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언필 洪彦弼 | |
|---|---|
| 출생 | 1476년 |
| 사망 | 1549년 |
| 성별 | 남성 |
| 국적 | 조선 |
| 직업 | 문신 |
| 상훈 | 문희(文僖) |
이 문서의 내용은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문서를 편집하여,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2012년 11월) |
홍언필(洪彦弼,1476년 ~1549년)은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자는 자미(子美), 호는 묵재(默齋), 시호는 문희(文僖), 본관은남양이다.종묘의인종 묘정에 배향됨으로써종묘배향공신이 되었다.중종과는 사위, 처가, 손녀딸을 통해 삼중 겹사돈이 된다.
1504년갑자사화(甲子士禍)에 휘말려진도로 유배당했다가1506년중종반정으로 석방되어 과거에 급제, 삼사의 요직을 거쳐1519년에는조광조의 당여로 몰렸으나정광필의 변호로 풀려났다. 이후 참판, 대사헌, 이조와 형조, 병조, 호조의 판서를 거쳐 경기도관찰사와 우찬성,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1544년 영의정에 이르렀고, 익성부원군이 되었다. 1548년 다시 좌의정과 영의정을 지내 두번 좌의정과 두번 영의정을 지내게 된다.
사미시에 합격하였으나1504년갑자사화(甲子士禍)에 휘말려전라도 진도로 유배당했다가1506년중종반정으로 풀려나와1507년 중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했다. 전경, 저작, 설경, 사경, 부수찬, 정언, 검토관, 교리, 시독관과 지평, 전부, 헌납, 시강관, 응교, 장령, 부응교, 사간을 지내다가 이후홍문관직제학, 동부승지, 우부승지, 병조참지를 지내고1519년 사가독서 후 우승지가 되었으나기묘사화(己卯士禍)에 휘말려조광조(趙光祖)의 일파로 몰려 투옥되었으나영의정정광필의 변호로 풀려났다. 이후 황해도관찰사와 병조참의,도승지,대사헌,대사간, 동지성균관사 등을 지낸다.
이후형조참판,대사헌,공조참판,동지사,예조참판을 두루 거친다.
1526년형조참판으로 성절사가 되어명나라에 다녀왔고 대사헌을 6번이나 역임하고 각 조의 판서를 거쳐1535년 우찬성이 되었다가김안로(金安老)의 모함으로 파직당했다. 당시 그는대사헌,이조판서,형조판서,한성부판윤,호조판서,병조판서,좌참찬, 경기도관찰사를 거쳐우찬성이 되었던 것이다.
1537년김안로가 실각하자호조판서로 복관되고우의정에 올라좌의정을 거쳐1544년영의정에 이르렀다.인종이 즉위하자유관 등과 함께 원상이 되었다가 중추부영사로 전임하고1545년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키는 데 앞장서위사공신 2등에 책록되고 익성부원군에 봉해졌다.
1548년좌의정과영의정에 재임되고 궤장을 하사받았으며 시서화에도 모두 능하고 문집으로는 《묵재집》이 있다. 평소 몸가짐이 검소하고 사치스러운 것을 멀리하였고 집안의 법도가 엄격하여 주변의 칭송이 높았다고 전한다.
경기도화성군서신면 홍법리 산 30번지에 묘가 있으며, 주변에는 홍한의 묘와 홍형, 홍담, 홍진도의 묘소 11기 및 묘비 4기, 신도비 5기가 있어서 나중에경기도기념물 제168호로 지정되었다.
그는중종과 이중으로 사돈관계를 형성한다.
그는중종과 겹사돈이 되는데, 사위 윤진이중종과 내외종사촌이 된다. 윤진은중종의 어머니정현왕후의 오빠 윤탕로의 아들이다. 자신의 처조카댁인정순옹주는중종과숙원 이씨 소생 서녀정순옹주이다. 아들홍섬의 딸인 손녀딸남양군부인은중종의 서자덕흥대원군 이초의 장남하원군 이정과 결혼한다.
중종은 그의 사위 윤진의 고종사촌형이면서, 처조카댁 정순옹주의 친정아버지이고, 손녀딸 남양군부인의 시할아버지가 된다.
선조는 그의 사위 윤진의 내종질이면서 처조카댁 정순옹주의 조카이고, 손녀딸 남양군부인의 시숙이 된다.
장인송질의 손자인송인을 통해서남곤과도 인척을 형성했다.
| 이 글은 조선에 관한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글은 정치인에 관한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