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DDH-975 충무공이순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DDH-975 충무공이순신

림팩 2004 훈련에 참가중인 DDH-975 충무공 이순신함
대략적인 정보
함명충무공이순신
함종구축함
함번DDH-975
제작대우조선해양
운용 대한민국 해군
진수2002년5월 22일
배치2003년12월 1일
일반적인 특징
배수량4,400t(만재 5,520t)
전장150m[1]
선폭17.4m[2]
흘수7.3m[3]
추진CODAG,GE LM2500 (58,200 hp) *2
속력29노트
항속거리10,200km (5,500 해리)[4]
승조원300명[5]
무장127mm Mk45 Mod4 *1
골키퍼 CIWS *1
21연장 RAM 발사기 *1
SM-2 블럭3A *32
4연장해성 미사일 발사기 *2
3연장청상어 어뢰발사관 *2
천룡 순항 미사일 (국산 토마호크)
홍상어 (국산ASROC)
탐지 장비AN/SPS-49(V)5
시그널 MW-08 해상감시레이다
대우 SPS-95K I밴드 항법레이다
시그널 STIR 240 화력관제레이다 *2
ATLAS DSQS-21BZ 함수소나
SQR-220K 흑룡 예인 소나
전자전SLQ-200(V)K SONATA
KDAGAIE MK2 채프/플레어 발사기
SLQ-261K TACM
항공장비Mk.99A슈퍼링크스×2

DDH-975 충무공이순신(忠武公李舜臣)은대한민국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의 제1번함이다.대한민국 해군 최초의 방공구축함이자 원거리 작전 능력을 보유한 차세대 주력 구축함이다.스텔스 기술을 적용한 구축함이다. 또한, 캐나다 헬리팩스급에 적용된 적외선 감소설계를 도입했다고 한다. 왕건함부터는 Batch-II로 나뉘며, 국산 ASROC이 장착된다.

명칭의 유래

[편집]

우리나라 구축함의 명칭은 위대한 위인과 영웅의 이름이거나 호국인물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이 함선의 이름인충무공이순신조선시대임진왜란 당시일본 수군과의 해전에서 연전연승한 조선 중기의 무관이순신에서 유래되었다. 위인의 이름을 딴 다른 구축함의 명칭에는 같은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인 DDH-979 강감찬과 DDH-981 최영 등이 있다.

충무공 이순신함 앞에 붙은 DDH는 보통헬리콥터가 탑재 가능한 구축함이라는 뜻을 의미한다. DDH가 붙은 구축함으로는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 외에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이 있다.

역사

[편집]

충무공 이순신함은대우조선해양에서 제작되어 2002년 5월 22일에 진수되었다.[1] 그 후 충무공 이순신함은 시범적인 운영을 걸쳐 2003년 12월 1일에 취역하였다. 함번은 DDH-975이다. 충무공 이순신급함 중 가장 먼저 진수되고 배치되었다. 가장 먼저 나와 충무공 이순신급함 중에 함번이 가장 빠르다.제7기동전단 소속의 구축함으로 청해부대 35진으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2021년코로나19 집단 감염 문제로 임무를 수행하던 문무대왕함이 조기에 복귀하게 되어 임무를 승계하기 위해 충무공이순신함을 조기에 투입하였다.

함 특징

[편집]

DDH-975 충무공 이순신함은 DDH라는 명칭을 볼 수 있듯이 함종은 구축함이다.구축함의 주된 임무는 어뢰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함정을 공격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충무공 이순신함도 무장되어 있을 것이고 다양한 무기가 갖추어져있을 것이다. 충무공 이순신함에는 다양한 무기로 무장되었다. 무기의 예로는 옆에 표에서도 정리되어 있듯이 127mm Mk45 Mod4*1, 골키퍼CIWS*1, 그리고 SM-2 블럭3A*32 등이 있다.

활동

[편집]
  • 2004년 환태평양 연합 해상훈련과림팩 훈련에 참여하였다.
  • 2005년 국제관함식에 참여하였다.
  • 2006년 림팩 훈련에 참여하였다.
  • 2009년소말리아 해역에 파견되었다.

이 외에도 DDH-975 충무공이순신함은 다수의 연합훈련 및 순항훈련에 참가하였다.

최초의 SM-2 발사

[편집]
무인표적기BQM-74E Chukar가 구축함에서 발사되고 있다

림팩 2004에 참가한 충무공이순신함은 대한민국이 도입한 SM-2 미사일을 최초로 발사했다.[2]

  • 2004년 7월 29일 - 20km 거리에서 450노트(마하 0.68) 속도로 접근하는BQM-74E[6]를 격추했다.
  • 2004년 7월 31일 - 113km 거리에서 450노트(마하 0.68) 속도로 접근하는BQM-74E를 격추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국내 최대 구축함 충무공 이순신함 진수”. 《KBS 9시뉴스》. 2002년 5월 22일. 
  2. 김성걸 기자 (2004년 8월 2일).“해군, SM-2 첫 발사 명중”. 《한겨레》. 

외부 링크

[편집]


대형수송함
구축함
세종대왕급
정조대왕급
KDDX
충무공이순신급
광개토대왕급
호위함
울산급
인천급
대구급
충남급
초계함
포항급
동해급
고속함
상륙함
전투지원함
평택급 수상함구조함
천지급 군수지원함
소양급 군수지원함
잠수함
도산안창호급
손원일급
장보고급
돌고래급
기뢰부설함
해양정보함
항공기
미사일
대함
대공
대지
대잠
SLBM
어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DDH-975_충무공이순신&oldid=39103952"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