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천군 | |||
|---|---|---|---|
홍천군청 전경 | |||
| |||
홍천군의 위치 | |||
| 행정 | |||
| 국가 | 대한민국 | ||
| 행정 구역 | 1읍, 9면 | ||
| 청사 소재지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홍천읍 석화로 93 | ||
| 단체장 | 신영재(국민의힘) | ||
| 국회의원 | 유상범(국민의힘,홍천군·횡성군·영월군·평창군) | ||
| 지리 | |||
| 면적 | 1,820.3km2 | ||
| 인문 | |||
| 인구 | 68,177명 (2022년 2월년) | ||
| 세대 | 34,237세대 (2021년[1]년) | ||
| 상징 | |||
| 나무 | 잣나무 | ||
| 꽃 | 진달래 | ||
| 새 | 까치 | ||
| 지역 부호 | |||
| 웹사이트 | 홍천군 | ||

홍천군(洪川郡)은대한민국강원특별자치도 중서부에 위치한군이다. 군청 소재지는홍천읍이고, 행정구역은 1읍 9면이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면적이 넓은기초지방자치단체이다.
고구려 시대에 벌력천현(伐力川縣)으로 불리어 오다가, 신라 때 녹효(綠曉)로 고치고 우수주(牛首州: 지금의 춘천)에 속하여 화산현(花山縣)이라 했다. 그 후 고려 현종 9년(1018년)에 홍천현으로 고쳤다. 인종(仁宗) 21년(1143년) 감무(監務)를 두었으며 후에 현감이 되고, 1895년 군이 되었다.

강원특별자치도의 중서부에 위치해 있다. 대한민국의시, 군,구 단위 행정구역 가운데 가장 넓은 면적(1,819.785km2)을 차지한다. 군은 동서로 93.1km, 남북으로 39.4km로 동서로 매우 길쭉하며 영서 지방을 동서로 아우르는 형태를 하고 있다. 강원특별자치도의 중서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 서사면의 일부를 차지한다. 산악의 기복이 심하고 군의 동경에는 응봉산의 연봉이 솟고 북쪽에 가리산의 연맥, 남경에는 발교산의 제맥이 뻗어 산지가 전군의 87%를 차지하고 있다. 태백산맥의 크고 작은 지맥에 둘러싸인 중산간 지역이며, 홍천읍 시가지를 관통하는 북한강 지류인 홍천강이 태백산맥의 분수령으로부터 서쪽으로 흘러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에서 북한강과 합류하고 있어 그 유역에 작은 평야를 이루고 있다. 경도상으로는 동경 127도 32분에서 128도 51분간에 걸쳐 있으며,동쪽으로양양군,남쪽으로횡성군,평창군,강릉시,서쪽으로는경기도가평군,양평군과북쪽으로춘천시,인제군과 접하고 있다. 지질은 주로 화강암과 화강편마암계로 되어 있다.
내륙 산간에 위치하여 있기 때문에 연교차가 심한 대륙성 기후를 띈다. 연평균 기온은 10.8도, 1월 평균 -4.8도, 8월 평균 24.7도, 최고기온 41.0도로 한반도 관측사상 최고기온(2018. 8. 1), 최저 기온 -28.1도(1981.01.05), 연강수량 1,339mm이다.
| 홍천기상관측소 (홍천군 홍천읍 연봉리, 해발 140.2m)의 기후 |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역대 최고 기온 °C (°F) | 14.1 (57.4) | 20.1 (68.2) | 23.9 (75.0) | 32.5 (90.5) | 35.0 (95.0) | 36.2 (97.2) | 38.5 (101.3) | 41.0 (105.8) | 34.8 (94.6) | 29.1 (84.4) | 25.6 (78.1) | 16.7 (62.1) | 41.0 (105.8) |
| 일평균 최고 기온 °C (°F) | 2.1 (35.8) | 5.4 (41.7) | 11.7 (53.1) | 19.1 (66.4) | 24.5 (76.1) | 28.4 (83.1) | 29.8 (85.6) | 30.4 (86.7) | 26.0 (78.8) | 20.0 (68.0) | 11.5 (52.7) | 3.7 (38.7) | 17.7 (63.9) |
| 일일 평균 기온 °C (°F) | −4.8 (23.4) | −1.7 (28.9) | 4.4 (39.9) | 11.2 (52.2) | 16.9 (62.4) | 21.6 (70.9) | 24.5 (76.1) | 24.7 (76.5) | 19.2 (66.6) | 12.0 (53.6) | 4.6 (40.3) | −2.6 (27.3) | 10.8 (51.4) |
| 일평균 최저 기온 °C (°F) | −10.5 (13.1) | −7.7 (18.1) | −2.0 (28.4) | 3.8 (38.8) | 10.0 (50.0) | 16.0 (60.8) | 20.5 (68.9) | 20.6 (69.1) | 14.5 (58.1) | 6.6 (43.9) | −0.6 (30.9) | −7.6 (18.3) | 5.3 (41.5) |
| 역대 최저 기온 °C (°F) | −28.1 (−18.6) | −24.8 (−12.6) | −16.8 (1.8) | −8.0 (17.6) | 0.2 (32.4) | 4.7 (40.5) | 9.9 (49.8) | 8.5 (47.3) | 0.4 (32.7) | −6.4 (20.5) | −14.7 (5.5) | −22.8 (−9.0) | −28.1 (−18.6) |
| 평균강수량 mm (인치) | 15.8 (0.62) | 26.2 (1.03) | 36.7 (1.44) | 74.8 (2.94) | 101.3 (3.99) | 124.9 (4.92) | 395.7 (15.58) | 312.5 (12.30) | 141.3 (5.56) | 49.7 (1.96) | 40.9 (1.61) | 19.1 (0.75) | 1,338.9 (52.71) |
| 평균 강수일수(≥ 0.1 mm) | 5.2 | 5.6 | 7.4 | 8.1 | 8.3 | 9.5 | 15.2 | 14.4 | 8.5 | 5.5 | 7.3 | 6.5 | 101.5 |
| 평균상대 습도 (%) | 65.8 | 61.9 | 58.0 | 55.5 | 60.8 | 66.0 | 76.0 | 75.9 | 74.5 | 72.0 | 69.1 | 68.1 | 67.0 |
| 평균 월간일조시간 | 163.8 | 169.9 | 196.8 | 209.2 | 228.9 | 205.8 | 150.6 | 168.0 | 170.4 | 175.9 | 144.7 | 150.0 | 2,134 |
| 출처: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71년~현재)[8][9] | |||||||||||||
홍천군 전 지역은선캄브리아기에 형성된경기 지괴에 포함되어 있어, 지질은 대부분선캄브리아기의편마암류로 구성되어 있으며,중생대에 관입한화강암이 일부 존재한다. 대부분의화강암은인제 단층과금왕 단층 사이의 폭 20 km 정도인 지역에,편마암류는 그 양쪽에 분포한다.
홍천군은 면적이 넓어 그 성질이 조금씩 다른 편마암이 분포한다.
대부분의화강암은 홍천군 중부인인제 단층과금왕 단층 사이의 폭 20 km 정도인 지역에 분포한다. 두 단층 사이의 지역은 거의 다화강암류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화강암류는대한민국의 동북부에서 남서로 뻗는 대규모 화강암체의 분포지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홍천군의 행정 구역은 1읍, 9면 196개의 행정리와 105개의 법정리를 가지고 있다. 전체 면적은 1,819.6km2이며, 인구는 2020년 3월말 기준 68,630명, 33,179세대이다. 이 중 50.6%가 홍천읍에 거주한다.[10] 과거에는 현재 인구의 1.77배인 123,929명 (이 때는 총선 때 홍천군 단독 선거구가 구성될 수 있었다.)을 기록하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10만 명 선이 무너진 상태이다.
| 행정구역 | 한자 | 인구 | 세대 | 면적 | 행정 지도 |
|---|---|---|---|---|---|
| 홍천읍 | 洪川邑 | 34,695 | 15,259 | 107.39 | |
| 화촌면 | 化村面 | 4,604 | 2,503 | 211.36 | |
| 두촌면 | 斗村面 | 2,420 | 1,136 | 140.48 | |
| 내촌면 | 乃村面 | 2,372 | 1,288 | 146.72 | |
| 서석면 | 瑞石面 | 3,792 | 1,919 | 225.46 | |
| 영귀미면 | 詠歸美面 | 3,906 | 1,970 | 149.63 | |
| 남면 | 南面 | 5,926 | 2,997 | 120.34 | |
| 서면 | 西面 | 3,794 | 2,232 | 123.39 | |
| 북방면 | 北方面 | 3,923 | 1,798 | 146.44 | |
| 내면 | 內面 | 3,242 | 1,701 | 447.95 | |
| 홍천군 | 洪川郡 | 68,630 | 33,179 | 1,819.16 |
산지가 많아 밭이 우세하고 지리적 여건이 양잠에 적합하여 매우 성하다. 담배는 영동 제1이며 표고버섯과 각종 약초·아마·닥나무·꿀 등도 명산물이다. 최근에는 육우·표고·홉 등의 단지를 조성하여 더욱 증산에 힘쓰고 있다. 주요 농산물은 쌀·잡곡이고, 담배·표고·잣의 생산도 많으며 축우·양봉도 성하다.
홍천에는 철·사금·은·석면 등이 매장되어 있으나, 국내 굴지의자은 철광도 휴광하고 있어 광업은 성행하지 않다. 공업에 있어서는 양조업과 제재·정미·제분·제사·가발 산업이 주를 이루며, 특히 제사와 가발은 많은 외화를 획득하고 있다.
홍천군은 1980년대 초까지 맥주의 원료인홉의 생산지였으며 2019년쯤 서석면에서 '조선홉'을 다시 발견, 재배에 성공하여 보급되기 시작하였다.[11]
철도는 없으며,중앙고속도로의홍천 나들목을 통해 인근의춘천시,원주시,횡성군은 물론부산광역시,대구광역시 일대로도 접근 할 수 있으며,춘천 분기점에서 만나는서울춘천고속도로를 통해서울특별시를 비롯한 수도권 일대로도 빠르게 접근 할 수 있다. 읍내 중심지에는홍천종합버스터미널이 위치해 있으며, 이 지역을 연고로 한금강고속이 터미널의 운영을 담당하고 이 곳을 본사로 사용하고 있다.
이 외에도국도 제5호선이 읍내 서쪽 외곽을 관통하며 남북으로 가로질러 춘천시, 횡성군 일대를 오가는중앙고속도로의 역할을 보조해주며국도 제44호선이 읍내 일대를 동서로 관통하여인제군,경기도양평군을 왕래할 수 있게 해준다. 이 두 국도는 홍천대교 부근에서 만난다.
55 | 춘천 분기점 ↔홍천 나들목 ↔횡성 나들목 | |||||||||||||
|---|---|---|---|---|---|---|---|---|---|---|---|---|---|---|
60 | 춘천 분기점 ↔동홍천 나들목 ↔내촌 나들목 ↔인제 나들목 | |||||||||||||
5 | 영서로 | 19 | 청정로 | 31 | 방내로,구룡령로 | ||||
|---|---|---|---|---|---|---|---|---|---|
44 | 설악로 | 56 | 구룡령로,가락재로 | ||||||
86 | 개야로 | 408 | 광석로,행치령로,구룡령로 | 444 | 공작산로,행치령로 | ||||
|---|---|---|---|---|---|---|---|---|---|
446 | 내린천로 | 451 | 아홉사리로 | 494 | 한서로,시동로 | ||||
| 시외 버스 운행 (홍천읍 희망리) | ||||||
홍천군은 대한민국 국외 도시 1곳 프랑스싸나리시(영어판)(Sanary-sur-Mer)와,[12] 대한민국 국내 도시 6곳(서울강동구, 경기성남시, 인천부평구, 서울은평구, 서울양천구, 서울도봉구)과 자매결연을 맺었다.[13]
| 홍천군의 대한민국 외 자매결연도시(1개) | ||
| 결연일 | 이름 | 비고 |
|---|---|---|
| 1991. 10. 12. | 프랑스싸나리시(영어판)(Sanary-sur-Mer) | [12] |
| 홍천군의 대한민국 자매결연도시(6개) | ||
| 결연일 | 이름 | 비고 |
| 1992. 10. 17. | 서울특별시강동구 | [13] |
| 1998. 4. 17. | 경기도성남시 | |
| 2005. 3. 30. | 인천광역시부평구 | |
| 2019. 7. 5. | 서울특별시은평구 | |
| 2020. 8. 21. | 서울특별시양천구 | |
| 2021. 6. 25. | 서울특별시도봉구 | |
![]()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 ![]() |
| 경기도 가평군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 |||
| 경기도 양평군 |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