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The Dark Side of the Moon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The Dark Side of the Moon》
핑크 플로이드정규 음반
발매일1973년 3월 1일
녹음일1972년 5월 31일~1973년 2월 9일[1]
장르프로그레시브 록,사이키델릭 록[2]
길이42:50
언어영어
레이블하비스트,캐피틀
프로듀서핑크 플로이드
핑크 플로이드 연표
Obscured by Clouds
(1972)
The Dark Side of the Moon
(1973)
Wish You Were Here
(1975)
전문가 평가
평가 점수
출처점수
AllMusic5/별[2]
Billboard5/별[3]
Christgau's Record GuideB[4]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5/별[5]
MusicHound Rock5/5[6]
NME8/10[7]
Pitchfork9.3/10[8]
Q4/별[9]
The Rolling Stone Album Guide5/별[10]
Uncut4/별[7]

The Dark Side of the Moon》은영국의 록 밴드핑크 플로이드의 여덟 번째 스튜디오 음반으로, 1973년 3월 1일,미국에서캐피틀 레코드, 3월 16일,영국에서하비스트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다. 녹음 이전의 라이브 공연에서 발전된 이 음반은 밴드가 겪은 고된 생활 방식 속 압박감과, 1968년 밴드를 떠난 전 멤버시드 배럿의 정신 건강 문제를 다루는 콘셉트 음반으로 구상되었다. 새로운 곡들은 1972년과 1973년 두 차례에 걸쳐 런던의 EMI 스튜디오 (현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다.

이 음반은 핑크 플로이드의 초기 녹음과 공연에서 탐구한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면서도, 이전 작품을 특징짓던 긴 연주곡들은 배제하였다. 밴드는 다중 트랙 녹음,테이프 루프,아날로그 신시사이저를 활용했으며 EMS VCS 3와 신시 A를 포함한 다양한 실험을 진행했다. 엔지니어앨런 파슨스는 녹음의 여러 측면을 담당했으며, 〈The Great Gig in the Sky〉에 참여한 세션 가수클레어 토리의 영입에도 기여했다.

《The Dark Side of the Moon》은 갈등, 탐욕, 시간, 죽음, 정신 질환과 같은 주제를 탐구한다. 밴드의 로드 크루와 주변 인물들의 인터뷰 발췌와 더불어 철학적인 인용구들이 삽입되었다.프리즘을 통과한 빛의 스펙트럼을 그린 음반 커버는 키보디스트리처드 라이트가 밴드의 조명과 음반의 주제를 대표할 "단순하고 대담한" 디자인을 요청한 데 따라스톰 소거슨이 제작하였다. 음반은 〈Money〉와 〈Us and Them〉 두 장의 싱글로 홍보되었다.

《The Dark Side of the Moon》은 극찬을 받았으며, 역대 최고의 음반 목록에 자주 이름을 올린다. 이 음반은 밴드 네 멤버 모두에게 국제적인 명성과 부, 찬사를 안겨주었다. 음반 시대의 블록버스터적 발매작으로서 1970년대 음악 산업 전반의 음반 판매를 견인하기도 했다. 《The Dark Side of the Moon》은 영국에서 14배 플래티넘을 인증받았으며, 미국빌보드 200 차트에서 정상을 차지했고, 해당 차트에 총 990주 동안 머물렀다. 2013년까지 《The Dark Side of the Moon》은 전 세계적으로 4,500만 장 이상 판매되어 밴드의 최고 판매 음반이자 1970년대 최고의 판매 음반, 그리고 역사상 네 번째로 많이 팔린 음반이 되었다.[3] 2012년에는미국 의회도서관이 "문화적, 역사적, 혹은 미학적으로 중요한" 음반으로 선정하여 미국내셔널 레코딩 레지스트리 목록에 포함시켰으며, 1999년에는그래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1]

배경

[편집]

1971년 《Meddle》 이후, 핑크 플로이드는 같은 해 12월,영국,일본,미국 투어를 위해 모였다.노스런던에 있는 드러머닉 메이슨의 자택에서 열린 밴드 회의에서, 베이시스트로저 워터스는 새로운 음반을 투어의 일부로 구성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워터스는 사람들이 "미치게 만드는 것"을 다루는 음반을 구상했으며, 밴드의 고된 생활 방식과 관련된 압박감과 전 멤버시드 배럿이 겪은 정신 건강 문제를 주제로 삼았다.[12][13] 밴드는 1969년 콘서트 모음곡 《The Man and The Journey》에서도 유사한 아이디어를 탐구한 바 있다.[14]롤링 스톤》과의 인터뷰에서 기타리스트데이비드 길모어는 "우리는 모두, 그리고 로저는 확실히, 우리가 사용하던 가사들이 조금 너무 간접적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가사가 매우 명확하고 구체적일 것이라는 느낌이 확실히 있었습니다."라고 말했다.[15]

녹음

[편집]

《The Dark Side of the Moon》은 1972년 5월 31일부터 1973년 2월 9일까지 약 60일 동안 EMI 스튜디오 (현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다.[16] 핑크 플로이드는 다섯 번째 음반 《Atom Heart Mother》 (1970년)에서 보조 테이프 오퍼레이터로 일한 경험이 있는 스태프 엔지니어앨런 파슨스를 배정받았으며, 그는비틀즈의 음반 《Abbey Road》와 《Let It Be》에서 녹음 엔지니어로 경험을 쌓은 바 있다.[17][18] 《The Dark Side of the Moon》 녹음 세션에서는 고급 스튜디오 기술, 특히 스투더 A80 16트랙 레코더를 사용했는데[19], 이는 이전에 밴드가 사용했던 8트랙이나 4트랙 녹음보다 상당한 이점이 있었다. 그러나 밴드는 종종 너무 많은 트랙을 사용하여, 추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2세대 복사본이 필요할 정도였다.[20] 믹스 감독크리스 토머스는 나중에 "믹싱할 때 드럼 트랙은 단 두세 개뿐이었고, 곡에 따라 기타 트랙은 한두 개였으며, 여기에는 솔로와 리듬 기타 부분이 포함되었습니다. 키보드 한 트랙, 베이스 한 트랙, 그리고 한두 개의 사운드 효과 트랙이 있었습니다. 그들이 작업한 방식은 매우, 매우 효율적이었습니다."라고 회고했다.[21]

첫 번째로 녹음된 곡은 5월 31일의 〈Us and Them〉이었고, 7일 후 〈Money〉가 이어서 녹음되었다. 〈Money〉에서는 워터스가 독특한7
4
박자의 효과 루프를 만들었는데[22], 여기에는 그의 아내 도예 스튜디오에서 믹싱 볼에 동전을 던지는 등의 돈 관련 사운드 녹음이 포함되었다. 이 루프들은 밴드가 음반의 쿼드라포닉 믹스를 만들기로 한 결정에 맞춰 재녹음되었다. 그러나 파슨스는 나중에 멀티트랙 테이프 레코더 부족과 시간 부족으로 인해 이 믹스의 결과에 만족하지 못했다고 밝혔다.[18]

다음으로 〈Time〉과 〈The Great Gig in the Sky〉가 녹음되었고, 이어 두 달간의 휴식기가 있었다. 이 기간 동안 밴드는 가족과 시간을 보내고 미국 투어를 준비했다.[23] 녹음 세션은 자주 중단되었는데,아스널 FC의 팬이었던 워터스는 팀 경기를 보기 위해 자리를 떠났고, 밴드는 가끔 파슨스가 트랙 작업을 하는 동안 텔레비전으로 《몬티 파이튼의 비행 서커스》를 시청하며 쉬기도 했다. 길모어는 "...하지만 작업이 순조로울 때는 계속 진행했다"라고 회상했다.[24][25]

1973년 1월, 미국에서 돌아온 후, 밴드는 〈Brain Damage〉, 〈Eclipse〉, 〈Any Colour You Like〉, 〈On the Run〉을 녹음하고 이전 세션의 작업을 다듬었다. 〈Brain Damage〉, 〈Eclipse〉, 〈Time〉에는 네 명의 여성 보컬리스트가 참여했고, 색소폰 연주자딕 패리가 〈Us and Them〉과 〈Money〉에 참여했다. 밴드는 감독 에이드리언 메이븐과 함께 《Pink Floyd: Live at Pompeii》를 위한 스튜디오 촬영도 진행했다.[26] 음반은 1973년 2월 9일, 애비 로드에서 완성되어 승인되었다.[27] 길모어는 밴드가 완성된 음반을 처음 들었을 때를 "큰 기쁨과 만족, 그리고 우리가 정말 한 걸음 더 나아갔다는 성취감을 느낀 순간"으로 회상했다.[28]

곡 목록

[편집]

모든 곡들은로저 워터스에 의해 작사하였다.

Side one
#제목작곡리드 보컬재생 시간
1.Speak to Me닉 메이슨기악1:05
2.Breathe (In the Air)리처드 라이트,데이비드 길모어길모어2:49
3.〈On the Run〉길모어, 워터스기악3:45
4.Time메이슨, 워터스, 라이트, 길모어길모어, 라이트6:53
5.The Great Gig in the Sky라이트,클레어 토리토리4:47

Side two
#제목작곡리드 보컬재생 시간
6.Money워터스길모어6:22
7.Us and Them라이트길모어7:49
8.Any Colour You Like길모어, 메이슨, 라이트기악3:26
9.Brain Damage워터스워터스3:46
10.Eclipse워터스워터스2:12

참여 인원

[편집]
연주
그 밖의 참여

인증 및 판매

[편집]
국가인증판매량/출하량
아르헨티나 (CAPIF)[29]
certified in 1991
2× 플래티넘120,000^
아르헨티나 (CAPIF)[29]
certified in 1994
2× 플래티넘120,000^
오스트레일리아 (ARIA)[30]
video
4× 플래티넘60,000^
오스트레일리아 (ARIA)[32]14× 플래티넘1,020,000[31]
오스트리아 (IFPI 오스트리아)[33]2× 플래티넘100,000*
벨기에 (BEA)[34]골드25,000*
캐나다 (뮤직 캐나다)[35]
video
5× 플래티넘50,000^
캐나다 (뮤직 캐나다)[36]2× 다이아몬드2,000,000^
캐나다 (뮤직 캐나다)[37]
Immersion Box Set
골드50,000^
체코[38]골드50,000[38]
덴마크 (IFPI Danmark)[39]5× 플래티넘100,000이중 칼표
프랑스 (SNEP)[41]플래티넘2,500,000[40]
독일 (BVMI)[42]3× 플래티넘1,500,000이중 칼표
독일 (BVMI)[43]
video
골드25,000^
그리스45,000[44]
Iceland (FHF)[45]골드2,500[46]
이탈리아
sales 1973–1989
1,000,000[47]
이탈리아 (FIMI)[48]
sales since 2009
7× 플래티넘350,000이중 칼표
뉴질랜드 (RMNZ)[49]16× 플래티넘240,000^
폴란드 (ZPAV)[50]
Warner Music PL Edition
2× 플래티넘40,000이중 칼표
폴란드 (ZPAV)[51]
Pomatom EMI edition
플래티넘70,000*
포르투갈 (AFP)[52]
reissue
2× 플래티넘80,000^
러시아 (NFPF)[53]
Remastered
플래티넘20,000*
스페인50,000[54]
영국 (BPI)[55]
"The Making Of" video
플래티넘50,000^
영국 (BPI)[56]16× 플래티넘4,800,000이중 칼표
미국 (RIAA)[57]
video
3× 플래티넘300,000^
미국 (RIAA)[58]
certified sales 1973–1998
15× 플래티넘15,000,000^
미국
Nielsen sales 1991–2007
8,360,000[59]
요약
전 세계45,000,000[3]
*판매량을 기반으로 한 인증
^출하량을 기반으로 한 인증
이중 칼표판매량+스트리밍을 기반으로 한 인증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Guesdon, Jean-Michel (2017).《Pink Floyd All The Songs》. Running Press.ISBN 978-0-316-43923-7. 
  2. Erlewine, Stephen Thomas.“Review:The Dark Side of the Moon. 《AllMusic》. 2021년 4월 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27일에 확인함. 
  3. Smirke, Richard (2013년 3월 16일).“Pink Floyd, 'The Dark Side of the Moon' At 40: Classic Track-By-Track Review”. 《Billboard》. 2016년 7월 6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25일에 확인함. 
  4. Christgau 1981, 303쪽. sfn 오류: 대상 없음: CITEREFChristgau1981 (도움말)
  5. Larkin, Colin (2011).〈Pink Floyd〉 5판.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mnibus Press. 1985쪽.ISBN 978-0-85712-595-8. 2020년 8월 13일에 확인함. 
  6. Graff & Durchholz 1999, 874쪽. sfn 오류: 대상 없음: CITEREFGraffDurchholz1999 (도움말)
  7. “The Dark Side of the Moon Review”. 《Tower Records》. 1993년 3월 20일. 33쪽. 2009년 8월 1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8월 13일에 확인함. 
  8. Harvey, Eric (2023년 8월 6일).“Pink Floyd:The Dark Side of the Moon Album Review”. 《Pitchfork. 2023년 8월 6일에 확인함. 
  9. Davis, Johnny (October 1994). “The Dark Side of the Moon Review”. 《Q》. 137쪽. 
  10. Coleman 1992, 545쪽. sfn 오류: 대상 없음: CITEREFColeman1992 (도움말)
  11. “Grammy Hall of Fame Award”. Recording Academy Grammy Awards. 2022년 12월 1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8월 9일에 확인함. 
  12. Mason 2005, 165쪽 harvnb 오류: 대상 없음: CITEREFMason2005 (도움말)
  13. Harris, John (2003년 3월 12일).'Dark Side' at 30: Roger Waters”. 《Rolling Stone》. 2009년 3월 26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8일에 확인함. 
  14. Mabbett 1995, n/a쪽 harvnb 오류: 대상 없음: CITEREFMabbett1995 (도움말)
  15. Harris, John (2003년 3월 12일).'Dark Side' at 30: David Gilmour”. 《Rolling Stone》. 2007년 9월 1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31일에 확인함. 
  16. Alan Parsons (February 2023). “High Fidelity All Star”. 《Mojo》. 
  17. Mason 2005, 171쪽 harvnb 오류: 대상 없음: CITEREFMason2005 (도움말)
  18. Richardson, Ken (May 2003).“Another Phase of the Moon”. 《Sound & Vision》. 1쪽. 2012년 3월 1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3월 20일에 확인함. 
  19. “The Gear of Pink Floyd's 'Dark Side of the Moon'. 《reverb.com》. 2023년 2월 24일. 2025년 6월 27일에 확인함.They would continue to use Studio 3, just as they had for the original May '72 session... At times they also used the larger Studio 2, over on the other side of the building. Studio 3 also had a Studer A80 2-inch 16-track tape machine for the Dark Side sessions. At the time of the refit, this was the first of its kind in the UK, but by now all three Abbey Road control rooms had them, and Alan would sometimes bounce to a second 16-track to make more tracks available. 
  20. Harris 2006, 101–102쪽 harvnb 오류: 대상 없음: CITEREFHarris2006 (도움말)
  21. Cunningham, Mark (January 1995). “The other side of the moon”. 《Making Music》. 18쪽. 
  22. Guitar World, February 1993. Retrieved fromPink Floyd Online on 3 November 2008.
  23. Harris 2006, 103–108쪽 harvnb 오류: 대상 없음: CITEREFHarris2006 (도움말)
  24. Waldon, Steve (2003년 6월 24일).“There is no dark side of the moon, really ...”. 《The Age》. 2012년 3월 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19일에 확인함. 
  25. Harris, John (2003년 3월 12일).'Dark Side' at 30: Alan Parsons”. 《Rolling Stone》. 2008년 6월 2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31일에 확인함. 
  26. Schaffner 1991, 158쪽 harvnb 오류: 대상 없음: CITEREFSchaffner1991 (도움말)
  27. “The Dark Side of the Moon Studio Documents”. 2023년 10월 3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9월 12일에 확인함. 
  28. Edgers, Geoff (2024년 9월 5일).“David Gilmour doesn't fear a future as a Pink Floyd hologram”. 《The Washington Post》.ISSN 0190-8286. 2024년 9월 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7일에 확인함. 
  29. “Argentinian album certifications – Pink Floyd – The Dark Side of the Moon”. CAPIF. 2011년 7월 6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0. “ARIA Charts – Accreditations – 2008 DVDs”(PDF) (영어).오스트레일리아 음반 산업 협회. 
  31. “The Music Australia Loved”. 《Sydney Morning Herald》. 2013년 1월 1일. 2014년 1월 1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2. “ARIA Charts – Accreditations – 2007 Albums”(PDF) (영어).오스트레일리아 음반 산업 협회. 
  33. “Austrian album certifications – Pink Floyd – Dark Side of the Moon” (독일어).IFPI Austria. 
  34. “Ultratop − Goud en Platina – albums 2008” (영어).Ultratop. Hung Medien. 
  35. “Canadian video certifications – Pink Floyd – The Making Of The Dark Side of the Moon” (영어).뮤직 캐나다. 
  36. “Canadian album certifications – Pink Floyd – The Dark Side of the Moon” (영어).뮤직 캐나다. 
  37. “Canadian album certifications – Pink Floyd – Dark Side of the Moon – Immersion Box Set” (영어).뮤직 캐나다. 
  38. “Czech Gold”. 《Billboard》. 1979년 11월 17일. 70쪽. 2019년 3월 19일에 확인함. 
  39. “Danish album certifications – Pink Floyd – Dark Side of the Moon” (영어).IFPI Danmark. 
  40. Steven Leroy (2020년 9월 25일).“Quel est le disque le plus vendu en France de tous les temps ?” (프랑스어).Le Télégramme. 2022년 6월 1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6월 19일에 확인함. 
  41. “French album certifications – Pink Floyd – The Dark Side of the Moon” (프랑스어). InfoDisc.  PINK FLOYD를 선택해서OK를 누르세요. 를 누르세요.
  42. “Gold-/Platin-Datenbank (Pink Floyd; 'Dark Side of the Moon')” (독일어).독일 음반 산업 협회. 
  43. “Gold-/Platin-Datenbank (Pink Floyd; 'Dark Side of the Moon')” (독일어).독일 음반 산업 협회. 
  44. “From the Music Capitols of the World – Athens”(PDF). 《Billboard》. 1978년 11월 18일. 73쪽. 2022년 10월 9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World Radio History 경유. 
  45. “Tónlistinn – Plötur” [The Music – Albums] (아이슬란드어). Plötutíðindi. 2023년 3월 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4월 22일에 확인함. 
  46. “Söluviðurkenningar” (아이슬란드어).Félag hljómplötuframleiðenda. 2021년 9월 1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4월 22일에 확인함. 
  47. Caroli, Daniele (1989년 12월 9일).“Italy | Talent Challenges”(PDF). 《Billboard Magazine》. 101권 49호. I-8쪽.ISSN 0006-2510. 2022년 10월 9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7월 25일에 확인함 – World Radio History 경유. 
  48. “Italian album certifications – Pink Floyd – The Dark Side of the Moon” (이탈리아어).이탈리아 음악 산업 협회. 
  49. “New Zealand album certifications – Pink Floyd – The Dark Side of the Moon” (영어).리코디드 뮤직 NZ. 
  50. “Wyróżnienia - Platynowe płyty CD - Archiwum - Przyznane w 2023 roku” (폴란드어).폴란드 축음기 산업 협회. 
  51. “Wyróżnienia - Platynowe płyty CD - Archiwum - Przyznane w 2003 roku” (폴란드어).폴란드 축음기 산업 협회. 
  52. “Portuguese album certifications – Pink Floyd – Dark Side of the Moon”(PDF) (포르투갈어).Associação Fonográfica Portuguesa. 
  53. “Russian album certifications – Pink Floyd – The Dark Side of the Moon” (러시아어). National Federation of Phonogram Producers (NFPF). 
  54. “International – Supertramp $”(PDF). 《Billboard》. 1980년 4월 26일. 57쪽. 2022년 10월 9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World Radio History 경유. 
  55. “British video certifications – Pink Floyd – The Making Of The Dark Side of the Moon” (영어).영국 축음기 협회. 
  56. “British album certifications – Pink Floyd – The Dark Side of the Moon” (영어).영국 축음기 협회. 
  57. “American video certifications – Pink Floyd – Dark Side of the Moon” (영어).미국 음반 산업 협회. 
  58. “American album certifications – Pink Floyd – Dark Side of the Moon” (영어).미국 음반 산업 협회. 
  59. Barnes, Ken (2007년 2월 16일).“Sales questions: Pink Floyd”. 《USA Today》. 2007년 2월 1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0월 2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정규 음반
사운드트랙
라이브 음반
모음집
영상물
전거 통제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The_Dark_Side_of_the_Moon&oldid=40683935"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