 2002-04-22 | Game apparatus enabling input by hangeul and information storage media storing program used therefor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30083776A KR20030083776A (en) | 2003-11-01 | 
| KR100458397B1true KR100458397B1 (en) | 2004-11-26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2-0021942AExpired - Fee RelatedKR100458397B1 (en) | 2002-04-22 | 2002-04-22 | Game apparatus enabling input by hangeul and information storage media storing program used therefor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458397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70024659A (en)* | 1995-10-17 | 1997-05-30 | 최치주 | How to Implement Text Input and Send Function in Pager | 
| KR19980050677A (en)* | 1996-12-21 | 1998-09-15 | 구자홍 | Data entry device | 
| KR20000017771A (en)* | 1999-12-01 | 2000-04-06 | 김용숙 | Hangul, english, number inputting apparatus through combination of basic sentence pattern | 
| KR20000063594A (en)* | 2000-07-25 | 2000-11-06 | 추두련 | Game System and Method for Studying Hangul | 
| KR20010049659A (en)* | 1999-06-30 | 2001-06-15 |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도쿄 | Control method of video game, video game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with video game program recorded | 
| KR20010092351A (en)* | 2000-03-15 | 2001-10-24 | 고즈끼 가게히꼬 | Game system having message exchanging function, game device using the same, message exchanging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mory media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70024659A (en)* | 1995-10-17 | 1997-05-30 | 최치주 | How to Implement Text Input and Send Function in Pager | 
| KR19980050677A (en)* | 1996-12-21 | 1998-09-15 | 구자홍 | Data entry device | 
| KR20010049659A (en)* | 1999-06-30 | 2001-06-15 |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도쿄 | Control method of video game, video game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with video game program recorded | 
| KR20000017771A (en)* | 1999-12-01 | 2000-04-06 | 김용숙 | Hangul, english, number inputting apparatus through combination of basic sentence pattern | 
| KR20010092351A (en)* | 2000-03-15 | 2001-10-24 | 고즈끼 가게히꼬 | Game system having message exchanging function, game device using the same, message exchanging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mory media | 
| KR20000063594A (en)* | 2000-07-25 | 2000-11-06 | 추두련 | Game System and Method for Studying Hangul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30083776A (en) | 2003-11-01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826062B1 (en) | Alphanumeric Keyboard Input System Using a Game Controller | |
| WO2007027497A2 (en) | Multimedia accessible universal input device | |
| KR100745663B1 (en) | Character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direction input means | |
| JP2008059568A (en) |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numeric keypad | |
| KR100458397B1 (en) | Game apparatus enabling input by hangeul and information storage media storing program used therefor | |
| JP2005032189A (en) | Character input control method, character input program, and character input device | |
| JP2001051778A (en) | Character input device | |
| JPS5814685B2 (en) | Japanese text input device | |
| JP2010165226A (en) | Name input device and name input method | |
| JP4341514B2 (en) | Dictionary information display control device and dictionary information display control program | |
| JP4133523B2 (en) | Character input device | |
| JP2005044103A (en) | Document creation apparatus, document creation method and program | |
| KR100790550B1 (en) | Character input device of touch panel | |
| JP4363167B2 (en) | Electronic dictionary apparatus and program | |
| KR100535992B1 (en) | Japanese or Chinese song searching method in karaoke player | |
| KR100715471B1 (en) | Character input device | |
| KR0166696B1 (en) | Korean title display system for camcorder | |
| JP4848345B2 (en) |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 input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
| JPH06325094A (en) | Electronic book device | |
| JPH08272802A (en) | Sentence information processor | |
| JP2007171808A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
| JP2002126347A (en) | Electronic multilingual shiritori game system, electronic multilingual shiritori game program and shiritori server in electronic multilingual shiritori game system | |
| JP3763864B2 (en) | How to move the cursor with a pointing device | |
| JP2002041509A (en) | Character input device | |
| JP2002236538A (en) | Character input system having input part attainable of eight kinds of inputs, program for executing the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7-oth-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7-oth-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7-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U-3-3-T10-T11-oth-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8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21025 Year of fee payment: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9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31017 Year of fee payment: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41015 Year of fee payment: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51016 Year of fee payment: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2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61020 Year of fee payment: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3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711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71116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