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MBC TV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MBC TV
로고(2023년 4월 6일 ~ 현재)
종류지상파
국가대한민국
방송 지역서울특별시·인천광역시·경기도 일원
방송국문화방송
본사서울특별시마포구상암동 성암로 267번지
프로그래밍
언어한국어
소유주
소유주문화방송
모기업문화방송
역사
개국1969년 8월 8일
링크
웹사이트www.imbc.com/broad/tv/drama/
유효성
지역
디지털본사 14, 가상 11-1
IPTVKT지니 TV, SKB tv, LGU+ TV: 11
위성KT스카이라이프: 11
UHD본사 55, 가상 11-1
슬로건
만나면 좋은 친구 MBC 문화방송

MBC TV대한민국 수도권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사인MBC가 운영하는 공중파텔레비전 방송채널이다.

특징

[편집]
  • 대한민국 수도권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사인문화방송이 운영하는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국이다.1969년8월 8일부터 방송을 최초 개국하였으며,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전 지역과 강원특별자치도 영서 지역 일부, 충청남도 북부 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서 방송 중이다. 뉴스, 시사교양, 드라마, 예능을 담당하고 있고,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송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가상채널은11-1번을 사용하고, 호출부호는HLKV-DTVHLKV-UHDTV이다. 전국 16개의 제휴국에 프로그램을 공급하여 전국 네트워크망을 형성하고 있다.
  • 편성표 (MBC TV)는 2018년 이후 홈페이지 개편으로 최근 2~3주간만 조회만 가능하다. 단, 모바일 버전에서는 이전 편성표도 조회가 가능하다.

개별 디자인

[편집]

기본

[편집]
  • 방송 개시 시 제공 자막에광고 주만 나열하는 것이 특징이다.[1]
  • 시청 등급 화면은2002년부터 동그라미 크게 표시되었으나,2007년부터는 그 크기가 축소되었다.
  • 1980년대부터1990년대에 이르기까지 뉴스 및 스포츠 프로그램에서는 화면 상단 오른쪽에 작은 흰색 글씨로 된 MBC 로고가 표시되었으나, 교양 및 예능 프로그램에서는 로고가 표시되지 않았다. 이후2000년대 초반부터는 모든 프로그램에 MBC 로고가 일괄적으로 표시되기 시작하였다.
  • 뉴스 프로그램(MBC TV)의 장소의수화방송은 MBC 뉴스 스튜디오(1990년대 ~ 2004년)가 아닌 별도 장소의 파란 바탕(2005년 ~ 이후 현재)의 모양으로 진행한다.
  • 뉴스 프로그램(MBC TV)의 장소의수화방송은 '한국 수어 통역 방송' 및 (TV 프로그램)의 수화 방송되는 해당 프로그램 참조는 '수화 통역 방송'으로 표기된다.
  • 2018년부터 매년한글날에 맞아 화면 상단 오른쪽에문화방송이라고 한글로 표시된다.[2]
  • 오늘의 방송순서 안내, 매년1월 1일에 새로운 해인연도 표시가 나왔다.

시각 표시

[편집]
  • 아침 시간대에 사용된 시각 표시는1981년에 도입되었으며,[3]1982년 가을 개편을 통해 요일명이 추가되어 "日, 月, 火, 水, 木, 金, 土" 등의 한자가 함께 표기되었다. 이후 이 방식은 장기간 유지되다가,1999년3월부터 17년 만에한글 전용 표기로 전환되었다.
  • 본방송 시작 직전에는 약 10초간광고가 송출되며, 이를 통해 현재 시각을 안내하는 형식을 유지하고 있다.

티커 표시

[편집]
  • 2001년9.11 테러 계기로, 아침 시간대를 쓰이는 뉴스 티커가 신설되었다.
  • 2002년4월부터 심야 시간대를 쓰이는 뉴스 티커가 신설되었다.
  • 2005년12월부터 낮 시간대를 쓰이는 뉴스 티커가 신설되었다.

방송 문구 변천사

[편집]

현재

[편집]
  • 문화방송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4]의 심의규정을 준수합니다. (1972년 ~ 현재)
  • 이 프로그램은 가상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스포츠,뉴스데스크 전용)
  • 이 프로그램은 간접광고 또는 가상 중간 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2021년 7월 1일 ~)[5]
  • 정규편성 관계로 인해 중계방송을 마칩니다. 시청자 여러분에 양해 바랍니다. (TV,라디오 전용, 1972년 ~ 현재)
  • 정규편성 관계로 인해 중계방송을 마칩니다.이 방송은 계속해서MBC 스포츠플러스 또는 SBS 스포츠 채널을 통해 직접 중계 방송을 하오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2001년 ~ 현재)
  • 정규방송 편성 관계로 (프로그램명) 중계방송을 마칩니다. 시청자 여러분의 양해를 부탁드립니다.(임시국회 기간 한정)

과거

[편집]
  • 이 프로그램은 간접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드라마, 예능 전용)
  • 이 프로그램은 간접 · 가상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종합편성 전용) (2011년 ~ 2021년 6월 30일) 종료

연혁

[편집]

1960년대

[편집]

1970년대

[편집]

1980년대

[편집]

1990년대

[편집]

2000년대

[편집]

2010년대

[편집]

2020년대

[편집]

방송 송출 시설망

[편집]

MBC-TV가 운영하고 있는 방송 송출 시설망은 다음과 같다. 서울 본사 지역 내 난시청 해소를 위하여 방송망을 꾸준히 추가 구축해나가고 있는 중이다.

  • 호출부호 : HLKV-DTV, HLKV-UHDTV
  • 가상채널 : 11-1
송신소UHDHD송신소 위치비고
물리채널출력물리채널출력
관악산 송신소CH 555kWCH 142.5kW경기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산3-1
남산 중계소5kWCH 505kW서울 용산구 용산동2가 산1-3
불광 중계소900WCH 2790W경기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산30-1 매봉
백련 중계소900WCH 2190W서울 은평구 응암1동 산7-5 백련산
장위 중계소900WCH 4390W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산2-1
아날로그TV
2012년 12월 31일 오전 4시 방송 종료
(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참고)
  • 호출부호 : HLKV-TV
송신소채널출력송신소 위치비고
남산 송신소CH 1150kW서울 용산구 용산동2가 산1-3
관악산 송신소CH 4110kW경기 과천시 중앙동 산10
불광 중계소CH 47500W경기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산30-1 매봉
응암 중계소CH 29500W서울 은평구 응암1동 산7-5 백련산
성북 중계소CH 55100W서울 성북구 성북동 산10-1
장위 중계소CH 30100W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산2-1
행당 중계소CH 4710W서울 성동구 행당2동 328-1 한진아파트 106동

프로그램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문화방송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목록입니다.

드라마

[편집]
방송 시간제목광고등급제비고
월, 화, 수, 금 19:05일일 드라마 (태양을 삼킨 여자)가상15첫 번째 남자 12월 15일 방영예정
목 19:10
금, 토 21:50금토 드라마 (이 강에는 달이 흐른다)중간 60초15판사 이한영 2026년 1월 2일 방영예정
매년 12월 30일[53]MBC 연기대상15

예능

[편집]
방송 시간제목광고등급제비고
월 22:50남극의 셰프15
수 21:00알바로 바캉스
수 22:30라디오스타중간 60초15
목 22:00구해줘! 홈즈12
금 23:10나 혼자 산다중간 60초15
토 15:15쇼! 음악중심Live
토 18:25놀면 뭐하니?중간 60초
토 23:10전지적 참견 시점
일 12:05출발! 비디오 여행중간 60초15일부 지역 방송
일 18:10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12
일 21:10극한 8415
일 23:00심야괴담회 5
매년 12월 29일[54]MBC 방송연예대상15Live
매년 12월 31일[55]MBC 가요대제전

시사교양

[편집]
방송 시간제목광고등급제비고
월 ~ 목 07:50생방송 오늘아침중간 60초15Live일부 지역 방송
금 07:50건강 하우스 깡있는 아침12일부 지역 방송
평일 09:45기분 좋은 날
평일 10:40우리말 나들이전체 시청가
월 ~ 목 18:05오늘N중간 60초12Live일부 지역 방송
월 21:00오은영 리포트 - 결혼지옥15
화 21:00미정
화 22:20PD수첩전체 시청가
화 23:20MBC 100분 토론
수 21:00미정12
목 19:05생방송 연금복권 720+15Live
목 21:00실화탐사대중간 90초일부 지역 방송
금 10:45우리는 지역에 살아요전체 시청가
토 07:20건강의 재구성 썰록12일부 지역 방송
토 08:30탐나는 TV15
토 20:35생방송 행복드림 로또 6/45Live
일 05:00MBC 네트워크 특선전체 시청가일부 지역 방송
일 07:10MBC 다큐 프라임
일 08:35엄마를 부탁해
일 20:30탐사기획 스트레이트

어린이

[편집]
방송 시간제목
월 10:45뽀뽀뽀 좋아좋아
화 10:45헬로키즈 TV 생물도감 2
목 10:45찾아가는 꾸러기교실

애니

[편집]
방송 시간제목
월 11:45팬티히어로 2
월 17:10안녕! 틴틴팅클
토 08:10시크릿 쥬쥬 별의 보석 2
일 07:10베베핀
일 07:25주니토니 이야기

스포츠 및 국회

[편집]
방송 시간제목광고비고
목 00:35웰컴 투 스포츠Live
(평일)KBO 리그2026가상일부
(주말)
(휴일)
(평일)국회Live

뉴스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문화방송의 뉴스 프로그램입니다.
방송 시간제목수화광고비고
평일 06:00MBC 뉴스투데이가상Live
1부 25분 2부 85분Live
토 07:00Live
평일 09:30930 MBC 뉴스자,가상Live
평일 12:0012 MBC 뉴스자,가상Live
평일 13:55MBC 2시 뉴스외전가상Live
평일 16:55MBC 5시 뉴스와 경제자,가상Live
평일 19:40MBC 뉴스데스크자,가상Live
(주말, 휴일 적용)Live
(평일)Live
주말 19:55Live
중간광고 30초 포함Live
월 ~ 목 20:50MBC 스포츠뉴스자,가상Live
금 20:40Live
토 20:25Live
일 20:20Live
화, 목 00:30MBC 뉴스 25가상Live
수 00:50Live
목 00:15Live
목 23:45Live
토 01:00Live
주말 11:55MBC 뉴스 (주말)자,가상Live
일 07:00Live
무작위MBC 뉴스특보자,가상Live

본사 및 지역 단위 계열사

[편집]

수도권

[편집]
  • 본사 MBC TV

강원권

[편집]

충청권

[편집]

호남권

[편집]

대구·경북권

[편집]

부산·울산·경남권

[편집]

제주권

[편집]

방영 시간

[편집]

하루 24시간 내내 방송하지 않고, 심야 시간대(주로 새벽)에 방송을 중단(정파)한다. 이 시간대에는 프로그램을 편성하지 않으며 송출이 중단되어 시청자는 방송을 시청할 수 없다. 통상적인 방송 시간은 새벽 5시부터 다음날 새벽 1시 내지 2시까지이다.

요일 및 시간 분01020304050607080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비고
● 방송, ○ 정파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1993년 말까지는 세로 쓰기가 시행되었으나,1993년 가을 개편을 기점으로 가로 쓰기가 시범 도입되었으며,1994년 이후 가로 쓰기가 정식으로 채택되었다.
  2. 2022년10월 이후광주문화방송은 자사 상단 오른쪽 표기에서 기존의 'MBC' 대신 흰색 바탕에한글문화방송이라 표기하고 있다.
  3. 일본식 TV 화면과 유사한 형태로 구성되었음.
  4. 개국부터1981년까지 한국방송윤리위원회와1982년부터2008년 2월까지 방송위원회와2008년대한민국 정부 개편에 따라이명박 정부 출범하여방송통신심의위원회으로 바뀌었다.
  5. 뉴스프로그램을 방영할 때도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내보내게 되었다.
  6. TV 개국을 앞두고 채널 11번으로 정식 등록하였다.
  7. 아직 정식 개국은 하지 않았지만, 시험방송 기간 중인아폴로 11호 달 착륙 중계 방송됨.
  8. MBC 뉴스데스크 방송시간이 22:00로 정했다.
  9. MBC 뉴스데스크 시간이 22:00에서 21:00로 변경이 되었다. 1시간으로 줄여서 내려졌다.
  10. 언론통폐합으로 인해서MBC TV와 함께KBS에 흡수되어KBS TV의 채널명을KBS 1TV로 변경 및TBC TVKBS 2TV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1. 오후 방송시간이 17:30부터 00:00까지 6시간 30분으로 심야방송을 정했다.
  12. 흑백시대에서 컬러시대로 들어왔다.
  13. MBC TV도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내보다가KBS 1TV의 채널과KBS 2TV의 채널은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1981년3월 7일로 결정이 되었다.
  14. MBC TV의 채널은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1969년8월 8일부터 12년동안1981년3월 6일까지 송출했고,KBS 1TV의 채널 및KBS 2TV의 채널과 같이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개시했다.KBS 2TV의 채널은 광고편성을 평일에 4블록 20분 및 주말과 공휴일에 5블록 25분까지 정했다.
  15. 1982년 1월 5일부터KBS TV의 광고시간을 변경하려고KBS TV의 채널에 1TV는 광고시간을 150분에서 90분으로 줄이고 2TV의 채널은 광고시간을 185분에서 474분으로 늘려서 편성했지만 MBC TV도 광고업무를 했다.
  16. 현재까지 중계하고 있으나,2001년부터2004년까지 제외되었음.
  17.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가 첫방송을 시작했고, 첫 진행자는 배우이덕화가 진행을 맡았다.
  18. 주말과 공휴일에 낮방송과 심야방송을 개시했고 평일만 오전방송을 4시간(6:00~10:00)과 오후방송을 6시간30분(17:30~00:00)을 정했다.
  19. 사랑과 야망이 마지막으로 96회를 끝으로 종영이 되었다.
  20. 서울 올림픽 방송 시간을 오전 10:00부터 시작이 되었다.
  21. 1991년 11월 30일에 시험방송을 시작 및 끝낸 후SBS TV를 개국과 함께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시작했다.
  22. 임정환기자는 공보처에 있는 오인환장관까지한국방송공사의 수신료를 전기료에 병과 및 징수를 한다고 발표가 나왔고 텔레비전 수신료를KBS 1TV의 채널의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 폐지 결정을1994년10월 1일로 정하면서 수신료를 현재와 같이 2,500원으로 동결하겠다고 했다. KBS가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폐지하는 대신에 수신료를 전기요금에 합산을 시켜서 징수율이 53%에서 90%로 높아져 600억원이 수입이 투입 및 증가 효과를 주게 된다고 오장관이 밝혔다. 수신료징수방법을 고친것이 공영방송을 위해서라고 오인환장관이 말했다. KBS는 명실상부한 공영방송으로 거듭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면서 지난 날 불공정 및 행태는 문민정부에서는 존재하지 않겠다고 했다. 오장관은 KBS가 정상적으로 운영이 된다면 일본의 NHK와 영국의 BBC방송이 수신료로 운영이 되어있다고 방송실태 설명 및 이에 앞서 정부와 민주당도 공보당정회의를 갖고 KBS 광고 폐지와 함께 242만가구에 대해서 수신료를 면제하겠다고 했다.
  23. 정부방침에 따른 TV수신료징수제도 개선으로KBS 1TV는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전면 폐지하고 공영방송의 재정적 기반을 마련과 전기요금에 TV수신료와 함께 청구하게 되었다. TV수신료는 1대에 2,500원으로 정해서 수신료를 계속 면제하기로 했다.
  24. KBS 1TV의 채널은 TV수신료(시청료)를 전기요금에 함께 병과를 해서 받게 되었다.KBS 1TV의 채널에서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 폐지로 인해서 수신료면제가구 242만가구(저소득층:136만가구, 난시청지역 106만가구)를 늘려서 수신료(시청료) 2,500원으로 동결 및 KBS재원구조는 수신료대 광고는 30:70에서 50:50으로 바뀌다가 TV수신료(시청료)를 계속 징수에 따른KBS 2TV의 채널과SBS TVMBC TV와 함께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시간 및 편성을 확대했다.KBS 1TV의 채널은 공익광고방송만 그대로 나가게 되었다.
  25. 오후 방송 시작시간이 17:30분에서 17:00로 변경이 되었다.
  26. 오전방송시간이 6:00 ~ 10:00에서 6:00 ~ 12:00로 변경이 되었다.
  27.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가 12년만에 봄개편에 따라 종영 및 폐지되었다.
  28. 오후 16시부터 방송을 시작했다.
  29. IMF불황으로 인해서 오전 방송종료시간이 오전 11시로 정한후 오후 방송시작시간이 오후 17시로 바뀌게 되었다.
  30. 오전방송시간을 6시부터 낮 12시까지로 정했고, 오후방송시간도 오후 16시부터 새벽 1시까지로 변경이 되었다.
  31. 99 개편에 따라경찰청 사람들1993년5월 26일부터1999년1월 12일까지 6년동안 방송을 한 후 폐지가 되었다.
  32. MBC 뉴스데스크 시간이 5분으로 줄여 편성을 했다.
  33. 피자의 아침이 종 영된 후아침뉴스가 다시 재신설이 되었다.
  34. 2002년 봄개변에 따라MBC 뉴스 24로 바뀌고 신설되었다.
  35. MBC 아침뉴스MBC 뉴스투데이로 변경되었다.
  36. 전원일기를 1088회를 끝으로 마지막방송을 하고 종영되었다.
  37. 음악팸프가 종영되었고 쇼 음악중심이 신설 되었다.
  38. MBC베스트극장이 16년만에 종영되었지만 1991년에 첫방송을 시작했고, 2007년에 폐지되었다.
  39. 주말의 명화1969년8월 9일부터2010년10월 29일까지 방영 및 41년만에 폐지되었다.
  40. MBC 뉴스데스크 시간이 1시간으로 내려서 방송을 하게 되었다.
  41. 매일 밤 혹은 매일 새벽 5시까지는 계획 정파가 실시된다.
  42. MBC, 서해 최북단에 지상파 중계소 설치, 《iMBC》2014년7월 24일
  43. 무한도전이 12년만에 종영 및 폐지되었다.
  44. 나눔로또가 동행복권으로 바뀌었다.
  45. 섹션TV연예통신이 마지막으로 폐지가 되었다.
  46. MBC 주말 특별 기획 드라마가 2005년부터 2020년까지만 방영한 후 15년만에 폐지되었다.
  47. MBC 뉴스데스크 평일 방송시간이 19:50에서 19:40분으로 10분에 내려 방송하게 되었다.
  48. '잠시 후 계속됩니다'라는 맨트가 나오기 시작을 했다.
  49. MBC 수목 드라마1983년부터 시작한 후에 39년만에 폐지되었다.
  50. 안싸우면 다행이야 종영 이후로 1년만에푹 쉬면 다행이야가 방영되었다.
  51. 8년만에 재개.
  52. 신비한 TV 서프라이즈는 2002년부터 2025년까지 방영되었다.
  53. 마지막 주
  54. 마지막 주에 방영
  55. MBC 연기대상 방영 후

외부 링크

[편집]
텔레비전
라디오
문화방송 네트워크국
수도권
강원권
대전·세종·충남권
충북권
부산권
울산권
대구·경북권
경남권
광주·전남권
전북권
제주권
지상파DMB 네트워크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전라권
경북권
경남권
제주권
유료방송
자회사
관련 문서
폐국 및 이전 계열사
드라마
예능
교양
뉴스
스포츠
어린이
영화

† 현재 잠정 중단된 프로그램
¹ 유동적으로 편성되는 프로그램
² 연중 1회 방송되는 프로그램
³ 법정 선거일

현재 앵커
평일
주말
과거 앵커
평일 - 남성
평일 - 여성
주말 - 남성
주말 - 여성
현재MBC 스포츠뉴스 앵커
평일
주말
과거MBC 스포츠뉴스 앵커
평일
주말
현재 기상 캐스터
평일
주말
과거 기상 캐스터
지역MBC
원주MBC TV
춘천MBC TV
MBC 강원영동 TV
광주MBC TV
목포MBC TV
여수MBC TV
전주MBC TV
대전MBC TV
MBC 충북 TV
대구MBC TV
안동MBC TV
포항MBC TV
제주MBC TV
부산MBC TV
MBC 경남 TV
울산MBC TV
기타
지상파
전국
수도권
전북권
충북권
대전·세종·충남권
광주·전남권
대구·경북권
제주권
울산권
부산권
경남권
강원권
종합편성
뉴스
경제
스포츠·여가
드라마
예능
음악
영화
교양
생활·패션·건강
게임
교육·어린이·육아
애니메이션
국제
쇼핑
공공
종교
UHD
지역 SO 채널
굵은 글씨 : 대한민국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제 40조 제 1항에서 지정한 재난방송 의무송출 방송사.
전국
U-KBS
수도권
MBC DMB
SBS U
YTN DMB
강원권
MY MBC
  • MY MBC
  • DMB Drive
G1방송 DMB
대전 · 충청권
MY MBC
  • my MBC11
  • DMB Drive
TJB u
부산 · 울산
· 경남권
Busan MBC(MY MBC)
  • myMBC TV
  • DMB Drive
KNN DMB
대구 · 경북권
myMBC
  • myMBC
  • DMB Drive
TBC DMB
광주 · 전남
· 전북권
Honam MBC(MY MBC)
  • myMBC TV
  • DMB Drive
kbc
제주권
Jeju MBC(MY MBC)
  • my MBC
  • DMB Drive
JIBS
송신 중단·폐국
U1 DMB(U1미디어)
1to1 DMB(1 to 1)
  • 1 to 1 TV(DMB TV)
  • Biz i4 U(DMB TV)
  • Live4U(DMB TV)
  • CBS V-Radio(DMB Radio)
UBS DMB(UBS)
  • UBS(DMB TV)
  • CBS V-Radio(DMB Radio)
QBS DMB(QBS)
  • QBS(DMB TV)
  • QBS+(DMB TV)
  • MBC NET(DMB TV)
  • #love tbs(DMB TV)
  • tvN(DMB TV)
  • tvN go(DMB TV)
  • CJ O SHOPPING(DMB TV)
  • HD CJ O SHOPPING(DMB TV)
  • GS SHOP(DMB TV)
  • HD GS SHOP(DMB TV)
  • CJ ONSTYLE(DMB TV)
  • HD CJ ONSTYLE
  • QBS JTBC(DMB TV)
  • HD QBS JTBC(DMB TV)
  • QBS YonhapTV(DMB TV)
  • HD QBS YonhapTV(DMB TV)
MBC DMB(MY MBC)
MBC DMB(MY MBC (강원권))
  • MBC FM (강원)(DMB Radio)
  • QBS(DMB TV)
  • QBS+(DMB TV)
  • CJ O SHOPPING(DMB TV)
  • GS SHOP(DMB TV)
  • CJ ONSTYLE(DMB TV)
MBC DMB(MY MBC (충청권))
  • MBC11 FM (충청)(DMB Radio)
  • QBS(DMB TV)
  • QBS+(DMB TV)
  • CJ O SHOPPING(DMB TV)
  • GS SHOP(DMB TV)
  • CJ ONSTYLE(DMB TV)
MBC DMB(MY MBC (영남권))
  • myMBC Radio (부산울산경남)(DMB Radio)
  • QBS(DMB TV)
  • QBS+(DMB TV)
  • CJ O SHOPPING(DMB TV)
  • GS SHOP(DMB TV)
  • CJ ONSTYLE(DMB TV)
MBC DMB(myMBC (경북권))
  • MBC FM (대구경북)(DMB Radio)
  • QBS(DMB TV)
  • QBS+(DMB TV)
  • CJ O SHOPPING(DMB TV)
  • GS SHOP(DMB TV)
  • CJ ONSTYLE(DMB TV)
MBC DMB(MY MBC (호남권))
  • myMBC Radio (호남)(DMB Radio)
  • QBS(DMB TV)
  • QBS+(DMB TV)
  • CJ O SHOPPING(DMB TV)
  • GS SHOP(DMB TV)
  • CJ ONSTYLE(DMB TV)
MBC DMB(MY MBC (제주권))
  • MBC SFM (제주)(DMB Radio)
  • QBS(DMB TV)
  • QBS+(DMB TV)
  • CJ O SHOPPING(DMB TV)
  • GS SHOP(DMB TV)
  • CJ ONSTYLE(DMB TV)
SBS DMB(SBS U)
  • HYUNDAI Home(DMB TV)
  • KDMB(DMB Radio)
  • tbs V-Radio(DMB Radio)
  • tbs world(DMB Radio)
  • MBN V-Radio(DMB Radio)
  • Arirang Radio(DMB Radio)
YTN DMB(YTN DMB)
  • Satio Top Music(DMB Radio)
  • TBN(DMB Radio)
  • WOW-TV(DMB TV)
대한민국의 지상파 방송사
수도권의 지상파 방송사
TV방송국
AM라디오 방송국
FM라디오 방송국
종합/종교 라디오
지역/기타 라디오
공동체 라디오 방송국
지상파DMB
YTN DMB
TV
TPEG
MBC DMB
TV
V-Radio
TPEG
DMB Drive
U-KBS
TV
V-Radio
TPEG
SBS U
TV
V-Radio
송신 중단 · 폐국
1.2021년7월 19일부터 UHDTV 다채널 시범방송 중이다.

2. AM·FM 동시방송이다. 극동방송의 경우 오전 5시부터 오후 7시까지만 동시 방송된다. 오후 7시부터 익일 오전 5시까지 AM라디오는 외국어방송과미국의 소리 한국어 방송,자유아시아방송을 송출하며 FM으로는 찬양 선교방송을 한다.

3.2012년5월 1일부터 아날로그 송신이 중단되었다.
강원권의 지상파 방송사
TV방송국
영서 중부, 북부
영서 남부
영동
라디오방송국
영서 중부, 북부
영서 남부
영동
지상파DMB
MY MBC
TV
  • MY MBC
TPEG
  • DMB Drive
U-KBS
TV
V-Radio
TPEG
Data
  • KBS CLOVER
G1방송 DMB
TV
TPEG
KBS 1TV·KBS 2TV(KBS1.2.3 라디오 포함) 및 EBS 1TV·EBS 2TV·EBS FM(EBS1.2 라디오 포함)은 전국방송이다. · 강원특별자치도는 단일케이블사 지역이며 강원특별자치도의 지역민방은G1방송이다.
충청권의 지상파 방송사
TV방송국
대전·세종·충남
충북 중·남부, 세종
충북 북부
라디오방송국
대전·세종·충남
충북 중·남부, 세종
충북 북부
지상파DMB
MY MBC
TV
TPEG
  • DMB Drive
U-KBS
TV
V-Radio
TPEG
TJB u
TV
TPEG
충북권의 지상파 방송사
TV방송국
충북 중·남부, 세종
충북 북부
라디오방송국
충북 중·남부, 세종
충북 북부
지상파DMB
MY MBC
TV
Data
  • MY MBC DATA
TPEG
  • DMB Drive
U-KBS
TV
V-Radio
TPEG
Data
  • KBS CLOVER
TJB u
TV
TPEG
호남권의 지상파 방송사
TV방송국
전북
광주·전남 중·북부
전남 서남부
전남 동부
라디오방송국
전북
광주·전남 중·북부
전남 서남부
전남 동부
지상파DMB
Honam MBC
TV
  • myMBC TV
TPEG
  • DMB Drive
U-KBS
TV
V-Radio
TPEG
kbc (DMB)
TV
TPEG
전남권의 지상파 방송사
TV방송국
광주·전남 중·북부
전남 서남부
전남 동부
라디오방송국
광주·전남 중·북부
전남 서남부
전남 동부
지상파DMB
Honam MBC
TV
  • myMBC TV
TPEG
  • DMB Drive
U-KBS
TV
V-Radio
TPEG
kbc (DMB)
TV
TPEG
영남권의 지상파 방송사
TV방송국
대구·경북 남부
경북 북부
경북 동해안
부산지역
울산지역
경남동부
경남서부
라디오방송국
대구·경북 남부
경북 북부
경북 동해안
부산지역
울산지역
경남동부
경남서부
지상파DMB
myMBC
TV
TPEG
DMB Drive
Busan MBC
TV
TPEG
DMB Drive
U-KBS
TV
V-Radio
TPEG
Data
  • KBS CLOVER
TBC DMB
TV
TPEG
KNN DMB
TV
TPEG
경북권의 지상파 방송사
TV방송국
대구·경북 남부
경북 북부
경북 동해안
라디오방송국
대구·경북 남부
경북 북부
경북 동해안
지상파DMB
myMBC
TV
TPEG
DMB Drive
U-KBS
TV
V-Radio
TPEG
Data
  • KBS CLOVER
TBC DMB
TV
TPEG
경남권의 지상파 방송사
TV방송국
부산지역
울산지역
경남동부
경남서부
라디오방송국
부산지역
울산지역
경남동부
경남서부
지상파DMB
Busan MBC
TV
TPEG
DMB Drive
U-KBS
TV
V-Radio
TPEG
Data
  • KBS CLOVER
KNN DMB
TV
TPEG
제주권의 지상파 방송사
TV방송국
라디오방송국
지상파DMB
Jeju MBC
TV
TPEG
  • DMB Drive
U-KBS
TV
V-Radio
TPEG
Data
  • KBS CLOVER
JIBS (DMB)
TV
TPEG
1.2022년2월 11일부터 UHDTV 다채널 시범방송 중이다.
2. AM·FM 동시방송이다. 제주극동방송의 경우 오전 3시부터 오후 7시까지만 동시 방송된다. 오후 7시부터 익일 오전 3시까지 AM라디오는자유아시아방송과 외국어방송,미국의 소리 한국어 방송을 송출하며 FM으로는 찬양 선교방송을 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MBC_TV&oldid=40914583"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