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래중파방송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퍼져 있었으나,KBS 제3라디오가 개국하면서 대부분의 중파 주파수들이KBS 제3라디오 용으로 편입되어 현재 KBS 제2라디오의 AM 주파수는 수도권 603㎑, 대구경북권 558㎑만이 남아 있다. 그리고2000년7월 1일에 개국한 수도권 FM 106.1㎒(당시 남산 송신소, 출력 1㎾)가 설치되면서 이를 시작으로 전국적인FM 방송이 구축되었다.[1] 다만, 제2라디오(당시 제3방송)의 표준FM 방송은부산방송국이1981년에 개국한 것이 그 시초이다.(개국 당시에는 KBS부산 라디오 제3방송) 그리고 부산에서는 제2라디오를 처음부터 표준FM 전용 방송으로 운영하고 있었다.[2]1981년에KBS 2TV의 채널에서 광고가 잘 안 팔려서 1년만에1982년1월 25일에 2라디오의 채널도KBS 2TV와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실시했다.1994년9월 30일에KBS 제1라디오의 채널과KBS 제1FM은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마지막으로 송출하였고, 2라디오의 채널도KBS 2TV와 같이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실시하였다.[3]1994년10월 1일에KBS 제1라디오의 채널과KBS 1FM의 채널은 수신료징수제도개선을 계기로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 폐지에 따른 2라디오의 채널은KBS 2TV의 채널과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시간 및 편성을 확대하였다.[4]2003년10월 20일부터는 해피FM(Happy FM)이라는 애칭을 사용한다.
수도권의 중파 주파수 603㎑는 250~500㎾의 고출력으로 송출하며, 이러한 고출력 송출은 과거 제2방송의 남양 송신소 설치 당시 대공방송 및 교육방송을 편성하였기 때문이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대구경북권의 558㎑도 250㎾라는 고출력으로 송출되며 이 때문에 과거에는 대구경북권 주파수에서 자정 이후 시간대에 KBS 제2라디오 본방송 대신 KBS 사회교육방송(현KBS 한민족방송)이 송출된 적도 있었다.
유일한 장수 프로그램으로는밤을 잊은 그대에게가 있고 이 프로그램은 대한민국에서 단일 방송 프로그램으로는, 가장 현존하는 최장수 라디오 프로그램이기도 하다.[5]24시간 방송이 아니며, 오전 5시부터 다음 날 오전 3시까지만 방송된다. 오전 6시 57분부터 오후 8시 57분까지 매 57분, 오전 7시 30분, 오전 8시 30분, 오후 6시 30분에는 30분 교통정보가 방송된다. 각 프로그램에 문자는 #1061(짧은 문자는 50원, 긴 문자, 사진, 동영상 등 첨부 MMS는 100원), 인터넷 라디오 콩으로 방송에 실시간 참여할 수 있다.
1990년에EBS가 KBS에서 분리되었을 당시에 제2라디오를 EBS에 편입시키려고 하였으나 무산되었다.
1981년9월 6일에 2라디오의 채널은KBS 2TV와 같이 광고계약을 했고, 2라디오의 채널은1981년9월 7일에KBS 2TV의 채널과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개시한 후 2라디오의 채널은 평일에 4블록(20분~25분)과 주말과 공휴일에 5블록(25분~30분)을 편성했다.[8]1982년1월 25일에 2라디오의 채널은KBS 2TV와 같이 1년만에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실시하였고, 2라디오의 채널은1994년9월 30일에도 광고 업무를 담당하였다.[9]1994년10월 1일에KBS 제1라디오의 채널과KBS 제1FM의 채널은 수신료징수제도개선을 계기로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 폐지에 따른 2라디오의 채널은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시간 및 편성하게 되었다.[10]KBS 제2FM(구 동양FM)도 1980년 12월 1일에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폐지했지만 2001년 12월 10일에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허용 및 개시하였다. 동양FM은 1965년 6월 26일부터 1980년 11월 30일까지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송출하였고, 1980년 11월 30일에 마지막으로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마치다가1980년12월 1일에 언론통폐합으로 인해동양FM이KBS 제2FM으로 변경 후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폐지한 이후로 공익광고방송만 나가게 되었다.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 없이 수신료로 운영을 했다. 21년 만에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허용하기 시작하였다.2002년1월 1일부터 2라디오의 채널과 이어지게 되었고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실시하였다.KBS 2FM도 2라디오와 같이 광고 계약을 하기 시작하였다. 2002년 1월 1일부터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이 2라디오와 같이 이어지게 되었다.[11]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내보내는 라디오 채널이다. 라디오 프로그램을 시작할 때에는 내보낼 수 있고, 종료될 때에도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내보낼 수 있다. 이는 공익광고방송까지 포함된다. 2018년부터KBS 제2FM의 채널도 광고 판매가 되었다.
1981년9월 7일: 오전 0시를 기해 제3방송을 제2방송(603㎑, 639㎑)으로 통합. 뉴스, 연예오락, 대중가요 프로그램 대폭 강화. 제3방송 폐지 후 일부 프로그램을 제2방송로 전환.(기존 제3방송의 639kHz는 제2방송 603kHz와 동시 방송)KBS 2TV와 같이 지역국 대폭 강화 및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 개시. 제2방송에서 제2라디오로 변경. 2라디오의 채널 광고 평일 4블록(20분~25분), 주말과 공휴일 5블록(25분~30분).[14]
↑한국방송공사의 전신 격인 조선방송협회에서1927년2월 16일에일본어 중심의 제1방송를 개국하였는데 6년 만인 1933년 4월 26일에는조선어 중심의 제2방송을 개국하였다.
↑1981년9월 6일에 제3방송이 제2라디오로 이관되면서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이 실시 준비되었다.1981년9월 7일에KBS 2TV의 채널과 이어지게 되면서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이 개시 및 재개되었다. 2라디오의 채널은 평일 4블록(20분~25분) 및 주말 및 공휴일에 5블록(25분~30분)을 정했다.
↑KBS 1TV의 채널은KBS 제1라디오의 채널과KBS 제1FM의 채널은 수신료징수제도개선을 계기로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이 폐지되면서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은 편성하지 않게 되었고, 2라디오의 채널은KBS 2TV의 채널과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시간 및 편성하게 되었다.
1.2022년2월 11일부터 UHDTV 다채널 시범방송 중이다. 2. AM·FM 동시방송이다. 제주극동방송의 경우 오전 3시부터 오후 7시까지만 동시 방송된다. 오후 7시부터 익일 오전 3시까지 AM라디오는자유아시아방송과 외국어방송,미국의 소리 한국어 방송을 송출하며 FM으로는 찬양 선교방송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