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최근 변경최근 토론
 

콩고 공화국

최근 수정 시각:
20
편집
이용중인 IP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거나 공공 IP 대역이므로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이 메세지는 같은 인터넷 공급업체를 사용하는 다른 누군가로 인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89164)
만료일: 무기한
사유: SAKURA Internet Inc.
토론역사
 
 
 
 
 
 
 
 
 
 
 
 
 
 
 
 
 
 
 
 
 
 
 
 
 
다른 뜻 아이콘   유사한 국호의 국가에 대한 내용은콩고민주공화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콩고 공화국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외교부 지정여행유의 지역
[ 펼치기 · 접기 ]
다음 지역들은여행유의로 지정된 국가 및 지역 입니다.
해당 지역에 계신 분들은신변 안전 위험 요인숙지하고대비하시기 바랍니다.
(기준일: 2025.10.15)
자세한 정보는외교부 해외안전포털을 참고
동북아시아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전 지역
2022.11.29
전 지역
2024.07.01
중국 China20230320
티베트 및 신장위구르자치구 지역을 제외한 지역
2023.03.20
전 지역
2022.11.29
북미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미국 United States...
하와이를 제외한 지역
2023.11.24
중남미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2025년 7월 1일 칠레 여...
발파라이소주(이스터섬 제외), 산티아고 수도주, 비오비오주를 제외한 지역
2025.07.01
서남아시아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전 지역
2022.04.14
전 지역
2024.07.01
전 지역
2024.07.01
전 지역
2024.07.01
인도 여행경보 2022.08....
카슈미르, 카르길 시를 제외한 지역
2022.08.22
동남아시아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전 지역
2022.04.14
라오스 Laos20231228
골든트라이앵글 경제특구를 제외한 지역
2023.11.24
2025년 7월 1일 말레이시...
사바주 동부 해안 및 사바주 동부도서 지역을 제외한 지역
2025.07.01
전 지역
2023.11.24
인도네시아 여행경보 2022....
서파푸아, 파푸아, 말루쿠, 아체를 제외한 지역
2022.08.22
2025년 태국 여행경보
송클라 주 남부 말레이시아 국경지역, 파타니 주, 나라티왓 주, 얄라 주 • 치앙센 국경검문소(라오스 접경) 및 매싸이 국경검문소(미얀마 접경), 딱 주, 수린 주, 부리람 주, 시사켓 주, 우본라차타니 주, 사께오 주, 찬타부리 주, 뜨랏 주를 제외한 전 지역
2025.07.27
필리핀여행경보 221210
수빅시, 보라카이섬, 보홀섬, 세부 막탄섬(라푸라푸시)
2022.11.29
중동·북아프리카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모로코 여행경보 2024.07...
서사하라 이외 지역
2024.07.01
전 지역
2024.07.01
2025년 7월 1일 알제리 ...
알제주
2025.07.01
요르단 여행경보 2022.11...
시리아 및 이라크 접경 10km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3.03.07
이집트 여행경보 2023.08...
다합•샴엘셰이크지역, 카이로 등 나일강 유역 도시지역, 마르트루~지중해 유역
2023.08.04
쿠웨이트 여행경보 2022.1...
이라크 접경지역, Mutla'a, Jeleeb Al-Shuyoukh, Khaitan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08.22
튀니지 여행경보 2023.03...
튀니스와 수도권 지역/비제르트 주/나불 주/수스 주/모나스티르 주 마흐디아 주/스팍스 주/제르바 주
2023.03.07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전 지역
2024.07.01
전 지역
2023.11.24
전 지역
2022.04.13
전 지역
2024.07.01
전 지역
2023.11.24
전 지역
2023.11.24
러시아·중앙아시아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타지키스탄221101발령
아프가니스탄 국경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11.29
전 지역
2023.08.04
유럽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전 지역
2022.11.29
전 지역
2022.04.14
전 지역
2022.11.29
전 지역
2022.11.29
전 지역
2022.11.29
전 지역
2022.08.22
전 지역
2022.11.29
전 지역
2022.11.29
전 지역
2022.11.29
전 지역
2023.3.7
전 지역
2022.11.29
2025년 7월 1일 아르메니...
아라라트주, 게가쿠니크주, 바요츠조르주, 슈니크주, 타부시주를 제외한 지역
2025.07.01
전 지역
2022.04.13
아제르바이잔 여행경보 2023...
나고르노-카라바흐 및 인근 7개 지역아그담(Aghdam), 피줄리(Fizuli), 자브라일(Jabrayil), 장길란(Zanglian), 구바들리(Guabadly), 라친(Lachin), 켈바자르(Kelbajar)),나흐치반 아르메니아 접경지역 및 아르메니아 접경 5km 구간을 제외한 전 지역
2023.04.15
전 지역
2023.11.24
전 지역
2022.11.29
전 지역
2022.11.29
전 지역
2022.11.29
튀르키예 여행경보 2024.0...
킬리스, 가지안텝, 샨르우르파, 마르딘, 시르낙, 하카리, 반, 비트리스, 시르트, 바트만, 디야르바크르, 빙골, 툰셀리, 엘라지, 시리아의 국경 10km 이내 지역(하타이)를 제외한 전 지역
2024.02.23
폴란드 여행경보 2022.11...
우크라이나 접경 30km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11.29
전 지역
2022.11.29
오세아니아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전 지역
2023.11.24
전 지역
2023.11.24
전 지역
2023.11.24
전 지역
2022.11.29
전 지역
2023.11.24
콩고 공화국
République du Congo | Republic of the Congo
콩고 공화국 국기
콩고 공화국 국장
국기
국장
Unité,Travail,Progrès
통일,노동,진보
역사
1880년프랑스령 콩고 설립
1960년 8월 15일프랑스로부터 독립
1969년 12월 31일콩고 인민공화국 수립
1992년 3월 15일 콩고 공화국으로 복귀
면적
342,000km2
인구
6,484,437명(2025년) | 세계 112위
수도
국가
콩고의 노래
(La Congolaise)
공용어
정부 형태
민주주의 지수
2.79점,권위주의(2024년)
(167개국 중128위)
드니 사수 응게소
(Denis Sassou Nguesso)
총리
아나톨 콜리넷 마코소
(Anatole Collinet Makosso)
민족구성
콩고인
종교
UN가입년도
남북수교현황
대한민국
1961년 8월 21일 수교
1965년 5월 11일 단교[1]
1990년 6월 16일 재수교

북한
1964년 12월 24일 수교
교민 수
12명
명목 GDP
GDP
$83억 4100만(2017)
1인당
GDP
$1,831(2017)
GDP(PPP)
GDP
$666억 2000만(2016)
1인당
GDP
$6,985(2016)
통화
HDI
0.592(2015)
시간대
WAT (UTC+1)
국제전화
+242
여행경보
여행자제: 전 지역
위치
[ 펼치기 · 접기 ]
콩고 공화국 위치
external/upload....
 
 
 
 
 
 
 
 
 
 
 
 
 
 
 
 
 
 
 
 
 
 
 
 
 

1. 개요2. 상징
2.1. 국호2.2.국기2.3. 국가
3. 역사4. 정치5. 경제6. 외교7. 군사8. 사회9. 문화
9.1. 언어9.2. 교육9.3. 스포츠

 
 
 
 
 
 
 
 
 
 
 
 
 
 
 
 
 
 
 
 
 
 
 
 
 
 
 
 
 
 
 
 
 
 
 
 
 
 
 
 
 
 
 
 
 
 
 
 
 
 
 
 
 
 
 
 
 
 
 
 
 
 
 
 
 
 
 
 
 
 
 
 
 
 
 
 
 
 
 
 
아프리카 중서부 적도상에 있는 국가.

수도브라자빌(Brazzaville)로[2]콩고민주공화국의 수도킨샤사콩고강 하나를 두고 나뉘어 있다.[3]

두 콩고 모두 도시 국가가 아닌데도 각각의 수도를 국경 지대에 두고 있어 그 자체로 특이한데,[4] 심지어 그 두 수도끼리도 서로 인접해 있기 때문에 세계 다른 곳에서는 보기 힘든 케이스라 할 수 있겠다.
 
 
 
 
 
 
 
 
 
 
 
 
 
 
 
 
 
 
 
 
 
 
 
 
 
 
 
 
 
 
 
 
 
 
 
 
 
 
 
 
 
 
 
 
 
 
 
 
 
 
 
 
 
 
 
 
 
 
 
 
 
 
 
 
 
 
 
 
 
 
 
 
 
 
 
 
 
 
 
 
 
 
 
 
 
 
 
 
 
 
 
 
 
 
 
 
 
 
 
 
 
 
 
 
 
 
 
 
 
 
 
 
 
 
 
 
 
 
 
 
정식 명칭은 콩고 공화국(République du Congo)이며콩고민주공화국(콩고ㅡ킨샤사)과는 다르다. 콩고민주공화국과 마찬가지로 콩고라는 국명은콩고강 유역에 사는 바콩고(Bakongo)라는 부족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다. 콩고민주공화국은 한때자이르라는 국호를 썼음에도 콩고 공화국보다 훨씬 크고 영향력 있는 국가이기 때문에 그냥 '콩고'라고 하면 콩고민주공화국을 뜻하는 경우가 많다. 콩고강은 대부분이 콩고민주공화국에서 흐르고, 구글에서도 콩고라고 검색하면 콩고민주공화국이 나온다. 이처럼 '콩고'라는 타이틀의 우선권이 콩고민주공화국에 있으므로, 콩고 공화국을 콩고라고 부르면 헷갈릴 수 있으니 가급적이면 콩고 공화국이라는 국호를 전부 써 주는 게 좋다.

다만유엔에서는 '콩고(Congo)'라고 하면 반드시 콩고 공화국을 의미한다. 1960년 가입 당시에는 콩고 공화국뿐만 아니라 현재의 콩고 민주 공화국도 정식 국호가 '콩고 공화국'이었다. 이 두 국가는 1960년 9월 20일 유엔에 같이 가입했는데, 국명이 같은 관계로 유엔에서는 한동안 브라자빌을 수도로 하는 콩고 공화국을 'Congo (Brazzaville)'로, 레오폴드빌(현 킨샤사)을 수도로 하는 콩고 공화국을 'Congo (Leopoldville)'로 표기해 왔다. 그러다가 1964년콩고(레오폴드빌)가 국호를 콩고민주공화국으로 바꾸면서 유엔에서의 표기를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혹은 'Congo (Democratic Republic)'로 바꾸었는데, 이때만 해도 콩고(브라자빌)는 기존 명칭을 유지했다. 이후 1970년 콩고(브라자빌)는 공산 정권 수립으로 유엔에서의 국호를 'People's Republic of Congo'로 바꾸었다. 그런데 1971년 콩고민주공화국이 국명을자이르(Zaire)로 바꾸면서 콩고라는 명칭을 쓰는 국가가 콩고 인민공화국만 남게 되자 따라 콩고 인민공화국은 곧바로 유엔에서의 국호를 'Congo'로 바꾸었다. 1997년 자이르는 국호를 다시 콩고민주공화국으로 되돌렸지만 이미 유엔에서 수식어가 붙지 않은 'Congo'는 콩고 공화국이 선점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콩고민주공화국은 유엔에서의 국호를 정식 명칭인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로 사용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영어권에서는 두 콩고를 구분할 때 수도 이름을 따서 콩고 공화국을 콩고-브라자빌(Congo-Brazzaville), 콩고민주공화국을 콩고-킨샤사(Congo-Kinshasa)라고 하기도 한다. 콩고 공화국은 땅이 좁아서 '작은 콩고'라고도 한다. 콩고민주공화국은 영문명DemocraticRepublic of the Congo에서 DR을 가져와 DR콩고라고도 부른다.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콩고 공화국/국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콩고의 노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콩고의 노래
 
 
 
 
 
 
 
 
 
 
 
 
 
 
 
 
 
 
 
 
 
 
 
 
 
 
 
 
 
 
 
 
 
 
 
 
 
 
 
 
 
 
 
 
 
 
 
 
 
 
 
 
 
 
 
 
 
 
 
 
 
 
 
 
 
 
 
 
 
 
 
 
 
 
 
 
 
 
 
 
원래콩고 왕국, 로앙고 왕국, 테케 왕국 등의 영토였으나 1885년프랑스의 식민지가 되었다. 프랑스의 지배가 비록 벨기에의 식민지였던옆동네만큼 최악은 아니었지만 역시 수만 명의 사람이 죽었을 만큼 억압적이었다.

1960년에 프랑스로부터 독립하였으며퓔베르 율루반공정책을 추진했으나 1963년 알퐁스 마상바데바가 쿠데타를 일으켜 공산정권을 세웠고 1968년쿠데타로 집권한 마리앵 은구아비 또한 공산정권을 세웠다. 1977년 응구아비가 암살당하고조아킴 욤비오팡고가 대통령이 되나 1979년 또 쿠데타가 일어나드니 사수 응게소가 공산정권을 이끌었다. 1990년에야 공산정권이 무너지고 1992년 민주정부가 출범했다. 다만 새로운 정권의 공권력이 세지 않았기에 들어선지 얼마 되지 않아서1차 내전이 발발했다.

하지만 물러난드니 사수 응게소가 1997년 다시 내전을 일으켜 민주정권의 대통령인 파스칼 리수바를 몰아내고 컴백했다. 결국 최소 13,929명의 사망자와 함께 2년 간의 전쟁 끝에 전쟁은 응게소의 승리로 종결되었고, 응게소는 89.4%라는 아무리 봐도 사기로 보이는 지지율로 당선되어 현재까지 대통령으로 집권 중이다.

2021년 3월 21일에 콩고 공화국 대통령 선거를 시행하는 가운데드니 사수 응게소 현 대통령이 수십 년에 걸친 장기 집권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블룸버그통신 등이 보도했다.#

2021년 3월 22일 콩고 공화국의 유력 야당 대선후보가코로나19로 사망했다.#

2021년 3월 23일드니 사수 응게소 대통령이 4선에 성공했다.#
 
 
 
 
 
 
 
 
 
 
 
 
 
 
 
 
 
 
 
 
 
 
 
 
 
 
 
 
 
 
 
 
 
 
 
 
 
 
 
 
 
 
 
 
 
 
 
 
 
 
 
 
 
 
 
 
 
 
 
 
 
 
 
 
 
 
 
 
 
 
 
 
 
 
 
 
 
 
 
 
콩고 공화국의 정치 정보
23점
2024년,세계 151위
60.58점
2025년, 세계 71위
2.79점
2024년,세계 128위

현재 대통령은드니 사수 응게소로, 1979년부터 1992년까지 1기, 1997년부터 현재까지 2기다. 집권 기간은 1기 13년, 2기 28년으로 합치면 무려40년이나 된다.
 
 
 
 
 
 
 
 
 
 
 
 
 
 
 
 
 
 
 
 
 
 
 
 
 
 
 
 
 
 
 
 
 
 
 
 
 
 
 
 
 
 
 
 
 
 
 
 
 
 
 
 
 
 
 
 
 
 
 
 
 
 
 
 
 
 
 
 
 
 
 
 
 
 
 
 
 
 
 
 

1인당 GDP는 1,981달러로 이웃콩고민주공화국의 무려 4배에 달한다. 원유 수출 비중이 전체 수출의 9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절대적이다.#한국과 비교해 보면 엄청난 차이를 볼 수 있다. 또한 GDP의 65%, 정부 수입의 85%를 차지할 정도로 원유에 의존하고 있다.[5] 여느 아프리카 국가가 그렇듯이 엄청난 빈부격차에 시달리는 건 마찬가지지만콩고민주공화국보다는 사정이 낫다.

탄탈럼,코발트,나이오븀 등의 금속이 다량 매장되어있다. 몇몇 금속의 경우 전 세계 채굴량의 50-60퍼센트를 담당한다.

옆의콩고민주공화국에 비하면취약국가지수는 훨씬 낫지만 29위로 낮은 편은 아니다.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콩고 공화국/외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콩고 공화국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종교로는기독교가 90% 이상을 차지하는 국민 종교이며,가톨릭이 52%,개신교 및 기타 기독교 교파가 약 38% 정도를 차지한다. 토착 종교를 비롯한 기타 신앙은 10%이다. 과거공산주의 시절을 겪어서인지 문해율은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에 비하면 상당히 높은 편인데, 대략 국민의 90% 정도가 읽고 쓸 줄 안다.
 
 
 
 
 
 
 
 
 
 
 
 
 
 
 
 
 
 
 
 
 
 
 
 
 
 
 
 
 
 
 
 
 
 
 
 
 
 
 
 
 
 
 
 
 
 
 
 
 
 
 
 
 
 
 
 
 
 
 
 
 
 
 
 
 
 
 
 
 
 
 
 
 
 
 
 
 
 
 
 
 
 
 
 
 
 
 
 
 
 
 
 
 
 
 
 
 
 
 
 
 
 
 
 
 
 
 
 
 
 
 
 
 
 
 
 
 
 
 
 
공용어는프랑스어. 프랑스어는 프랑스의 지배와 영향으로 공용어이자 각 민족간의링구아 프랑카로 지정되어 있다. 그 외에도링갈라어,콩고어 등의 언어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6살부터 16살까지 유상 의무 교육을 받는다. 그래서 2005년 기준 초등학교 등록율이 44%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또한 교육 인프라는 정치 및 경제적 위기로 인해 심각하게 악화되었다. 대부분의 교실에는 의자가 없기 때문에 아이들이 바닥에 앉아서 수업을 듣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초등 교육은 6년, 중등 교육은 7년으로 구성되어 있다.
 
 
 
 
 
 
 
 
 
 
 
 
 
 
 
 
 
 
 
 
 
 
 
 
 
 
 
 
 
 
 
 
 
 
 
 
 
 
 
 

9.3.스포츠[편집]

 
 
 
 
 
 
 
 
 
 
 
 
 
 
 
 
 
 
 
 
 
 
 
 
 
 
 
 
 
 
 
 
 
 
 
 
 
 
 
 
콩고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있다. 월드컵에선 늘 예선탈락하고 있으며 1972년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을 우승한 후 50여년간 무관 상태이다.

[1] 콩고가 북한과 수교하면서 단교했다.[2] 이 지역을 발견한 탐험가 피에르 사보르냥드 브라자(Pierre Savorgnan de Brazza)의 이름에서 따왔다.[3]콩고강콩고민주공화국에서 출발하고, 상류 대부분이 콩고민주공화국 안에 있다. 콩고강 전체를 기준으로 콩고 공과국과 만나는 부분은 매우 적지만, 콩고 공화국 동부 국경의 상당 부분이 콩고강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만큼 콩고강은 크고 긴 강이다.[4] 다만 아프리카에서는 국경선에 수도가 매우 인접한 경우가 더러 있다. 비교적 소국인 부룬디, 레소토, 에스와티니 뿐만 아니라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차드, 보츠와나, 토고, 베냉도 국경선에 몹시 가까운 곳에 수도가 있다.[5] 참고로 사우디아라비아의 그것이 각각 40%/75%에 달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