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현대 일렉시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현대 일렉시티
차종현대 일렉시티: 준대형버스
현대 일렉시티 타운: 중형버스
현대 일렉시티 더블데커: 2층버스
제조사현대자동차
생산년도2017년~현재
조립대한민국의 기대한민국전북특별자치도완주군봉동읍 완주산단5로 163 (용암리) 전주공장
선행차량현대 일렉시티:현대 에어로시티
현대 일렉시티 타운:현대 그린시티
차대프레임
전장
  • 현대 일렉시티: 10,955mm
  • 현대 일렉시티 더블데커: 12,990mm
  • 현대 일렉시티 타운: 9,045mm
전폭2,490mm
전고3,995mm
연료전기
수소연료전지
관련차량

현대 일렉시티(Hyundai Elec City)는현대자동차전기·수소저상버스 제품군으로,대한민국·일본·오스트리아 등에서 이용되고 있다.

개요

[편집]

2017년 5월 8년간의 개발 끝에현대자동차가 상용차 모터쇼인 트럭 & 버스 메가페어에서 최초로 공개되었으며,2017년11월 24일에 정식으로 출시하였다. 런치 커스터머는부산대진여객동남여객이다.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을 기초로 하여 조립하였다. 좌석은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표준형과 다른 27석이다.

1세대 (CY, 2017년 11월~현재)

[편집]

현대 일렉시티 1세대는 2017년 11월 24일 출시했다.LG에너지솔루션이 제조한 256kWh의 고용량 리튬 폴리머 배터리가 적용되어 1회 충전 시 최대 290㎞를 주행할 수 있다.[1][2] 배터리를 천장에, 모터는 뒷바퀴에 달아 일반 버스보다 실내 공간이 크다. 혹한·폭염 시 배터리의 성능을 유지해주는 자동온도 컨트롤 시스템, 앞뒤 출입문에 사람이 접근하면 문이 닫히지 않는 초음파 센서 등 첨단 기술이 탑재되었다.[2] 플러그인식 순수전기버스 차량 외에 파생 모델로수소연료전지버스(FCEV)가 있다.

일렉시티 FCEV

[편집]

현대자동차는 1998년부터 수소자동차 관련 연구·개발을 시작하여2019년, 도심형 수소연료전지버스인 일렉시티 FCEV를 출시하였다. 최고출력 180kW의 연료전지 시스템과 875L의 수소 탱크 용량, 78.4kWh의 고출력 배터리가 탑재되어 있다. 1회 충전으로 최대 550km를 주행할 수 있다. 전장은 10,995㎜, 전폭은 2,490㎜, 전고는 3,420㎜이다.[3]

이 모델은 2020년사우디아라비아로, 2022년오스트리아로 수출되었다.[4][5]

2024년 9월, 누적 판매량 1,000대를 돌파하였다.[6]

일렉시티 타운

[편집]

일렉시티 타운은 전장 9m의 중형 모델이다.SK온이 제작한 145㎾h 삼원계 배터리가 탑재되었으며, 1회 충전 시 220㎞ 이상을 주행할 수 있다.[7]

2021년11월 25일에 열린서울 모빌리티 쇼 프레스데이[8]에서현대자동차는 일렉시티의 단축형 모델인 일렉시티 타운의 출시를 예고했다.[9]2022년 9월 들어 일렉시티 타운의 전국 순회 전시를 시작했으며,2022년 10월 서울에서 열린 그린 비즈니스위크 2022[10] 및 대구에서 열린 2022 대구 국제 미래 모빌리티 엑스포를 통해 대중들에게 일렉시티 타운의 양산형을 공개했다.[11]2023년 1월에 경기도 부천시 시내버스 업체인부일교통에서 최초로 일렉시티 타운을 출고했다. 다만 일렉시티 타운은 출시한 후에도 계속 시험 생산 수준으로 생산해 오다가,2024년5월 17일부터 대량 양산을 시작했다.[12]

2023년12월 1일 장재훈 현대자동차 사장이 아사히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아이오닉 5N과 더불어 일렉시티 타운을 유니버스처럼 일본 시장에 투입한다고 밝혔다. 일렉시티 타운의 일본 출시는2024년 하반기라고 언급했다.닛케이의 기사에 따르면, 일본 시장에선2024년10월에 출시한다고 한다.

2024년 5월, 일본 버스테크 포럼을 통해 일본형 일렉시티 타운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대한민국 내수형과의 차이점은 좌측통행에 맞게 출입문과 운전석의 위치가 바뀐 것은 물론, 일본 현지에 맞춰서 충전 잭 규격도 차데모이고 충전지 용량도 145kWh인 것이다. 외관도 내수형과 다르게 조수석 사이드미러에 LED 리피터가 장착되지 않는 대신, 일본 법규에 맞게 측면 비상문을 장착한다. 실내도 내수형은 M800 2단 카스테레오를 사용하고 봉이 금속제 회색봉인 반면, 일본 수출형은ST1에 들어간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사용하고 봉 색상도그린시티 미개선형처럼주황색, 좌석 색상은파란색이며 출입문 레버도주차 브레이크 옆에 장착됐으며 비상제동 버튼이 설치된 등,대한민국 내수형과 다른 점이 많다.[13] 2024년 7월, 현지 주행 테스트를 통과한 뒤 일본으로 수출되었다.

운행 현황

[편집]

수소연료전지버스는 정식 출시 전에2018년 동계 올림픽2018년 동계 패럴림픽에서 장애인과 노약자를 수송한강릉역~강릉올림픽파크 간 셔틀버스로 운행된 바 있다.2018년10월 22일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인울산여객에서 전국 시내버스 최초로 일렉시티 FCEV 시제차 1대를현대자동차에서 임차해 시범 운행하였으며, 시범운행을 마치고현대자동차에 반납한 후2019년 12월에 일렉시티 FCEV 3대를 정식으로 도입하였다.2018년 11월은 수도권에서 처음으로 일렉시티를 투입해 서울버스에 투입됐다. 그리고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회사인삼성여객에서도현대자동차에서 일렉시티 FCEV 시제차 1대를 임차하여2019년8월 30일 운행을 마지막으로 반납할 때까지 1년 동안 405번에서 주중 한정으로 시범 운행한 적이 있으며,내곡동공영차고지 북쪽의서울특별시서초구양재동현대자동차그룹 본사에 설치된 수소 충전소에서 충전했다.2020년 6월현대자동차의 상용차 공장이 있는전라북도완주군봉동읍에도 수소 충전소가 설치되어전주시의 시내버스에서도 FCEV가 운행 중이다. 현재 현대 일렉시티를 제일 많이 운행하고 있는 지역은부산이다.

현재 모든 특·광역시에서 일반 일렉시티가 운행 중이다. FCEV는 모든 특/광역시에서 운행 중이다.

2019년현대자동차 최초의 양산형 굴절버스 모델을 출시하였으며,세종도시교통공사에서 처음으로 도입하였다.

경제성을 이유로[14][15][16] 인해천연가스버스를 도입하지 못한 몇몇 소규모 기초자치단체에서도천연가스버스의 대안으로 플러그인 방식 일렉시티를 도입하고 있다.

2020년 2월부터 생산된 차량은 패찰에 제작월도 추가되고 콜부저음이 변경되었다. 그 해11월은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헤드램프 아이라인 색상이검은색에서무색으로 변경된 2021년식이 선보였다.

2020년 10월은 국산 버스 최초로 개발한2층 버스이자저상버스현대 일렉시티 2층버스 모델이 선보였으며, 정식 명칭은 현대 일렉시티 더블데커로 확정되었다.[17]2021년 4월인천선진교통광역버스 처음으로 출고되며, 본격적으로 시판되었다. 전고가 3,955mm로서 실내고는 1층은 183cm이며, 2층은 170cm로 많이 낮다. 출입문이 전문 글라이딩과 중문 플러그인 도어로 적용되었다. 총 71개의 좌석이 구비됐으며, 휠체어 2대 탑승이 가능하다. 에어 서스펜션과 스테빌라이져 바를 기본으로 장착해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국내 전기버스 중에서 가장 최대 용량인 384km의 수냉식 리튬 폴리머 배터리를 적용하여 1회 충전으로 400km까지 운행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현대 일렉시티 더블데커는현대 유니버스의 부품 일부를 적용하였다.

2021년 10월에 약간의 부분변경을 실시하여 후미등이6등식 타입에서8등식 타입으로 변경되었으며, 순수 전기버스 모델은 기본 단색손잡이 사양의 색상이연두색에서연회색으로 변경된 2022년식이 선보였다.

2022년에 외부 승·하차 감지센서 밑에는 노란색 비상밸브가 추가되었으며, 순수 전기버스 모델은 타는문 바로 뒤 창문 구석에 들어간다. 이로 인해 순수 전기버스 모델의 타는문 바로 뒤 창문이 통유리로 변경되었다.

제작 날짜2023년 6월식 버스 부터 비상등, 방향 지시등을 켤 때 사이드 마커 램프가 점멸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18]

도입 회사

[편집]
플러그인 전기버스
수소연료전지버스(FCEV)
전기굴절버스
더블데커(2층 전기버스)
타운(중형전기버스)

갤러리

[편집]
  • 서울승합 3413번 일렉시티
    서울승합 3413번 일렉시티
  • 부산광역시에 최초로 도입된 현대 일렉시티 플러그인형 저상버스 차량(대진여객 129-1번 1806호)
    부산광역시에 최초로 도입된 현대 일렉시티 플러그인형 저상버스 차량(대진여객 129-1번 1806호)
  • 2017년에 공개된 일렉시티의 프로토타입 차량
    2017년에 공개된 일렉시티의 프로토타입 차량
  • 경북교통 805번 일렉시티
    경북교통 805번 일렉시티
  • 일렉시티 휠체어석
    일렉시티 휠체어석
  • 영천교통 55번 일렉시티
    영천교통 55번 일렉시티
  • 화영운수 2번에서 운행중인 일렉시티
    화영운수 2번에서 운행중인 일렉시티
  • 춘천시민버스 2번 일렉시티
    춘천시민버스 2번 일렉시티
  • 세종교통 B7번 일렉시티 FCEV
    세종교통 B7번 일렉시티FCEV
  • 동일운수 B7번 일렉시티
    동일운수 B7번 일렉시티
  • 뉴부일교통 56번 일렉시티 타운
    뉴부일교통 56번 일렉시티 타운
  • 김포운수에서 운행중인 일렉시티 2층버스
    김포운수에서 운행중인 일렉시티 2층버스
  • 신일여객 92번 일렉시티
    신일여객 92번 일렉시티
  • 시흥교통 63번 일렉시티
    시흥교통 63번 일렉시티
  • 춘천시민버스 904번 일렉시티
    춘천시민버스 904번 일렉시티

경쟁 차종

[편집]

각주

[편집]
  1. “현대차, 친환경 전기버스 '일렉시티' 이미지 첫 공개”. 《연합뉴스》. 2017년 5월 16일. 
  2. “1회 충전 300㎞ '거뜬'…현대차, 전기버스 2018년 달린다”. 《한국경제》. 2017년 5월 25일. 
  3. “수소전기 상용차 시장 열린다… 각국 경쟁 후끈”. 《중앙일보》. 2019년 10월 23일. 
  4. “현대차 사우디에 수소차 첫 수출... 니콜라 사기 논란에 더 빛나는 현대 수소차”. 《조선일보》. 2020년 9월 28일. 
  5. “현대차 수소버스, 오스트리아 ‘빈’ 시내 달린다”. 《서울경제》. 2022년 2월 27일. 
  6. “‘수소버스’ 가장 많은 한국 ··· 현대차 친환경 수소전기버스 일렉시티 누적 판매량 1000대 돌파”. 《경향신문》. 2024년 10월 6일. 
  7. “현대자동차 전기버스 '일렉시티타운' 첫 日 수출”. 《한국경제》. 2024년 7월 23일. 
  8. 정식 개막일과는 전혀 다르다. 프레스데이는 모터쇼 정식 개막 직전일에 열며, 프레스데이 당일은 기자들만 출입할 수 있다. 일반인들은 프레스데이 당일에는 관람할 수 없다.
  9. 서울모빌리티쇼, 내년 국내에서 펼쳐질 전기차 경쟁 예고하다 - 비즈니스 포스트
  10. 도심 구석구석 누빌 '일렉시티 타운' 최초 공개...VR로 아이오닉6 체험도 - 머니투데이
  11. 현대자동차의 중형 저상 전기버스를 소개합니다 - 뉴스1
  12. 저가 중국산, 점유율 50% 육박... K전기버스, 고성능 신차 띄운다 - 서울경제
  13. “보관된 사본”. 2024년 6월 2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6월 23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
  14. 아산시 천연가스버스 도입 공염불 - 뉴시스
  15. 강릉 천연가스 버스 도입 '불투명' - G1강원민방
  16. CNG 시내버스 도입 난항 ‘환경올림픽’ 난망 - 강원도민일보
  17. 해당된 현대 2층버스 모델이 시판되기 이전명칭이 유니버스 일렉트릭 더블데커로 정하다가 결국에는 현대 2층버스 디자인이 일렉시티 디자인이랑 유사하다는 이유로 현대 2층버스 정식 출고될 때 명칭을 현대 일렉시티 더블데커로 변경됐다. 그래서 현대 2층버스가 출시되기 이전은 현대 일렉시티 차종이 아닌현대 유니버스 차종이였다.
  18. 좌측 지시등 켤 때는 좌측면만 우측 지시등은 우측면이 마커 램프만 점멸되며, 비상등은 양방향과 함께 점멸된다.
승용차
RV
픽업트럭
현대 N 브랜드 차종
상용차
포드,메르세데스-벤츠 기술제휴
미쓰비시 후소 기술제휴
(미쓰비시후소 설계제공)
현대 베이스(미쓰비시후소
베링트럭 설계제공)
현대 독자개발 상용차 및 승합차종
그 외
엔진
현대의 중국 상용차 브랜드
현대중공업의 차종
현대자동차제네시스의 흐름, 1968년~
Type1960년대1970년대1980년대1990년대2000년대2010년대2020년대
89012345678901234567890123456789012345678901234567890123456789
경차이온캐스퍼
아토스i10/블루온i10/그랜드 i10
엑센트(Xcent)
i10/그랜드 i10 NIOS
엑센트(Xcent)
아토스 프라임/상트로(기아 비스토)
소형차HB20
i20i20
i20
클릭/뉴 클릭
포니/포니 Ⅱ
포니 엑셀/엑셀
프레스토
엑셀/뉴 엑셀엑센트/뉴 엑센트베르나/뉴 베르나베르나/베르나 트랜스폼엑센트
준중형차엘란트라/뉴 엘란트라아반떼/올 뉴 아반떼아반떼 XD/뉴 아반떼 XD아반떼아반떼/더 뉴 아반떼아반떼/더 뉴 아반떼올 뉴 아반떼더 뉴 아반떼
아이오닉/더 뉴 아이오닉
i30/i30cwi30/더 뉴 i30i30
중형차코티나뉴 코티나코티나 마크 Ⅳ/코티나 마크 Ⅴ스텔라
쏘나타쏘나타/뉴 쏘나타쏘나타 Ⅱ/쏘나타 ⅢEF 쏘나타/뉴 EF 쏘나타쏘나타/쏘나타 트랜스폼쏘나타/쏘나타 더 브릴리언트쏘나타/쏘나타 뉴 라이즈쏘나타 센슈어스쏘나타 디엣지
i40/더 뉴 i40/2018 i40
미스트라미스트라
마르샤/뉴 마르샤G70/더 뉴 G70
아이오닉 6
준대형차20M그라나다
그랜저 XG/뉴 그랜저 XG그랜저/그랜저 뉴 럭셔리/더 럭셔리 그랜저5G 그랜저그랜저/더 뉴 그랜저그랜저
아슬란
제네시스제네시스G80/G80 스포츠더 올 뉴 G80/더 올 뉴 G80 스포츠
대형차다이너스티
그랜저뉴 그랜저에쿠스/뉴 에쿠스뉴 에쿠스EQ900/G90G90
쿠페스쿠프/뉴 스쿠프티뷰론/티뷰론 터뷸런스투스카니벨로스터/더 뉴 벨로스터더 올 뉴 벨로스터
아반떼 쿠페
스포츠카제네시스 쿠페/더 뉴 제네시스 쿠페
SUV갤로퍼/뉴 갤로퍼/갤로퍼 Ⅱ
테라칸/테라칸 파워 플러스
크로스오버 SUV베뉴
ix25/크레타ix25/크레타
코나/더 뉴 코나디 올 뉴 코나
투싼투싼 ix/뉴 투싼 ix올 뉴 투싼/더 뉴 투싼더 올 뉴 투싼
아이오닉 5
넥쏘
싼타페뉴 싼타페/싼타페 더 스타일올 뉴 싼타페/싼타페 더 프라임올 뉴 싼타페/더 뉴 싼타페싼타페
GV70
맥스크루즈/더 뉴 맥스크루즈
베라크루즈팰리세이드
GV80
CUV라비타ix20
미니밴싼타모/싼타모 플러스
트라제 XG
앙트라지스타게이저
승합차HD 1000그레이스/뉴 그레이스
스타렉스/뉴 스타렉스그랜드 스타렉스/더 뉴 그랜드 스타렉스스타리아
쏠라티
준중형 버스D0710코러스카운티/e-카운티/e-카운티 페이스리프트/뉴 카운티/카운티 뉴 브리즈
중형 버스에어로타운/e-에어로타운
글로벌900/그린시티
준대형 버스포드 R 시리즈HD버스FB버스
RB버스에어로시티/슈퍼 에어로시티/뉴 슈퍼 에어로시티
블루시티
유니시티
일렉시티
대형 버스포드 R 시리즈
O 302O 303RB635에어로 버스에어로 버스
유니버스/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소형 트럭HD 1000/포터포터/뉴 포터뉴 포터포터 Ⅱ/더 뉴 포터 Ⅱ/포터 Ⅱ EV(현대 포레스트)
리베로쏠라티 트럭
준중형 트럭마이티 Ⅱ(내로우캡)/마이티 QT
마이티마이티 Ⅱ(와이드캡)//E-마이티/뉴 마이티(기아 파맥스)올 뉴 마이티
중형 트럭바이슨91A 중형트럭슈퍼 중형트럭/메가트럭/메가트럭 와이드캡/뉴 메가트럭/뉴 메가트럭 와이드캡파비스
준대형 트럭90A91A슈퍼트럭/뉴 파워트럭현대 엑시언트
대형 트럭90A91A슈퍼트럭/뉴 파워트럭
트라고트라고 엑시언트/엑시언트/엑시언트 프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현대_일렉시티&oldid=40791555"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