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ATM망에서의 카운터 연동에 의해 정의되는 연결별 프레임을 이용한 분산제어방식 고정우선순위 큐 서비스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논리적 연결 단위로 구분된 2 개의 FIFO큐를 사용하여 프레임 단위로 선택적으로 서비스함으로써 지터 조절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각 FIFO큐가 분산제어방식에 의해 해당 스위치를 구동시켜 가장 높은 우선순위의 셀이 자동적으로 선택되도록 된 ATM망에서의 카운터 연동에 의해 정의되는 연결별 프레임을 이용한 분산제어방식 고정우선순위 큐 서비스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ed control scheme fixed priority queue service apparatus using frames per connection defined by counter interworking in an ATM network.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by-frame selectively using two FIFO queues divided into logical connection units. It serves the function of jitter regulator by service, and each FIFO queue drives the corresponding switch by distributed control method, so that the frame of each connection defined by counter linkage in ATM network is automatically selected the highest priority cel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ed priority queue service device using a distributed control method.
일반적으로, B-ISDN(broadband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은 광대역 전송 및 교환기술을 기초로 집중 또는 이산되어 있는 가입자 및 서비스 제공자를 연결하여 폭넓은 대역 분포를 갖는 연속성의 실시간 서비스와 군집성의 데이터 서비스 등의 각종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디지탈 통신망이다.In general, a broadband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B-ISDN) connects subscribers and service providers that are concentrated or discrete based on broadband transmission and switching technology to provide continuous real-time services with a wide bandwidth distribution and clustered data services. It is a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that comprehensively provides various services.
이와 같이, 다양한 서비스가 효과적으로 처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ITU-T 에서는 BISDN의 통신방식으로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방식(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을 채택하고 있다. 상기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방식은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방식에 의한 패킷형 전달방식이고, 기존의 회선 교환방식과 패킷 교환방식의 장점에 의해 다양한 서비스를 일률적으로 처리할 수가 있다.As such, in order to effectively process various services, ITU-T adopts an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as a communication method of BISDN. The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method is a packet transfer method using an asynchronous time division multiplexing method, and various services can be uniformly processed by the advantages of the existing circuit switching method and the packet switching method.
장래의 ATM망에서는 현재로서는 예측이 불가능할 정도로 많은 서비스가 등장할 것이고, 이는 질적으로나 양적으로나 매우 상이한 트래픽 특성을 가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서비스는 수율, 지연, 지터, 손실률 등에 대해 다양한 서비스 품질 요구사항을 가지고, 또한 망에서는 상기 서비스 품질 요구사항이 보장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영상, 음성 등의 실시간 서비스가 광대역 통신망의 주된 서비스로 자리잡아감에 따라 지연과 지터에 대한 요구조건이 매우 엄격해지고 있다.In the future of ATM networks, many services will emerge that are unpredictable at present, and will have very different traffic characteristics,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In general, the service has various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s for yield, delay, jitter, loss rate, etc., and in the network, the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 must be guaranteed. In particular, as real-time services such as video and audio become the main services of broadband networks, the requirements for delay and jitter become very strict.
실시간 서비스에서는 정보가 제한시간 이내에 전달되지 않게 되면, 손실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되어 지연과 지터에 대해 요구되는 조건을 효과적으로 만족시키는 것이 상당히 중요해지고 있다. 한편, ATM망에서는 서로 다른 연결로부터 온 셀이 스위치에서 상호 작용함에 따라 상기 셀을 적절히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해야 한다.In real-time services, when information is not delivered within the time limit, it has the same effect as loss, and it is becoming very important to effectively satisfy the requirements for delay and jitter. On the other hand, in the ATM network, as cells from different connections interact in the switch, the cells must be properly controlled to guarantee the quality of service to the user.
도 1은 일반적인 ATM망에 있어서 노드를 통한 호(call)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도면중 참조부호 i-1 내지 i+n은 ATM 통신망 노드를 나타내고, A 내지 F는 가입자를 나타내고 있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ll connection state through a node in a general ATM network. In this figure, reference numerals i-1 to i + n denote ATM network nodes, and A to F denote subscribers.
상기 ATM 통신망은 상호 연결된 노드의 모임으로 구성되고, 노드의 네트워크를 통해 근원지에서 목적지로 데이터가 전송되게 된다. 상기 도면은 데이터 전송의 개념을 나타낸 것으로, 노드는 전송로(transmission path)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데이터가 소정 가입자로부터 네트워크로 입력되게 되면, 데이터는 소정 노드를 통해 교환되면서 소정 목적지에 도달하게 된다.The ATM network consists of a collection of interconnected nodes, and data is transmitted from a source to a destination through the network of nodes. The figure illustrates the concept of data transmission, in which a node is connected to a transmission path. On the other hand, when data is input from the predetermined subscriber to the network, the data is reached through the predetermined node to reach a predetermined destination.
예컨대, 데이터가 가입자(A)로부터 가입자(D)로 전송되는 경우, 먼저 노드(i-1)로 보내진 후 노드(i)와 노드(i+1) 또는 노드(i+2)를 통해 가입자(D)로 전송되게 된다.For example, when data is transmitted from subscriber A to subscriber D, it is first sent to node i-1 and then through node i and node i + 1 or node i + 2. To D).
일반적으로 큐서비스 방식은 큐에 저장되어 있는 셀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셀의 전송순서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큐서비스 방식은 망의 세가지 자원, 즉 대역폭과 지연한계 및 버퍼공간을 관리하고, 이 세가지 자원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의 성능 파라미터인 수율 및, 지연 손실률과 직접적인 관계에 있다. 따라서, 상기 큐서비스 방식이 효율적으로 사용되어 상기 세 자원이 유연하게 사용되게 되면,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이 보장될 수 있게 된다.In general, the queue service method determines the transmission order of cells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ells stored in the queue. The queue service method manages three resources of the network, that is, bandwidth, delay limit, and buffer space, and these three resources are directly related to yield and delay loss rate, which are performance parameters of a service required by a user. Therefore, when the queue service method is effectively used and the three resources are used flexibly, the quality of service of the user can be guaranteed.
또한, 상기 큐서비스 방식은 크게 작업 보존방식(work-conserving)과 비작업 보존방식(nonwork-conserving)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작업 보존방식에서는 큐에 셀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서버가 결코 쉬지 않고, 상기 비작업 보존방식에서는 큐에 셀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서비스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queue service method is largely divided into work-conserving and nonwork-conserving. In the work preservation method, when a cell exists in a queue, the server never rests. In non-work preservation, even if a cell exists in the queue, it can not be serviced.
한편, 과거의 데이터 통신망에서는 평균지연과 평균수율이 성능의 주요 파라미터인 바, 이러한 파라미터에 대한 작업 보존방식의 연구가 대부분이었지만, 미래의 종합 통신망에서는 연속성 실시간 서비스의 성능 보장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게 되어 지연과 지터에 대한 한계값이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ast, average delay and average yield were the main parameters of performance. In the past, the study on the preservation method of these parameters was the most important problem. This makes the thresholds for delay and jitter quite important.
상기 작업 보존방식의 사용에 있어서, 커다란 문제는 트래픽이 망을 통과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군집성이 발생함으로써 망 자원의 낭비가 되어 트래픽의 지터 특성이 상당히 저하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비작업 보존방식에서는 쉬고 있는 서버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게 되어 서버의 이용율이 감소되지만, 트래픽의 특성이 거의 대부분 유지되는 상태로 망을 통과하게 되어 작은 양의 자원에 의해 충분히 지원함으로써 종단간 지터 특성이 향상되게 된다. 따라서, 연속성의 실시간 서비스를 지원하는데 있어서 비작업 보존방식이 더욱 적합하게 된다.In using the work preservation scheme, a big problem is that clustering gradually occurs as traffic passes through the network, which wastes network resources,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jitter characteristic of the traffic. On the contrary, in the non-work preservation method, the server utilization rate is reduced because the server is not properly utilized, but the end-to-end support is sufficiently supported by a small amount of resources through the network with almost the traffic characteristics maintained. The jitter characteristic is improved. Thus, the non-work preservation scheme is more suitable for supporting continuity real-time services.
최근 몇년 동안 실시간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비작업 보존방식의 스케줄링 알고리듬이 많이 제안되고 있지만, 이러한 알고리듬은 실제로 ATM망에서는 지원될 수 없는 패킷 헤더를 사용하거나 프레임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상당히 비효율적이게 된다. 상기 알고리듬으로는 계층적 순번(HRR; Hierarchical Round Robin) 알고리듬, 스톱-앤-고우(Stop-and-Go) 알고리듬, 지터 EDD(Earliest-Due-Date) 알고리듬, RCSP(Rate-Controlled Static Priority) 알고리듬 등이 있다.In recent years, many non-working scheduling algorithms have been proposed to effectively support real-time services. However, these algorithms become quite inefficient by using packet headers or frame structures that are not actually supported in ATM networks. The algorithm may include a hierarchical round robin (HRR) algorithm, a stop-and-go algorithm, an jitter earlyliest-due-date algorithm, a rate-controlled static priority algorithm (RCSP). Etc.
상기 계층적 순번 알고리듬과 스톱-앤-고우 알고리듬은 모두 프레임 기법을 사용하고 있는 바, 이러한 기법의 계층적 순번 알고리듬에서는 각 연결에 대해 한 프레임 주기동안 서비스가 수행될 수 있는 셀의 수를 제한하여 셀율 지터를 보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알고리듬에서 사용하는 프레임은 이웃하는 노드와 상호작용 없이 독립적으로 정의되어 셀이 노드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지연이 셀마다 변화됨으로써 종단간 지연 지터가 보장되지 않게 된다.The hierarchical turn algorithm and the stop-and-go algorithm both use a frame technique. In this hierarchical turn algorithm, the number of cells that can be serviced in one frame period for each connection is limited. Cell rate jitter is guaranteed. However, the frame used in the algorithm is defined independently without interaction with neighboring nodes so that the delay occurring when the cell passes through the node varies from cell to cell, thereby preventing end-to-end delay jitter.
상기 스톱-앤-고우 알고리듬에서는 교환 노드에서 입력링크의 프레임과 출력링크의 프레임간에 일대일 대응관계가 되어 셀이 전송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연결에 속하는 모든 셀에 거의 동일한 지연이 발생하고, 또한 종단간 지연 지터가 프레임내에서의 위치 변환에 의해서만 발생하여 상당히 작은 양에 의해 보장되게 된다.In the stop-and-go algorithm, a cell is transmitted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frames of an input link and frames of an output link at an exchange node. Almost the same delay occurs in all cells belonging to such a connection, and end-to-end delay jitter is generated only by position translation in the frame, which is ensured by a fairly small amount.
도 2a는 종래의 스톱-앤-고우 큐 서비스방식에 있어서 입력링크(l', l'')와 연결된 출력링크(l)를 갖춘 스위칭 노드(i)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에 나타낸 각 링크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A is a view showing a switching node i having an output link l connected to input links l 'and l' 'in the conventional stop-and-go queue service method, and FIG. 2B is shown in FIG.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frame structure in each shown link.
상기 두 알고리듬 모두 프레임 기법의 채택에 의해 발생하는 고유의 문제, 예컨대 지연 한계와 대역 할당 단위간의 결합(coupling) 문제가 발생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두 알고리듬 모두 계층화된 프레임 구조를 채택하고 있지만, 그 구조는 조금 다르게 되어 있다.Both algorithms have inherent problems caused by the adoption of the frame technique, such as the problem of coupling between delay limits and band allocation units, and both algorithms employ a layered frame structure. The structure is a bit different.
상기 계층적 순번 알고리듬에서는 상위 준위(level)의 시간 슬롯 일부를 물려 줌으로써 하위 준위의 프레임이 정의되고, 따라서 하나의 시간 슬롯이 특정 준위의 프레임에만 속하게 되어 서비스될 셀이 선택되는 과정이 단순하게 된다. 그러나, 각 준위에서 할당할 수 있는 타임 슬롯의 수가 제한되어 여분의 대역폭이 존재하더라도 새로운 연결을 수락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가 있게 된다.In the hierarchical ordering algorithm, a frame of a lower level is defined by passing a part of a time slot of a higher level, and thus, a process of selecting a cell to be serviced is simplified because one time slot belongs to a frame of a specific level. . However, the number of time slots that can be allocated at each level is limited, so that even if there is extra bandwidth, a new connection may not be accepted.
그리고, 상기 스톱-앤-고우 알고리듬에서는 상위 준위의 프레임이 여러개 합산되어 하위 준위의 프레임이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시간 슬롯이 여러 준위의 프레임에 동시에 포함되게 되어 서비스될 셀이 선택되는 과정에서 준위단위의 정적우선순위(static priority)의 사용에 의해 준위의 수가 증가함으로써 구현의 복잡도가 증가하지만, 각각의 준위에서 여분의 대역폭이 충분히 활용되게 되어 순번 알고리듬에서 발생하는 대역폭 사용효율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In the stop-and-go algorithm, a plurality of frames of a higher level are added together to form a frame of a lower level. Therefore, the complexity of the implementation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levels by using the static priority of the level unit in the process of selecting a cell to be serviced because one time slot is simultaneously included in the frames of several levels. In each level, the extra bandwidth is fully utilized, thereby preventing the degradation of bandwidth usage efficiency caused by the sequential algorithm.
상기 두 알고리듬 모두 계층화된 프레임 구조가 도입되어 결합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지만, 각 준위에서의 결합 문제는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In both algorithms, a layered frame structure is introduced to solve the coupling problem to some extent, but the coupling problem at each level still exists.
도 3는 일반적인 패킷 통신망에서의 지연지터 제어방법을 설명3 illustrates a delay jitter control method in a general packet communication network.
현재까지의 비작업 보존 알고리듬에서는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스케쥴링함으로써 지터를 조절하거나 패킷 헤더를 이용하여 지터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각 노드에서의 지터가 조절되도록 하고 있다.To date, non-working conservation algorithms use jitter to control jitter by scheduling using frame structures, or jitter at each node by transmitting jitter information using packet headers.
상기 계층적 순번 알고리듬과 스톱-앤-고 알고리듬에서는 프레임 기법이 채택되어 구현이 간단하지만, 결합 문제가 발생하여 대역폭 할당과 지연한계 할당 특성이 양호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지터 EDD 알고리듬과 RCSP 알고리듬에서는 대역폭과 지연한계의 할당을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매 패킷마다 스케쥴링 관련 정보를 보내 주게 되어 오버헤드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패킷의 크기가 작은 망에서는 커다란 문제가 되게 된다.In the hierarchical ordering algorithm and the stop-and-go algorithm, the frame scheme is adopted to simplify the implementation. However, a coupling problem occurs, resulting in poor bandwidth allocation and delay limit allocation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jitter EDD algorithm and the RCSP algorithm can separate the allocation of the bandwidth and the delay limit, but the scheduling-related information is sent for every packet, resulting in an overhead. This is a big problem for networks with small packet sizes.
한편, 비작업보존 큐 서비스방식, 예컨대 셀률조절 서비스방식 또는 지터조절 서비스방식에서는 서버를 개념적으로 두가지 구성요소, 예컨대 지터 조절기와 스케쥴러로 분리하는데, 상기 지터 조절기에서는 망내에서 발생한 트래픽의 왜곡을 보상하고, 상기 스케쥴러에서는 왜곡 보상된 셀 사이에서 서비스 순서를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상의 분리를 통해 지연 한계가 대역폭에 관계없이 유연하게 할당될 수 있고, 종단간 지터 특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a non-working queue service method, such as a cell rate control service or a jitter control service method, the server is conceptually divided into two components, for example, a jitter controller and a scheduler. The jitter controller compensates for the distortion of traffic generated in the network. In addition, the scheduler determines the service order among the distortion-compensated cells. This functional separation allows delay limits to be flexibly allocated regardless of bandwidth, and greatly improves end-to-end jitter.
그리고, 트래픽의 왜곡이 보상될 수 있도록 매 노드에서 트래픽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재구성되게 되면, 원래의 트래픽 특성이 크게 왜곡되지 않은 상태로 망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소요 버퍼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망의 자원을 절약할 수 있고, 또한 전송되는 트래픽의 지터 특성이 양호하게 되어 수신측에서 지터 보상 처리의 부담이 감소하게 된다.When the traffic is partially or totally reconfigured at each node so that the distortion of the traffic can be compensated for, the original traffic characteristic passes through the network without being greatly distorted. Therefore, the required buffer space can be reduced to save network resources, and the jitter characteristic of the transmitted traffic becomes good,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f jitter compensation processing on the receiving side.
그리고, 트래픽의 특성을 재구성하는 경우 도착되는 셀에 대해 그 셀에 대해 그 셀의 가상 도착시간 또는 예상 도착시간을 계산하여 그 시간이 될 때까지 도착 셀을 지터 조절기에 임시 저장한 후 가상 도착시간이 되는 순간에 스케쥴러로 출력하게 된다. 즉, 셀이 도착하자 마자 스케쥴되는 것이 아니라 그 셀의 가상 도착시간까지는 마치 셀이 도착되지 않은 것처럼 간주하는 것이다.In case of reconfiguring the traffic characteristics, the virtual arrival time or the estimated arrival time of the cell is calculated for the cell, and the temporary arrival time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jitter controller until the time is reached. The output will be sent to the scheduler. In other words, the cell is not scheduled as soon as it arrives, but as if the cell has not arrived until the virtual arrival time of the cell.
상기 지터 조절기는 가상 도착시간을 계산하는 방법에 따라 셀률 지터 조절기와 지연 지터 조절기로 분리되는데, 상기 셀률 지터 조절기는 이전 셀로부터의 간격을 토대로 가상 도착시간을 정의하지만, 상기 지연 지터 조절기는 이전 노드에서의 마감시간을 기초로 가상 도착시간을 계산하여 트래픽을 완전히 재구성하게 된다.The jitter regulator is divided into a rate jitter regulator and a delay jitter regulator according to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virtual arrival time, which defines the virtual arrival time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previous cell, while the delay jitter regulator defines the previous node. Based on the deadline at, the virtual arrival time is calculated to completely reconstruct the traffic.
한편, 스케쥴러에서는 지연 요구사항에 의해 서비스 순서가 결정되어 각각의 셀이 지연한계내에서 서비스를 수행되도록 하고, 스케쥴링 방법으로는 크게 선입선출(FCFS) 방식과 고정우선순위(static priority) 방식 및 동적우선순위(dynamic priority) 방식으로 분류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cheduler, the service order is determined by the delay requirements so that each cell performs the service within the delay limit. The scheduling method is a first-in-first-out (FCFS) method, a static priority method, and a dynamic method. It is classified in a dynamic priority manner.
상기 선입선출 방식은 가장 구현이 간단하지만, 트래픽의 종류에 관계없이 하나의 지연한계만이 제공되게 되어 트래픽의 특성이 다양한 망에서는 사용하기 어렵고, 고정우선순위 방식은 트래픽을 여러 등급으로 나눈 후 고정된 우선순위로 서비스하여 각 등급에 대한 지연한계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망의 상태에 관계없이 항상 고정된 우선순위가 사용되게 되어 얻을 수 있는 효율에는 한계가 있게 된다.The first-in, first-out method is the simplest to implement, but only one delay limit is provided regardless of the type of traffic, making it difficult to use in various network characteristics, and the fixed priority method is fixed after dividing the traffic into different classes. Service will be provided at the priorities provided to provide the delay limits for each class. However, there is a limit to the efficiency that can be achieved since fixed priorities are always used regardless of network conditions.
그리고, 상기 동적우선순위 방식에서는 셀단위로 우선순위를 부여한 다음 가장 높은 우선순위부터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가장 효율이 양호하지만, 가장 높은 우선순위의 셀이 선택되기 위해 큐에 있는 모든 셀을 분류(sorting)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발생하게 된다.In the dynamic priority method, priority is provided in units of cells, and then services are provided from the highest priority. This method is the most efficient, but it causes the hassle of sorting all the cells in the queue in order for the highest priority cell to be selected.
통상 비작업 보존방식 알고리듬은 모두 지터 조절 서비스 방식에 의해 해석될 수 있고, 기존의 비작업 보존방식 알고리듬에서 채택하고 있는 지터 조절기와 스케쥴러를 열거하면 다음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다.In general, the non-working preservation algorithm can be interpreted by the jitter adjustment service method, and the jitter adjusters and schedulers adopted by the existing non-work preservation algorithm are listed in Table 1 below.
일반적으로, 기존의 지터조절 서비스 방식은 지터를 조절하는 방법에 의해 크게 두가지로 구분되는 바, 이중 하나는 패킷 헤더의 한 구간을 사용하여 스케쥴링에 관련된 정보를 다음 노드로 전달함으로써 지터를 조절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프레임 기법에 의해 셀이 프레임 단위로 전송 및 교환됨으로써 지터가 조절되는 방식이다.In general, the conventional jitter control service method is divid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jitter control method, one of which is to control jitter by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scheduling to one node by using one section of the packet header. The other is a method in which jitter is adjusted by transmitting and exchanging cells in units of frames by a frame technique.
한편, ATM셀 헤더에는 스케쥴링 관련 정보를 실어 전송할 여분의 구간이 없기 때문에 첫번째 방식은 ATM망에 적용시킬 수가 없고, 두번째 방식은 ATM망에서 사용할 수는 있으나 여러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프레임 기법의 채택에 의해 수반되는 고유 문제인 지연한계와 대역폭 할당 단위간의 결합(coupling) 특성에 의해 효율성이 저하되고, 계층화된 프레임 기법이 사용되게 되면 상기 문제가 어느 정도 완화될 수 있지만 여전히 해결이 어려운 문제이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re is no spare section for transmitting scheduling related information in the ATM cell header, the first method cannot be applied to an ATM network, and the second method can be used in an ATM network, but there are various problems. Moreover, the efficiency is degraded by the coupling nature between delay limits and bandwidth allocation units, which are inherent by the adoption of the frame technique, and the problem can be alleviated to some extent if a layered frame technique is used, but still resolved. This is a difficult problem.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논리적 연결 단위로 구분된 2 개의 FIFO큐를 사용하여 프레임 단위로 선택적으로 서비스함으로써 지터 조절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각 FIFO큐가 분산제어방식에 의해 해당 스위치를 구동시켜 가장 높은 우선순위의 셀이 자동적으로 선택되도록 된 ATM망에서의 카운터 연동에 의해 정의되는 연결별 프레임을 이용한 분산제어방식 고정우선순위 큐 서비스장치에 관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using two FIFO queues divided into logical connection units to selectively serve each frame unit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jitter conditioner, each FIFO queue by a distributed control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ed priority queue service apparatus in a distributed control method using a frame for each connection defined by a counter interworking in an ATM network in which a highest priority cell is automatically selected by driving a corresponding switch.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TM망에서 연결별 프레임을 이용하여 각 노드에서 지터를 조절하고, 각 연결의 프레임에 대해 작은 크기의 순서로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한 후 프레임의 서비스할 셀을 선택하여 서비스를 수행하는 고정우선순위 큐 서비스장치에 있어서, 디먹스로부터의 소정 가상채널의 프레임에 대한 실시간 셀 데이터가 논리적 연결 단위로 구분된 2 개의 FIFO큐로 입력되어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서비스됨으로써 지터가 조절되고, 상기 FIFO큐에 대한 해당 분산제어방식 스위치에 의해 상기 셀 데이터중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셀이 자동적으로 선택되어 서비스되도록 된 분산제어방식 고정우선순위 서비스큐와; 상기 디먹스로부터의 가상채널의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 프래픽의 셀 데이터가 입력되어 서비스되는 데이터 트래픽 FIFO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rvice of a frame after adjusting jitter at each node using frames for each connection in an ATM network, and assigning high priority to the frames of each connection in a small order. In the fixed priority queue service apparatus which selects a cell to perform a service, real-time cell data for a frame of a predetermined virtual channel from a demux is input to two FIFO queues divided into logical connection units, and alternately in units of frames. A distributed control scheme fixed priority service queue in which jitter is adjusted by being serviced, and a cell having the highest priority among the cell data is automatically selected and serviced by a corresponding distributed control scheme switch for the FIFO queue; And a data traffic FIFO queue in which cell data of a data traffic for a frame of a virtual channel from the demux is input and serviced.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논리적 연결 단위로 구분된 2 개의 FIFO큐를 사용하여 프레임 단위로 선택적으로 서비스함으로써 지터 조절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각 FIFO큐가 분산제어방식에 의해 해당 스위치를 구동시켜 가장 높은 우선순위의 셀이 자동적으로 선택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wo FIFO queues divided into logical connection units are us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jitter regulator by selectively serving frame-by-frame, and each FIFO queue drives a corresponding switch by a distributed control method. The highest priority cell is automatically selected.
도1은 일반적인 ATM망에 있어서 노드를 통한 호(call)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ll connection state through a node in a typical ATM network;
도2a는 종래의 스톱-앤-고우 큐 서비스방식에 있어서 입력링크(l', l'')와 연결된 출력링크(l)를 갖춘 스위칭 노드(i)를 나타낸 도면,FIG. 2A shows a switching node i having an output link l connected to input links l ', l' 'in a conventional stop-and-go queue service scheme. FIG.
도2b는 도 2a에 나타낸 각 링크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FIG. 2B is a view showing a frame structure in each link shown in FIG. 2A; FIG.
도3은 일반적인 패킷 통신망에서의 지연지터 제어방법을 설명3 illustrates a delay jitter control method in a general packet communication network.
도4는 ATM망에서의 카운터 연동에 의한 지터정보 전달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delivering jitter information by linking a counter in an ATM network;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ATM망에서의 카운터 연동에 의해 정의되는 연결별 프레임을 이용한 분산제어방식 고정우선순위 큐 서비스장치에 있어서 연결별(j, j', j'') 프레임의 크기()를 나타낸 도면,FIG. 5 shows the size of each connection (j, j ', j'') frame in the distributed control method fixed priority queue service apparatus using frames per connection defined by counter interworking in an ATM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ATM망에서의 카운터 연동에 의해 정의되는 연결별 프레임을 이용한 분산제어방식 고정우선순위 큐 서비스장치의 1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stributed control scheme fixed priority queue service apparatus using frames per connection defined by counter interworking in an ATM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7은 도 6에 도시된 분산제어방식 고정우선순위 서비스큐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distributed control method fixed priority service queue shown in FIG. 6;
도8은 도 7에 도시된 2 × 1 스위치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2 × 1 switch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1 : 제 1 및 제 2 FIFO큐, 12 : 프레임 카운터,10,11: first and second FIFO queue, 12: frame counter,
13 : 2 × 1 스위치, 29 : 디먹스,13: 2 x 1 switch, 29 demux,
30∼n : 제 1 내지 제 N 분산제어방식 고정우선순위 서비스 큐,30 to n: first to Nth distributed control method fixed priority service queues,
40 : 데이터 트래픽 FIFO큐, 50 : 서버.40: data traffic FIFO queue, 50: serv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ATM망에서의 카운터 연동에 의해 지터정보 전달방법을 설명First, the method of transmitting jitter information by linking counters in an ATM network will be described.
따라서, 카운터 연동에 의한 지터정보 전달방법에 의해 지터가 조절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망내의 노드(i)에서는 이웃하는 셀간의 관계에 상관없이 이전 노드(i-1)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셀의 적격시간이 정의되게 된다. 즉, 셀이 이전 노드(i-1)에서 허용 가능한 최대 지연, 예컨대 프레임의 크기를 겪은 것처럼 적격 시간을 정의하는 것이다. 그리고, 소스 노드 이후의 노드에 대해 연결 j에 있는 셀(k)의 적격 시간()은 다음의 수학식 1에 정의되어 있다(여기서, i = 1, 2, …, N).Therefore, in order for the jitter to be adjusted by the method of interlocking jitter information by the interlocking method of the counter, the node i in the network has a qualified time of the cell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previous node i-1 regardless of the neighboring cells. To be defined. That is, it defines the eligible time as if the cell has experienced the maximum allowable delay, e.g., the size of the frame, at the previous node (i-1). And the qualified time of cell (k) in connection j for the node after the source node ( ) Is defined in the following equation (where i = 1, 2, ..., N).
여기서, τi는 이전 노드(i-1)와 노드(i) 사이의 전송지연(propagation delay)을 나타내고,는 연결 j의 프레임 크기를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1은 노드(i)에 k 번째로 도착하는 셀의 적격 시간이 그 셀의 이전 노드(i-1)에 의해 결정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이전 노드(i-1)가 k 번째 셀의 적격 시간정보를 노드(i)로 출력해야 함을 의미하고, 기존의 방법에서는 상기 정보를 k 번째 셀의 헤더에 실어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Τi denotes a propagation delay between the previous node i-1 and node i, Denotes the frame size of connection j. Equation 1 shows that the qualified time of the k-th cell arriving at node i is determined by the previous node i-1 of the cell. This means that the previous node i-1 should output the qualified time information of the k-th cell to the node i. In the conventional method, the information is loaded on the header of the k-th cell.
그러나, 상기 카운터 연동에 의해 지터정보 전달방법은 상기 정보를 매번 보낼 필요없이 셀이 노드에 도착하는 순간 자체적으로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연결 j에 대해의 관계가 성립되도록 연결별(per-session) 카운터(Ci,j)를 동작시켜 셀이 도착하는 순간()에 카운터의 값이 독출되어 바로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당 하나의 카운터만이 이용되어 해당 연결의 모든 셀에 대한 가상 도착시간을 알 수 있게 됨으로써 효과적으로 지연 지터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However, the jitter information transfer method by the counter linkage can be known by itself as soon as the cell arrives at the node without having to send the information each time. That is, for connection j By operating the per-session counter (Ci, j )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 The value of the counter is read out and immediately known. Thus, only one counter per connection can be used to know the virtual arrival times for all cells of the connection so that delay jitter can be effectively adjusted.
따라서, 각 노드에는 연결별(per-session)로 하나의 카운터가 있고, 각 카운터는 슬롯 단위로 카운트하여 개별 프레임을 정의하게 된다. 상기 카운터는 매 슬롯마다 카운터 값을 1 씩 감소시키고, 카운터의 값이 "0" 이 되는 순간 다시 프레임의 크기값에 의해 초기화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카운터는 이웃하는 노드간의 전송 지연을 정확하게 반영하여 연동시키게 된다. 즉, 이전 노드(i-1)에서 카운터의 값이 "c"일 때 출발한 셀이 노드(i)에 도착하게 되면, 순간 노드(i)의 카운터의 값도 "c"가 되도록 연동되는데, 이는 연결 수락시에 이웃하는 노드에 있는 카운터의 동작을 동기시킴으로써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each node has one counter per-session, and each counter is counted in slot units to define individual frames. The counter decrements the counter value by 1 for each slot, and is initialized again by the size value of the frame as soon as the counter value becomes "0". The counter is interlocked by accurately reflecting the transmission delay between neighboring nodes. That is, when the cell starting when the value of the counter in the previous node (i-1) is "c" arrives at the node (i), the value of the counter of the instant node (i) is also linked to "c", This is made possible by synchronizing the operation of the counter in the neighboring node upon accepting the connection.
상기 카운터의 값은 두가지 의미를 갖는데, 먼저 스케쥴러에 있는 셀에 대해서는 마감시간까지 남아 있는 시간을 의미하고, 지터 조절기에 있는 셀에 대해서는 적격 시간까지 남아 있는 시간을 의미하게 된다. 이후, 상기 카운터의 값이 "0" 이 되는 시점이 바로 스케쥴러에 있는 셀의 서비스 마감시간이 됨에 따라 스케쥴러에 있는 셀은 카운터가 "0" 이 되기 이전에 서비스가 수행되어야 한다.The value of the counter has two meanings, which means the time remaining until the deadline for the cells in the scheduler and the time remaining until the qualified time for the cells in the jitter adjuster. Thereafter, as the value of the counter becomes "0", the service deadline of the cell in the scheduler becomes a service, and the cell in the scheduler must be serviced before the counter becomes "0".
예컨대, 카운터의 값이 "3" 일 때 서비스가 수행된 경우 그 셀은 마감시간 3 슬롯 이전에 서비스를 받은 것이 되고, 그 셀이 그 다음 노드에 도착하게 되면 그 때의 카운터의 값이 "3" 으로 되어 셀은 3 슬롯 동안 지터 조절기에 저장되게 된다. 상기 지터 조절기에서 3 슬롯 동안 저장된 후 스케쥴러로 출력되게 되면, 이전 노드에서 마감시간에 서비스를 받고 이번 노드의 스케쥴러에 도달한 것과 동일하게 된다.For example, if a service is performed when the value of the counter is "3", then the cell is serviced before the 3 slots of the deadline, and when the cell arrives at the next node, the value of the counter at that time is "3". Cell will be stored in the jitter regulator for three slots. If it is stored for 3 slots in the jitter controller and then output to the scheduler, it is the same as having received the deadline service from the previous node and reaching the scheduler of this node.
도 4는 ATM망에서의 카운터 연동에 의한 지터정보 전달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으로, 여기서 전송되는 프레임의 크기는 10 인 경우를 예로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셀이 이전 노드에서 언제 서비스를 받았는지에 상관없이 그 다음 노드의 스케쥴러로 입력되는 시점이 항상 일정하게 되어 모든 셀이 노드에서 최대 지연을 겪은 후 서비스가 수행됨으로써 지연 지터가 완전히 제거되게 된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transmitting jitter information by counter linkage in an ATM network, and illustrates a case where a size of a frame transmitted is 10. FIG. And, as shown in FIG. 4, regardless of when a given cell is serviced by a previous node, a time point input to the scheduler of the next node is always constant, and after all cells have experienced the maximum delay at the node, the service is performed. Is performed so that delay jitter is completely removed.
한편, 상기 카운터 연동에 의해 지터정보 전달방법에서는 ATM망과 같이 패킷의 크기가 작고, 스케쥴링과 관련된 정보의 전송을 지원하지 않는 고속 통신망에서 지터를 조절하는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지만, 연결 수락시에 한번 연동시킨 카운터의 동작에 전적으로 의존되게 되어 전송지연이 일정한 동기망에서만 사용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jitter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by the counter interworking, i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adjust jitter in a high-speed communication network that has a small packet size and does not support the transmission of scheduling-related information as in an ATM network. It is entirely dependent on the operation of the counter, so that the transmission delay can be used only in a synchronization network.
상기한 바와 같이, ATM망에서의 카운터 연동에 의한 지터정보 전달방법에서는 연결별 프레임을 사용하여 셀을 서비스하고, 모든 연결의 연결별 프레임을 정의하기 위해 연결마다 별도의 프레임 카운터를 동작시켜야 한다. 따라서, 각 노드에서는 연결별 프레임을 위해 연결별로 카운터가 1 개씩 존재하고, 각각의 카운터는 슬롯단위로 카운트하여 개별 프레임을 정의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jitter information transfer method by counter interworking in an ATM network, a cell is serviced using a frame for each connection, and a separate frame counter must be operated for each connection to define a frame for each connection of all connections. Therefore, in each node, one counter exists for each connection for each frame, and each counter counts in units of slots to define individual frames.
상기 카운터는 매 슬롯마다 카운터의 값을 1 씩 감소시킨 후 카운터의 값이 "0"이 되는 순간 다시 프레임의 크기값으로 초기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카운터의 동작은 이웃하는 노드간의 전송지연을 정확하게 반영하여 연동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연동작용으로는 상기 프레임 카운터의 노드(i-1)에서의 카운터 값이 "c" 일때 출발한 셀이 노드(i)에 도착한 순간의 카운터 값도 "c" 가 되도록 연동시키게 된다. 이는 연결 수락시에 프레임 카운터에 관한 정보를 이웃하는 노드로 보내주어 프레임 카운터의 동작을 동기시킴으로써 가능하게 된다.The counter decrements the value of the counter by 1 for each slot, and then initializes it back to the size of the frame as soon as the value of the counter becomes "0".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counter is interlocked by accurately reflecting the transmission delay between neighboring nodes. In this interlocking operation, the cell which started when the counter value at node i-1 of the frame counter is "c" is a node. The counter value at the moment of arrival at (i) is also linked to be "c". This is made possible by synchronizing the operation of the frame counter by sending information about the frame counter to neighboring nodes upon accepting the connec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ATM망에서의 카운터 연동에 의해 정의되는 연결별 프레임을 이용한 고정우선순위 큐 서비스장치에 있어서 연결별(j, j', j'') 프레임의 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각 연결별(j, j', j'') 프레임의 크기()는 각각의 정의에 의해 다르게 된다.5 is a frame size of each connection (j, j ', j'') in the fixed priority queue service apparatus using the connection-specific frame defined by the counter interworking in the ATM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Here, the size of the frame for each connection (j, j ', j'') ( ) Is different for each defini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ATM망에서의 카운터 연동에 의해 정의되는 연결별 프레임을 이용한 분산제어방식 고정우선순위 큐 서비스장치의 1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큐 서비스장치는 디먹스(29)와, 제 1 내지 제 N 분산제어방식 고정우선순위 서비스큐(30∼n), 데이터 트래픽 FIFO큐(40) 및, 서버(50)로 구성되어 있다.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stributed control scheme fixed priority queue service apparatus using a frame for each connection defined by a counter interworking in an ATM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queue service apparatus includes a demux 29, a first to Nth distributed control scheme fixed priority service queues 30 to n, a data traffic FIFO queue 40, and a server 50. Consists of.
한편, 고정우선순위 큐 서비스장치는 ATM망에서 연결별 프레임을 이용하여 각 노드에서 지터를 조절하고, 각 연결의 프레임에 대해 작은 크기의 순서로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한 후 프레임의 서비스할 셀을 선택하여 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xed priority queue service device adjusts jitter at each node using frames per connection in the ATM network, assigns high priority to the frames of each connection in small order, and then selects a cell to service the frame. To perform the service.
그리고, 상기 큐 서비스장치에서의 분산제어방식 고정우선순위 서비스큐(30∼n)는 디먹스(29)로부터의 소정 가상채널(VC1∼VCn)의 프레임에 대한 실시간 셀 데이터가 논리적 연결 단위로 구분된 2 개의 FIFO큐로 입력되어 프레임 단위로 선택적으로 서비스됨으로써 지터가 조절되고, 상기 FIFO큐에 대한 해당 분산제어방식 스위치에 의해 상기 셀 데이터중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셀이 자동적으로 선택되어 서비스되게 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트래픽 FIFO큐(40)는 상기 디먹스(29)로부터의 가상채널(VC0)의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 프래픽의 셀 데이터가 입력되어 서비스되게 된다.In the distributed control scheme fixed priority service queues 30 to n of the queue service apparatus, real-time cell data for frames of the predetermined virtual channels VC1 to VCn from the demux 29 are divided into logical connection units. The jitter is adjusted by being input to two FIFO queues and selectively serviced in units of frames, and the highest priority cell among the cell data is automatically selected and serviced by the corresponding distributed control method switch for the FIFO queue. In addition, the data traffic FIFO queue 40 is serviced by the cell data of the data graphics for the frame of the virtual channel (VC0) from the demux 29 is input.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분산제어방식 고정우선순위 서비스큐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큐는 제 1 및 제 2 FIFO큐(10, 11)와, 프레임 카운터(12), 2 × 1 스위치(13)로 구성되어 있다.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distributed control method fixed priority service queue shown in FIG. 6. As shown, the service queue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FIFO queues 10 and 11, a frame counter 12, and a 2x1 switch 13.
상기 고정우선순위 서비스큐(30∼n)에서의 프레임 카운터(12)는 소정 연결별 프레임의 카운트를 수행하면서 상기 FIFO큐(10, 11)의 실시간 셀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시키게 된다.The frame counter 12 in the fixed priority service queues 30 to n selectively outputs real-time cell data of the FIFO queues 10 and 11 while counting frames for each connection.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FIFO큐(10, 11)는 상기 소정 연결별 가상채널(VC1∼VCn)로부터의 프레임의 셀 데이터를 저장함과 더불어 앰프티 플래그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2 × 1 스위치(13)는 상기 제 1 및 제 2 FIFO큐(10, 11)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FIFO큐(10, 11)의 앰프티 플래그신호()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FIFO큐(10, 11)와 서버(50)간을 연결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우선순위 서비스큐(30∼n)는 프레임의 길이가 짧은 순서로 배치되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FIFO queues 10 and 11 store cell data of frames from the virtual channels VC1 to VCn for each of the predetermined connections, and have an amplifier flag signal ( ), And the 2 × 1 switch 13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FIFO queues 10 and 11 while the amp flag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FIFO queues 10 and 11 are output. ( )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FIFO queues 10 and 11 to the server 50. On the other hand, the fixed priority service queues 30 to n are arranged in order of shorter frame length.
또한, 상기 2 × 1 스위치(13)는 상기 제 1 및 제 2 FIFO큐(10, 11)로부터의신호가 "0" 인 경우 "b" 접점 상태로 되고,신호가 "1" 인 경우 a 접점 상태로 되게 된다.In addition, the 2 × 1 switch 13 is connec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FIFO queues 10 and 11. If the signal is "0", it is in the "b" contact state, If the signal is " 1 ", it is brought into a contact state.
상기 제 1 및 제 2 FIFO큐(10, 11)는 논리적으로 분리되고, 각 FIFO큐에는 큐가 비어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플래그신호()가 1 개씩 존재하게 된다. 상기 플래그신호()는 큐에 셀이 존재하면, "0", 존재하지 않으면, "1" 을 나타내게 된다. 상기 플래그신호()에 의해 현재 도착한 프레임의 셀은 다음 프레임에서 서비스되고, 또한 프레임 단위로 상기 2 개의 FIFO큐는 선택적으로 서비스하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FIFO queues 10 and 11 are logically separated, and each FIFO queue has a flag signal for indicating whether the queue is empty. ) Will exist one by one. The flag signal ( ) Indicates "0" if the cell exists in the queue and "1" if it does not exist. The flag signal ( Cell of the currently arriving frame is serviced in the next frame, and the two FIFO queues are selectively serviced in units of frames.
한편, 상기 고정우선순위방식은 효율성이 동적우선순위방식에 비해 떨어지는 단점이 있지만, 구현의 복잡도가 상당히 작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가장 사용 가능성이 높은 큐 서비스방식이다. 상기 고정우선순위방식에서는 각 연결마다 고정된 우선순위를 부여하는데, 서버는 서비스할 셀을 선택하기 위해 매 시점마다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연결의 셀을 먼저 살펴보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xed priority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efficiency is lower than that of the dynamic priority method. However, since the complexity of the implementation is very small, the fixed priority method is the most practical queue service method. In the fixed priority scheme, fixed priorities are assigned to each connection, and the server first looks at the cells of the highest priority connection every time to select a cell to be serviced.
이때, 소정 연결에 대한 우선순위가 높은 셀이 있으면 선택하여 서비스하고, 상기 연결에 속하는 셀이 없으면 다음 우선순위의 연결에 속하는 셀이 있는지를 살펴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에 속하는 셀도 존재하지 않으면, 다음 우선순위의 연결에 속하는 셀을 찾게 되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가장 높은 우선순위부터 순차적으로 살펴본 후 셀이 있으면 선택하여 서비스하게 된다.At this time, if there is a cell having a high priority for a given connection, it is selected and serviced. If there is no cell belonging to the connection,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 cell belonging to the next priority connection. If there is no cell belonging to the connection, a cell belonging to the next priority connection is found. In this way, the cell is sequentially looked at from the highest priority and then selected and serviced.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서비스할 셀을 선택할 때마다 매번 각 연결의 셀 존재 유무를 우선순위 순으로 순차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아니라 분산제어방식을 이용하여 동시에 살펴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갖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서비스할 셀을 선택하기 위해 연결마다의 FIFO큐가 앰프티 플래그(Empty Flag)를 사용하여 2 × 1 스위치를 제어하도록 하면, 다른 FIFO큐에 셀이 존재하는지에 상관없이 고정우선순위대로 서비스할 셀이 선택되게 된다. 이후, 상당히 짧은 시간내에 서비스할 셀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time a cell to be serviced is select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ell of each connection is not sequentially reviewed in order of priority, but the same effect as that of using the distributed control method is simultaneously examined. In addition, if a FIFO queue for each connection is used to control a 2 × 1 switch using an empty flag in order to select a cell to be serviced, the service is fixed according to a fixed priority regardless of whether a cell exists in another FIFO queue. The cell to be selected is selected. Then, it becomes possible to select a cell to serve in a fairly short tim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서비스큐는 연결의 수가 상당히 증가하더라도 상당히 짧은 시간내에 서비스할 셀을 선택할 수 있어 확장성(scalability)이 상당히 우수하게 된다.In this way, the service queue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select a cell to be serviced within a very short time even if the number of connections increases significantly, so that scalability is excellent.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스탬프(stamp) 과정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처리하여야 할 오버헤드(overhead)가 거의 존재하지 않게 되고, 각 FIFO가 분산제어방식 스위치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실시간 셀 데이터가 고속으로 처리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stamp process is not necessary, so that there is almost no overhead to be processed, and each FIFO is controlled by a distributed control method switch so that real-time cell data can be processed at high speed. It becomes possible.
도 8은 도 7에 도시된 2 × 1 스위치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도면은 FIFO큐의 앰프티 플래그신호(EF), 예컨대(Empty Flag)신호가 "0" 인 경우 서버로부터의 접점이 b접점인 경우를 나타내고, 또한 FIFO큐의신호가 "1" 인 경우 서버로부터의 접점이 a접점 상태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principle of the 2 × 1 switch shown in FIG. 7. Here, the figure shows an amplifier flag signal EF of a FIFO queue, for example. When the (Empty Flag) signal is "0", it indicates the case where the contact point from the server is the contact point b, and the FIFO queue When the signal is "1", it shows the case where the contact point from a server is a contact point state.
한편, 본원 청구범위의 각 구성요건에 병기된 도면참조부호는 본원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로 한정할 의도에서 병기한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reference numerals written in the compon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written in the intention to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이상에서 설명Explained abov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960072057AKR100221319B1 (en) | 1996-12-26 | 1996-12-26 | Apparatus of the static priority queueing discipline using the per-session frame defined by the synchronus counter operation in atm networks by distributed control mechanism | 
| US08/976,728US5999534A (en) | 1996-12-26 | 1997-11-24 |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cells for use in a static priority scheduler | 
| GB9725052AGB2322997B (en) | 1996-12-26 | 1997-11-26 |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cells for use in a static priority scheduler | 
| JP33279097AJP3814393B2 (en) | 1996-12-26 | 1997-12-03 | Cell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960072057AKR100221319B1 (en) | 1996-12-26 | 1996-12-26 | Apparatus of the static priority queueing discipline using the per-session frame defined by the synchronus counter operation in atm networks by distributed control mechanism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9980053021A KR19980053021A (en) | 1998-09-25 | 
| KR100221319B1true KR100221319B1 (en) | 1999-09-15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19960072057AExpired - Fee RelatedKR100221319B1 (en) | 1996-12-26 | 1996-12-26 | Apparatus of the static priority queueing discipline using the per-session frame defined by the synchronus counter operation in atm networks by distributed control mechanism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221319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478112B1 (en)* | 2001-08-27 | 2005-03-24 |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 Packet 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FI120125B (en)* | 2000-08-21 | 2009-06-30 | Nokia Corp | Image Coding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478112B1 (en)* | 2001-08-27 | 2005-03-24 |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 Packet 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9980053021A (en) | 1998-09-25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245329B1 (en) | Apparatus of managing a queue by priority for controlling jitter in a packet network | |
| US599953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cells for use in a static priority scheduler | |
| US6396834B1 (en) | Flexible scheduler in an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switch | |
| AU650339B2 (en) | Low delay or low loss cell switch for ATM | |
| EP0763915B1 (en) | Packet transfer device and method adaptive to a large number of input ports | |
| US7006438B2 (en) | Distributed control of data flow in a network switch | |
| US6295295B1 (en) | Scheduler for an information packet switch | |
| EP0981228B1 (en) | Two-component bandwidth scheduler having application in multi-class digital communication systems | |
| KR100328642B1 (en) | Arrangement and method relating to packet flow control | |
| JPH0846590A (en) | Data transmission system | |
| US20020150047A1 (en) |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transmission of asynchronous transfer mode cells | |
| EP213403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data packet flows | |
| US6501762B1 (en) | Scheduler implementing weighted fair queuing by a weight limited first in-first out methodology | |
| KR100221319B1 (en) | Apparatus of the static priority queueing discipline using the per-session frame defined by the synchronus counter operation in atm networks by distributed control mechanism | |
| EP1324631A2 (en) | Combined use timer system for data communication | |
| KR100221324B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dynamic priority queueing discipline using the per-session frame defined by the synchronus counter operation in atm networks | |
| KR100221318B1 (en) | Fixed priority queue service device and service method using frame for each connection defined by counter interworking in ATM network | |
| KR100221316B1 (en) | A method for retrieving the jitter information for the virtual per-session frame by using a timer in atm networks | |
| KR100221317B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the dynamic priority queueing dscipline using the per-session frame defined by the synchronus counter operation in atm networks | |
| US7130267B1 (en) |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bandwidth in a network node | |
| KR100221320B1 (en) | Method of determining frame size per connection defined by counter interworking in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 |
| KR19980040846A (en) | Efficient Bandwidth Usage in Jitter Information Delivery by Counter Interlocking in Asynchronous Transfer Mode Network | |
| US6735214B1 (en) | Method and system for a hierarchical traffic shaper | |
| KR19980040849A (en) | Improvement of Schedule Characteristics in Transfer of Jitter Information by Counter Interworking in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Networks | |
| KR100204493B1 (en) | Traffic scheduler apparatus by 2x1 switch with static priority queueing discipline of atm networks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7-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4-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090601 Year of fee payment: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006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00627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