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연속 함수 사이에 호모토피가 존재할 경우, 두 함수가 서로호모토픽(영어:homotopic) 또는연속 변형적(連續變形的)이라 하며와 같이 쓴다. 호모토픽 관계는동치 관계를 이루며, 이에 대한동치류를호모토피류(homotopy類,영어:homotopy class)라고 한다.[1]:158–159 연속 함수의 호모토피류는 보통라고 쓴다.
호모토피 이론은 추상적으로 임의의모형 범주 위에서 전개될 수 있다.위상 공간의 범주(또는콤팩트 생성 공간의 범주 등)는모형 범주의 구조를 가지며, 호모토피의 개념을 임의의모형 범주에 대하여 일반화할 수 있다.[3]:§14.3 이 경우,왼쪽 호모토피(영어:left homotopy)와오른쪽 호모토피(영어:right homotopy)라는, 서로 쌍대적인 두 개념이 존재하며, 이 두 개념은 적절한 경우 (정의역이 쌍대올대상이며공역이 올대상인 경우) 서로동치이다.
여기서은쌍대곱이다 (즉, 위상 공간의 경우분리합집합이다).모형 범주에서, 대상의기둥 대상(영어:cylinder object)는쌍대 대각 사상의 다음과 같은 분해이다.
이는 위상 공간의 범주에서의 "기둥"의 일반화이다. 기둥 대상은 다음과 같은 추가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3]:280, Definition 14.3.1
만약가 쌍대올뭉치라면, 이를좋은 기둥 대상(영어:good cylinder object)이라고 한다.
만약가 쌍대올뭉치이며,가 올뭉치이자 약한 동치라면, 이를매우 좋은 기둥 대상(영어:very good cylinder object)이라고 한다.
모형 범주의 정의에 따라 매우 좋은 기둥 대상이 항상 존재하지만, 실제로 위상 공간에 퀼런 모형 구조(영어:Quillen model structure)를 준 경우는 일반적으로 좋지 않다. 하지만 후레비치 모형 구조(영어:Hurewicz model structure)에서는 매우 좋은 기둥 대상이다.
두 사상 사이의왼쪽 호모토피(영어:left homotopy)는 어떤 기둥 대상에 대하여 다음 그림을 가환 그림으로 만드는 사상이다.
이 기둥 대상을 (매우) 좋은 기둥 대상으로 잡을 수 있다면, 이를(매우) 좋은 왼쪽 호모토피(영어:(very) good left homotopy)라고 한다.
같은정의역과공역을 갖는 임의의 두 사상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3]:282, Proposition 14.3.9(i), (ii)
와 사이에 왼쪽 호모토피가 존재하는지 여부는와 사이에 좋은 왼쪽 호모토피가 존재하는지 여부와동치이다.
만약가 올대상이라면,와 사이에 왼쪽 호모토피가 존재하는지 여부는와 사이에 매우 좋은 왼쪽 호모토피가 존재하는지 여부와동치이다.
왼쪽 호모토피가 존재하는지 여부는 일반적으로동치 관계를 이루지 않는다.[3]:281 그러나 만약정의역가 쌍대올대상일 경우, 사상에 대하여 사이에 왼쪽 호모토피가 존재하는지 여부는동치 관계를 이루며,[3]:282, Proposition 14.3.9(iv) 이 경우 두 사상이 서로왼쪽 호모토픽(영어:left-homotopic)하다고 한다.
이는 위상 공간의 범주에서의경로 공간의 일반화이다. 경로 공간 대상은 다음과 같은 추가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3]:281, Definition 14.3.4
만약가 쌍대올뭉치라면, 이를좋은 경로 공간 대상(영어:good path space object)이라고 한다.
만약가 쌍대올뭉치이며,가 올뭉치이자 약한 동치라면, 이를매우 좋은 경로 공간 대상(영어:very good path space object)이라고 한다.
모형 범주의 정의에 따라 매우 좋은 경로 공간 대상이 항상 존재한다.
두 사상 사이의오른쪽 호모토피(영어:right homotopy)는 어떤 경로 공간 대상에 대하여 다음 그림을 가환 그림으로 만드는 사상이다.
이 경로 공간 대상을 (매우) 좋은 경로 공간 대상으로 잡을 수 있다면, 이를(매우) 좋은 오른쪽 호모토피(영어:(very) good right homotopy)라고 한다.
같은정의역과공역을 갖는 임의의 두 사상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3]:282, Proposition 14.3.9(i), (ii)
와 사이에 오른쪽 호모토피가 존재하는지 여부는와 사이에 좋은 오른쪽 호모토피가 존재하는지 여부와동치이다.
만약가 쌍대올대상이라면,와 사이에 오른쪽 호모토피가 존재하는지 여부는와 사이에 매우 좋은 오른쪽 호모토피가 존재하는지 여부와동치이다.
마찬가지로, 오른쪽 호모토피의 존재는 일반적으로동치 관계를 이루지 않는다. 그러나 만약공역가 올대상이라면, 오른쪽 호모토피의 존재는동치 관계를 이루며,[3]:282, Proposition 14.3.9(iv) 이 경우 두 사상이 서로오른쪽 호모토픽(영어:right-homotopic)하다고 한다.
왼쪽 호모토피와 오른쪽 호모토피는 다음과 같이 호환된다. 임의의 두 사상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3]:284, Proposition 14.3.11
만약가 쌍대올대상이며, 왼쪽 호모토피가 존재한다면, 오른쪽 호모토피 역시 존재한다.
만약가 올대상이며, 오른쪽 호모토피가 존재한다면, 왼쪽 호모토피 역시 존재한다.
따라서,정의역이 쌍대올대상이고공역이 올대상인 경우, 왼쪽 호모토피 · 좋은 왼쪽 호모토피 · 매우 좋은 왼쪽 호모토피 · 오른쪽 호모토피 · 좋은 오른쪽 호모토피 · 매우 좋은 오른쪽 호모토피는 서로 동일한동치 관계를 정의한다. 이 경우 두 사상이 단순히 서로호모토픽하다고 한다.
또한, 주어진 쌍대올대상에 대하여, 임의의 올대상으로 가는 임의의 두 호모토픽 사상 사이의 호모토피는 항상 동일한 (즉,에 의존하지 않는) 좋은 기둥 대상에 대한 왼쪽 호모토피로 나타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주어진 올대상에 대하여, 임의의 쌍대올대상에서로 가는 임의의 두 호모토픽 사상 사이의 호모토피는 항상 동일한 (즉,에 의존하지 않는) 좋은 경로 공간 대상에 대한 오른쪽 호모토피로 나타낼 수 있다.[3]:285, Corollary 14.3.13
위상 공간의 범주 또는콤팩트 생성 공간의 범주에 퀼런 모형 구조를 주자. 이 경우, 모든 위상 공간은 올대상이며, 모든CW 복합체는 쌍대올대상이다.
또한, 이 경우 고전적 기둥은 (만약가 쌍대올대상이라면) 좋은 기둥 대상을 이루며, 만약콤팩트 생성 공간을 사용한다면 고전적 경로 공간은 (모든 공간이 올대상이므로) 좋은 경로 공간 대상을 이룬다. 따라서,공역이CW 복합체인 경우 모형 범주 이론에서의 호모토피류는 고전적 호모토피류와 일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