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 자원 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ier,URI)는 인터넷에 있는 자원을 나타내는 유일한 주소이다. URI의 존재는 인터넷에서 요구되는 기본조건으로서 인터넷 프로토콜에 항상 붙어 다닌다.
URI의 하위개념으로URL,URN 이 있다.
일반 URI와 절대 URI 참조 문법은RFC 2396에 처음 정의되었으며, 1998년 8월 출판되었으며,[1] RFC 3986로 완성되어, 2005년 1월 출판되었다.[2]일반 URI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나타낸다:
scheme:[//[user[:password]@]host[:port]][/path][?query][#fragment]
다음은 2개의 예시 URI와 구성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hierarchical part ┌───────────────────┴────────────────────┐ authority path ┌───────────────┴──────────────┐┌───┴────┐ abc://username:password@example.com:123/path/data?key=value#fragid1 └┬┘ └───────┬───────┘└────┬─────┘└─┬┘ └───┬────┘└───┬──┘scheme user information host port query fragment
urn:example:mammal:monotreme:echidna └┬┘ └──────────────┬───────────────┘scheme path
URI와 URL은 역사를 함께 공유한다. 1994년팀 버너스 리가하이퍼텍스트[3]를 제안하면서하이퍼링크의 대상이 되는 자원을 대표하는 짧은 문자열로 URL의 개념을 암묵적으로 도입하였다. 당시 사람들은 이를 "하이퍼텍스트 이름"[4] 또는 "문서 이름"으로 불렀다.
|
|---|
| 배경 | |
|---|
| 하위 주제 | |
|---|
| 응용 | |
|---|
| 관련 주제 | |
|---|
| 표준 | | 문법 및 지원 기술 | |
|---|
| 스키마, 온톨로지, 규칙 | |
|---|
| 시맨틱 주해 | |
|---|
| 공통 용어 | |
|---|
| 마이크로포맷 용어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