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tvN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른 뜻에 대해서는TVN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tvN
한국명티비이엔
영문표기tvN
형태민영방송
유료방송
오락종합채널
방송 영역대한민국 전 지역
개국일2006년 10월 9일
이전 회사CJ tvN Co., Ltd
(2009년 11월 2일 CJ미디어에 흡수합병)
본사대한민국서울특별시마포구 상암산로 66CJ ENM센터
사장홍기성
모기업CJ ENM 미디어콘텐츠부문
슬로건Contents Trend Leader (기업)
No.1 K콘텐츠 채널, 즐거움엔 tvN (광고, 2021년 9월 1일 ~ )
웹사이트TvN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 공식 웹사이트
tvN
tvN 로고
국가대한민국의 기대한민국
방송 지역대한민국의 기대한민국 전역
방송국CJ ENM 미디어콘텐츠부문
소유주
모기업CJ ENM
역사
개국2006년 10월 9일

tvN은CJ ENM 미디어콘텐츠부문에서 운영하는 종합 엔터테인먼트 전문 텔레비전 채널이다.

역사

[편집]

2006년10월 9일 오후 7시, 케이블 TV 및 위성 방송,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TU)을 통해 동시 개국한 tvN은 '100% 자체 제작'을 기치로 내세우며, 지상파 방송에서는 시도하지 못한 다양한 포맷을 실험적으로 도입한 방송 채널이다.2009년부터는 폭스 인터내셔널 채널스(Fox International Channels)와 협력하여필리핀,홍콩,대만을 가청 구역으로 하는 tvN Asia를 개국하였으며, Star TV 위성(Asia Sat)을 통해 송출하였다. 그러나2015년 계약 종료 이후로는 단독 한국 채널인 tvN만을 송출하고 있다.

2010년7월 5일부터2013년5월 5일까지는 수도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지상파 DMB 사업자인 한국DMB의 채널을 임대하여 'tvN Go'를 송출·방영하였다. 개국 초기인2010년까지는 별도의 제작 없이 지상파 방송 위탁 제작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2015년9월 10일에는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한 제2채널 O tvN(현 tvN DRAMA)이,2018년1월 26일에는 밀레니엄 세대를 주요 타깃으로 한 제3채널 XtvN(현 tvN SHOW)이, 그리고 2021년 5월 3일에는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한 제4채널 tvN STORY가 차례로 개국되었다. 2021년 8월 30일에는 O tvN이tvN DRAMA로, XtvN이tvN SHOW로 각각 채널명이 변경되었다. 또한,2022년5월 30일에는 Olive 채널이 25세부터 59세까지의 청장년층을 겨냥한 제5채널이자 스포츠 전문 채널인tvN SPORTS로 전환되었다.

한편, tvN은2021년부터2024년까지아시아 축구 연맹(AFC)과 중계권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공식 주관 방송사로 지정되었으며, 이로써스포츠 콘텐츠 분야로의 본격적인 확장을 이루었다. 앞서2013년에는 스포츠 시범 중계를 진행한 바 있다.

슬로건

[편집]
  • 2006년 ~ 2007년 : 종합오락채널
  • 2007년 ~ 2008년 : 색다른 TV
  • 2008년 ~ 2009년 : 놀라운 즐거움
  • 2009년 ~ 2011년 : What is your Ntertainment?
  • 2011년 ~ 2012년 : TV를 바꾸는 TV
  • 2012년 ~ 2013년 : Asia No.1
  • 2013년 ~ 2015년 : No.1 Trend Leader
  • 2014년 : 8th Anniversary of tvN
  • 2014년 ~ 2017년 : Contents Trend Leader tvN
  • 2015년 ~ 2017년 : 즐거움의 시작!
  • 2017년 ~ 2021년 : 즐거움엔 끝이 없다!
  • 2021년 ~ 현재 : No.1 K콘텐츠 채널, 즐거움엔 tvN

로고

[편집]

tvN 로고의 변천사는 다음과 같다.

  • 2006년 10월 9일 ~ 2008년 2월 (1세대)
    2006년 10월 9일 ~ 2008년 2월 (1세대)
  • 2008년 3월 ~ 2012년 4월 (2세대)
    2008년 3월 ~ 2012년 4월 (2세대)
  • 2012년 5월 ~ 2021년 8월 (3세대)
    2012년 5월 ~ 2021년 8월 (3세대)
  • 2021년 9월 ~ (4세대)
    2021년 9월 ~ (4세대)

프로그램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tvN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목록입니다.
 분류:tvN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방영 프로그램

[편집]

종영 프로그램

[편집]

역대 공동대표

[편집]

기타

[편집]
  • 모든 프로그램은 제공 자막 별도로 쓰이는 광고를 내보낸다.
  • 중간 광고 전에 하단 오른쪽에60초 후에 계속됩니다.라고 표시한다.
  • 본방송은 화면 상단 왼쪽에 드라마는본 X화로 나오고, 예능 프로그램은본방송으로 표시한다.

주요 사업 내역

[편집]
  • 방송 사업
  • 컨텐츠 제공 사업
  • 세일즈 프로모션

주요 사건

[편집]

논란

[편집]
  • 2006년 11월 16일 개국 당시 시청률을 높이기 위해 자사채널 중KMTV(현 GMTV)의 케이블 송출을 중단한 채 KM이 송출되던 대역으로 tvN을 방송하여 KMTV 시청자들의 항의를 받았다[1][2]. 이후 CJ측은 2007년 4월에 매직TV를 인수 후 폐국시키고 구 매직TV 대역으로 KMTV의 케이블 송출을 재개하였다.
  • CJ가 tvN의 위성 방송(스카이라이프) 송출을 일방적으로 중단하는 사례가 여러차례 있었다[3]. CJ측은 위성방송 송출에 따른 판권료 상승 등의 이유를 내걸었지만 사실상 케이블 온리 (cable only) 정책 때문이었다는 평이 지배적이었다. 결국방송통신위원회(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의 중재로 방송이 재개되었지만[4], 2011년 3월부터 기존의 CJ미디어가 CJ E&M으로 변경된 이후에,KT의 올레TV 라이브를 비롯한,SK브로드밴드의 Btv 등 일부 통신 3사 IPTV 사업자와 협의 후, HD 채널로 송출을 개시하였다.[5]

같이 보기

[편집]

기타

[편집]

2020년 10월 9일 한글날을 기념하여 tvN은 자사의 명칭을 한글 표기인 ‘티비엔’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2021년 이후부터는 한글날을 맞이하더라도 별도의 한글 표기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영문 표기 ‘tvN’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각주

[편집]
  1. “시청자 "음악방송 보려했더니 벌거벗은 남녀가...". 스타뉴스. 2006년 10월 17일. 
  2. “즐겨보던 채널이 하루아침에 사라져?… KM 대체한 tvN,시청자 유감”.쿠키뉴스. 2006년 10월 12일. 
  3. “CJ미디어, 스카이라이프에 tvN '또' 송출 중단”.미디어오늘. 2008년 1월 2일. 
  4. “CJ미디어, 스카이라이프에 tvN 송출 재개”.미디어오늘. 2007년 5월 5일. 
  5. “IPTV 3사, CJ E&M 채널로 경쟁력 ↑”. 파이낸셜뉴스. 2011년 2월 28일. 2018년 12월 2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TvN 주제와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방영 프로그램
종영 프로그램
CJ ENM의 텔레비전 채널
드라마·예능
영화
어린이·스포츠
해외
홍콩, 마카오, 타이완, 동남아시아
tvN Asia
tvN Movies
tvN Taiwan
태국
tvN Thai
아프리카
tvN Africa
일본
Mnet Japan
미국
Mnet America
tvN
폐국 및 매각
연관 단체
관련 항목
대한민국의 오락 텔레비전 채널
종합
음악
TV
오디오
연예/오락
게임/MCN
지상파
전국
수도권
전북권
충북권
대전·세종·충남권
광주·전남권
대구·경북권
제주권
울산권
부산권
경남권
강원권
종합편성
뉴스
경제
스포츠·여가
드라마
예능
음악
영화
교양
생활·패션·건강
게임
교육·어린이·육아
애니메이션
국제
쇼핑
공공
종교
UHD
지역 SO 채널
굵은 글씨 : 대한민국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제 40조 제 1항에서 지정한 재난방송 의무송출 방송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TvN&oldid=40883169"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