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0291657B1 - 전자식자동차도어개폐및시동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자동차도어개폐및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1657B1
KR100291657B1KR1019970047252AKR19970047252AKR100291657B1KR 100291657 B1KR100291657 B1KR 100291657B1KR 1019970047252 AKR1019970047252 AKR 1019970047252AKR 19970047252 AKR19970047252 AKR 19970047252AKR 100291657 B1KR100291657 B1KR 100291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transponder
key
door
antenn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5575A (ko
Inventor
김상규
Original Assignee
이우용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용,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filedCritical이우용
Priority to KR1019970047252ApriorityCriticalpatent/KR100291657B1/ko
Publication of KR19990025575ApublicationCriticalpatent/KR19990025575A/ko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657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0291657B1/ko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Expired - Lifetime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전자식 자동차 도어개폐 및 시동장치는 시동키에 트랜스폰더를 장착하고 그 트랜스폰더에서 발생하는 아이디(ID)코드를 식별하여 자동차 도어의 개폐와 시동을 걸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동키에 장착된 트랜스폰더에 별도의 전원없이 기전력에 의한 전원공급을 하며, 트랜스폰더에서 발생하는 아이디코드와 차본체의 아이디코드를 비교분석하여 그 결과에 따라 엔진시동부 및 도어모터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보조용 비상키를 카드형태로 제작하여 자동차의 도어를 개폐하도록 하므로 휴대의 간편함과 보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별도의 전원과 송/수신기(transmitter/receiver)를 추가하여 원거리 교신도 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전자식 자동차 도어개폐 및 시동장치
본 발명은 전자식 자동차 도어개폐 및 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동키에 트랜스폰더(transponder)를 장착하여 자동차 본체와 트랜스폰더에서 발생하는 아이디(ID)코드가 일치할 경우에만 도어개폐와 시동이 걸리게 한 전자식 자동차 도어개폐 및 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자물쇠는 기계식으로 되어 있어 금속으로 된 열쇠를 사용하여 잠금과 열림을 수동으로 행한다. 이 경우에 열쇠의 종류는 약 6만개의 조합으로 되어있다. 즉, 약 6만개마다 동일한 열쇠가 존재하며, 이를 복제시 쉽게 다른 사람도 자동차 도어를 열수가 있어 도난의 우려가 많다. 이런 우려를 없애기 위하여 종래에는 원격조정을 통해 자동차의 시동 및 에어콘 또는 히타등을 동작시켰다. 이 경우 동작의 여부를 알리는 수단으로 크락션 또는 헤드라이트를 이용하여 경보음등을 울려주는 수단을 이용하였으며, 도난경보기능을 위하여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도난여부를 감지한 후 차체에 부착되어 있는 비상등 및 크락션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종래 원격시동장치는 본체와 리모콘과의 1:1로 통신하도록 되어서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 열쇠가 하나뿐이고, 여러사람이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당열쇠를 찾아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시동키에 트랜스폰더를 장착하고, 자계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며 본체와 트랜스폰더에 미리 부여되는 고유의 아이디(ID)코드가 일치할 때 자동으로 도어개폐 및 시동이 걸리게 한 전자식 자동차 도어개폐 및 시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자동차 도어개폐 및 시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시동키 12 : 안테나
13 : 베이스스테이션 14 : 제어부
15 : 엔진시동부 16 : 도어모터
111 : 트랜스폰더 131 : 아날로그인터페이스
132 : 시리얼데이타인터페이스 141 : 중앙처리기(CPU)
142,143 : 릴레이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식 자동차 도어개폐 및 시동장치는, 자동차의 도어개폐 및 시동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수신되는 차본체의 데이타코드에 응답하여 고유의 아이디(ID)코드를 발생하는 트랜스폰더를 장착하고 있는 시동키와, 상기 시동키와 차본체의 키박스 접속지점에 설치되고, 데이타코드를 상기 시동키의 트랜스폰더로 송신하며, 상기 트랜스폰더에서 발생하는 아이디코드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차본체의 적정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시동키가 키박스에 접속되면 그 시동키에 부여된 아이디코드를 요청하는 미리 정의된 형식의 데이타코드를 발생하며,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아이디코드와 차본체에 미리 입력된 아이디코드를 비교분석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베이스스테이션, 및 상기 베이스스테이션의 비교분석결과, 두 아이디코드가 일치할 때만 도어가 열리고 시동이 걸리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자동차 도어개폐 및 시동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장치는 고유하게 부여되는 아이디(ID)코드를 발생하는 트랜스폰더(111)를 장착하고 있는 시동키(11), 시동키(11)와 차본체의 키박스(key-box) 접속지점에 설치되는 안테나(12), 및 트랜스폰더(111)를 장착한 시동키(11)와 차본체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베이스스테이션(base station)(13)을 구비한다. 베이스스테이션(13)은 아날로그인터페이스(analog interface)(131)와, 데이타코드의 형식이나 주변회로등을 제어하며 차본체에 고유하게 부여되는 아이디(ID)코드와 트랜스폰더(111)에서 발생하는 아이디(ID)코드를 비교분석하는 시리얼데이타인터페이스(serial data interface)(132)로 이루어진다. 도 1 장치는 또한, 베이스스테이션(13)의 아이디(ID)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엔진시동부(15) 및 도어개폐를 위한 도어모터(16)를 제어하는 제어부(14)를 구비한다. 제어부(14)는 중앙처리기(CPU)(141) 및 중앙처리기(141)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어 대응되는 엔진시동부(15) 및 도어모터(16)를 구동시키는 릴레이들(142,14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도 1 장치에 대한 동작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자동차의 도어개폐 및 시동을 걸기 위한 시동키(11)에 차본체와 동일한 아이디(ID)코드 발생을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트랜스폰더(111)를 장착한다. 이 트랜스폰더(111)가 장착된 시동키(11)가 자동차의 키박스에 접촉되면, 제어부(14)의 제어하에 베이스스테이션(13)의 시리얼데이타인터페이스(132)는 아이디(ID)코드를 요청하는 미리 정의된 형식의 데이타코드를 발생한다. 아날로그인터페이스(131)는 시리얼데이타인터페이스(131)에서 발생하는 데이타코드를 안테나(12)를 통해 트랜스폰더(111)로 송출한다. 이때, 안테나(12)의 코일을 통해 트랜스폰더(111)가 동작할 수 있는 전자기전력이 발생되어 데이타코드와 함께 일정주파수대역으로 송신된다. 시동키(11)에 장착된 트랜스폰더(111)는 차 본체의 안테나(12)를 통해 송출되는 일정주파수대역의 전자기전력과 데이타코드를 수신한다. 트랜스폰더(111)는 수신된 전자기전력을 동작전원으로 사용하며, 수신된 데이타코드에 반응하여 미리 기억되어 있는 아이디(ID)코드를 송신한다. 여기서, 트랜스폰더(111)는 소정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아이디(ID)코드를 중복성없이 무한대로 설정가능하다. 차본체에 설치된 안테나(12)를 통해 트랜스폰더(111)에서 송신되는 아이디(ID)코드를 수신받는 베이스스테이션(13)은 아날로그인터페이스(131)를 통해 수신된 아이디(ID)코드를 시리얼데이타인터페이스(132)로 전달한다. 베이스스테이션(13)의 시리얼데이타인터페이스(132)는 수신된 아이디(ID)코드와 제어부(14)의 중앙처리기(CPU)(141)에 미리 프로그램되어 입력시켜둔 아이디(ID)코드를 읽어들여 두 아이디(ID)코드를 비교분석한다. 비교분석결과, 두 코드가 일치하면 시리얼데이타인터페이스(132)는 제어부(14)의 중앙처리기(141)에 아이디(ID)코드가 정상임을 알리는 데이타를 전송한다. 이를 전송받는 제어부(14)의 중앙처리기(141)는 릴레이(143)의 접점을 동작시켜 자동차의 도어가 열리도록 도어모터(16)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중앙처리기(141)는 릴레이(142)의 접점을 동작시켜 키박스에 접촉된 트랜스폰더(111) 장착 시동키(11)가 회전되어 시동을 걸면 시동이 유지되도록 엔진시동부(15)를 "온(ON)"상태로 만든다. 중앙처리기(141)는 시리얼데이타인터페이스(132)의 비교분석결과, 트랜스폰더(111)에서 발생된 아이디(ID)코드와 차본체에 입력된 아이디(ID)코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그 트랜스폰더(111)가 장착된 시동키(11)가 차에 해당하는 키가 아니라고 인식하여 릴레이들(142,143)의 접점을 동작시키지 않는다. 그러면, 엔진시동부(15) 및 도어모터(16)가 동작하지 않게 되어 자동차의 도어가 열리지 않을 뿐 아니라 그 트랜스폰더(111)가 장착된 시동키(11)로 시동을 걸어도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된다.
한편, 보조용 비상키를 위와 동일한 구성의 카드형태로 제작하고, 안테나(12)의 위치를 운전석 전면 좌측 하단에 별도로 설치하여 거기에 카드를 접근시키므로써 차량의 잠겨있는 문을 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비상용 카드를 대신하여 시동용 키를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차량 도어의 단속은 시동을 "오프(off)"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지나도 도어의 잠금장치가 잠겨지지 않으면(예를 들어, 운전자가 키를 꽂아둔 채로 차량을 떠날 경우), 제어부(14)내의 중앙처리기(141)가 이를 인식하여 일정시간 후에 도어의 잠김장치를 구동하여 자동으로 도어를 잠기게 한다.
다른 실시예로는, 별도의 전원과 송/수신기(transmitter/receiver)를 추가하여 원거리에서 도어개폐 및 시동을 걸기 위한 아이디(ID)코드등의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여 원격조정이 가능토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식 자동차 도어개폐 및 시동장치는, 시동키에 고유 아이디(ID)코드가 부여된 트랜스폰더를 장착시켜 차본체에 미리 입력시킨 아이디(ID)코드와 일치하는 아이디(ID)코드를 갖는 트랜스폰더를 장착한 시동키에 대해서만 도어의 개폐와 시동이 걸리도록 하므로써 차량도난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일한 아이디(ID)코드의 트랜스폰더를 장착한 여러개의 시동키를 가질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보조키를 카드형태로 제작하여 휴대의 간편함과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KR1019970047252A1997-09-121997-09-12전자식자동차도어개폐및시동장치Expired - LifetimeKR100291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19970047252AKR100291657B1 (ko)1997-09-121997-09-12전자식자동차도어개폐및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19970047252AKR100291657B1 (ko)1997-09-121997-09-12전자식자동차도어개폐및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19990025575A KR19990025575A (ko)1999-04-06
KR100291657B1true KR100291657B1 (ko)2001-09-17

Family

ID=37526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19970047252AExpired - LifetimeKR100291657B1 (ko)1997-09-121997-09-12전자식자동차도어개폐및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02916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093137B1 (ko)2009-12-082011-12-13주식회사 에스티에프이모빌라이저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101406364B1 (ko)*2008-01-232014-06-30기아자동차주식회사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030003958A (ko)*2001-07-042003-01-14현대자동차주식회사비상용 시동수단을 가지는 스마트 카드 시동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H09109838A (ja)*1995-10-191997-04-28Nissan Motor Co Ltd車両用防盗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H09109838A (ja)*1995-10-191997-04-28Nissan Motor Co Ltd車両用防盗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406364B1 (ko)*2008-01-232014-06-30기아자동차주식회사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093137B1 (ko)2009-12-082011-12-13주식회사 에스티에프이모빌라이저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19990025575A (ko)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EP1659543B1 (en)Security system and portable device usable therein
US7106171B1 (en)Keyless command system for vehicles and other applications
US6031465A (en)Keyless entry system for vehicles in particular
US8362886B2 (en)Multi-controller data bus adaptor and associated methods
US5790043A (en)Procedure for operating a locking system for lockable objects
US7187266B2 (en)Switch device
KR100429293B1 (ko)원격송신기확인수단을가지며차량에적합한원격제어시스템
US6127922A (en)Vehicle security system with remote systems control
US20050242923A1 (en)Passive entry systems for vehicles and other applications
US20020180274A1 (en)In-vehicle security system
JP4140731B2 (ja)車両用通信装置
KR100291657B1 (ko)전자식자동차도어개폐및시동장치
US20190266821A1 (en)Vehicle passive remote keyless entry and method for providing a fob alert
JP3565923B2 (ja)エンジン始動装置
WO2004058547A1 (ja)車両用盗難防止装置
US6337620B1 (en)Cipher type anti-theft system for cars using in-car wiring to transmit the cipher
WO2005020622A1 (en)Antenna module for remote engine starting of vehicle and method for displaying vehicle information using the antenna module
JPS60105781A (ja)車両用遠隔制御装置
JPH07324532A (ja)遠隔制御装置
JPH0911858A (ja)車両用アラームシステム
JP2005299264A (ja)無線タグ内臓のキー装置
KR19990026925A (ko)자동차 도난 경보장치
GB2354621A (en)Secured motor vehicle transmitter
JP2004224126A (ja)車両用制御システム
JPH1081203A (ja)キー装置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19970912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19970912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000828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010102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010314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20010315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040107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050106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060106

Start annual number:6

End annual number:6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070111

Start annual number:7

End annual number:7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080116

Start annual number:8

End annual number:8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090212

Start annual number:9

End annual number:9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100114

Start annual number:10

End annual number:10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110208

Start annual number:11

End annual number:11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120224

Start annual number:12

End annual number:12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30215

Year of fee payment:13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130215

Start annual number:13

End annual number:13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40317

Year of fee payment:1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140317

Start annual number:14

End annual number:14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50303

Year of fee payment:15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150303

Start annual number:15

End annual number:15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60303

Year of fee payment:16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160303

Start annual number:16

End annual number:16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70303

Year of fee payment:17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170303

Start annual number:17

End annual number:17

EXPYExpiration of term
PC1801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20180312

Termination category:Expiration of duration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