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KBS 2TV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BS2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KBS2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KBS 2TV
KBS2, KBS 제2텔레비전,
U-KBS HEART
로고(2018년 9월 3일 ~ 현재)
종류지상파
국가대한민국
방송 지역대한민국 전 지역
방송국한국방송공사
본사서울특별시영등포구 여의공원로 13(여의동)
프로그래밍
언어한국어
소유주
소유주한국방송공사
모기업한국방송공사
자매 채널KBS 1TV
역사
설립1980년 12월 1일
개국1964년 12월 7일 (1964-12-07)TBC TV
1980년 12월 1일 (1980-12-01) KBS 2TV
이전명TBC TV (1964년 12월 7일 ~ 1980년 11월 30일)
링크
웹사이트www.kbs.co.kr
유효성
지역
디지털본사 17, 가상 7-1
IPTVKT지니 TV, SKB tv, LGU+ TV: 7
위성KT스카이라이프: 7
UHD본사 56, 가상 7-1
슬로건
행복충전채널, 내일을 여는 빛
모두의 지구 (2023년 3월 1일 ~ 현재)

KBS 2TV(KBS 제2텔레비전, 한국방송 2, K-2TV[1], U-KBS HEART)는대한민국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사인KBS가 운영하는 공중파텔레비전 방송채널이다.

특징

[편집]
  • 드라마 및 예능[2][3] 프로그램 등을 중점적으로 편성하는 지상파 채널이다. 젊고 가족적인 분위기의 채널을 지향하는 편으로 보다 유익하고, 기분좋고 흥미진진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으며,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송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고정 채널번호는 7번이다.
  • KBS 1TV의 지역총국을 비롯한,MBC TV의 지역 단위 네트워크 계열사,SBS TV와 제휴한 9개 지역 민방 네트워크와는 달리, 지역국 자체 제작 프로그램 편성이 전혀 없으며,EBS 12TV와 함께 전국적으로 일제히 송출되는 방송이다. (한때 누가누가 잘하나는 월 1회 지역방송을 한 적이 있다.)
  • 2TV는 선거방송, 주말 및 공휴일과 명절 연휴뉴스 및 날씨는 제공되지 않는다.[4]
  • 1980년부터1993년까지 신년전야 특별 생방송을 하지 않았다가, 한동안1994년가는해 오는해의 방송됐고,1995년부터 《KBS 연기대상》에서새해 카운트다운을 보냈다.
  • 1981년3월 7일부터KBS 1TV의 채널과 동반으로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개시 및 재개했고, 2TV의 채널에 광고시간을 평일 4블록에 20분과 주말과 공휴일은 5블록에 25분을 정했다.[5]
  • 1981년에 광고가 잘 팔리지 않아서1982년1월 5일KBS TV의 광고시간을 변경하기 위해1982년1월 25일부터 1TV의 채널은 광고시간을 150분에서 90분으로 줄여서 편성했고,2TV의 채널은 광고시간을 185분에서 474분으로 늘려서 편성했다.[6]
  • 1TV의 채널은1982년1월 25일에 광고시간을 150분에서 90분으로 줄여서 편성했고, 3년동안1985년4월 30일까지 광고편성을 했다.1985년5월 1일에 시청료거부운동을 했으나 밤 시간대의 2시간 30분(20:00~22:30)의 광고 1블록당 10편에 8개를 줄여 편성했다. 1TV의 채널도1986년7월 1일에 평일 저녁 블록광고(5분의 광고)를 폐지했고, 오전 및 저녁 시간대의 5분의 광고를 뉴스프로그램에 보내서 방영하기도 했다.1986년7월 1일부터1990년3월 1일까지 4년동안 광고를 5분으로 줄여서 하기도 했다.[7]
  • 1988년9월 17일에 서울올림픽개회식이 오전 10시에 방영되었다. 1TV의 채널은 광고 24개를 때려갔고, 2TV의 채널은 광고 37개를 때려갔다.[8]
  • 1990년3월 2일부터KBS 1TV의 채널은 오전 시간대에 평일 블록광고를 폐지하고 주말과 공휴일 및 스포츠 및 실황중계프로그램과 영화프로그램에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편성했는데KBS 2TV의 채널만 평일 및 주말까지 광고수입을 보충 및 오전과 오후까지 편성했다.[9]
  • KBS 1TV의 채널은1994년9월 30일에 마지막으로 송출했고,KBS 2TV의 채널도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실시했다.1994년10월 1일부터KBS 1TV의 채널은 수신료징수제도개선으로 인해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폐지에 따른KBS 2TV의 채널은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시간 및 편성하게 되었다.[10]
  • 1981년12월 30일KBS 가요대축제1987년12월 30일KBS 연예대상KBS 연기대상1987년12월 31일에 첫방송을KBS 1TV의 채널에서 방송을 했고,1989년12월 31일에는 2TV의 채널에서 방영을 했다.1990년부터1993년까지는 3년동안KBS 가요대축제KBS 연예대상KBS 연기대상KBS 1TV의 채널에서 방영을 했지만1994년10월 1일KBS 1TV의 채널에서 수신료 징수제도 개선을 계기로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폐지로 인해KBS 가요대축제KBS 연예대상1994년12월 24일1994년12월 30일로 각각 정했고,KBS 연기대상1994년12월 31일부터는KBS 1TV의 채널에서KBS 2TV의 채널로 옮겨 방송을 하게 되었다.[11]
  • 뉴스 프로그램(2TV) 앵커자(2명) 기자.아나운서의 남성과 여성의 앵커가 휴가,출장,파업으로 인하여 다른 기자.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할 수 있다.
  • KBS의 프로그램(2TV) 진행자 각 1~2명의 아나운서의 남성과 여성의 앵커가 휴가,출장,파업으로 인하여 다른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할 수 있다.
  • 뉴스 프로그램(2TV)의 장소는 KBS 2TV 제2 스튜디오로 진행한다.
  • 뉴스 프로그램(2TV)의 장소의수화방송은 KBS 2TV 제2 스튜디오(1990년대 ~ 2004년까지)가 아닌 별도 장소(2005년 ~ 이후 현재)
  • 뉴스 프로그램(2TV)의수화방송은 '한국 수어 통역 방송' 및 (2TV)의 수화 방송되는 해당 프로그램 참조는 '수화 통역 방송'으로 표기된다.
  • 편성표 (2TV)는 2018년 8월 5일 홈페이지 개편 이후 최근 1개월 조회만 가능하다.
  • 편성표 (2TV)는 2020년 9월 12일 자정 12시 이후 매주 1주일 마다 편성표를 게시하여 게재하고 있다.
  • 해당 TV 프로그램 (2TV)는 2018년 8월 5일 홈페이지 개편 이후 해당 프로그램이 종영되면 해당 프로그램의 시청자참여 게시판은 이용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 해당 TV 프로그램 (1TV)는 2018년 8월 5일 홈페이지 개편 이후 해당 프로그램이 과거 2016년 이전의 다시보기는 불가능하게 되어 다시보기는 과거에 없어졌다(검색해본 결과 "찾으시는 다시보기 영상이 없습니다." 나옴)

개별 디자인

[편집]

기본

[편집]
  • 방송 시작 시 제공되는 자막 표시는 광고주만을 나열하는 것이 특징이다.1993년4월까지는 세로 쓰기 방식이었으나,1993년5월부터 가로 쓰기 방식이 정식으로 도입되었다.
  • 시청등급 화면은2001년부터 도입되었다.
  • 2020년 ~ 현재 한글날을 맞아, 매년 한국방송 2TV로 표기하였다.

시각 표시

[편집]
  • 아침 시간대에 사용되는 시각 표시는1981년에 처음 도입되었으며,[12]1991년7월부터는 날짜 및 요일 정보가 추가되었고,1992년4월까지 약 9개월간은 "月, 火, 水, 木, 金, 土, 日" 등 한자 표기가 사용되었다.[13]1992년4월부터는 요일 표기가 전면적으로한글로 변경되어 "월, 화, 수, 목, 금, 토, 일"의 표기가 도입되었으며, 이는 현재까지도 유지되고 있다.[14]
  • 본방송 시작 전까지 10초간광고가 나오는 대로, 현재 시각을 알려준다.

연혁

[편집]

태동기

[편집]

구축기

[편집]

변혁기

[편집]

밀레니엄기

[편집]

디지털 시대

[편집]

UHD 시대

[편집]

로고

[편집]
2018년9월 3일 ~현재

로고송

[편집]
현재
  • 2021년8월 16일 ~ : 5가지 로고송으로 변경된다. 2007년 이후 약 14년 만에 로고송 제작과 예능, 교양, 드라마, 보도, 시사, 음악 ID로 사용된다.
  • 2024년10월 ~ : 항상 함께 국민의 방송 내 곁에 밝은 내일 밝은 세상을 원해 언제나 정다운 마음과 진심을 전해 KBS 한국방송
종료
ID

DMB

[편집]

2005년12월 1일부터DMB 방송국U-KBS가 개국하였다.

방송 문구 변천사

[편집]
현재
  • 방송편성기준
  • KBS는 방송미디어통신심의위원회의 심의규정을 준수합니다. (1981년 ~ 현재.)
  • 다시보기기준
  • 이 프로그램은 wavve로 다시보실 수 있습니다.(2021년 ~현재.)
  • 이 프로그램은 KBS+ (구) My k KBS1.2TV KBSN 5개 채널 시청 (스포츠 저작권 있다) 시청 없다 앱설치로 다시보실 수 있습니다. (2023년 ~현재.)
  • 이 프로그램은KBS 키즈로 다시보실 수 있습니다. (2016년 ~ 현재.)
  • 이 프로그램은 간접가상 및 중간광고 포함하고 있습니다. (2021년 7월 1일 ~ 현재.)
종료
  • 이 프로그램은 《아동청소년 방송가이드라인, 아동청소년 성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등 아동청소년 방송인들을 존중하며 제작하였습니다.
  • 이 프로그램은 가상광고 및 간접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드라마, 예능 전용) 6월 30일 종료.
  • 이 프로그램은 가상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1999년 ~ 2007년 6월 24일).

프로그램

[편집]
 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드라마

[편집]
방송 시간제목광고등급비고
평일 19:50 ~ 20:30일일 드라마 (친밀한 리플리)가상15욕망의 전쟁 3월 9일 방송예정
주말, 휴일 토, 일 20:00 ~ 21:20주말 드라마 (화려한 날들)중간 2편사랑을 처방해 드립니다 1월 31일 방영예정
주말, 휴일 토, 일 21:20 ~ 22:35토일 드라마 (마지막 썸머)은애하는 도적님아 1월 3일 방영예정
휴일 일 22:50 ~ 00:10러브 : 트랙중간 90초1912월 14일 방영예정
평일 수 21:50 ~ 23:10
매년 12월 31일[53]KBS 연기대상15Live

음악

[편집]
방송 시간제목광고등급비고
평일 금 17:05 ~ 18:35뮤직뱅크15Live
평일 금 22:00 ~ 23:40더 시즌즈중간
주말 토 18:05 ~ 20:00불후의 명곡중간
매년 12월[54]KBS 가요대축제Live

예능

[편집]
방송 시간제목광고등급비고
평일 월 21:50 ~ 23:10누난 내게 여자야중간전체 시청가
평일 화 20:30 ~ 21:45셀럽병사의 비밀중간
평일 화 23:10 ~ 00:20스튜디오 K중간
평일 수 17:30 ~ 18:00꿀잼 영화가 좋다(재)
평일 수 20:30 ~ 21:50슈퍼맨이 돌아왔다중간12
평일 수 21:50 ~ 23:10배달왔수다중간전체 시청가
평일 수 23:10 ~ 00:20미정15
평일 목 17:30 ~ 18:00놓친 예능 따라잡기
평일 목 20:30 ~ 21:50옥탑방의 문제아들중간
평일 목 21:50 ~ 23:10개는 훌륭하다중간
평일 목 23:10 ~ 00:20미정
평일 금 20:30 ~ 22:00신상출시 편스토랑중간
평일 금 23:40 ~ 00:50미정
주말 토 10:10 ~ 11:20영화가 좋다중간15
주말 토 22:45 ~ 00:05살림하는 남자들중간
휴일 일 16:40 ~ 18:10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중간
휴일 일 18:10 ~ 20:001박 2일중간
휴일 일 22:35 ~ 00:05개그콘서트중간
매년 12월 30일[55]KBS 연예대상중간

교양

[편집]
방송 시간제목광고등급비고
평일 수 ~ 금 07:30 ~ 08:50굿모닝 대한민국중간전체 시청가Live
평일 18:35 ~ 19:502TV 생생정보
평일 월 20:30 ~ 21:50박원숙의 같이 삽시다전체 시청가
평일 화 21:45 ~ 22:45스모킹 건
휴일 일 06:55 ~ 07:25영상앨범 산전체 시청가

다큐

[편집]
방송 시간제목제작광고비고
평일 월 16:30 ~ 17:20세상의 모든 다큐제작 KBS미디어가상

어린이

[편집]
방송 시간제목등급광고비고
평일 월 ~ 목 07:00 ~ 07:30TV유치원전체 시청가
평일 목 16:30 ~ 17:30누가누가 잘하나
평일 금 07:00 ~ 07:30어린이 동물티비

애니

[편집]
방송 시간제목등급비고
평일 화 17:00 ~ 17:15라이즈맨 2전체 시청가
평일 화 17:15 ~ 17:30그라운드 크루 토토전체 시청가
평일 수 17:00 ~ 17:15WHY?
평일 수 17:15 ~ 17:30강치 아일랜드전체 시청가

스포츠

[편집]
방송 시간제목광고등급비고
평일 월 23:15 ~ 23:40아이 러브 스포츠가상전체 시청가(25분)
평일 화 22:45 ~ 23:10온에어 불가
평일 수, 목 23:05 ~ 23:30
평일 주말 휴일 14:00 17:00 18:30KBO 리그Live
평일 주말 휴일MLB 리그일부 중계
평일 주말 휴일 14:00배구농구경기
평일탁구, 양궁
평일 주말 휴일K리그
평일 주말 휴일경주, 전국체육대회

뉴스

[편집]
 한국방송공사의 뉴스 프로그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방송 시간제목수화광고비고
평일 10:10 ~ 10:30KBS 아침뉴스타임자, 수가상
평일 15:00 ~ 15:15KBS 3시 뉴스타임
평일 월 ~ 목 15:15 ~ 15:45KBS 월드 24
평일 월 ~ 목 18:00 ~ 18:35경제콘서트
휴일 일 06:45 ~ 06:55KBS 재난방송센터

방송 사고

[편집]
  • 2006년10월 14일 - 밤 11시 7분 경 《위기탈출 넘버원》 방송이 나가던 도중, 갑자기 화면이 녹색으로 바뀌며 방송 송출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 잠시 후 자막 고지를 통해서 '방송사 사정으로 방송이 잠시 중지되고 있습니다. 시청자 여러분의 양해 바랍니다.'라고 고지했다. 프로그램 제작국인 서울 여의도 KBS 본사를 비롯한, 전국 각 지역에 있는 KBS 지역총국에선,자연경관과 함께 '서울 KBS 본사 측의 사정으로 방송이 잠시 중지되고 있습니다. 시청자 여러분의 양해 바랍니다.'라고 자막 고지를 송출했다. 《연주소 정파시 송신소 송출용》이라는 제목의 자료화면과 함께 같은 자막이 고정 방송되었다.
    • 밤 11시 17분 경에 화면은 복구돼 예정된 광고는 전파를 탔으나, 여전히 오디오는 작동하지 않는 상태가 한동안 지속되었다. 이 화면이 10여 분간 계속되다가 밤 11시 26분 경에 방송 예정이던 《드라마시티》 - 〈그녀가 웃잖아〉는 방송을 시작했으나 화면과 음향이 맞지 않는 등 여전히 음향 상태는 고르지 못한 채, 화면 비율이 불균형하게 일그러져 있었다. 이 상태 역시 몇 분간 지속되다가 밤 11시 29분경에 방송이 정상화되었다.[56]
    • 그리고10월 21일 《위기탈출 넘버원》 방송분에서10월 14일에 방송되지 못한 부분이 방송되었다. 사고의 발단은 영상과 음향을 별개로 분리하는 디먹스(Demux)의 고장이었으며, 10년 이상 사용된 노후된 시스템이었다. KBS 기술팀 측에선, "해당 장비는 지난 96년에 개국한 KBS의 위성 TV 채널 송출용으로 쓰던 것으로 10년 정도 됐으며, 이 장비를 재활용 차원에서 KBS 2의 송출용으로 쓰고 있었다"고 해명했다.
    • KBS 편성본부의 송성근 팀장의 인터뷰에서, "KBS 2 주조정실은 100% 디지털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있는데, 아날로그 방송을 위해선, 영상과 음향을 별개로 분리해 남산 송신소로 보내야 하는데, 디지털 시스템이 워낙 복잡하고, 주조에서 송신소까지 복잡한 신호를 내보내는 과정에서, 디먹스 시스템 이상 여부를 파악한 후에, 예비 장비로 교체해 방송을 정상화시켰다"고 해명하면서, 이 같은 방송 사고는KBS 1TV를 비롯한,MBC TV, 전국 각 지역 9개 민방 네트워크로 송출되는SBS TV와는 전혀 관계가 없으므로, 프로그램 제작국인 서울 여의도 KBS 본사와 연락이 두절되어, 영문을 모르는 KBS 지역총국에선,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었다.
  • 2012년1월 16일 - 오후 3시 경 KBS 2의 재송신이 중지되었다. 방송사인 KBS와 재송신을 맡고 있는 지역 케이블 방송사들의 재송신료 협상에 대한 불협화음 문제로, 결국 지역 케이블 방송사에서 강제로 KBS 2의 모든 방송 재송신이 중단되었다가,1월 17일 저녁 7시에 KBS 2의 재송신이 재개되었다.
  • 2019년11월 24일 - 《개그콘서트》 방송 중 연령고지 BGM이 같이 송출되는 방송사고가 있었다.

방송 시간

[편집]

하루 25시간 내내 방송하지 않고, 심야 잠을 시간대(주로 새벽)에 방송을 중단 오늘밤의(정파)한다. 이 시간대에는 프로그램을 편성하지 자막은 않으며 송출이 중단되어 시청자는 방송을 시청할 수 좋다. 통상적인 방송 시간은 새벽 5시부터 다음날 새벽 1시 내지 2시까지이다.

요일 및 시간 분01020304050607080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비고
25

시간오늘 밤1시간

경남
자막
재방송 , ● 정규방송, ○ 정파,화면조정시간, (오전/오후낮12시), 오늘밤(오전방송시작/방송종료영상)
  • 1980년 12월 1일 ~ 2005년 11월 30일: 저녁·밤방송(평일)
  • 1980년 12월 6일 ~ 1987년 4월 25일: 저녁·밤방송(토요일)
  • 1981년 5월 ~ 2005년 11월 30일: 아침방송(평일)
  • 1981년 5월 ~ 1987년 4월 25일: 아침방송(토요일)
  • 1980년 12월 7일 ~ 현재: 종일방송(일요일·공휴일)
  • 1996년 3월 4일 ~ 2005년 11월 30일: 오후방송(평일)
  • 1973년 12월 8일 ~ 1987년 4월 25일: 오후방송(토요일)
  • 1987년 10월 17일 ~ 현재: 종일방송(토요일.일요일)25시(재방송)
  • 2005년 12월 1일 ~ 현재: 종일방송 25시(평일)

시청률 추이

[편집]
1992년 ~2025년 가구 시청률 (단위 100%)
1992년1993년1994년1995년1996년1997년1998년1999년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25년 12월
10.711.011.411.610.910.410.19.48.58.07.67.57.77.78.06.06.26.56.85.910.9%
2000년 ~2025년 12황금시간대시청률[57] (단위 100%)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6월2019년 8

2025년 12월
11.2610.6811.3812.1412.0412.3410.999.9810.7511.8812.7011.0911.5010.4910.539.3710.089.249.1610.2522.0%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채널은 유사한 성격의 공공 채널인KTV 국민방송과는 전혀 관련이 없음을 명확히 한다.
  2. 1980년대 초중반까지교양(敎養) 분야로 담당하는 채널
  3. 1980년대 초중반부터1990년대 중후반까지종합(綜合) 분야로 담당하는 채널
  4. 1TV의 채널은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송출하지 않으며, 2TV의 채널은 주말 및 공휴일과 명절 연휴만 뉴스를 편성하지 않고 예능 프로그램 및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송출 및 편성하기 때문이다.
  5. 1981년3월 7일부터1982년1월 24일까지 1차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송출했다.
  6. 1TV의 채널 90분, 2TV의 채널 474분
  7. 1985년5월 1일부터1986년6월 30일까지 2시간 30분(20:00 ~ 22:30)의 1블록당 광고 10편에 8개를 편성했다.1986년7월 1일부터1990년3월 1일까지 4년동안 오전 및 오후만 블록광고를 내보내기도 했다.
  8. 1TV의 광고 24개, 2TV의 광고 37개
  9. KBS 1TV의 채널은1994년7월 11일에 방영한 KBS 스포츠 94 월드컵축구 스웨덴:루마니아에서 광고 14개를 때려갔고,KBS 2TV의 채널은1994년7월 21일혼자서도 잘해요의 프로그램에 광고 6개를 때려갔다.
  10. KBS 1TV의 채널은 수신료징수제도개선으로 인해서1994년10월 1일부로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이 폐지되었다. 자막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지만KBS 1TV의 채널은 없는 광고 제품이 있고,KBS 2TV의 채널은 있는 제품 광고가 있기 때문이다. 뉴스프로그램의KBS 2TV는 낮 12시의 정오 시간대의 뉴스를 편성하지 않았고,KBS 1TV의 채널은 광고가 폐지된 이후로 KBS의 TV 광고는KBS 2TV가 전적으로 담당을 하게 되었다.
  11. KBS 1TV의 채널에서 가을개편에 수신료 징수제도 개선을 계기로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이 폐지되었지만KBS 2TV의 채널만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은 시간 및 편성되었다.
  12. 1980년대 중후반까지는 오후, 저녁, 밤 시간대에도 매시 59분경 예고 형태로 나타났다가, 정각(XX:00)에 본 시각이 표시되었으며, 이후 정각 1분경에 사라지는 방식이었다.
  13. 요일은 한자로 표기되었으며, 이는 당시 화면 구성 방침에 따른 조치였다.
  14. 한글 요일 표기는 이후로도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15. KBS 1TV의 채널과KBS 2TV의 채널은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실시 준비는 1981년 3월 7일 토요일로 결정을 했다.
  16. 한국방송공사(KBS)가 1TV 및 2TV와 같이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개시 및 재개했고, 2TV의 채널은 광고편성을 평일 4블록에 20분을 정했고 주말과 공휴일은 5블록에 25분을 정했다. 2TV의 채널은 개국 및 시험방송을 끝내고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새로 시작하게 되었다.
  17. 가요톱10KBS 1TV의 채널에서 방영을 한 후로는KBS 2TV의 채널로 옮겨 방송을 하게 되었다.
  18. KBS TV의 채널은 1TV 및 2TV의 채널은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1년만에 송출했다.
  19. 1981년에 광고가 잘 안팔려서KBS TV의 광고량을 대폭 늘리기로 했고, 지난해1981년12월 28일 방송위원회가 최종결정한 KBS의 82년도 광고방식변경안에 따르면1982년1월 5일로 결정이 되었지만1982년1월 25일부터 1TV의 채널은 광고시간을 현행 주당 150분에서 90분으로 줄이고,2TV의 채널은 광고시간을 스파트 및 프로그램 판매방식으로 전환 및 주당 185분에서 474분으로 늘려서 대폭 증가시켰고, 2차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실시했다.
  20. 평일에 오전 및 오후까지 방송시간을 따로 정한 후 주말만 낮방송을 개시했다.
  21. KBS 주말드라마순심이가 종영을 했고,1988년 하계올림픽 방송을 했기 때문에 KBS 주말드라마은혜의 땅은 취소가 되었다.
  22. 1TV의 채널은 광고 24개와 2TV의 채널은 광고 37개를 때려갔다.
  23. KBS 1TV의 채널은 평일 오전 시간대에 블록광고를 폐지하고 수신료로 운영에 따른KBS 2TV의 채널만 평일과 주말과 공휴일에 오전 및 오후까지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보충했다.
  24. 밤으로 가는 쇼는 화요일 밤 23:05에 방영했다.
  25. 행운의 스튜디오는 92 가을개편에 따라 종영되었다.
  26. 대추나무 사랑걸렸네KBS 2TV의 채널에서 마지막으로 방송을 마친 후 93 봄개편에 따라KBS 1TV의 채널로 이동했다.
  27. 밤으로 가는 쇼가 종영된 이후 93 가을개편에밤과 음악사이를 신설했고 방송시간은 22:55에 방영되었다.
  28. KBS 1TV의 채널에서 광고를 없애도 수신료 수입을 618억원에 증가와 함께 수신료 징수방식의 변경으로 수신료 징수율이 53%에서 90% 수준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다. 수신료 징수액은 2,022억원에서 2,873억원으로 약 42%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고, 수신료 징수비용이 앞으로한국방송공사가 위탁을 받아 징수를 하기 때문에 지난해의 717억원에서 144억원으로 크게 줄어들어 약 570억원의 예산절감효과가 나게 되었다.1994년10월 1일부터 TV수신료가 전기요금에 합산을 해서 징수가 되고KBS 1TV의 채널에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 폐지 결정을 했고,KBS 1TV의 광고수입의 절반이상을 차지해 온 주요 스포츠중계를KBS 2TV의 채널에 옮겨 편성과 스포츠중계는 광고수입의 상당부분을 유지하기로 했고, 경기중계의 방송은KBS 2TV의 채널만 광고업무를 하게 되었다.
  29. 공보처는 10월부터 방송광고시간을 전체방송시간의 8%에서 10%로 늘리기로 했다. 이는 광고량이 2%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25% 증가하는 것을 의미가 되었다.
  30. KBS 1TV의 채널은 마지막으로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송출했고,KBS 2TV의 채널만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실시했다.1994년10월 1일부터 정부방침에 따른 전기요금(한국전력공사)을 TV수신료(한국방송공사)에 청구하려고 TV수신료징수제도 개선으로KBS 1TV의 채널은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전면 폐지하고 공영방송으로서 재정적 기반을 마련 및 수신료 2,500원에 동결과 함께 수신료(시청료)를 계속 면제에 따른KBS 2TV의 채널과MBC TVSBS TV까지 3개만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시간과 편성을 하게 되었다.
  31. 한국방송공사(KBS)의 TV수신료(시청료)가 전기요금(한국전력공사)과 함께 징수되었고, 1TV의 채널은 수신료징수제도개선을 계기로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전면 폐지하고 수신료면제폭을 125만가구에서 242만가구로 확대했다. 1TV의 채널에서 광고가 사라져 광고를 없앤 후에 수신료(시청료)를 계속 징수에 따른 스포츠중계방송의 KBS는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이 가능한 2TV의 채널로 옮겨 편성했다.KBS 2TV의 채널은MBC TVSBS TV랑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시간 및 편성을 확대했다.
  32. 가을 개편에 따라생방송 전국은 지금한바탕 웃음으로는 폐지되었다.
  33. TV프로그램이 시작 후 이어서가 나오다가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이 시작되기도 했다.
  34. 1TV의 채널에서 수신료징수제도 개선을 계기로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전면 폐지한 이후로KBS 연예대상을 1TV의 채널에서 2TV로 옮겨 편성을 했다.
  35. KBS 1TV의 채널에서 전기요금에 수신료를 병과로 인해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이 폐지되었고,KBS 2TV의 채널만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은 편성되었다.
  36. 95 가을개편에 따라 오후 방송시간이 오후 17부터 새벽 1시로 정했다.
  37. 오전 방송종료시간을 오전 06:00 ~ 10:00(4시간)까지 06:00 ~ 12:00(2시간)까지로 바뀌었다.
  38. 3월 개편에 따라밤과 음악사이는 1993년 10월 20일부터 1997년 2월 27일까지 했지만 3월 개편에 따라 폐지가 되었다.
  39. 김갑식 (1997년 4월 22일). “첫사랑 마지막회 65.8% 최고 신기록”. 동아일보. 26면. |확인날짜=|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40. 밤의 이야기쇼는 1997년 5월 22일부터는 수요일에서 목요일로 이동이 되었다.
  41. 오후 방송시간이 16:00 ~ 01:00까지 9시간으로 바뀌었다.
  42. 가요톱10이 폐지가 되었고 뮤직뱅크를 방송하게 되었다.
  43. 1998년 IMF의 불황으로 인해서 오후 방송시간이 오후 16시에서 17시로 변경이 되었다. 다시 오전 방송종료 시간을 오전 11시까지에서 낮 12시까지로 변경을 했다.
  44. 소설 목민심서가 7월 개편에 따라 일일사극에서 수목드라마로 변경이 되었다.
  45. 유현성 (2001년 10월 25일).“디지털TV 방송시대 본격 개막”. 연합뉴스. 2011년 9월 24일에 확인함. 
  46. 도전! 주부가요스타가 1995년부터 2009년까지 14년동안 방송을 하다가 14년만에 종영 및 폐지되었다.
  47. '잠시 후 계속됩니다'라는KBS 2TVMBC TVSBS TV,EBS 1TV만 지상파 4개는중간광고를 허용하였다.
  48. 개는 훌륭하다가 1년만에 종영된 이후로 다시 방송을 하게 되었다.
  49. 텔레비전 화면에대전엑스포의 장면이 떠 있었다.
  50. 방송이 시작할 때는 제품 광고 표시가 되어 있었다.
  51. 일부 지역방송국에서는 2007년 이후에도 이 로고송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52. 드라마 ID로 사용되었다.
  53. 마지막 주
  54. 일자는 매년 다양하다.
  55. 넷째주
  56. 오미정 (2006년 10월 15일).“KBS, 20여분간 비정상 방송 …"원인 파악 중". 노컷뉴스. 2009년 4월 29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57. 그 많던 KBS·MBC 시청자는 어디로 갔을까

외부 링크

[편집]
텔레비전
라디오
DMB
  • U-KBS
    • U-KBS 스타
    • U-KBS 하트
    • U-KBS 뮤직
    • U-KBS 클로버
지역방송국
경기·인천권
강원권
전북권
광주·전남권
충북권
대구·경북권
제주권
울산권
부산권
경남권
대전·세종·충남권
KBS N
자회사
폐국 및 이전 계열사
드라마
예능
교양
뉴스
스포츠
어린이
영화

¹ 유동적으로 편성되는 프로그램
² 연중 1회 방송되는 프로그램
³ 법정 선거일
&KBS NEWS 24와 동시 중계 되는 프로그램

지상파
전국
수도권
전북권
충북권
대전·세종·충남권
광주·전남권
대구·경북권
제주권
울산권
부산권
경남권
강원권
종합편성
뉴스
경제
스포츠·여가
드라마
예능
음악
영화
교양
생활·패션·건강
게임
교육·어린이·육아
애니메이션
국제
쇼핑
공공
종교
UHD
지역 SO 채널
굵은 글씨 : 대한민국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제 40조 제 1항에서 지정한 재난방송 의무송출 방송사.
전국
U-KBS
수도권
MBC DMB
SBS U
YTN DMB
강원권
MY MBC
  • MY MBC
  • DMB Drive
G1방송 DMB
대전 · 충청권
MY MBC
  • my MBC11
  • DMB Drive
TJB u
부산 · 울산
· 경남권
Busan MBC(MY MBC)
  • myMBC TV
  • DMB Drive
KNN DMB
대구 · 경북권
myMBC
  • myMBC
  • DMB Drive
TBC DMB
광주 · 전남
· 전북권
Honam MBC(MY MBC)
  • myMBC TV
  • DMB Drive
kbc
제주권
Jeju MBC(MY MBC)
  • my MBC
  • DMB Drive
JIBS
송신 중단·폐국
U1 DMB(U1미디어)
1to1 DMB(1 to 1)
  • 1 to 1 TV(DMB TV)
  • Biz i4 U(DMB TV)
  • Live4U(DMB TV)
  • CBS V-Radio(DMB Radio)
UBS DMB(UBS)
  • UBS(DMB TV)
  • CBS V-Radio(DMB Radio)
QBS DMB(QBS)
  • QBS(DMB TV)
  • QBS+(DMB TV)
  • MBC NET(DMB TV)
  • #love tbs(DMB TV)
  • tvN(DMB TV)
  • tvN go(DMB TV)
  • CJ O SHOPPING(DMB TV)
  • HD CJ O SHOPPING(DMB TV)
  • GS SHOP(DMB TV)
  • HD GS SHOP(DMB TV)
  • CJ ONSTYLE(DMB TV)
  • HD CJ ONSTYLE
  • QBS JTBC(DMB TV)
  • HD QBS JTBC(DMB TV)
  • QBS YonhapTV(DMB TV)
  • HD QBS YonhapTV(DMB TV)
MBC DMB(MY MBC)
MBC DMB(MY MBC (강원권))
  • MBC FM (강원)(DMB Radio)
  • QBS(DMB TV)
  • QBS+(DMB TV)
  • CJ O SHOPPING(DMB TV)
  • GS SHOP(DMB TV)
  • CJ ONSTYLE(DMB TV)
MBC DMB(MY MBC (충청권))
  • MBC11 FM (충청)(DMB Radio)
  • QBS(DMB TV)
  • QBS+(DMB TV)
  • CJ O SHOPPING(DMB TV)
  • GS SHOP(DMB TV)
  • CJ ONSTYLE(DMB TV)
MBC DMB(MY MBC (영남권))
  • myMBC Radio (부산울산경남)(DMB Radio)
  • QBS(DMB TV)
  • QBS+(DMB TV)
  • CJ O SHOPPING(DMB TV)
  • GS SHOP(DMB TV)
  • CJ ONSTYLE(DMB TV)
MBC DMB(myMBC (경북권))
  • MBC FM (대구경북)(DMB Radio)
  • QBS(DMB TV)
  • QBS+(DMB TV)
  • CJ O SHOPPING(DMB TV)
  • GS SHOP(DMB TV)
  • CJ ONSTYLE(DMB TV)
MBC DMB(MY MBC (호남권))
  • myMBC Radio (호남)(DMB Radio)
  • QBS(DMB TV)
  • QBS+(DMB TV)
  • CJ O SHOPPING(DMB TV)
  • GS SHOP(DMB TV)
  • CJ ONSTYLE(DMB TV)
MBC DMB(MY MBC (제주권))
  • MBC SFM (제주)(DMB Radio)
  • QBS(DMB TV)
  • QBS+(DMB TV)
  • CJ O SHOPPING(DMB TV)
  • GS SHOP(DMB TV)
  • CJ ONSTYLE(DMB TV)
SBS DMB(SBS U)
  • HYUNDAI Home(DMB TV)
  • KDMB(DMB Radio)
  • tbs V-Radio(DMB Radio)
  • tbs world(DMB Radio)
  • MBN V-Radio(DMB Radio)
  • Arirang Radio(DMB Radio)
YTN DMB(YTN DMB)
  • Satio Top Music(DMB Radio)
  • TBN(DMB Radio)
  • WOW-TV(DMB TV)
대한민국의 지상파 방송사
수도권의 지상파 방송사
TV방송국
AM라디오 방송국
FM라디오 방송국
종합/종교 라디오
지역/기타 라디오
공동체 라디오 방송국
지상파DMB
YTN DMB
TV
TPEG
MBC DMB
TV
V-Radio
TPEG
DMB Drive
U-KBS
TV
V-Radio
TPEG
SBS U
TV
V-Radio
송신 중단 · 폐국
1.2021년7월 19일부터 UHDTV 다채널 시범방송 중이다.

2. AM·FM 동시방송이다. 극동방송의 경우 오전 5시부터 오후 7시까지만 동시 방송된다. 오후 7시부터 익일 오전 5시까지 AM라디오는 외국어방송과미국의 소리 한국어 방송,자유아시아방송을 송출하며 FM으로는 찬양 선교방송을 한다.

3.2012년5월 1일부터 아날로그 송신이 중단되었다.
강원권의 지상파 방송사
TV방송국
영서 중부, 북부
영서 남부
영동
라디오방송국
영서 중부, 북부
영서 남부
영동
지상파DMB
MY MBC
TV
  • MY MBC
TPEG
  • DMB Drive
U-KBS
TV
V-Radio
TPEG
Data
  • KBS CLOVER
G1방송 DMB
TV
TPEG
KBS 1TV·KBS 2TV(KBS1.2.3 라디오 포함) 및 EBS 1TV·EBS 2TV·EBS FM(EBS1.2 라디오 포함)은 전국방송이다. · 강원특별자치도는 단일케이블사 지역이며 강원특별자치도의 지역민방은G1방송이다.
충청권의 지상파 방송사
TV방송국
대전·세종·충남
충북 중·남부, 세종
충북 북부
라디오방송국
대전·세종·충남
충북 중·남부, 세종
충북 북부
지상파DMB
MY MBC
TV
TPEG
  • DMB Drive
U-KBS
TV
V-Radio
TPEG
TJB u
TV
TPEG
충북권의 지상파 방송사
TV방송국
충북 중·남부, 세종
충북 북부
라디오방송국
충북 중·남부, 세종
충북 북부
지상파DMB
MY MBC
TV
Data
  • MY MBC DATA
TPEG
  • DMB Drive
U-KBS
TV
V-Radio
TPEG
Data
  • KBS CLOVER
TJB u
TV
TPEG
호남권의 지상파 방송사
TV방송국
전북
광주·전남 중·북부
전남 서남부
전남 동부
라디오방송국
전북
광주·전남 중·북부
전남 서남부
전남 동부
지상파DMB
Honam MBC
TV
  • myMBC TV
TPEG
  • DMB Drive
U-KBS
TV
V-Radio
TPEG
kbc (DMB)
TV
TPEG
전남권의 지상파 방송사
TV방송국
광주·전남 중·북부
전남 서남부
전남 동부
라디오방송국
광주·전남 중·북부
전남 서남부
전남 동부
지상파DMB
Honam MBC
TV
  • myMBC TV
TPEG
  • DMB Drive
U-KBS
TV
V-Radio
TPEG
kbc (DMB)
TV
TPEG
영남권의 지상파 방송사
TV방송국
대구·경북 남부
경북 북부
경북 동해안
부산지역
울산지역
경남동부
경남서부
라디오방송국
대구·경북 남부
경북 북부
경북 동해안
부산지역
울산지역
경남동부
경남서부
지상파DMB
myMBC
TV
TPEG
DMB Drive
Busan MBC
TV
TPEG
DMB Drive
U-KBS
TV
V-Radio
TPEG
Data
  • KBS CLOVER
TBC DMB
TV
TPEG
KNN DMB
TV
TPEG
경북권의 지상파 방송사
TV방송국
대구·경북 남부
경북 북부
경북 동해안
라디오방송국
대구·경북 남부
경북 북부
경북 동해안
지상파DMB
myMBC
TV
TPEG
DMB Drive
U-KBS
TV
V-Radio
TPEG
Data
  • KBS CLOVER
TBC DMB
TV
TPEG
경남권의 지상파 방송사
TV방송국
부산지역
울산지역
경남동부
경남서부
라디오방송국
부산지역
울산지역
경남동부
경남서부
지상파DMB
Busan MBC
TV
TPEG
DMB Drive
U-KBS
TV
V-Radio
TPEG
Data
  • KBS CLOVER
KNN DMB
TV
TPEG
제주권의 지상파 방송사
TV방송국
라디오방송국
지상파DMB
Jeju MBC
TV
TPEG
  • DMB Drive
U-KBS
TV
V-Radio
TPEG
Data
  • KBS CLOVER
JIBS (DMB)
TV
TPEG
1.2022년2월 11일부터 UHDTV 다채널 시범방송 중이다.
2. AM·FM 동시방송이다. 제주극동방송의 경우 오전 3시부터 오후 7시까지만 동시 방송된다. 오후 7시부터 익일 오전 3시까지 AM라디오는자유아시아방송과 외국어방송,미국의 소리 한국어 방송을 송출하며 FM으로는 찬양 선교방송을 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KBS_2TV&oldid=40906853"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