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광복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8·15 광복에서 넘어옴)
중화민국의 기념일에 대해서는대만광복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광복절
광복절
1945년 8월 16일,마포형무소
장소한반도
형태공휴일(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요도일제강점기 종료
시작1945년
날짜8월 15일
빈도매년
축제경축 행사
행사일본 제국으로부터 해방을 기념
관련대일 전승 기념일,3·1절,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

광복절(光復節)1945년 8월 15일,한반도가 35년간의 일본 식민 통치로부터 해방되고일본제국주의자들에게 빼앗겼던 나라의 주권을 다시 되찾은 것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한국경일이다.[1] 또한 이 날은 1948년 대한민국의 정부 수립일과도 겹친다. 매년 8월 15일이며[2], 광복절은 남한과 북한에서 모두 기념하는 유일한 정치적 공휴일이다.[3][4]

어원

[편집]

대한민국에서는광복절이 있으며 빛이 돌아온 날이라는 의미다. 이름에 "독립(獨立)"대신 "복(復)"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이유는 한국이 일본의 통치 이전에 수천 년 동안 독립을 유지했음을 강조하기 위해서다.[5] 북한에서는 광복절이라는 단어 대신조국해방의 날(조국해방의 날,조국해방절)로 알려져 있다.[6]

역사

[편집]
 일본의 항복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이날은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무조건 항복을 선언한 날이다.일본 제국군의 모든 병력은 연합군에 항복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며 마지막 일본 점령군은 1945년 9월 말에 남한을 떠났다.미국소련은 한국에 두 개의 다른 국가 정부가 수립되는 것을 감독하는 3년간의 신탁 통치에 동의했다.

American soldiers lowering the Japanese flag at the formerJapanese General Government Building, Seoul on 9 September 1945.

한반도는 기원전 2333년 건국 이래 역사상 처음으로 1910년 외세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그 후 35년간의 점령기를 거치며 한국의 문화 와 언어를 말살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9월 1일, 국민정부준비위원회(조선건국준비위원회)에 의해 임시정부가 수립되었고 , 그 임시정부는 조선 총독아베 노부유키의 대표인엔도 류사쿠여운형 간의 8월 15일 협상에서 일본 국민의 안전한 통행을 보장하는 대가로 모든 포로를 석방하고 행정 및 사법권을 한국 당국에 이관하기로 합의했다.그러나, 광복절에 일본 천황의 항복문이 공포되었을 때, 많은 사람들은 그 당시 라디오를 알아 들을 수 없었다.왜냐하면, 그 당시 라디오는 조선 인구의 5~10%만 가지고 있었고, 라디오가 있다 해도 송출 내용이 일본어라 조선인들은 알아들을 수 없었다고 한다.[5][7][8]

대한민국

[편집]
2025년, 광복절 80주년 기념 로고

대한민국에서는 이를국경일공휴일로 법제화함으로써 매년 양력8월 15일에 기념하고 있다. 해방년도인 1945년과 정부 수립 년도인 1948년 모두 8월 15일에 이루어진 일들로, 두 날을 모두 기념하기 위한 것이다.1949년10월 1일, 〈국경일에 대한 법률〉에 따라국경일공휴일로 지정되어 대한민국에서는 전국적으로 각종 경축 행사가 거행되며, 공공기관, 가정에서는태극기를 달아 기념하기도 한다.[9]

1949년 5월 24일에대한민국 정부가 3·1절(3월 1일), 헌법공포기념일(7월 17일), 독립기념일(8월 15일), 개천절(10월 3일)을 4대 국경일로 하는 안건을국무회의에서 의결하였고,[10]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제정 과정을 거치면서 헌법공포일을 제헌절로 독립기념일을 광복절로 수정하였다. 같은 해 9월 21일, 해당 수정안이 제5회국회본회의에서 통과되었으며, 1949년 10월 1일에 〈국경일에 관한 법률〉이 제정 및 공포되어 광복절이 국경일로 지정되었다.[1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편집]
8월 15일을 기념하는 평양의 포스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광복절이조국해방의 날(祖國解放의 날)로 불리며 법적 공휴일로 지정되어있다.[12][13]로동신문 등에서는 광복이김일성의 성공적인항일운동을 통해 이루어 진 것으로 선전하고 있다.[14][15] 원래는 술, 고기, 과일 등의 특식이 제공되도록 하였으나 1990년대고난의 행군으로 인해 중단되었거나 원활하지 못하게 되었다.[13]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법제처.“광복.독립 그리고 해방 < 법제 < 지식창고”. 2025년 8월 14일에 확인함. 
  2. “국경일에 관한 법률(약칭: 국경일법)”. 《국가법령정보센터》. 2014년 12월 30일. 2025년 8월 14일에 확인함. 
  3. 머니투데이 (2013년 8월 15일).“8월 15일 한국만 독립한 거 아냐…또 어디?”. 2025년 8월 15일에 확인함. 
  4. “北, 공화국 창건 역사 살펴보기”. 《통일뉴스》. 2014년 9월 7일. 2025년 8월 15일에 확인함. 
  5. Armstrong, Joe (2016년 3월 22일).“National Liberation Day of Korea (Gwangbokjeol) - Celebration of Independence” (미국 영어). 2025년 8월 15일에 확인함. 
  6. NK, Daily (2015년 12월 7일).“Kim Jong Un’s birthday still not a holiday” (미국 영어). 2025년 8월 15일에 확인함. 
  7. 윤, 상현.“조선건국준비위원회 (朝鮮建國準備委員會)”. Academy of Korean Studies. 
  8. “우리역사넷”. 2025년 8월 15일에 확인함. 
  9. 일본식 용어, 이것만은 고치자 2010/03/29 장애인뉴스
  10. 〈동아일보〉 1949년 5월 27일
  11. 대한민국 법률 제53호
  12. “명절과 기념일< 일상생활< 북한주민생활< 경제·사회·문화적 권리 및 주민생활< 현황< 북한인권포털_신규”. 2025년 8월 14일에 확인함. 
  13. “북한의 공휴일 제도”. 2025년 8월 14일에 확인함. 
  14. “평양시내 청소년학생들의 충성의 노래모임이 있었다”. 로동신문. 1972년 4월 16일. 3면. 
  15. 강정원; 안주영; 권혁희; 권혜윤.“북한 세시풍속의 변화: 문헌을 중심으로”(PDF). 《서울대학교 2020년 통일기반구축사업 결과보고서》. 

외부 링크

[편집]
제헌절은2008년부터 공휴일이 아니며 한글날은2013년부터 다시 공휴일이 되었다.
국경일
명절
종교 기념일
기타
대체공휴일
사회주의 7대 명절
일반 명절
기타
전거 통제: 국가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광복절&oldid=40800620"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