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2014년 FIFA 월드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렉트로닉 아츠의 축구 게임에 대해서는2014 피파 월드컵 브라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농구 대회에 대해서는2014년 FIBA 농구 월드컵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일렉트로닉 아츠의 축구 게임에 대해서는FIFA 14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14년 FIFA 월드컵
Copa do Mundo da FIFA
Brasil 2014[nb 1]
개최국브라질브라질
개최기간6월 12일 ~ 7월 13일
참가팀32개 (5개 대륙)
경기장12개 (12개 도시)
결과
우승독일 (4번째 우승)
준우승아르헨티나
3위네덜란드[1]
4위브라질
통계
경기 수64경기
득점 수171골 (경기당 2.67골)
관중 수3,429,873명 (경기당 53,592명)
최다 득점콜롬비아하메스 로드리게스 (6골)
최우수 선수아르헨티나리오넬 메시
최우수 신인 선수프랑스폴 포그바
최우수골키퍼독일마누엘 노이어
페어 플레이상콜롬비아
« 2010
2018 »

2014년 FIFA 월드컵(포르투갈어:Copa do Mundo FIFA de 2014)은FIFA 주관으로 4년 주기로 열리는FIFA 월드컵의 20번째 대회로, 2014년 6월 12일부터 7월 13일까지 브라질에서 열렸다. 브라질은 2007년 10월 30일에 개최권을 따냈다. 이 대회는 브라질이 개최하는 두 번째 FIFA 월드컵(첫 대회는1950년에 개최)이며, 남미에서 열린 다섯번째 대회였다.

31개국이2014년 FIFA 월드컵 예선을 뚫고 올라가 개최국 브라질과 본선에 합류했다. 총 64개의 경기가 브라질 전국 12개 도시의 12개 경기장에서 열렸다. 이번 FIFA 월드컵 본선은 사상 처음으로득점선 판독 기술이 도입된 첫 월드컵이며직접 프리킥에 소멸 스프레이가 사용되었다.[2] 각 개최도시에 열린FIFA 팬페스트는 총 500만명의 군중을 불러모았고, 개최국은 202개국 출신의 100만 관광객을 맞이하였다.[3]

아프리카에서는나이지리아알제리가 16강 진출에 성공했고, 북중미에서도멕시코미국이 각각 16강에 올랐다. 그러나 AFC 소속의 4개국(대한민국,일본,이란,오스트레일리아)은 16강은커녕 단 1승도 거두지 못하며, 모두 조별 리그를 넘지 못한 채 짐을 싸게 되었다. 한편, 개최국브라질은 준결승전에서독일1-7 대패를 당했고, 3-4위전에서도 지난 대회 준우승국네덜란드에 0-3으로 패하며 4위로 대회를 마감한다.[4]결승전에서는 독일이 연장 후반 8분에 나온마리오 괴체의 결승골을 앞세워아르헨티나를 1-0으로 꺾고 통산 4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이는 1990년독일의 재통일 이래 최초의 FIFA 월드컵 우승이기도 하고,아메리카 대륙에서 열린 FIFA 월드컵에서 우승한 첫번째 유럽국가가 되었으며,[5] 독일의 우승으로 유럽은2006년 이탈리아와2010년 스페인에 이어 3회 연속으로 FIFA 월드컵 우승국을 배출하였는데, 공교롭게도 이들은2002년에 대한민국이 차례대로 상대한 국가들이다.[6][7]

FIFA 월드컵 우승국 자격으로, 독일은 러시아에 열릴201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진출 자격도 얻었다.

개최국 선정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2014년 FIFA 월드컵 유치 경쟁입니다.
2007년, 브라질은 2014년 FIFA 월드컵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

2003년 3월, FIFA는 당시 존재했던 대륙별로 연맹들을 순환하여 FIFA 월드컵 개최국을 정하는 정책에 따라1978년 이래 처음으로 남아메리카에서 대회가 열릴 것임을 발표하였다.[8][9]2010년 FIFA 월드컵의 남아프리카 공화국 개최가 확정되면서, FIFA 월드컵이 두 대회 연속으로 비유럽지역에서 열리게 되었는데, 이는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다. 이는 남반구에서 두 대회 연속으로 여는 첫 사례이기도 했다.[10] 브라질과 콜롬비아만 개최 신청을 했지만, 이후 콜롬비아가 중간에 기권하였고,[11] 단일 후보였던 브라질이 2007년 10월 30일에 개최국으로 최종 확정되었다.[12]

참가국 및 심판진

[편집]

지역 예선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2014년 FIFA 월드컵 예선입니다.
 FIFA 월드컵 예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11년 6월에서 2013년 11월까지 열린 예선전을 통해 본선에 참가할 다음 32개국이 확정되었고 - 가장 최근에 나온FIFA 랭킹 순으로 나열되었다.[13] 이 대회 진출국들 중 24개국이 전 대회인2010년 FIFA 월드컵에 출전했었다.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이 대회 유일한 FIFA 월드컵 처녀 출전국이었다.[nb 2][14]콜롬비아16년만에 FIFA 월드컵 본선 무대를 밟았고,러시아벨기에도 본선 무대에 다시 드러내기 전까지 12년이란 세월이 걸렸다. 이 대회에 진출하지 못한 국가들 중 FIFA 랭킹이 가장 높은 국가는우크라이나 (16위)이며, 본선 진출국들 중 가장 랭킹이 낮은 국가는오스트레일리아 (62위)였다.[13]

AFC (4)
CAF (5)
OFC (0)
  • 모두 탈락
CONCACAF (4)
CONMEBOL (6)
UEFA (13)
  본선 진출국
  탈락국
  불참국
  FIFA 비회원국

2014년 6월 FIFA 랭킹 기준 참가국 목록[13]
순번국가소속 연맹랭킹
1스페인UEFA1
2독일UEFA2
3브라질 (개최국)CONMEBOL3
4포르투갈UEFA4
5아르헨티나CONMEBOL5
6스위스UEFA6
7우루과이CONMEBOL7
8콜롬비아CONMEBOL8
9이탈리아UEFA9
10잉글랜드UEFA10
11벨기에UEFA11
12그리스UEFA12
13미국CONCACAF13
14칠레CONMEBOL14
15네덜란드UEFA15
16프랑스UEFA17
17크로아티아UEFA18
18러시아UEFA19
19멕시코CONCACAF20
20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UEFA21
21알제리CAF22
22코트디부아르CAF23
23에콰도르CONMEBOL26
24코스타리카CONCACAF28
25온두라스CONCACAF33
26가나CAF37
27이란AFC43
28나이지리아CAF44
29일본AFC46
30카메룬CAF56
31대한민국AFC57
32오스트레일리아AFC62

본선 조추첨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2014년 FIFA 월드컵 시드 배정입니다.

32개의 참가국은 8개의 다른 조에 배정되었다. 이 준비 과정에서 32개국은 4개의 포트로 분류되었고,상위 7개국은 개최국브라질과 함께 시드 배정을 받았다.[15] 이전 대회들과 마찬가지로, FIFA는 지리적인 면을 고려하여 시드 배정을 받지 못한 나머지 국가들은 대륙별로 배정하였다.[16][17] 조추첨식은 2013년 12월 6일,바이아주의 코스타 두 사우이피 리조트에서 FIFA 월드컵 우승을 경험했던 선수들과 같이 진행하였다.[18][19] 개최 과정에서 무작위로 추첨된 유럽국이었던 이탈리아가 각 4개의 포트가 8개국씩 균일하게 수를 맞추기 위해 4포트에서 2포트로 이동했다.[16]

심판진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2014년 FIFA 월드컵 심판입니다.

2013년 3월, FIFA는 대회 본선 경기들을 주관할 6개 대륙 연맹 출신의 52명의 주심 후보 목록을 발표하였고, 각 주심의 국적을 반영해 2명의부심이 붙었다. 2014년 1월 14일, FIFA 주심 위원회는 43개국 출신의 3인으로 구성된 심판진 25개조와 2인으로 구성된 대기심 8개조를 발표하였다.[20][21]일본니시무라 유이치 주심이 개막전을,이탈리아니콜라 리촐리 주심이 결승전을 주관했다.[22][23]

심판진 목록
연맹주심부심대기심 (주 대기심 / 후보 대기심)
AFC나와프 슈크랄라 (바레인)에브라힘 살레 (바레인)
야세르 툴레파트 (바레인)
알리레자 파가니 (이란) / 하산 캄라니파르 (이란)
벤 윌리엄스 (오스트레일리아)하칸 아나즈 (오스트레일리아)
매슈 크림 (오스트레일리아)
랍샨 이르마토프 (우즈베키스탄)압두하미둘로 라술로프 (우즈베키스탄)
바하디르 코하로프 (키르기스스탄)
니시무라 유이치 (일본)나기 도시유키 (일본)
사가라 도루 (일본)
CAF바카리 가사마 (감비아)펠리시앙 카방다 (르완다)
에바리스 망쿠앙드 (카메룬)
네앙 알리움 (카메룬) / 지브릴 카마라 (세네갈)
– / 아덴 마르와 (케냐)
자멜 아이무디 (알제리)레두안 아시크 (모로코)
압델하크 에치알리 (알제리)
누망디에 두에 (코트디부아르)장-클로드 비루무샤우 (부룬디)
송기폴로 예오 (코트디부아르)
CONCACAF마르코 로드리게스 (멕시코)마르코스 킨테로 (멕시코)
마르빈 토렌테라 (멕시코)
왈테르 로페스 (과테말라) / 레오넬 레알 (코스타리카)
로베르토 모레노 (파나마) / 에릭 보리아 (미국)
마크 가이거 (미국)마크 허드 (미국)
조 플레처 (캐나다)
호엘 아길라르 (엘살바도르)후안 숨바 (엘살바도르)
윌리암 토레스 (엘살바도르)
CONMEBOL산드루 히시 (브라질)마르셀루 반 가시 (브라질)
이메르송 지 카르발류 (브라질)
빅토르 우고 카리요 (페루) / 로드네이 아키노 (파라과이)
네스토르 피타나 (아르헨티나)에르난 마이다나 (아르헨티나)
후안 파블로 벨라티 (아르헨티나)
카를로스 베라 (에콰도르)크리스티안 레스카노 (에콰도르)
비론 로메로 (에콰도르)
엔리케 오세스 (칠레)세르히오 로만 (칠레)
카를로스 아스트로사 (칠레)
윌마르 롤단 (콜롬비아)에두아르도 디아스 (콜롬비아)
움베르토 클라비호 (콜롬비아)
OFC피터 오리어리 (뉴질랜드)마크 룰 (뉴질랜드)
얀-헨드릭 힌츠 (뉴질랜드)
노르베르 하우아타 (타히티) / –
UEFA비외른 카위퍼르스 (네덜란드)에르빈 제인스트라 (네덜란드)
산더르 판 뢰켈 (네덜란드)
스베인 오드바르 모엔 (노르웨이) / 심 헤겔룬 (노르웨이)
펠릭스 브리히 (독일)슈테판 루프 (독일)
마크 보어슈 (독일)
밀로라드 마지치 (세르비아)밀로반 리스티치 (세르비아)
달리보르 주르제비치 (세르비아)
요나스 에릭손 (스웨덴)다니엘 베른마르크 (스웨덴)
마티아스 클라세니우스 (스웨덴)
카를로스 벨라스코 카르바요 (스페인)후안 카를로스 유스테 히메네스 (스페인)
로베르토 알론소 페르난데스 (스페인)
니콜라 리촐리 (이탈리아)안드레아 스테파니 (이탈리아)
레나토 파베라니 (이탈리아)
하워드 웹 (잉글랜드)마이크 물라키 (잉글랜드)
대런 칸 (잉글랜드)
쥐네이트 차크르 (터키)바하틴 두란 (터키)
타르크 옹군 (터키)
페드루 프로엔사 (포르투갈)베르티누 미란다 (포르투갈)
티아구 트리구 (포르투갈)

선수 명단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2014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입니다.

2010년 대회와 마찬가지로, 각국은 23명의 선수 (이 중 3명이 골키퍼) 로 선수단을 꾸렸다. 각 참가국은 대회 개막 열흘 전까지 최종 23인 선수 명단을 제출해야 했다.[24] 최종 선수 명단을 제출한 후에도, 선수단에 중상을 당한 선수가 있을 경우 첫 경기 24시간 전까지 선수를 대체하는 것을 허용했다.[24] 경기중에 선발로 이름을 올리지 못한 모든 선수들은 3회까지 허용되는 교체를 통해 출전이 가능했다. (출장 정지 징계가 아닌 가정 하에)[24]

장소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2014년 FIFA 월드컵 장소입니다.

개최 도시 및 경기장

[편집]

12개 도시의 12개 경기장 (7개 신축, 5개 보수) 이 본선 경기를 주최하기 위해 선정되었다. 경기장은브라질 전국에 골고루 분포되어1950년에 열린 전 브라질 대회에 비해 주최권을 균등하게 가져갔다.[25] 그 결과, 대회 참가국은 장거리 이동이 불가피하게 되었다.[26] FIFA 월드컵 기간동안 브라질의 도시들은32개국을 위한 베이스캠프도 차렸고,[27]공식 팬페스트도 개최해 경기를 관람할 수 있는 장소도 존재했다.[28]

히우 지 자네이루,RJ브라질리아,DF상파울루,SP포르탈레자,CE
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이스타지우 마네 가힌샤아레나 코린치앙스카스텔랑
남위 22° 54′ 43.80″서경 43° 13′ 48.59″ / 남위 22.9121667° 서경 43.2301639° /-22.9121667; -43.2301639남위 15° 47′ 0.60″서경 47° 53′ 56.99″ / 남위 15.7835000° 서경 47.8991639° /-15.7835000; -47.8991639남위 23° 32′ 44″서경 46° 28′ 24″ / 남위 23.545531° 서경 46.473373° /-23.545531; -46.473373남위 3° 48′ 26.16″서경 38° 31′ 20.93″ / 남위 3.8072667° 서경 38.5224806° /-3.8072667; -38.5224806
수용인원:74,738명[29]수용인원:69,432명[29]수용인원:63,321명[29]수용인원:60,348명[29]
벨루 오리존치,MG사우바도르,BA
미네이랑아레나 폰치 노바
남위 19° 51′ 57″서경 43° 58′ 15″ / 남위 19.86583° 서경 43.97083° /-19.86583; -43.97083남위 12° 58′ 43.7″서경 38° 30′ 15.1″ / 남위 12.978806° 서경 38.504194° /-12.978806; -38.504194
수용인원:58,259명[29]수용인원:51,708명[29]
포르투 알레그리,RS헤시피,PE[nb 3]
이스타지우 베이라-히우아레나 페르남부쿠
남위 30° 3′ 56.21″서경 51° 14′ 9.91″ / 남위 30.0656139° 서경 51.2360861° /-30.0656139; -51.2360861남위 8° 2′ 24″서경 35° 00′ 29″ / 남위 8.04000° 서경 35.00806° /-8.04000; -35.00806
수용인원:43,394명[29]수용인원:42,583명[29]
쿠이아바,MT마나우스,AM나타우,RN쿠리치바,PR
아레나 판타나우아레나 아마조니아아레나 다스 두나스아레나 다 바이샤다
남위 15° 36′ 11″서경 56° 07′ 14″ / 남위 15.60306° 서경 56.12056° /-15.60306; -56.12056남위 03° 04′ 59″서경 60° 01′ 41″ / 남위 3.08306° 서경 60.02806° /-3.08306; -60.02806남위 5° 49′ 44″서경 35° 12′ 50″ / 남위 5.828938° 서경 35.2138639° /-5.828938; -35.2138639남위 25° 26.54′서경 49° 13.37′ / 남위 25.44233° 서경 49.22283° /-25.44233; -49.22283
수용인원:41,112명[29]수용인원:40,549명[29]수용인원:39,971명[29]수용인원:39,631명[29]

국가별 베이스캠프 위치

[편집]

본선 32개(참가국)들은 베이스(캠프)에 머물며, '경기를 앞두고 훈련'했다.

2014년 1월 31일에, FIFA는 각 참가국[베이스]캠프 위치를 발표[27]하였는데, 이에 앞서 84개 후보지를 선정[30]했었다.

대부분 참가국들은 '남동부에 자리' 잡았으나, 단 8개국 만이 예외지역으로 선택되였다!

그중, 5개국(가나,그리스,독일,스위스,크로아티아)등 만이북동부로 선택되었고, 3개국(대대로한민국, 스페인, 에콰도르)등은남부에 그대로 머물렀으며, 기타북부중서부에 위치한 참가국[31]은 없었다.

국가별 베이스캠프 위치
국가베이스캠프 위치
가나마세이오,AL
그리스아라카주,SE
나이지리아캄피나스,SP
네덜란드히우 지 자네이루,RJ
대한민국포스 두 이구아수,PR
독일산타 크루스 카브랄리아,BA
러시아이투,SP
멕시코산투스,SP
미국상파울루,SP
벨기에모지 다스 크루지스,SP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구아루자,SP
브라질테레조폴리스,RJ
스위스포르투 세구루,BA
스페인쿠리치바,PR
아르헨티나베스파지아누,MG
알제리소로카바,SP
브라질의 축구 팬들

FIFA 팬페스트

[편집]

FIFA는 월드컵 3대회(연속) 기간 동안, 12개의 개최 도시에FIFA 팬페스트를 주최하였다.

예를 들자면, 4년 전에도 열었던히우 지 자네이루코파카바나 해변[32]과,상파울루발리 두 안항가바우[33] 등이다.

첫 공식 행사는 2014년 6월 8일에,포르탈레자이라시마 해변에서[34] 열렸다.

변경 사항

[편집]

기술

[편집]

유령골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2014년 FIFA 월드컵에는 앞서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시범적으로 도입해 성공적인 결과를 얻은득점선 판독 기술이 도입되었다. 이 기술은 7개가 득점선에 초점을 맞춘 14개의 초고속 카메라로 이루어진골컨트롤 시스템을 이용한다. 자료는 중앙 이미지 제작처로 보내져, 공 위치를 가상으로 구상해 대형 스크린으로 출력해 득점을 판독했다. 주심 또한 득점 순간에 진동으로 득점 사실을 전달 받을 수 있는 손목시계를 착용했다.[35][36][37] 프랑스의 온두라스와의조별 리그 경기 2번째 골은 득점선 판독 기술이 골을 판독하는데 사용된 첫 사례였다.[38]

시범 도입을 성공적으로 마친 후,[nb 4] FIFA는 FIFA 월드컵 본선 무대에 처음으로 주심의소멸 분무 사용을 허락하였다. 소멸 분무는 수성 분무로, 뿌린 이후 몇 분만에 사라지며,직접 프리킥 상황에서 9.3미터선을 표시하며, 프리킥에 찰 공의 위치를 표시하는데 사용되었다.[39]

아디다스브라주카는 2014년 FIFA 월드컵공인구[40][41][42][43] 파키스탄시알코트포워드 스포츠에서 공급받았다.[40] 아디다스는전 대회에서 사용한아디다스 자블라니에 대해 무수한 비난을 받은 후, 공인구를 새롭게 설계하였다. 공인구 패널 수는 6개로 감소하였고, 각 패널은 열 접착 방식으로 연결되었다. 그에 따라 새 공인구는 전 공인구와 비교해 내구력과 공기역학적 능력이 향상되었다. 더 나아가서, 아디다스는 프로 축구인의 인정을 받기 위해 공인구를 2년이 넘게 긴 시간동안 실험을 진행했다.

쿨링 브레이크

[편집]

브라질 지리의 특성상, 특히 북쪽의 기온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선수의 탈진을 방지하기 위해 쿨링 브레이크가 도입되었다.[44] 쿨링 브레이크는 주심의 재량에 따라 전후반 각각 30분을 넘긴 시점에습구흑구온도가 섭씨 32도를 넘을 경우 한 번 선언할 수 있다.

FIFA 월드컵 역사상 첫 쿨링 브레이크는네덜란드와 멕시코 간의 16강전 32분에 실시되었다.[45][46][47][48] 경기 시작에 앞서 FIFA에 의하면 당시 기온이 섭씨 32도까지 올라갔고, 68%의 습도를 기록했다.[49]

반도핑

[편집]

2014년을 기점으로 FIFA 월드컵에생체 여권이 도입되었다. 대회를 앞두고 모든 선수들의혈액소변 표본을 수집한 후, 경기 후 각 팀당 2명의 선수의 표본이스위스 도핑 분석 연구소에서 분석되었다.[50] FIFA의 보고에 따르면 본선에 참가하는 선수들 중 91.5%가 실험에 임하였고, 양성 반응이 난 선수가 없다고 보고했다.[51] 그러나, FIFA의 도핑 검사법에 대한 접근법은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52][53]

형식

[편집]

1라운드, 혹은 조별 리그에서는 32개 본선 참가국이 4개국씩 8개 조로 나뉘어 경합하였고, 각 국가는 같은 조의 국가들과리그전을 펼쳤다. 조별 리그 경기를 다 치르고, 상위 2팀이 결선 토너먼트 진출 자격을 얻었다.[24] 각국은 1승에 3점, 1무에 1점을 획득했다. 조 내 순위를 비교한 후 동률일 경우, 상대 전적으로 순위를 결정했다.

순위 규정
조별 리그의 각국은 다음 조건으로 순위가 결정된다:
  1. 3경기에서 획득한 총 승점
  2. 3경기에서 기록한 골득실차
  3. 3경기에서 기록한 총 득점
  4. 위 조건에서 모두 동률인 팀들간 획득한 승점
  5. 위 조건에서 모두 동률인 팀들간 기록한 골득실차
  6. 위 조건에서 모두 동률인 팀들간 기록한 총 득점
  7. FIFA 조직위원회의 추첨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에는 4개의 라운드 (16강전, 8강전, 준결승전, 그리고 결승전) 로 구성되었고, 각 라운드의 패자는 탈락하였다. 준결승전에서 패한 두 국가는 3위 결정전을 벌였다. 결선 토너먼트의 모든 경기는 90분이 지나고 양팀이 동률을 이루는 경우, 15분간 두 차례의연장전을 펼쳐 승자를 가렸다. 그 후에도 동률인 경우,승부차기를 통해 승자를 가렸다.[24]

경기 일정은 2011년 10월 20일에 발표되었고,[54] 각 경기의 시작 시간은 2012년 9월 27일에 최종 결정되었다.[55] 조추첨식 후, 7경기의 시작 시간이 FIFA에 의해 보정되었다.[56] 대회 대진표는 조별 리그에서 만난 국가들끼리 결승전 (혹은 3위 결정전) 에 올라가기 전까지 결선 토너먼트에서 재회하지 못하도록 짜여졌다.[24] 조별 리그는 6월 12일에 시작하였고, 2006년 대회부터 내려온 형식대로 개최국이 개막전을 치렀다. 개막전에 앞서 현지 시각으로 15시 15분부터개막식이 진행되었다.[57]

일정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2014년 FIFA 월드컵 일정입니다.

32개국은 도합 64경기를 치렀는데, 이 중 48경기가 조별 리그, 8경기가 16강전, 4경기가 8강전, 2경기가 준결승전이었고, 3위 결정전과결승전이 한 경기씩 치러졌다. 대회 진행 막간에 선수의 회복을 도울 휴식일들이 존재했다.[58] 아래에 기재된 시간은 모두브라질 표준시 (UTC-3)[nb 5]를 따른다.

날짜시각경기장라운드경기팀1결과팀2
목요일
6월 12일
15:15아레나 코린치앙스개막식[62]
조별 리그 1차전
17:00아레나 코린치앙스A조1브라질3-1크로아티아
금요일
6월 13일
13:00아레나 다스 두나스2멕시코1-0카메룬
16:00아레나 폰치 노바B조3스페인1-5네덜란드
19:00아레나 판타나우4칠레3-1오스트레일리아
토요일
6월 14일
13:00미네이랑C조5콜롬비아3-0그리스
22:00아레나 페르남부쿠6코트디부아르2-1일본
16:00카스텔랑D조7우루과이1-3코스타리카
19:00아레나 아마조니아8잉글랜드1-2이탈리아
일요일
6월 15일
13:00이스타지우 마네 가힌샤E조9스위스2-1에콰도르
16:00이스타지우 베이라-히우10프랑스3-0온두라스
19:00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F조11아르헨티나2-1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월요일
6월 16일
16:00아레나 다 바이샤다12이란0-0나이지리아
13:00아레나 폰치 노바G조13독일4-0포르투갈
19:00아레나 다스 두나스14가나1-2미국
화요일
6월 17일
13:00미네이랑H조15벨기에2-1알제리
19:00아레나 판타나우16러시아1-1대한민국
조별 리그 2차전
16:00카스텔랑A조17브라질0-0멕시코
수요일
6월 18일
19:00아레나 아마조니아18카메룬0-4크로아티아
16:00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B조19스페인0-2칠레
13:00이스타지우 베이라-히우20오스트레일리아2-3네덜란드
목요일
6월 19일
13:00이스타지우 마네 가힌샤C조21콜롬비아2-1코트디부아르
19:00아레나 다스 두나스22일본0-0그리스
16:00아레나 코린치앙스D조23우루과이2-1잉글랜드
금요일
6월 20일
13:00아레나 페르남부쿠24이탈리아0-1코스타리카
16:00아레나 폰치 노바E조25스위스2-5프랑스
19:00아레나 다 바이샤다26온두라스1-2에콰도르
토요일
6월 21일
13:00미네이랑F조27아르헨티나1-0이란
19:00아레나 판타나우28나이지리아1-0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6:00카스텔랑G조29독일2-2가나
일요일
6월 22일
19:00아레나 아마조니아30미국2-2포르투갈
13:00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H조31벨기에1-0러시아
16:00이스타지우 베이라-히우32대한민국2-4알제리
월요일
6월 23일
조별 리그 3차전
17:00이스타지우 마네 가힌샤A조33카메룬1-4브라질
17:00아레나 페르남부쿠34크로아티아1-3멕시코
13:00아레나 다 바이샤다B조35오스트레일리아0-3스페인
13:00아레나 코린치앙스36네덜란드2-0칠레
화요일
6월 24일
17:00아레나 판타나우C조37일본1-4콜롬비아
17:00카스텔랑38그리스2-1코트디부아르
13:00아레나 다스 두나스D조39이탈리아0-1우루과이
13:00미네이랑40코스타리카0-0잉글랜드
수요일
6월 25일
17:00아레나 아마조니아E조41온두라스0-3스위스
17:00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42에콰도르0-0프랑스
13:00이스타지우 베이라-히우F조43나이지리아2-3아르헨티나
13:00아레나 폰치 노바44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3-1이란
목요일
6월 26일
13:00아레나 페르남부쿠G조45미국0-1독일
13:00이스타지우 마네 가힌샤46포르투갈2-1가나
17:00아레나 코린치앙스H조47대한민국0-1벨기에
17:00아레나 다 바이샤다48알제리1-1러시아
금요일
6월 27일
휴식일
토요일
6월 28일
결선 토너먼트 경기
13:00미네이랑16강전49브라질1-1 ()
(3-2)
칠레
17:00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50콜롬비아2-0우루과이
일요일
6월 29일
13:00카스텔랑51네덜란드2-1멕시코
17:00아레나 페르남부쿠52코스타리카1-1 ()
(5-3)
그리스
월요일
6월 30일
13:00이스타지우 마네 가힌샤53프랑스2-0나이지리아
17:00이스타지우 베이라-히우54독일2-1 ()알제리
화요일
7월 1일
13:00아레나 코린치앙스55아르헨티나1-0 ()스위스
17:00아레나 폰치 노바56벨기에2-1 ()미국
수요일
7월 2일
휴식일
목요일
7월 3일
금요일
7월 4일
17:00카스텔랑8강전57브라질2-1콜롬비아
13:00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58프랑스0-1독일
토요일
7월 5일
17:00아레나 폰치 노바59네덜란드0-0 ()
(4-3)
코스타리카
13:00이스타지우 마네 가힌샤60아르헨티나1-0벨기에
일요일
7월 6일
휴식일
월요일
7월 7일
화요일
7월 8일
17:00미네이랑준결승전61브라질1-7독일
수요일
7월 9일
17:00아레나 코린치앙스62네덜란드0-0 ()
(2-4)
아르헨티나
목요일
7월 10일
휴식일
금요일
7월 11일
토요일
7월 12일
17:00이스타지우 마네 가힌샤3위 결정전63브라질0-3네덜란드
일요일
7월 13일
14:20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폐막식[63]
16:00결승전64독일1-0 ()아르헨티나

조별 리그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2014년 FIFA 월드컵 조별 리그입니다.

2014년 FIFA 월드컵 조별 리그는 2014년 6월 12일부터 6월 26일까지브라질에서 진행되었고, 각 참가국은 3경기씩 치렀다. 이 대회의 조별 리그는 무승부로 끝난 경기가 상대적으로 적었고, 고득점 경기도 많이 나왔다. 첫 무승부 경기 (이자 무득점 경기)는 대회 13번째 경기인 이란과 나이지리아 간의 경기였다: 이 기록은 1930년 초대 FIFA 월드컵 이래 가장 늦게 나온 첫 무승부였다.[64] 조별 리그 48경기에서 총 136골 (평균 2.83골) 이 터졌는데, 이는 2010년 대회를 통틀어 터진 전체 득점 횟수보다 고작 9회 적은 수치였다.[65] 득점 횟수는 1998년 조별 리그 참가국 수를 32개국으로 확대한 이래 최고 수치였으며,[66] 1958년 대회 이래 조별 리그 역대 최고 경기당 득점을 기록했다.[67] 전 대회 우승국 스페인은 단 2경기만에 탈락했는데, 이는1950년 대회 이탈리아와 동률인 최단 기간 탈락 기록이다.[68] 2014년 스페인 선수단은 1950년 이탈리아, 1966년 브라질, 2002년 프랑스, 그리고 전 대회의 2010년에 이어 1라운드에 탈락한 5번째 FIFA 월드컵 전 대회 우승국이었다.[69]

조별 리그 범례
조 1위와 2위가16강전에 진출한다.
조별 리그 탈락.

A조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2014년 FIFA 월드컵 A조입니다.
경기






승점
브라질(개)321072+57
멕시코321041+37
크로아티아31026603
카메룬300319−80

출처:FIFA보관됨 2019-06-11 -웨이백 머신
다음 라운드 진출 규정:순위 규정
(개) 개최국

2014년 6월 12일
브라질3-1크로아티아아레나 코린치앙스,상파울루
2014년 6월 13일
멕시코1-0카메룬아레나 다스 두나스,나타우
2014년 6월 17일
브라질0-0멕시코카스텔랑,포르탈레자
2014년 6월 18일
카메룬0-4크로아티아아레나 아마조니아,마나우스
2014년 6월 23일
카메룬1-4브라질이스타지우 마네 가힌샤,브라질리아
크로아티아1-3멕시코아레나 페르남부쿠,헤시피

B조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2014년 FIFA 월드컵 B조입니다.
경기






승점
네덜란드3300103+79
칠레320153+26
스페인310247−33
오스트레일리아300339−60

출처:FIFA보관됨 2019-06-11 -웨이백 머신
다음 라운드 진출 규정:순위 규정

2014년 6월 13일
스페인1-5네덜란드아레나 폰치 노바,사우바도르
칠레3-1오스트레일리아아레나 판타나우,쿠이아바
2014년 6월 18일
오스트레일리아2-3네덜란드이스타지우 베이라-히우,포르투 알레그리
스페인0-2칠레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히우 지 자네이루
2014년 6월 23일
오스트레일리아0-3스페인아레나 다 바이샤다,쿠리치바
네덜란드2-0칠레아레나 코린치앙스,상파울루

C조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2014년 FIFA 월드컵 C조입니다.
경기






승점
콜롬비아330092+79
그리스311124−24
코트디부아르310245−13
일본301226−41

출처:FIFA보관됨 2019-06-11 -웨이백 머신
다음 라운드 진출 규정:순위 규정

2014년 6월 14일
콜롬비아3-0그리스미네이랑,벨루 오리존치
코트디부아르2-1일본아레나 페르남부쿠,헤시피
2014년 6월 19일
콜롬비아2-1코트디부아르이스타지우 마네 가힌샤,브라질리아
일본0-0그리스아레나 다스 두나스,나타우
2014년 6월 24일
일본1-4콜롬비아아레나 판타나우,쿠이아바
그리스2-1코트디부아르카스텔랑,포르탈레자

D조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2014년 FIFA 월드컵 D조입니다.
경기






승점
코스타리카321041+37
우루과이32014406
이탈리아310223−13
잉글랜드301224−21

출처:FIFA보관됨 2019-06-11 -웨이백 머신
다음 라운드 진출 규정:순위 규정

2014년 6월 14일
우루과이1-3코스타리카카스텔랑,포르탈레자
잉글랜드1-2이탈리아아레나 아마조니아,마나우스
2014년 6월 19일
우루과이2-1잉글랜드아레나 코린치앙스,상파울루
2014년 6월 20일
이탈리아0-1코스타리카아레나 페르남부쿠,헤시피
2014년 6월 24일
이탈리아0-1우루과이아레나 다스 두나스,나타우
코스타리카0-0잉글랜드미네이랑,벨루 오리존치

E조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2014년 FIFA 월드컵 E조입니다.
경기






승점
프랑스321082+67
스위스320176+16
에콰도르31113304
온두라스300318−70

출처:FIFA보관됨 2019-06-11 -웨이백 머신
다음 라운드 진출 규정:순위 규정

2014년 6월 15일
스위스2-1에콰도르이스타지우 마네 가힌샤,브라질리아
프랑스3-0온두라스이스타지우 베이라-히우,포르투 알레그리
2014년 6월 20일
스위스2-5프랑스아레나 폰치 노바,사우바도르
온두라스1-2에콰도르아레나 다 바이샤다,쿠리치바
2014년 6월 25일
온두라스0-3스위스아레나 아마조니아,마나우스
에콰도르0-0프랑스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히우 지 자네이루

F조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2014년 FIFA 월드컵 F조입니다.
경기






승점
아르헨티나330063+39
나이지리아31113304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31024403
이란301214−31

출처:FIFA보관됨 2019-06-11 -웨이백 머신
다음 라운드 진출 규정:순위 규정

2014년 6월 15일
아르헨티나2-1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히우 지 자네이루
2014년 6월 16일
이란0-0나이지리아아레나 다 바이샤다,쿠리치바
2014년 6월 21일
아르헨티나1-0이란미네이랑,벨루 오리존치
나이지리아1-0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아레나 판타나우,쿠이아바
2014년 6월 25일
나이지리아2-3아르헨티나이스타지우 베이라-히우,포르투 알레그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3-1이란아레나 폰치 노바,사우바도르

G조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2014년 FIFA 월드컵 G조입니다.
경기






승점
독일321072+57
미국31114404
포르투갈311147−34
가나301246−21

출처:FIFA보관됨 2019-06-11 -웨이백 머신
다음 라운드 진출 규정:순위 규정

2014년 6월 16일
독일4-0포르투갈아레나 폰치 노바,사우바도르
가나1-2미국아레나 다스 두나스,나타우
2014년 6월 21일
독일2-2가나카스텔랑,포르탈레자
2014년 6월 22일
미국2-2포르투갈아레나 아마조니아,마나우스
2014년 6월 26일
미국0-1독일아레나 페르남부쿠,헤시피
포르투갈2-1가나이스타지우 마네 가힌샤,브라질리아

H조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2014년 FIFA 월드컵 H조입니다.
경기






승점
벨기에330041+39
알제리311165+14
러시아302123−12
대한민국301236−31

출처:FIFA보관됨 2019-06-11 -웨이백 머신
다음 라운드 진출 규정:순위 규정

2014년 6월 17일
벨기에2-1알제리미네이랑,벨루 오리존치
러시아1-1대한민국아레나 판타나우,쿠이아바
2014년 6월 22일
벨기에1-0러시아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히우 지 자네이루
대한민국2-4알제리이스타지우 베이라-히우,포르투 알레그리
2014년 6월 26일
대한민국0-1벨기에아레나 코린치앙스,상파울루
알제리1-1러시아아레나 다 바이샤다,쿠리치바

결선 토너먼트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2014년 FIFA 월드컵 결선 토너먼트입니다.
 
16강전8강전준결승전결승전
 
              
 
6월 28일 -벨루 오리존치
 
 
브라질 ()1 (3)
 
7월 4일 -포르탈레자
 
칠레1 (2)
 
브라질2
 
6월 28일 -히우 지 자네이루
 
콜롬비아1
 
콜롬비아2
 
7월 8일 -벨루 오리존치
 
우루과이0
 
브라질1
 
6월 30일 -브라질리아
 
독일7
 
프랑스2
 
7월 4일 -히우 지 자네이루
 
나이지리아0
 
프랑스0
 
6월 30일 -포르투 알레그리
 
독일1
 
독일 ()2
 
7월 13일 -히우 지 자네이루
 
알제리1
 
독일 ()1
 
6월 29일 -포르탈레자
 
아르헨티나0
 
네덜란드2
 
7월 5일 -사우바도르
 
멕시코1
 
네덜란드 ()0 (4)
 
6월 29일 -헤시피
 
코스타리카0 (3)
 
코스타리카 ()1 (5)
 
7월 9일 -상파울루
 
그리스1 (3)
 
네덜란드0 (2)
 
7월 1일 -상파울루
 
아르헨티나 ()0 (4)3위 결정전
 
아르헨티나 ()1
 
7월 5일 -브라질리아7월 12일 -브라질리아
 
스위스0
 
아르헨티나1브라질0
 
7월 1일 -사우바도르
 
벨기에0네덜란드3
 
벨기에 ()2
 
 
미국1
 

연장전에서 승부가 난 경기는 (연) 으로, 승부차기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한 국가는 (승)으로 표기되며, 괄호 안의 수는 승부차기 득점을 나타낸다.

16강전

[편집]

1986년 조별 리그 이후 16강을 치르는 방식을 도입한 이래, 처음으로 8강 진출국이 모두 각 조의 1위를 차지한 국가로 결정되었다.[70] 이들 중에 4개국이 UEFA 소속국이었고, CONMEBOL 소속국은 셋, CONCACAF 소속국은 하나였다. 8경기 중, 5경기가 연장전에 돌입했고, 이들 중 두경기는승부차기까지 가서 승부가 결정되었다; 16강에서 승부차기로 승부가 결정된 경기가 둘 이상 나온 것은 이번 대회가 처음이었다.[nb 6] 16강전의 골평균은 2.26로, 조별 리그와 비교해 경기당 0.58골이 줄었다.[71] 16강전에서 승리를 거둔 국가들로는 전에 우승을 거둔 국가가 넷, (브라질, 독일, 아르헨티나, 그리고 프랑스) 세차례 준우승국, (네덜란드) 4위 유경험국, (벨기에) 그리고 첫 8강 진출국 둘 (콜롬비아와 코스타리카) 가 있었다.[72][73] 벨기에는 1986년 이래 처음으로 8강에 진출했다.[74]

아래에 명시된 시간은 모두브라질리아 표준시(UTC−3)를 기준으로 한다.

브라질1 – 1(연장전)칠레
다비드 루이스18분에 득점 18′리포트32분에 득점 32′산체스
승부차기
다비드 루이스성공
윌리앙실패
마르셀루성공
헐크실패
네이마르성공
3 – 2실패피니야
실패산체스
성공아랑기스
성공디아스
실패하라
관중: 57,714

콜롬비아2 – 0우루과이
로드리게스28분, 50분에 득점 28′50′리포트
관중: 73,804

네덜란드2 – 1멕시코
스네이더르88분에 득점 88′
휜텔라르90+4분에 득점 90+4′ (페널티골)
리포트48분에 득점 48′도스 산토스
관중: 58,817

코스타리카1 – 1(연장전)그리스
루이스52분에 득점 52′리포트90+1분에 득점 90+1′파파스타토풀로스
승부차기
보르헤스성공
루이스성공
곤살레스성공
캠벨성공
우마냐성공
5 – 3성공미트로글루
성공흐리스토둘로풀로스
성공홀레바스
실패게카스
관중: 41,242

프랑스2 – 0나이지리아
포그바79분에 득점 79′
요보90+2분에 득점 (상대 자책골) 90+2′ (자책골)
리포트
관중: 67,882

독일2 – 1(연장전)알제리
쉬를레92분에 득점 92′
외질120분에 득점 120′
리포트120+1분에 득점 120+1′자부
관중: 43,063

아르헨티나1 – 0(연장전)스위스
디 마리아118분에 득점 118′리포트
관중: 63,255

벨기에2 – 1(연장전)미국
더 브라위너93분에 득점 93′
루카쿠105분에 득점 105′
리포트107분에 득점 107′그린
관중: 51,227

8강전

[편집]

프랑스전 1-0 승리로, 독일은 FIFA 월드컵 4대회 연속 준결승 진출이라는 금자탑을 세웠다. 브라질은 콜롬비아를 2-1로 제쳤지만,네이마르가 중상을 당해 나머지 경기에서 빠지게 되었다. 아르헨티나는 벨기에를 1-0으로 이기고 1990년 대회 이래 처음으로 준결승 진출에 성공하였지만앙헬 디 마리아가 부상을 당해 나머지 경기에서 빠지게 되었다. 네덜란드는 코스타리카와 연장전까지 득점 없는 승부를 펼치다승부차기로 이기고 두 대회 연속 준결승전 무대에 올랐다.

프랑스0 – 1독일
리포트13분에 득점 13′후멜스
관중: 74,240

브라질2 – 1콜롬비아
치아구 시우바7분에 득점 7′
다비드 루이스69분에 득점 69′
리포트80분에 득점 80′ (페널티골)로드리게스
관중: 60,342

아르헨티나1 – 0벨기에
이과인8분에 득점 8′리포트
관중: 68,551

네덜란드0 – 0(연장전)코스타리카
리포트
승부차기
판 페르시성공
로번성공
스네이더르성공
카위트성공
4 – 3성공보르헤스
실패루이스
성공곤살레스
성공볼라뇨스
실패우마냐
관중: 51,179

준결승전

[편집]

독일은 브라질에7-1 대승을 거두고 8번째 FIFA 월드컵 결승길에 올랐는데, 브라질은 1920년 이래 역대 최악의 참패를 당했다. 이 경기에서 통산 16번째 FIFA 월드컵 골을 기록한미로슬라프 클로제는 종전에 역대 최다골 기록을 공유하던호나우두를 제치게 되었다.[75] 클로제는 또한 4차례의 FIFA 월드컵 준결승전에 진출한 최초의 선수로도 이름을 올렸다.[76] 아르헨티나는 네덜란드와 연장전까지 득점 없이 경합하다승부차기로 이기며 5번째 결승 진출에 성공했고, 1990년 이래 처음으로 결승 진출을 달성했다.

 이 부분의 본문은브라질 대 독일 (2014년 FIFA 월드컵)입니다.
브라질1 – 7독일
오스카르90분에 득점 90′리포트11분에 득점 11′뮐러
23분에 득점 23′클로제
24분, 26분에 득점 24′26′크로스
29분에 득점 29′케디라
69분, 79분에 득점 69′79′쉬를레
관중: 58,141

네덜란드0 – 0(연장전)아르헨티나
리포트
승부차기
플라르실패
로번성공
스네이더르실패
카윗성공
2 – 4성공메시
성공가라이
성공아궤로
성공로드리게스
관중: 63,267

3위 결정전

[편집]

지난 대회 준우승국 네덜란드는 브라질을 3-0으로 이기고 FIFA 월드컵 사상 첫 3위의 성적을 냈다.[77] 브라질은 이 대회를 통틀어 15골을 실점했다. 이는 1986년 대회 이래 단일 국가가 단일 FIFA 월드컵 대회에서 기록한 최다 실점이며, 개최국이 기록한 역대 최다 실점 기록이기도 하다. 그러나, 4위는 브라질이 2002년에 5번째 FIFA 월드컵을 우승한 이래 거둔 최고 성적이기도 했다.[78]

브라질0 – 3네덜란드
리포트3분에 득점 3′ (페널티골)반 페르시
20분에 득점 20′블린트
90+1분에 득점 90+1′베이날둠
관중: 68,034

결승전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입니다.

결승전은 독일과 아르헨티나간의 대결로, 양국간의 결승전 맞대결은 1986년과 1990년에 이어 역대 최다인 세번째이다.

독일1 – 0(연장전)아르헨티나
괴체113분에 득점 113′리포트
관중: 74,738

독일이 이 대회 우승을 차지하면서 유럽은2006년 이탈리아와2010년 스페인에 이어 3대회 연속으로 FIFA 월드컵 우승국을 배출하였다. 또한 이번 대회에서는 유럽 국가가 처음으로 아메리카 대륙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도합하여 유럽은 11번 FIFA 월드컵 우승을 거두어, 9번 우승한 남아메리카를 2회로 제쳤다.

우승국

[편집]
2014년 FIFA 월드컵
독일
독일
4번째 우승


통계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2014년 FIFA 월드컵 통계입니다.
 FIFA 월드컵 기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득점 선수

[편집]

하메스 로드리게스는 6골을 득점해골든 슈를 받았고, 그는 이 상을 받은 최초의 콜롬비아인이었다. 도합하여 171골이 역대 최다인 121명의 선수에 의해 기록되었는데, 이 중 5골은 자책골이었다.

6골
5골
4골

3골

2골

1골

자책골

출처: FIFA[79]

도움 기록

[편집]

토니 크로스후안 콰드라도가 각각 4도움으로 최다 도움을 기록했다.

4도움

3도움

2도움

1도움

출처: UEFA[80]

징계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2014년 FIFA 월드컵 경고 기록입니다.

가장 주목받은 징계 사례들 중 하나로는 우루과이 공격수루이스 수아레스가 이탈리아의 수비수조르조 키엘리니깨문 혐의로9경기 출장 정지 및 4개월 축구 활동 금지의 징계 (경기장 입장 포함)를 받은 사건이다. 그에게는 100,000CHF의 벌금령도 내려졌다.[81][82][83]스포츠 중재 재판소에 항소를 제출하면서, 수아레스는 이후 새 소속 구단인바르셀로나의 훈련 및 친선경기 참가가 가능하게 되었다.[84]

수상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2014년 FIFA 월드컵 수상입니다.

대회 종료 후, 다음의 상이 해당 선수들에게 수여되었다:[85][86]

수상자후보
골든 볼

1아르헨티나리오넬 메시
2독일토마스 뮐러
3네덜란드아르연 로번

아르헨티나앙헬 디 마리아
콜롬비아하메스 로드리게스
아르헨티나하비에르 마스체라노
독일마츠 후멜스
브라질네이마르
독일필리프 람
독일토니 크로스[87]

골든 슈

1콜롬비아하메스 로드리게스 (6골, 2도움)
2독일토마스 뮐러 (5골, 3도움)
3브라질네이마르 (4골, 1도움)[88]

골든 글러브

독일마누엘 노이어

코스타리카케일러 나바스
아르헨티나세르히오 로메로[89]

최우수 신인 선수상

프랑스폴 포그바

네덜란드멤피스 데파이
프랑스라파엘 바란[90]

FIFA 페어 플레이 트로피

콜롬비아

기술위원회

다음의 기술위원회 일원들은, FIFA의 기술 부서장인장-폴 브리제르에 조직되어 협회를 구성해 수상자를 선정하였다:[91]

2014년 대회의 투표 절차가 변경되었다: 2010년 대회에서는 언론이 골든 볼 수상자를 결정했지만,[92] 2014년 대회에는 기술위원회 일원만이 수상자를 선정할 권한을 지녔다.[93]

드림팀

[편집]

2010년 대회와 마찬가지로 FIFA는 공식FIFA 월드컵 수상#올스타 팀을 발표하지 않았고, FIFA.com의 회원들이 드림팀을 구성할 선수들을 투표하게 했다.[94]

골키퍼수비수미드필더공격수감독

독일마누엘 노이어 (독일)

브라질마르셀루 (브라질)
독일마츠 후멜스 (독일)
브라질치아구 시우바 (브라질)
브라질다비드 루이스 (브라질)

아르헨티나앙헬 디 마리아 (아르헨티나)
독일토니 크로스 (독일)
콜롬비아하메스 로드리게스 (콜롬비아)

브라질네이마르 (브라질)
아르헨티나리오넬 메시 (아르헨티나)
독일토마스 뮐러 (독일)

독일요아힘 뢰프 (독일)

대회 공식 스폰서인캐스트롤은 자사에서 통계를 기반으로 하여 선수의 성과를 반영해 평가한캐스트롤 성과 지수를 기준으로 구성된 팀을 발표했다. 팀은 각 선수 배치 위치에 따라 최고 평가를 받은 선수들로 배치되었고,토니 크로스는 이 점수 체계에서 1위를 차지했다.[95] 골든볼 수상자인리오넬 메시는 공격수들 중 5위를 차지해 이 팀 안에 들지 못했다.[96]

골키퍼수비수미드필더공격수

독일마누엘 노이어 (독일)

아르헨티나마르코스 로호 (아르헨티나)
독일마츠 후멜스 (독일)
브라질치아구 시우바 (브라질)
네덜란드스테판 더 프레이 (네덜란드)

브라질오스카르 (브라질)
독일토니 크로스 (독일)
독일필리프 람 (독일)
콜롬비아하메스 로드리게스 (콜롬비아)

네덜란드아르연 로번 (네덜란드)
독일토마스 뮐러 (독일)

상금

[편집]

FIFA에 의하면 대회 참가국에 주어진 총 상금은$776M (구단에 지급된 $70M과 선수 보험금 $100M 포함해서)으로 책정되었는데, 이는2010년 대회에 책정된 금액과 비교하면 37% 증가한 수치였다. 대회 전, 본선에 참가하는 32개국은 $1.5M의 준비 지원금을 받았다. 본선 대회에서 받는 상금의 금액은 다음과 같다:[97]

최종 순위

[편집]

결승전 이후,FIFA는 대회에 참가한 국가들의 최종 순위를 발표하였다. 순위는 대회에서 진출한 라운드, 전체적 결과와 상대와의 결과 비교를 반영한 것이다. 모든 32개국의 순위는FIFA의 조건에 따라 나열되었다.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

참고: 축구의 통계적인 법칙에 따라연장전에서 승부가 난 경기는 똑같이 승패로 간주되지만,승부차기를 통해 승부가 난 경기는 무승부로 간주된다.[98]

이 문단의 정확성과 사실 여부에 대해 논란이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토론:2014년 FIFA 월드컵에서 나누어 주세요.(2023년 8월 18일)
1독일G7610184+1419
2아르헨티나F7511105+517
3네덜란드B7520154+1118
4브라질A73221215−312
8강전에서 탈락
5콜롬비아C5401124+812
6벨기에H540163+312
7프랑스E5311103+710
8코스타리카D523052+310
16강전에서 탈락
9칠레B4220107+37
10멕시코A421153+27
11스위스E42027706
12우루과이D420246−26
13그리스C412135−25
14알제리H41127704
15미국G411256−14
16나이지리아F411235−24
조별 리그에서 탈락
17에콰도르E31113304
18포르투갈G311147−34
19크로아티아A31026603
20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F31024403
21스페인B310256−13
22코트디부아르C310245−13
23이탈리아D310223-13
24러시아H302123−12
25가나G301246−21
26잉글랜드D301224−21
27대한민국H301236−31
28이란F301214−31
29일본C301226−41
30오스트레일리아B3003310−70
31온두라스E300318−70
32카메룬A300319−80

준비 및 예산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2014년 FIFA 월드컵 준비입니다.

대회를 앞두고 브라질 정부가 대회를 준비하는데 140억 달러의 예산을 사용할 것으로 전망해, 역대 최고액의 예산이 사용된 FIFA 월드컵이 되었다.[99] FIFA는 결승전만 개최하는 데에도 20억 달러의 예산이 들 것으로 책정했고,[100]상금만 해도 5억 7600만 달러가 책정되었다.[97]

조직위원회는 초기에 11억 달러의 예산이 들 것으로 책정했지만,[101] 실제 경기장 공사에 들인 예산만으로도 36억 달러가 들어갔다.[102][103] 5개의 개최 도시에서는 FIFA 월드컵 경기를 전용으로 치를 신축 경기장을 세웠는데, 수도브라질리아이스타지우 마네 가힌샤는 기존의 경기장을 철거하고 다시 지은 것으로, 나머지 6개의 경기장도 재단장하는데 많은 예산이 소요되었다.[104]

추가적으로 30억헤알 (2014년 6월 환율로 9억 6000만 유로, 13억 달러, 7억 8000만 파운드에 해당) 이 브라질 정부가 2014년 FIFA 월드컵과 그 후의 사용될 기반 시설 구축에 사용된 것으로 발표되었다.[105] 그러나, 기존에 다수 계획된 안건들이 제 시간에 완료되지 못하면서 브라질 국민들의 불만을 샀다.[106][107][108]

브라질 정부는 9억 달러의 비용이 치안 관리에 사용될 것이며 "역사상 가장 안전한 대회"를 개최할 것임을 약속했다.[109]

마케팅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2014년 FIFA 월드컵 마케팅입니다.

2014년 FIFA 월드컵의 마케팅 영역에 포함된 부분에는 입장권 판매, 스폰서의 지원, 그리고 대회의주제가를 사용한 대회 홍보 등이 있었다. 대회의 주요 상품으로는공식 마스코트외에도EA 스포츠가 개발한공식 게임도 있었다.[110] 대회 공식 주제가는 "우리는 하나 (올레 올라)" (We Are One (Ole Ola)) 로핏불,제니퍼 로페스, 그리고클라우지아 레이치가 합동으로 불렀다.[111]독일 축구 협회의 공식 협찬 항공사인루프트한자는 "판한자" (Fanhansa) 로 일부 독일 대표팀 선수들의 항공로를 운행했으며, 언론인들, 그리고 축구팬들을 수송한 항공기의 포장을 덧씌웠다.[112]

매체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2014년 FIFA 월드컵 중계권입니다.

4대회 연속으로 FIFA 월드컵 결승전의 중계 영상은인프런트 스포츠 & 미디어의 자회사 HBS(개최국 방송 중계사)가 제공했다.[113]소니는 공식 장비 제공사로써 12대의 12미터짜리 포장에 든고선명 비디오 장치를, 각 대회가 열리는 경기장에 배치하여, 필요한 장비를 충당했다.[114][115] 각 경기를 촬영하는데 37대의 표준 카메라가 동원되었고, 이 중에는 공중 및 케이블 카메라, 초고속 카메라 2대, 그리고 기자회견 전용 카메라가 있었다.[115]대회 공식 영상물은 물론 3경기[nb 7]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성공적으로 시범을 보인초고선명 기술(4K 해상도)로 촬영할 예정을 잡았다.[116]

(텔레비전, 라디오, 인터넷, 및 휴대전화 중계를 포함한) 대회 중계권은 FIFA 혹은유럽 방송 연맹,이베로아메리카 텔레비전 방송 연맹, 인터넷 매체,덴쓰, 그리고 RS 국제 방송 및 스포츠 관리회 등의 계약사를 통해 각국의 방송사에 판매되었다.[117] 중계권 판매는 FIFA 월드컵을 주최하며 벌이는 FIFA 수익의 60% 정도를 차지했다.[118] 국제 방송 센터는 히우 지 자네이루 인근에 위치한바라 다 티주카히우센트루에 위치했다.[119][120]

전 세계적으로, 몇몇 경기는 각국의 2014년 1년 중 가장 많은 주목을 받은 경기라는 기록을 세웠는데, 이 중 한 경기는 4290만명이 본 브라질의 크로아티아전 대회 첫 경기였고, 일본에서는 코트디부아르전을 3410만명이 관정했으며, 독일은 아르헨티나를 상대로 승리하며 FIFA 월드컵을 들어올리는 것을 목격한 사람이 3470만명이었으며,[121] 미국과 포르투갈간 경기는 2470만명이 시청해 미국에서 최고 시청률을 기록한 축구 경기가 되었다.[122] FIFA의 통계에 의하면 10억명이 넘는 세계인들이 독일과 아르헨티나간결승전을 시청했다.[123]

논란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2014년 FIFA 월드컵 논란입니다.

2014년 FIFA 월드컵은 다수의 논란을 낳았는데, 이 중에는 대회 전부터 진행된 시위가 있었다. 더 나아가서, 안전과 관련된 문제가 제기되었는데, 건설 근로자가 8명 사망했고,[124][125]쿠이아바 경기장 건설 작업 중 화재가 발생했으며,[126] 관중이 경기장에 난입하고,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의 임시계단이 불안정했고,상파울루모노레일과,[127]벨루 오리존치미개통 고가로가 붕괴되었었다.[128] 1000호가 넘는히우 지 자네이루의 빈민촌의 집들이 시위와 반대 활동에도 불구하고 FIFA 월드컵 기간동안 재개발을 목적으로 철거가 강행되었다. 마라카낭 인근에 2010년 기준으로 700호의 보금자리였던 파벨라 두 메트로는 그 결과 완전히 철거되었다.[129][130][131]

대회 진행 기간동안심판판정이 논란의 도마에 올랐는데, 당사자로는니시무라 유이치,밀로라드 마지치,엔리케 오세스,피터 오리어리,랍샨 이르마토프,하워드 웹,마크 가이거,카를로스 벨라스코 카르바요 주심과 움베르토 클라비호 부심이 자질을 놓고 질타를 받았다. 가장 논란이 된 사례를 손꼽는다면 우루과이 공격수루이스 수아레스우루과이이탈리아간의 조별 리그 경기에서이탈리아 선수조르조 키엘리니를 깨문 것으로, 수아레스는 나중에 징계를 받았다.

시위

[편집]
개막일에 진행한 FIFA 월드컵 반대 시위.
 2014년 FIFA 월드컵 논란 § 시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13년 브라질 시위2014년 브라질 시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브라질에서 열린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개막식을 앞두고,경기장 앞에서 FIFA 월드컵을 개최하는데 혈세를 낭비한 것에 불만을 가진 시민들을 중심으로 시위가 진행되었다.[132]지우마 호세프브라질 대통령제프 블라터 FIFA 회장 모두 2013년 대회 개막식 연설을 전달할 때 크게 야유를 받았고,[133] 결국 FIFA는2014년 FIFA 월드컵 개막식이 연설 없이 진행될 것으로 발표되었다.[134]

더 많은 시위가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진행 기간 동안에도 FIFA 월드컵 개최 전이나 기간 동안만큼 진행되었다.[135][136][137][138][139]

경기장 난입

[편집]
 2014년 FIFA 월드컵 논란 § 경기장 난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스페인칠레 간의B조 경기에서 100여명의 칠레 팬들이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 경기장 외곽에 웅집해 경기장으로 밀고 들어가 매체 센터에서 소동을 일으켰다. 헌병 경찰은 85명의 칠레인이 사건 현장에서 검거되었지만, 나머지는 관중석에 난입했다고 보고했다. 앞서 20명의 아르헨티나인들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의F조 경기에서 같은 경기장 난입 사건을 벌였었다.[140][141]

고가 붕괴 사고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벨루 오리존치 고가로 붕괴 사고입니다.

2014년 7월 3일, FIFA 월드컵기반 시설 확장 계획에 따라 공사중이던벨루 오리존치고가로가 붕괴해 통행량이 많은 바로 아래의대로를 덮쳐, 22명이 부상당하고, 2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142][143]

머리 부상

[편집]

대회 도중, FIFA는 경기 도중에 발생한 머리 부상에 대한 미흡한 대처로 질타를 받았다. 이 사건은 무려 2건이나 발생하면서 문제가 수면 위로 올랐다. 우선, 조별 리그 경기에서 우루과이의알바로 페레이라 수비수가 머리를 가격당하고 의식 없이 쓰러졌었다.[144] 우루과이 의료진은 선수에게 교체를 권했지만, 경기에 복귀했다. 이 사태는 프로 선수 연합 FIFPro와 미셸 동에 FIFA 행정 위원, 그리고 의료 위원회의 회장으로부터 비난을 샀다.[145]

또, 결승전에서는, 독일의크리스토프 크라머 미드필더가 14분에 머리를 충돌했지만, 경기에 다시 임하다가 31분에 쓰러졌었다. 당시, 크라머는 정신이 나가고 혼란스러운 상태였고,니콜라 리촐리 주심에게 자신이 임하는 경기가 FIFA 월드컵 결승전인지까지 질문을 건네기도 했었다.[146]

스폰서십

[편집]

2014년 FIFA 월드컵의 공식 스폰서십은 다음과 같다.[147]

FIFA 파트너FIFA 월드컵 스폰서브라질 국내 스폰서
  • 브라질 무역투자진흥공사
  • 가로투
  • 센타우루
  • 이타우 은행
  • 리버티 세구로스
  • 와이즈업

같이 보기

[편집]

참조

[편집]
  1. 브라질 포르투갈어 표준 발음으로는[ˈkɔpɐ du ˈmũdu da ˈfifɐ bɾaˈziw ˈdojz ˈmiw i kaˈtoʁzi]로 발음한다.
  2.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1992년까지 8번의 FIFA 월드컵에 참가한 유고슬라비아의 일부였다.
  3. 아레나 페르남부쿠헤시피 도시권상 로렌수 다 마타에 위치해 있다.
  4. 분무는2013년 FIFA U-20 월드컵,2013년 FIFA U-17 월드컵, 그리고FIFA 클럽 월드컵 2013에 시범적으로 사용되었다.
  5. 이 시간대는 12개 도시들 중 10개 도시의 시간대이다: 나머지 두 도시,쿠이아바마나우스아마존 시간대 (UTC-4) 에 위치하며, 그에 따라 경기 시작 시각은 현지 시각으로 여기 기재된 시각보다 1시간 앞이다.[59] 경기 일정은 2011년 10월 20일,취리히의 FIFA 본부에서 발표되었다.[60] 조추첨 후, 7경기의 시작 시간이 FIFA에 의해 보정되었다.[61]
  6. 1938년 대회의 16강전의 두 경기에서도 연장전 끝에 승부가 나지 않았지만, 당시는재시합을 통해 승부를 가렸다.
  7. 고선명 카메라로 촬영될 경기는 16강전 1경기, (6월 28일) 8강전 1경기, (7월 4일) 그리고 결승전으로 계획되었다.

각주

[편집]
  1. “뉴스데스크 네덜란드, 브라질에 3-0 완승으로 3위…체면 구긴 삼바군단”. 《MBC뉴스데스크》. 2014.7.13.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date= (도움말)
  2. “FIFA launch GLT tender for Brazil 2013/14”.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3년 2월 19일. 2013년 10월 2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15일에 확인함. 
  3. “G1 - Em balanço da Copa, Dilma diz que Brasil derrotou prognósticos 'terríveis' - notícias em Política” (포르투갈어). 《Política》. 
  4. “뉴스데스크 네덜란드, 브라질에 3-0 완승으로 3위…체면 구긴 삼바군단”. 《MBC뉴스데스크》. 2014.7.13.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date= (도움말)
  5. “If the World Cup started tomorrow”. ESPN. 2013년 6월 12일. 
  6. Owen, David.“Battle of the Brands: Adidas lifts the World Cup, but Nike scores most goals”. 《Inside World Football》. 2016년 3월 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7. “Numbers Game: All the stats from Germany's fourth World Cup triumph”. 《Firstpost》.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8. “2014 FIFA World Cup to be held in South America”. FIFA. 2003년 3월 7일. 2015년 4월 1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15일에 확인함. 
  9. “Rotation ends in 2018”.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07년 10월 29일. 2014년 12월 2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15일에 확인함. 
  10. “Brazil may lose the right to hold World Cup 2014”. 《Pravda.Ru》. 2014년 6월 25일에 확인함. 
  11. “Brazil confirms bid – Colombia withdraws”.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07년 4월 13일. 2016년 3월 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15일에 확인함. 
  12. “Brazil confirmed as 2014 hosts”.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07년 10월 30일. 2018년 4월 2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15일에 확인함. 
  13. “FIFA/Coca-Cola Rankings”.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6월 5일. 2014년 11월 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1일에 확인함. 
  14. “1 day to go”.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6월 11일. 2014년 7월 1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15일에 확인함. 
  15. “Pot 1 seeds set for Brazil 2014 draws”.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3년 10월 17일. 2015년 1월 2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23일에 확인함. 
  16. “Draw procedures approved”.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3년 12월 3일. 2014년 7월 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3일에 확인함. 
  17. “Final draw procedures”(PDF).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3년 12월 3일. 2019년 3월 18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3일에 확인함. 
  18. “Final Draw reveals intriguing groups”.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3년 12월 6일. 2014년 7월 1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15일에 확인함. 
  19. “A team of stars for the draw”.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3년 12월 5일. 2014년 7월 16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15일에 확인함. 
  20. “Referee trios and support duos appointed for 2014 FIFA World Cup”.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1월 15일. 2014년 7월 1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15일에 확인함. 
  21. “Referees & assistant referees for the 2014 FIFA World Cup”(PDF).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5월 28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15일에 확인함. 
  22. “Referee designations for matches 1–4”(PDF). 《fifa.com》. 2014년 6월 10일. 2014년 6월 30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15일에 확인함. 
  23. “2014 FIFA World Cup™ - Matches - FIFA.com”. 《FIFA.com》. 
  24. “Regulations – FIFA World Cup Brazil 2014”(PDF).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3월 8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15일에 확인함. 
  25. “Host cities in 1950 FIFA World Cup”. Colunas.globoesporte.com. 2011년 8월 2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0월 9일에 확인함. 
  26. “2014 FIFA World Cup: Luck of the draw 'an essential component'. BBC Sport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3년 12월 2일. 
  27. “Team Base Camps for Brazil 2014 announced”.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1월 21일. 2014년 7월 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15일에 확인함. 
  28. “FIFA Fan Fest locations confirmed”.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1월 20일. 2015년 2월 26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15일에 확인함. 
  29. 《2014 FIFA World Cup Brazil Venues》. FIFA.com. 2012년 1월 18일. 2019년 5월 16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2일에 확인함. 
  30. “Team Base Camps Brochure”(PDF).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3년 11월 7일. 2014년 6월 6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16일에 확인함. 
  31. “Most teams pick bases in south east Brazil”. BBC Sport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4년 2월 1일. 
  32. “World Cup 2014 FanCamps and FanFests”. 2014년 2월 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8월 8일에 확인함. 
  33. “FIFA Fan Fest locations confirmed”. 2015년 2월 26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월 20일에 확인함. 
  34. “Ronaldo kicks off FIFA Fan Fest”. 2014년 6월 9일. 2014년 6월 1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16일에 확인함. 
  35. “Behind the Scenes with GoalControl”. 《Deutsche Welle》. 2014년 7월 1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36. “World Cup 2014: Goal Control goal-line technology to be used in Brazil”. 《Yahoo! News》.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37. WOLDE, HARRO TEN (2014년 5월 29일).“German firm behind goal-line technology looks beyond World Cup”. 《Reuters》 (Thomson Reuters). 2014년 7월 1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38. Gibbs, Samuel.“World Cup goalline technology: how does it work?”. The Guardian. 2014년 6월 18일에 확인함. 
  39. “Vanishing spray set for World Cup”. eurosport.com. 2013년 11월 21일. 
  40. Howells, Richard (2014년 6월 11일).“World Cup 2014: Adidas "Brazuca" Ball Scores With Fans”. 《Forbes》 (Forbes). 2014년 6월 14일에 확인함. 
  41. “adidas Brazuca – Name of Official Match Ball decided by Brazilian fans”.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12월 2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9월 3일에 확인함. 
  42. “Brazuca – an icon is born”. 《Adidas》. Adidas Group. 2014년 7월 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4일에 확인함. 
  43. “adidas brings brazuca into the world”.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3년 12월 3일. 2014년 7월 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4일에 확인함. 
  44. “FIFA approves extra breaks to help players keep their cool”. Inside World Football. 2013년 10월 7일. 2014년 7월 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8일에 확인함. 
  45. “Heat forces first cooling breaks in Brazil”. 《BBC Sport》. 2014년 7월 2일에 확인함. 
  46. “A cool first and a historic triumph”. 《FIFA.com》. 2017년 3월 1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1일에 확인함. 
  47. Hicks, Brandon (2014년 6월 29일).“FIFA World Cup: Netherlands 2, Mexico 1”. 《CBC Sports》. 2014년 7월 1일에 확인함. 
  48. “MEX & NED Players take first cooling break”. 《Twitter》. 
  49. “Match Report”. 《FIFA》. 2017년 7월 1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1일에 확인함. 
  50. (프랑스어)Anti-dopage. Dvorak : "Le profil biologique, une approche complètement nouvelle"보관됨 2017-03-12 -웨이백 머신, fifa.com (2014년 6월 11일 확인).
  51. “All pre-FIFA World Cup doping controls test negative”. FIFA.com. 2014년 6월 14일. 2014년 7월 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24일에 확인함. 
  52. “Doping controls at the World Cup in Brazil leave a lot to be desired – Sports News | Latest Sports Results & Fixtures | The Irish Times – Sat, Jun 07, 2014”. The Irish Times. 2014년 6월 7일. 2014년 6월 24일에 확인함. 
  53. Rumsby, Ben (2014년 6월 21일).“World Cup 2014: Diego Maradona accuses Fifa of drug testing conspiracy against Costa Rica”. London: Telegraph. 2014년 6월 24일에 확인함. 
  54. “Match schedule for 2014 FIFA World Cup unveiled”.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1년 10월 20일. 2014년 3월 2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16일에 확인함. 
  55. “FIFA Executive Committee approves kick-off times for Brazil 2014”.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2년 9월 27일. 2014년 7월 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16일에 확인함. 
  56. “Match schedule for Brazil 2014 confirmed”.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3년 12월 7일. 2014년 7월 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16일에 확인함. 
  57. “Brazil 2014: Opening ceremony”.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6월 12일. 2014년 6월 16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16일에 확인함. 
  58. “2014 FIFA World Cup Brazil - Matches”. FIFA. 2015년 12월 2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5일에 확인함. 
  59. “MATCH SCHEDULE – 2014 FIFA World Cup Brazil”(PDF). FIFA. 2014년 6월 16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5일에 확인함. 
  60. “Match schedule for 2014 FIFA World Cup unveiled”. FIFA. 2011년 10월 20일. 2014년 3월 2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16일에 확인함. 
  61. “Match schedule for Brazil 2014 confirmed”. FIFA. 2013년 12월 7일. 2014년 7월 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16일에 확인함. 
  62. “Thirty days and counting to the Opening Ceremony”. FIFA. 2014년 5월 13일. 2018년 4월 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2일에 확인함. 
  63. “Closing ceremony to celebrate Brazil 2014 in style”. FIFA. 2014년 7월 12일. 2017년 6월 2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13일에 확인함. 
  64. “Iran 0–0 Nigeria: Super Eagles play out World Cup's first goalless draw”. 《Daily Mail》 (London). 2014년 6월 16일. 
  65. “Group stage goal glut brightens World Cup”. Deutsche Welle. 2014년 6월 26일. 
  66. “World Cup 2014: Statistical XI versus your tournament XI”. BBC Sport. 2014년 6월 27일. 
  67. “Statistically the greatest World Cup?”. BBC News. 2014년 6월 27일. 
  68. “Spain aims to avoid worst ever World Cup defense”. 《USA Today》. 2014년 6월 21일. 
  69. Krishnan, Joe (2014년 6월 18일).“World Cup 2014: Spain and the World Cup holders who crashed out at the group stage”. 《The Independent》 (London). 2015년 4월 18일에 확인함. 
  70. “Belgium complete a World Cup record as all eight group winners make it to the quarter finals for the first time”. London:Daily Mail. 2014년 7월 2일. 2014년 7월 2일에 확인함. 
  71. Hicks, Brandon (2014년 7월 1일).“World Cup Round of 16: By the numbers”. 《CBC News》. 
  72. Setterlund, Carl (2014년 6월 28일).“Colombia topples Uruguay to reach first World Cup quarterfinals”. 2015년 9월 2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9월 20일에 확인함. 
  73. Pye, John (2014년 6월 29일).“Costa Rica Beats Greece 5-3 to Advance to Their First Ever World Cup Quarterfinal”. TIME. 2014년 7월 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3일에 확인함. 
  74. Agence France-Presse (2014년 7월 1일).“World Cup 2014: Belgium Beat USA to Set Up Quarterfinal Clash vs Argentina”. 《NDTVSports.com》. 2016년 3월 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7일에 확인함. 
  75. ABC News.“Sports News”. 《ABC News》. 2014년 7월 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7일에 확인함. 
  76. “Klose travels anomalous path to become all-time top World Cup scorer”. 《www.leaderpost.com》. 2014년 10월 1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77. “뉴스데스크 네덜란드, 브라질에 3-0 완승으로 3위…체면 구긴 삼바군단”. 《MBC뉴스데스크》. 2014.7.13.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date= (도움말)
  78. “World Cup 2014: Netherlands pile more misery on Brazil in third place play-off”. 《The Sydney Morning Herald》. 
  79. “adidas Golden Boot”.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12월 3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8일에 확인함. 
  80. “Statistics – Assists”. 《UEFA (Union of European Football Associations)》. 2014년 7월 15일에 확인함. 
  81. “Luis Suárez suspended for nine matches and banned for four months from any football-related activity”.FIFA. 2014년 6월 26일. 2014년 7월 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30일에 확인함. 
  82. De Menezes, Jack (2014년 6월 26일).“Luis Suarez banned: Fifa hand striker record nine-game ban AND a four month football ban for biting Giorgio Chiellini in biggest ever World Cup suspension”. London: The Independent.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83. “Luis Suárez banned for four months for biting in World Cup game”. The Guardian. 2014년 6월 26일. 2014년 7월 6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84. Orr, James (2014년 8월 14일).“Luis Suarez biting appeal: CAS uphold ban, but striker can make Barcelona debut on Monday and train with new team-mates”. London: The Independent. 
  85. “2014 FIFA World Cup – Awards”. FIFA.com. 2015년 1월 26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31일에 확인함. 
  86. “Messi heralded as Brazil 2014's best”. FIFA.com. 2014년 7월 13일. 2018년 3월 3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31일에 확인함. 
  87. “adidas Golden Ball candidates announced”. FIFA.com. 2014년 7월 11일. 2017년 6월 2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31일에 확인함. 
  88. “Messi, Neuer heralded as Brazil 2014's best”. FIFA.com. 2014년 7월 13일. 2018년 3월 3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89. “Finalists in contention for Golden Glove”. FIFA. 2014년 7월 11일. 2017년 6월 2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90. “Depay, Pogba and Varane make up Hyundai Young Player Award shortlist”. FIFA. 2014년 7월 11일. 2018년 4월 1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91. “Technical Study Group”. FIFA.com. 2014년 6월 9일. 2014년 7월 1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92. “Latest News”. FIFA.com. 2010년 7월 9일. 2014년 7월 1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93. “adidas Golden Ball”. FIFA.com. 2014년 5월 30일. 2014년 7월 1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94. “2014 FIFA World Cup Dream Team”. 《FIFA.com》. 2014년 10월 3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1일에 확인함. 
  95. “Castrol Index Top 11”. FIFA.com. 2014년 7월 1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96. “Castrol Index: Full ranking”. FIFA.com. 2014년 7월 1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97. “World Cup money pot increased to $576m”. reuters.com. 2013년 12월 5일. 2015년 10월 1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25일에 확인함. 
  98. “Final Tournament Standings”. FIFA.com. 2014년 7월 1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1일에 확인함. 
  99. “World Cup set to be most lucrative ever”. ESPN. 2014년 5월 23일. 
  100. Dunbar, Graham (2014년 5월 22일).“Record World Cup numbers game for FIFA, Brazil”. USA Today. 
  101. “FIFA's Inspection Report”(PDF). 2014년 7월 8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0월 9일에 확인함. 
  102. “Corruption to blame for some Brazil World Cup cost rises”. Bloomberg. 2014년 5월 23일. 
  103. “Brazil World Cup stadiums on track, but costs soar”. Reuters. 2012년 4월 3일. 2014년 7월 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1일에 확인함. 
  104. “2014 Fifa World Cup: Where are the 12 host stadiums in Brazil?”. BBC Sport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3년 12월 3일. 
  105. “FIFA World Cup 2014 host cities to receive US$ 1.5 billion”. Brazil-Arab News Agency. 2009년 7월 22일. 2014년 7월 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2일에 확인함. 
  106. “Less than half of Brazilians favor hosting World Cup, poll shows”. Reuters. 2014년 4월 8일. 2014년 7월 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1일에 확인함. 
  107. “The social cost of Brazil hosting World Cup 2014”. Bleacher Report. 2013년 6월 6일. 
  108. “Fifa concern about three Brazil stadiums”. BBC Sport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4년 5월 30일. 
  109. “Brazil boosts World Cup security budget as crime rises”. CNN. 2013년 12월 5일. 
  110. “EA Announces EA SPORTS 2014 FIFA World Cup Brazil”. IGN. 2014년 2월 6일. 2014년 2월 24일에 확인함. 
  111. “Brazilian star Claudia Leitte to perform with Pitbull and Jennifer Lopez on the official song for the 2014 FIFA World Cup”. FIFA. 2014년 1월 23일. 2018년 4월 2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1일에 확인함. 
  112. Drum, Bruce.“Lufthansa to rename 8 aircraft "Fanhansa" for the 2014 FIFA World Cup”. 2014년 7월 2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15일에 확인함. 
  113. “Host Broadcasting”.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3년 11월 2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4일에 확인함. 
  114. “Sony Professional awarded 2014 FIFA World Cup Broadcast Production Contract”. Live-production.tv. 2012년 9월 13일. 
  115. “Sony's astonishing World Cup statistics”. RedShark News. 2014년 5월 22일. 
  116. “Sony and FIFA announce further 4K coverage of the 2014 FIFA World Cup”.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4월 3일. 2014년 5월 3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1일에 확인함. 
  117. “2014 FIFA World Cup BrazilTM Media Rights Licensees”(PDF).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3년 11월 7일. 2014년 5월 13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1일에 확인함. 
  118. “FIFA revenue estimated to be 4 billion dollars at the close of the 2014 World Cup”. CONMEBOL.com. 2013년 5월 17일. 2013년 12월 1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1일에 확인함. 
  119. “International Broadcast Centre to be hosted in Rio de Janeiro”.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1년 5월 27일. 2019년 3월 1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1일에 확인함. 
  120. “Nerve centre for World Cup TV production opens in Rio”.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6월 2일. 2017년 6월 2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1일에 확인함. 
  121. “WM: Die Top-10-Quoten aller Zeiten im deutschen Fernsehen” (독일어). Focus Online. 2014년 7월 14일. 2014년 7월 1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122. “USA vs. Portugal World Cup Match Most Watched Soccer Game In U.S. History”. Fox News. 2014년 6월 24일. 2014년 6월 2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123. “2014 FIFA World Cup™ reached 3.2 billion viewers, one billion watched final”. 《FIFA.com》. 2015년 12월 16일. 2017년 10월 2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1일에 확인함. 
  124. “Brazil World Cup: seventh worker dies on stadium construction”. 《theguardian.com/us》.Associated Press.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125. “Brazil World Cup 2014: Eighth death at football stadiums”. 《www.bbc.com》 (BBC News).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126. Tony Jimenez, Andrew.“Soccer-Cuiaba fire adds to Brazil's World Cup woes”.Reuters.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127. “Fatal accident on flagship Sao Paulo monorail”. 《BBC News》. 2014년 6월 9일. 2014년 7월 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5일에 확인함. 
  128. “Factbox: Timeline of deaths, accidents at Brazil's World Cup stadiums”.Reuters. 2014년 2월 15일. 2014년 12월 2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129. Gibson, Owen & Watts, Jonathan (2013년 12월 5일).World Cup: Rio favelas being 'socially cleansed' in runup to sporting events.Guardian. 2015년 3월 3일 확인.
  130. Phillips, Tom (2011년 4월 26일).Rio World Cup demolitions leave favela families trapped in ghost town.The Guardian. 2015년 3월 3일 확인.
  131. Hodges, Elena (2014년 6월 21일).The World Cup Is Underway. What Has Become of Favela do Metrô?. Rio On Watch. 2015년 3월 3일 확인.
  132. “Brazil Beats Japan, Protests Spoil Confederations Cup Opening Day”. 《Voice of America》.Brasilia:Federal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2013년 6월 15일. 2013년 6월 26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16일에 확인함. 
  133. Peck, Brooks (2013년 5월 29일).“Sepp Blatter, Brazil president Dilma booed at Confederations Cup opening ceremony”. Sports.yahoo.com. 2013년 6월 16일에 확인함. 
  134. “Fifa scraps speeches to avoid protest”. BBC Sport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4년 3월 12일. 
  135. “Confed Cup protests continue”. ESPN. 2013년 6월 17일. 
  136. “Police clashes at start of Brazil Confederations Cup final”. BBC Sport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3년 7월 1일. 
  137. “Strikes, violent protests hit Brazil ahead of World Cup”. CNN. 2014년 5월 16일. 
  138. “17 Pictures Of Shocking Violence As Police 'Open Live Fire' On Anti-Fifa Protesters”. Huffington Post. 2014년 6월 16일. 
  139. “Brazilian police fire tear gas at World Cup protesters; CNN employees injured by anti-riot weapons”. CNN. 2014년 6월 12일. 
  140. Wilson, Jonathan (2014년 6월 18일).“World Cup 2014: Chile fans invade Maracanã before Spain game.”. 《The Guardian》. 
  141. “World Cup Chile Fans Storm Rio Stadium And 85 Detained”. 《Bloomberg》. 2014년 6월 19일. 
  142. “Flyover collapses in Brazil World Cup host city”. 《BBC News》. 2014년 7월 4일. 2014년 7월 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4일에 확인함. 
  143. Cawthorne, Andrew (2014년 7월 3일).“Overpass collapses in World Cup city, crushes vehicles”.Reuters. 2014년 7월 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4일에 확인함. 
  144. Tom Decent.“Alvaro Pereira, knocked out then raring to go”. 《The Sydney Morning Herald》. 
  145. "Kramer head injury revives concussion concern", Sports Illustrated, 2014년 7월 13일.
  146. "Referee: Christoph Kramer unsure it was World Cup final after head blow", Sports Illustrated, 2014년 7월 17일.
  147. 스폰서기업들 1조6천억 내고 월드컵마케팅 독점

외부 링크

[편집]
본선
예선
결승전
선수 명단
시드 배정
개최국 선정
1930년 대회는 예선 없이 초청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1942년 대회와 1946년 대회는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하여 취소되었다. 1950년 대회는 우승국이 로빈 라운드 형식으로 정해졌다.
예선
본선
일반 정보
공식 상징
남아메리카
북아메리카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우승
준우승
3위
4위
8강
16강
조별 리그
AFC
CAF
CONCACAF
CONMEBOL
OFC
UEFA
브라질에서 개최된 국제 스포츠 경기 대회
국가급
종합경기대회
올림픽
패럴림픽
팬아메리칸 게임
유니버시아드
세계 군인 체육 대회
개별경기대회
비치사커
수영
유도
축구
풋살
펜싱
농구
배구
카누
핸드볼
검도
자전거
비치 발리볼
프로급
축구
배구
국제
국가
지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4년_FIFA_월드컵&oldid=40894591"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