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중앙일보중앙일보중앙일보

언론사가 주요기사로
선정한 기사입니다.
언론사별 바로가기

태극기 덮인 관, 무릎 꿇은 우크라軍…"러 교전중 한국인 사망"

박현주 기자
박현주 기자
  • 박현주 기자박현주 기자
    박현주 기자
    구독자
    0
    응원수
    0
    더보기
입력2025.11.27. 오전 11:25
수정2025.11.27. 오후 2:02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에 참전했다 사망한 한국인의 장례식이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서 열렸다고 외교부가 밝혔다. 종전 협상을 둘러싼 미·러 간 줄다리기가 이어지는 가운데 한반도 안보와 직결되는 북한군의 추가 파병 또한 계속되고 있다.

 지난 25일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서 전사한 한국인 의용군의 관을 앞에 두고 우크라이나 군인이 애도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지난 25일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서 전사한 한국인 의용군의 관을 앞에 두고 우크라이나 군인이 애도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외교부 당국자는 27일 "우크라이나 의용군으로 참전 중 사망한 우리 국민 1명의 장례식이 25일(현지시간) 키이우에서 개최됐다"며 장례식에는 현지 공관의 영사가 참석했다고 밝혔다. 전사자는 50대 김모 씨로 지난 5월 도네츠크에서 러시아군과 교전 중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외교부는 전사자의 구체적인 인적 사항은 공개하지 않았다.

외교부가 참전 한국인의 사망 사실을 확인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 3월 러시아 국방부가 당시를 기준으로 "참전한 한국인이 총 15명이고 이 중 5명이 사망했다"고 밝혔지만, 외교부는 "사실관계를 확인 중"이라며 말을 아꼈다.

앞서 지난 25일 AFP통신은 키이우에서 태극기가 덮인 관 앞에 우크라이나 군인이 무릎 꿇은 모습을 담은 사진과 함께 "전사한 한국인 의용군의 관에 장병들이 경의를 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태극기가 덮인 관 옆에는 미 성조기가 덮인 관이 놓여 미국인 전사자에 대한 추모도 함께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 발표 등을 종합하면 지금까지 두 자릿수 규모의 한국인이 참전해 최소 6명 이상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12월 러시아군 활동을 감시하는 친우크라이나 국제시민단체 ‘인폼네이팜’이 텔레그램에 올린 영상에는 한국어를 유창하게 쓰는 남성이 등장해 스스로를 한국인으로 소개하며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을 향해 “자유를 위해 항복하라”고 촉구하는 모습이 담기기도 했다.

지난해 12월 우크라이나 의용군으로 참전했다고 주장한 한국인 남성이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을 향해 항복을 촉구하는 모습. 인폼네이팜 영상 캡처.
지난해 12월 우크라이나 의용군으로 참전했다고 주장한 한국인 남성이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을 향해 항복을 촉구하는 모습. 인폼네이팜 영상 캡처.
종전 협상 진행 중에도 격전은 이어지는 가운데 북한군 추가 파병 움직임도 계속되고 있다. 국가정보원은 지난 4일 “북한군 건설부대 5000여 명이 지난 9월부터 러시아로 순차적으로 이동 중이며 인프라 복구 작업에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또 “북한군 1만여 명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국경 인근에 전진 배치돼 경비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날 NK뉴스는 우크라이나 측을 인용해 “북한군이 아직 러시아가 점령한 돈바스 최전방에 배치되지는 않았지만, 조만간 그럴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주로 경비와 건설 임무를 맡는다고는 하지만, 전황에 따라 북한군이 언제든 재차 실전에 투입될 수 있는 여건을 갖추는 셈이다.

종전 협상도 매끄럽지는 않은 분위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5일(현지시간) “(종전안이) 합의에 매우 가까워졌으며 남은 이견은 몇 가지뿐”이라고 밝혔다. 반면 러시아는 “아직 진지한 논의는 이뤄지지 않았다”(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외교정책 보좌관, 지난 26일)고 밝히는 등 속도 조절 기류를 보이고 있다.

이와 동시에 러시아는 뒤로는 북한과 추가 파병과 반대급부 제공을 놓고 긴밀한 고위급 협의를 이어가는 모습이다. 지난 8일 빅토르 고레미킨 러시아 국방차관이 평양을 방문해 노광철 북한 국방상과 회담하고 군사정치 협력 발전을 논의했다고 러시아 국방부가 밝혔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기사 추천은 24시간 내 50회까지 참여할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가 이 기사의 댓글 정책을 결정합니다.댓글 정책 언론사별 선택제섹션별로 기사의 댓글 제공여부와 정렬방식을 언론사가 직접 결정합니다. 기사 섹션 정보가 정치/선거를 포함하는 경우 정치/선거섹션 정책이 적용됩니다. 언론사의 결정에 따라 동일한 섹션이라도 기사 단위로 댓글 제공여부와 정렬 방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단, 일부 댓글 운영 방식 및 운영규정에 따른 삭제나 이용제한 조치는 네이버가 직접 수행합니다.

이슈 NOW

언론사에서 직접 선별한 이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