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팔라스(Pallas)는세레스에 이어 두 번째로 발견된소행성이다.1802년3월 28일,하인리히 올베르스가 발견하였다. 처음에는행성으로 여겨졌지만, 많은 관측을 통하여 소행성으로 재분류되었다. 모양이 불규칙하기 때문에원시 행성의 찌꺼기로 추정된다.
팔라스는 소행성 중에서는 큰 편에 속하며, 전체소행성대 질량의 7%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 지름은 530–565 km 가량으로,4 베스타와 비교했을 때 약간 더 크다. 하지만 질량은 20% 적다.[2] 팔라스의 표면은 스펙트럼과 추정 밀도로 봤을 때규산염이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팔라스의 궤도 기울기는 34.8°로 꽤 큰 편이며,이심률도명왕성만큼 크다. 이 때문에 탐사선이 상대적으로 접근하기 어렵다.[3][4]
1801년, 천문학자주세페 피아치는 천체 하나를 발견했는데, 그는이 천체를혜성으로 믿고 있었다. 그 후 그는 이 관측 결과를 알렸고, 자세히 보니 혜성과는 운동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그리고 몇 달간 시야에서 사라졌다가 여러 천문학자의 도움으로 다시 찾는 데 성공했다. 이 천체가 최초로 발견된 소행성인1 세레스이다.[9][10]
요한 히에로니무스 슈뢰터의 크기 비교 그림이다. 1811년에 추정된 크기로 그렸기 때문에 정확하지는 않다. 슈뢰터는 지름이 3,000km 라고 믿었다. (이는 명왕성보다 큰 수치이다.)
몇 달 후, 올베르스는 세레스를 다시 추적하다가 근처에 어떤 천체가 움직이는 것을 알아챘다. 이 천체가2 팔라스로, 당시 우연히 세레스의 근처를 지나가고 있었다. 팔라스의 발견으로 천문학계에서는 흥미거리가 만들어졌다.화성과목성 사이에 빈 공간에는 어떠한 천체가 존재할 것이라는 의견이 이전부터 천문학자들 사이에서 대두되었다. 그런데, 뜻밖에도 두 번째 '행성' 이 발견된 것이다.[11] 팔라스가 발견되었을 때, 지름은 3,380 km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현재 알려진 지름에 비해서 매우 컸다.[12] 1979년에도 팔라스의 지름이 계산되었는데, 그 값은 673 km 로 현재 지름보다 26% 큰 값이었다.[13]
다른 왜행성 후보 행성들 간의 크기 비교. 팔라스는 아랫줄 오른쪽에서 두 번째에 있다.
팔라스의 궤도는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가 계산하였는데, 팔라스의 공전 주기를 세레스의 주기와 비슷한 4.6년으로 계산하였다. 그러나 팔라스는 상대적으로황도면에 대한 궤도 경사각이 크다.[11]
1917년, 일본의 천문학자히라야마 기요쓰구는 소행성의 운동을 연구하다가 눈에 띄는 천체 몇 개를 발견했다. 후에 논문에 소행성 세 개가 팔라스와 연관이 있다는 내용과 함께, 네 천체를 묶어서팔라스족이라 명명했다.[14] 1994년부터 10개 이상의 천체가 팔라스족으로 분류되었다. 팔라스족의 특징은궤도 장반경이 2.50–2.82 AU이며,궤도 경사각 33–38°이다.[15] 팔라스족의 확실성은 2008년 스펙트럼을 분석하면서 검증되었다.[16]
팔라스의엄폐 현상이 몇 차례 관측되었다. 가장 확실하게 관측된 때는 1983년 5월 29일에 일어났을 때였는데, 140명의 관측자가 이 현상을 목격했다. 이 때 처음으로 팔라스의 지름을 정확히 측정하였다.[17][18]1979년 5월 29일에는 엄폐 현상이 일어날 때위성으로 추측되는 1 km 가량의 매우 작은 천체가 보고되었지만, 확실히 검증되지는 않았다. 1980년에반점간섭계를 이용하여 조금 더 큰 175 km 가량의 천체가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는 오류인 것으로 판명났다.[19]
화성 궤도 주위의 우주선의전파를 이용하여 화성의 운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섭동 현상을 통하여 팔라스의 질량을 추정했다.[20]
돈 계획 팀은 2007년 9월,허블 우주 망원경을 사용하여 소행성에 가장 근접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20년만에 한 번 꼴로 일어나는 일로, 이를 통하여서 세레스와베스타의 정보를 많이 얻을 수 있었다.[21][22]
처음 발견된 10개의 소행성과달의 크기 비교. 팔라스는 왼쪽에서 두 번째에 있다.2팔라스의 궤도
한때는 베스타와 팔라스 둘 다 소행성 중 두 번째로 크다고 여겨졌다.[23] 그러나 팔라스는베스타와 부피는 비슷하지만,[24] 질량은 작다. 팔라스의 질량은 세레스 질량의 22%,[1] 달 질량의 0.3% 밖에 되지 않는다.
팔라스는 지구에서 멀리 떨어져있고 베스타보다알베도도 낮아서, 더 어둡게 보인다. 실제로,충 위치에 있을 때는7 이리스보다 약간 어둡게 보인다.[25]충 일때, 팔라스의겉보기 등급은 +8.0 등급으로, 10×50 배율의쌍안경으로도 잘 보인다. 그러나, 세레스나 베스타와는 다르게,이각이 작을 때는 +10.6 등급까지 떨어지기 때문에, 광학적으로 많은 뒷받침이 필요하다. 근일점에다 충의 경우에는, +6.4등급에 이르며, 오른쪽 가장자리는 맨눈으로도 볼 수 있다.[26]2014년 2월 말 동안, 팔라스는 +6.96등급에 이를 전망이다.[27]
팔라스에는 흔치 않은 역학적 요소들이 있다. 궤도는 매우 경사져 있고이심률도 큰 편이다. 게다가,자전축의 기울기도 매우 높은 78±13° 혹은 65±12°이다.(이 수치는 광도 곡선을 분석한 결과로, 확실하지는 않다.[28]데이터는 2007년허블 우주 망원경에서 얻어진 것으로 2003–2005년,켁 망원경의 도움도 있었다.[21][29])이것의 의미하는 바는, 팔라스의 여름과 겨울이 각각지구의 1년씩임을 의미한다.
분광학을 이용한 관측으로, 팔라스 표면의 주 구성 물질은규산염으로,콘드룰에서 발견할 수 있는감람석이나휘석이 포함된다.[30]이 물질들은 레나조탄소질 콘드라이트 운석의 성분과 유사하다.[31] 레나조 운석은 1824년이탈리아에서 발견된 암석으로, 현재까지 알려진 운석 중에서 가장 오래된 운석이다.[32]
팔라스와 목성의 18:7 궤도 공명을 표현한 애니메이션. 목성 공전 속도와 같은 속도로 태양에 대해 공전하는 팔라스를 보여준다. 따라서, 목성의 궤도 (좌측 상단 분홍색)는 거의 정지해있는 것처럼 보여진다. 화성의 궤도는 주황색, 지구-달은 청색과 백색으로 표현되어 있다. 팔라스의 궤도는 황도면에 위에 있을 때는 녹색, 아래에 있을 때는 붉은색이다. 18:7 공명 패턴을 봤을 때 목성은 시계방향으로 공전한다. (절대로 멈추거나 역으로 공전하지 않는다.)
팔라스 표면 지형은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2007년에 허블 망원경으로 찍었지만, 그 곳의 알베도가 12% 밖에 되지 않아 감지할 수 없었다.가시광선과적외선 필터를 통하여 얻어진 광도곡선으로 약간의 가변성을 확인했지만,자외선에서 큰 편향이 확인되었다. 이는 어떤 큰 지형이서경 285° 와 75° 부근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팔라스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운동하는 순행 운동을 한다.[21]
팔라스를 포함한 큰 소행성은 한 때원시 행성이었을 가능성이 있다.태양계에서 행성 형성의 시대에서, 천체는착증 과정을 통하여 커진다. 이런 천체의 대부분은 다른 천체와 합쳐지는 데 이것이행성이다. 한편, 나머지 천체들은 다른 원시 행성과 충돌하여 파괴된다. 팔라스는 이런 과정에서 살아남은 "생존자"이다.[33]
팔라스는 "행성 후보"에 올랐지만 2006년,IAU에서 정의한 행성의 조건에서 마지막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 했다.[34][35]미래에는, 팔라스가유체정역학적 평형 상태임을 발견한다면왜행성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최근허블 우주 망원경의 사진으로 그럴 가능성은 없을 것으로 밝혀졌다.[21] 팔라스는 최소한의 열적 변화와 부분적으로 분화 과정을 겪은 것으로 추정된다.[21]
팔라스에서는 수성에서 화성까지 행성의 태양 일면통과 현상을 볼 수 있다. 최근 지구는 1998년에 일어났으며, 가까운 미래에는 2224년에 일어날 전망이다. 수성도 2009년 10월에 일어났고, 금성은 1677년에 일어났고 2123년에 일어날 전망이다. 화성은 1597년에 일어났고 2759년에 일어날 전망이다.[38]
팔라스는 어떤 탐사선도 방문하지 않은 천체이다. 그러나NASA의돈 탐사선이4 베스타와세레스를 탐사하기 위해 발사되었다. 2018년 무렵에플라이바이를 하기 위하여 지날 것이다. 그러나 팔라스의 높은 궤도 경사각 때문에, 탐사선이 궤도 안쪽으로 진입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23][39]
↑James, Andrew (2006년 9월 1일).“Pallas: 2006-2015”. 《Southern Astronomical Delights》. 2012년 5월 2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3월 29일에 확인함.
↑“Athena”. 《1911 Edition of the Encyclopaedia Britannica》. Encyclopaedia Britannica (Tim Starling). 2008년 8월 16일에 확인함.
↑Dietrich, Thomas (2005). 《The Origin of Culture and Civilization: The Cosmological Philosophy of the Ancient Worldview Regarding Myth, Astrology, Science, and Religion》. Turnkey Press. 178쪽.ISBN0-9764981-6-2.
↑Dunham, D. W.; 외. (1990). “The size and shape of (2) Pallas from the 1983 occultation of 1 Vulpeculae”. 《Astronomical Journal》99: 1636–1662.Bibcode:1990AJ.....99.1636D.doi:10.1086/115446.
↑가나다라마Schmidt, B. E.; 외. (2008).“Hubble takes a look at Pallas: Shape, size, and surface”(PDF). 《39th Lunar and Planetary Science Conference (Lunar and Planetary Science XXXIX). Held March 10–14, 2008, in League City, Texas.》1391: 2502. 2008년 8월 24일에 확인함.
↑Feierberg, M. A.; Larson, H. P.; Lebofsky, L. A. (1982). “The 3 Micron Spectrum of Asteroid 2 Pallas.”. 《Bulletin of the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14: 719.Bibcode:1982BAAS...14..719F.
↑Sato, Kimiyasu; Miyamoto, Masamichi; Zolensky, Michael E. (1997). “Absorption bands near 3 m in diffuse reflectance spectra of carbonaceous chondrites: Comparison with asteroids”. 《Meteoritics》32 (4): 503–507.Bibcode:1997M&PS...32..503S.doi:10.1111/j.1945-5100.1997.tb01295.x.
↑McCord, T. B.; McFadden, L. A.; Russell, C. T.; Sotin, C.; Thomas, P. C. (2006). “Ceres, Vesta, and Pallas: Protoplanets, Not Asteroid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Geophysical Union》87 (10): 105.Bibcode:1998RPPh...61...77K.doi:10.1088/0034-4885/61/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