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헤르만 괴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괴링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괴링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헤르만 빌헬름 괴링
Hermann Wilhelm Göring
나치 독일나치 독일국가의회 의장
히틀러 내각
임기1932년 8월 30일 ~ 1945년 4월 23일
전임파울 뢰베
후임폐지

프로이센 자유주총리
임기1933년 4월 10일 ~ 1945년 4월 23일
전임프란츠 폰 파펜
후임폐지

프로이센 자유주국가지사 권한대행
임기1933년 4월 25일 ~ 1945년 4월 23일
전임아돌프 히틀러
후임폐지

나치 독일나치 독일항공성 장관
임기1933년 4월 27일 ~ 1945년 4월 23일
전임신설
후임로베르트 리터 폰 그라임
수상아돌프 히틀러

나치 독일나치 독일산림성 장관
임기1934년 7월 3일 ~ 1945년 4월 23일
전임신설
후임폐지
수상아돌프 히틀러

나치 독일나치 독일경제성 장관
임기1937년 11월 26일 ~ 1938년 1월 15일
전임얄마르 샤흐트
후임발터 풍크
수상아돌프 히틀러

나치 독일나치 독일부수상
임기1941년 2월 10일 ~ 1945년 4월 23일
전임프란츠 폰 파펜
후임프란츠 블뤼허
수상아돌프 히틀러

신상정보
출생일1893년 1월 12일(1893-01-12)
출생지독일 제국바이에른 왕국로젠하임
사망일1946년 10월 15일(1946-10-15)(53세)
사망지군정기 독일바이에른뉘른베르크
소속독일 제국 육군
독일 제국 항공대
돌격대
루프트바페
정당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배우자카린 폰 칸트초프(1931년 사별)
에미 존네만
자녀에다 괴링
서명
군사 경력
1917년의 괴링
1917년의 괴링
복무독일 제국의 기독일 제국(1912년 ~ 1918년)
바이마르 공화국의 기바이마르 공화국(1918년 ~ 1933년)
나치 독일의 기나치 독일(1933년 ~ 1945년)
복무기간1912년–1918년
1923년–1945년
최종계급대원수 금장제국원수(Reichsmarschall)
지휘루프트바페(1935년–45년)
주요 참전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상훈푸르 르 메리트 군사훈장

2급 1914년형 철십자장1급 1914년형 철십자장2급 1939년형 철십자 약장1급 1939년형 철십자 약장기사 호엔촐레른 가 훈장2급 단치히 십자장1급 단치히 십자장훈일등 욱일대수장1급 용감공 미하이 훈장

헤르만 빌헬름 괴링(독일어:Hermann Wilhelm Göring,문화어: 헤르만 게링그,1893년1월 12일 ~1946년10월 15일)은독일의 군인, 정치인이다.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의 초기 당원이자, 초기나치 돌격대(Sturmabteilung/SA)의 지휘관을 지냈고,게슈타포를 창설했다.1935년 재군비 선언 이후에는나치 공군총사령관(제국원수)으로 공군을 창설하고 육성했다. 그 자신이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전투기 에이스였다.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에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사형을 선고받았지만, 독일로부터 나라가 5년이나 박살나고 2000만명이 사망, 1000만이 부상당한 소련 수석 판사인 이오나 니키첸코가 길길이 날뛰며 군인들 총살형에 대해 반대해 군인의 사형 방법인총살형이 아닌교수형으로 결정되자 절망하다 사형이 집행되기 전날에 자신이 수감된 감방에서 자살했다.

생애

[편집]

유년기

[편집]

아이티 주재독일 제국영사하인리히 에른스트 괴링과 그의 후처의 차남으로,독일 제국알프스산맥과 가까운 지역인로젠하임(바이에른 왕국령)에서 태어났다.알베르트 괴링은 그의 동생이다.[1]

3살 때인1896년, 아버지가알렉산드리아 주재총영사직에서 은퇴하여 가족들은 함께 독일에서 살았다. 어린 시절 괴링은뉘른베르크 가까이에 있는 작은 성(城)인펠덴슈타인 성에서 자랐는데,1913년까지 그 성의 주인은 어머니의 연인이자 아이들의 대부(代父)인 유대 사람헤르만 에펜슈타인이었다. 헤르만 빌헬름 괴링은 유년시절을 부유하게 지냈다.[2]

청년기

[편집]

군인 생활

[편집]

직업군인으로 훈련받은 뒤1912년 장교로 임관되었으며, 초창기독일 제국 공군에 들어가제1차 세계대전 동안 맹활약했다.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괴링은독일 제국에서 대표적인 공군 에이스였다.[3]

1918년 독일의 위대한 비행사붉은 남작 만프레트 폰 리히트호펜이 복무했던 유명한 비행대대의 지휘관이 되었다. 독일 제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국에 항복한 뒤 혼란기에 군장교들에 대한 민간인들이 푸대접한다 하며 몹시 분개하여 독일을 떠났다. 이후 그는덴마크스웨덴에서 민간 비행사로 일했으며, 그 뒤 스웨덴의 남작 부인카린 폰 칸트초프를 만나 그녀가 남편과 이혼한 뒤인1922년2월 3일에 독일의뮌헨에서 결혼했다.[3]

나치당 입당과 활동

[편집]

괴링은1921년아돌프 히틀러를 만났으며,1922년말 소규모나치당에 입당했다. 전직 장교로서 히틀러의나치 돌격대를 지휘했으며,1923년 11월 히틀러가 권력을 장악하려고 성급하게 일으켰다가 실패한맥주홀 쿠데타에도 가담해 허벅지에 심한 상처를 입기도 했다. 그를 체포하라는 명령이 떨어졌으나 부인과 함께오스트리아로 달아났다. 상처의 아픔을 누그러뜨리기 위해모르핀을 사용하다가 심하게 중독되어1925년~1926년 2번이나 스웨덴스톡홀름롱브로 정신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4]

1927년바이마르 공화국 (독일)의베를린으로 돌아온 괴링은 독일 산업계와의 접촉에 성공하여 다시 당 지도부 자리에 앉았고,1928년 5월 20일의독일 국회 선거에서 나치스당이 얻은 12개 의회의석 가운데 하나를 차지했다. 국회에서 인정받는 당 지도자가 되었고1932년 7월 31일 선거에서나치당이 230석을 점하자국회의장으로 선출되었다.[5]

국회에서 괴링의 유일한 관심은1933년 3월까지 국회가 겉으로나마 내세웠던 민주주의 체계를 무력화하는 것이었다. 그는 84세의 대통령파울 폰 힌덴부르크에게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자신의 지위를 이용하여 역대 총리들, 특히쿠르트 폰 슐라이혀프란츠 폰 파펜을 계략에서 앞질러 결국1933년1월 30일 힌덴부르크가히틀러를 총리로 임명하지 않을 수 없게 했다. 그러나 독재권력을 얻기 위한 싸움은 계속되어1933년3월 23일에야히틀러에게 독재권력을 주는전권 위임법이 통과되었다. 괴링은 끈기있게 밀고 나가 독일에서 제일 크고 영향력있는프로이센 자유주의 내무장관직을 맡았다. 이 직책을 이용하여 프로이센 경찰을 나치화했으며 비밀경찰게슈타포를 창설했다. 또한 다루기 힘든 반대파들을 교정하기 위한 강제수용소를 만들었다.1933년2월 27일 나치가 선동한 것으로 추측되는국회의사당 방화 사건이 일어나자 '공산주의자들이 쿠데타를 모의했다.'는 구실로 독일 공산주의자들을 대대적으로 체포했고, 몇몇 사회민주당 의원들도 체포해 다음 달전권 위임법의 통과에 방해되는 자들을 제거했다.[6]

히틀러의 가장 충성스러운 지지자로서 괴링의 위치는 1930년대 말까지 흔들리지 않았다. 그는 거의 마음대로 국가직책을 골라서 역임했다. 그는 독일 제국 항공 분야의 총책임자, 새로 편성하여1935년 3월 1일까지 민간사업체로 위장했던루프트바페총사령관, 1933년에는 독일 수렵지 및 산림 책임자가 되었다. 그는1934년 6월 30일나치스당나치 돌격대(SA)의 지도자에른스트 룀을 숙청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했으나 같은 해 안보책임자 직책을하인리히 힘러에게 넘겨주고 자신은게슈타포와 강제수용소에서 손을 떼었다. 1937년에는 1934년부터히틀러 정부의 경제계획부 장관인히알마르 샤하트를 쫓아내고 그 자리를 차지했다. 히틀러는 1936년에 이미 샤하트와 의논도 하지 않고 괴링에게 전시 경제(戰時經濟)를 위한 4개년 계획의 책임을 맡겼었다. 괴링은 또한 히틀러의 순회대사도 계속 맡았다.[6]

독일 국민뿐 아니라 외국 대사와 외교관들 사이에서도 괴링은 나치스 지도자들 중데 가장 인기 있었으며, 자신의 확고한 지위를 이용하여 축재했다. 성격이 무자비했는데 그것은1938년 오스트리아가 독일과 '병합'(Anschluss)하도록 협박한 전화 대화 기록에 잘 나타나 있다. 독일에 사는 유대인뿐 아니라 히틀러에게 무너진 여러 나라에 살고 있던 유대인을 경제적으로 수탈한 사람도 바로 괴링이었다.[7]

괴링은 전처가 1931년 죽은 뒤 1935년 4월 10일 여배우에미 존네만과 재혼했다. 전처에게처럼 후처에게도 헌신적이었다. 사냥에 관심이 많아베를린 북쪽의 쇼르프하이데에 드넓은 산림지를 소유했고, 그곳에 1933년부터 그의 야망에 어울리는 어마어마한 규모의 저택을 짓기 시작했으며 전처를 추모하는 뜻에서 그 저택을 카린할이라고 불렀다. 바로 이 카린할에 자신이 모아들인 막대한 예술 소장품의 대부분을 보관했다. 1938년 6월 2일 에미는 괴링의 유일한 자식인 외동딸에다 괴링을 낳았다.[8]

제2차 세계대전

[편집]

1939년 스웨덴의 산업가비르게르 달레루스와 협상에 실패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괴링은 진정으로 전쟁을 피하거나 늦추기를 원했을 수도 있었다. 그러나히틀러의 군사행동이 계속되면서 폴란드 레지스탕스를 박살내고 여러 나라를 차례로 약화시킨 전격작전을 실행한 것은 바로 괴링의 공군이었다. 괴링의 방종한 기질은 혹독한 전쟁을 견뎌내거나, 전투기보다는 폭격기 생산을 선호한 히틀러의 맹목적 편견에 반대하기에는 너무 약했다. 히틀러가 북유럽에서 지중해와 북아프리카로 전선을 확장함에 따라나치스 공군의 방위능력은 약해졌고, 나치스 공군이 영국과의 전투에서 지고 연합군의 독일 폭격을 막지 못하게 되자 괴링은 체면을 잃었다. 괴링은 건강을 구실로 은퇴했는데 이는 히틀러도 바라던 바였다. 괴링은카린할에 보관한 사치품을 즐겼고, 점령국의 유대인들에게서 약탈한 예술품들로 소장품은 계속 늘어났으며 많은 선물들을 타인들로부터 받았다.[9]

괴링은 엄청나게 뚱뚱해졌으며모르핀에서 추출한 약물인파라코데인을 지나치게 써 자주 약물중독치료를 받아야만 했다. 약물중독 때문에 감정의 기복이 심하여 기분이 좋아졌다가 곧 우울해지기도 했으며 자기중심적이며, 허황하여 눈부시게 찬란한 의상과 군복, 훈장들과 자기과시욕을 만족시킬 보석들을 좋아했다. 히틀러는 괴링의 결점을 알면서도 자신의 정권과 깊게 밀착된 괴링을 쉽게 포기할 수 없었다.1939년히틀러는 괴링을 자신의 후계자로 선포했으며,1940년에는 '대(大)독일제국의제국원수 '(Reichsmarschall des Grossdeutschen Reiches)라는 특별계급을 주었다. 다른 나치스 지도자들은 편파적인 괴링의 지위에 분개하거나 방종한 괴링의 성격을 경멸했지만, 히틀러는 전쟁 마지막 기간까지 그를 해임하지 않았다. 괴링은 히틀러가 베를린에서 포위되어 절망적이라 생각하고 1939년에 내려진 포고령에 따라 퓌러의 권력을 계승하려 했다가 히틀러에게 해임당했다. 그런데도 히틀러가 자살한 뒤 괴링은 자신이 전권대사로 대우 받기를 바라고 가족들과 함께 미군 장교에게 스스로 항복했다.[10]

재판 및 최후

[편집]

항복 직후 전쟁범죄자로 체포되어 구속되었다. 이 때 육군 장성들인 카이텔과 요들, 해군 장성들인 칼 되니츠.에리히 레더와 매찬가지로 군복의 계급장과 서훈들을 다 탈거 및 빼앗겼다. 전범으로 재판을 기다리는 동안 약물중독에서 완전히 벗어난 괴링은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에서 자신을 훌륭히 변호할 수 있었다. 그는 스스로 자신이 인기있는 피고인이며 역사적 인물이라고 여겼으며 히틀러 정권이 저지른 끔찍한 만행과 자신은 관계가 없고 그 모든 것은하인리히 힘러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가 비밀리에 저지른 것이라고 주장했다. 유죄판결을 받고 나서 교수형 대신 총살형을 바라는 탄원을 올렸으나 소련 육군소장 이오나 니키첸코 판사가 길길이 날뛰며 반대하자 군인들도 교수형으로 집행되도록 결정되어 거절당했고, 절망해서 사형이 집행되기 전날에 집행명령이 하달되자 밤 늦게뉘른베르크의 감방에서 남아있는 명예를 지키기 위해 청산 캡슐을 물고서 음독 자살했다. 이 사실은 포마드 용기 안에 독약 캡슐을 내내 숨겨왔다는 내용이 적힌 쪽지가1967년에 발견됨으로써 밝혀졌다.[11]

같이 보기

[편집]

주요 경력

[편집]
부서직책기간설명
육군 항공대
리히트호펜 대대
대대장(최종)1914년 ~1918년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유명한 전투기 에이스인 "붉은 남작"리히트호펜이 지휘하는 비행대에서 근무. 종전 당시에는 괴링이 리히트호펜 대대의 지휘관이었다.
바이마르 공화국 국회국회의장1932년 ~1933년히틀러의 독재 체제를 확립한전권 위임법이 모두 괴링의 작품이다.
프로이센 자유주 내무부내무장관 이때 비밀경찰게슈타포를 창설하고, 프로이센 경찰을 중앙 내무부 및 프로이센 정부로부터 분리시켜버렸다.
루프트바페총사령관1935년 ~1945년공군을 창설한 뒤 종전때까지 총사령관(제국원수)을 지냄.
항공부장관1933년 ~1945년항공부 장관으로 근무하면서 공군창설 준비. 재군비 선언 후 바로 공군이 창설됨.
산림부장관1934년 ~1945년장관 재직 시절 제정한 수렵법이 현재도 적용 중이라 함.
4개년 경제 계획부장관1937년 ~1945년실질적인 전쟁 준비는 이때 시작되었다. 무리한 군수산업 확대 정책으로 인해 경제계획부 장관얄마르 샤흐트와 갈등했고 결국 샤하트가 사임했다.
육군 대장공군 대장공군 상급대장
1933년 8월 31일1935년 3월 1일1936년 4월 20일
공군 야전원수제국 원수
1938년 2월 4일1940년 7월 19일

각주

[편집]
이 문서에는다음커뮤니케이션(현카카오)에서GFDL 또는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Manvell & Fraenkel 2011, 21–22쪽.
  2. Manvell & Fraenkel 2011, 22–24쪽.
  3. Manvell & Fraenkel 2011, 24–28쪽.
  4. Manvell & Fraenkel 2011, 329–331쪽.
  5. Manvell & Fraenkel 2011, 336–337쪽.
  6. Goldensohn 2004.
  7. Manvell & Fraenkel 2011, 374–375쪽.
  8. Manvell & Fraenkel 2011, 371쪽.
  9. International Military Tribunal 1946.
  10. Kershaw 2008, 964쪽.
  11. BBC News 2005.

참고 문헌

[편집]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전임
에리히 빌란트
제3대제27전투비행대대
1917년 5월 17일 ~ 1918년 7월 28일
후임
헤르만 프로메르츠
전임
빌헬름 라인하르트
제3대제1전투비행단
1918년 7월 14일 ~ 1918년 ?월
후임
에리히 폰 베델
전임
에리히 폰 베델
제5대제1전투비행단
1918년 ?월 ~ 1918년 11월
후임
폐지
전임
한스 울리히 클린츠슈
제3대돌격대최상급지도자
1923년
(1926년까지 공석)
프란츠 페퍼 폰 잘로몬
전임
파울 뢰베
제4대독일국국가의회의장
1932년 8월 30일 ~ 1945년 4월 23일
후임
폐지
전임
프란츠 폰 파펜
제9대프로이센 자유주주총리
1933년 4월 10일 ~ 1945년 4월 24일
후임
폐지
전임
신설
제1대공군최고지휘관
1935년 3월 1일 ~ 1945년 4월 24일
후임
항공야전원수로베르트 리터 폰 그라임
전임
얄마르 샤흐트
제4대경제국가장관
1937년 11월 26일 ~ 1938년 1월 15일
후임
발터 풍크
전임
프란츠 폰 파펜
제13대독일국부수상
1941년 2월 10일 ~ 1945년 4월 23일
(독일연방공화국 부수상)
프란츠 블뤼허
히틀러 내각의 구성원(1933년 1월 30일~1945년 4월 30일)
국가외무장관
내무국가장관
국가내무장관
국가법무장관
국가전쟁장관
국가경제장관
국가노동장관
국가체신장관
국가교통장관
국가항공장관
대중계몽선전국가장관
과학교육문화국가장관
종무국가장관
군수전쟁생산국가장관
동방점령지국가장관
뵈멘·메렌독일국무장관
무임소장관
기울임꼴은 권한대행을 의미한다.
독일 제국
총리일반대리
(1871년–1918년)
Flag of Germany
바이마르 공화국
총리일반대리
(1919년–1933년)
나치 독일
총리일반대리
(1933년–1945년)
독일연방공화국
연방총리대리
(1949년–)
독일 제국의 기독일 제국국가경제차관
바이마르 공화국독일국 경제국가장관
나치 독일제3독일국 경제국가장관
동독독일민주공화국 경제장관
독일독일연방공화국
경제동력연방장관
프로이센 왕국
(1701년–1918년)
Coat of arms of Prussia
바이마르 공화국
프로이센 자유주
(1918년–1933년)
독일 제3제국
프로이센 자유주
(1933년–1945년)
단체
역사
이념
나치 인종주의
최종 해결책
독일, 오스트리아 외
목록
관련 인물
관련 주제
독일 국방군 각군 최고지휘관 일람
육군최고지휘관
공군최고지휘관
해군최고지휘관
제국원수(6성장군)
(Reichsmarschall)
국방군
제국원수기
제국원수기
야전원수기
야전원수기
항공야전원수기
항공야전원수기
대제독기
대제독기
야전원수
(Generalfeldmarschall)
육군
항공야전원수
(Generalfeldmarschall der Flieger)
공군
대제독
(Großadmiral)
전쟁해군
(국제군사재판소)
뉘른베르크 정의궁

계속재판
(미군 군사법정)
1813년형 대십자
(나폴레옹 전쟁기)
1870년형 대십자
(독일 통일전쟁기)
1914년형 대십자
(제1차 세계 대전기)
1939년형 대십자
(제2차 세계 대전기)
최초와 최후의기사십자 철십자장 수훈자
최초: 1939년 9월 30일
최후: 1945년─
─5월 11일
─5월 14일
─5월 28일
─6월 1일
─6월 17일
히틀러 사후 국가원수로 지명된카를 되니츠대제독은 1945년 5월 11일자로 모든 상훈 및 진급을 중지할 것을 명령했다. 때문에 게오르크볼프강 펠러는사실상 최후 수훈자이지만명목상 최후 수훈자는 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명목상 최후 수훈자로서 수훈 여부에 의심의 여지가 없는 인물은 빌리 훈트가 된다.  ← 이 색깔 음영이 칠해진 것은 수훈 여부에 의심의 여지가 있음을 의미.
공군최고지휘관기
공군장군참모장기
푸르 르 메리트 수훈 경력이 있는기사십자 철십자장 수훈자
가나다순 정렬임.
작전
나치 독일
소련
cetner
편제
군집단급
나치 독일
소련
야전군급
나치 독일
소련
군단급
나치 독일
소련
전차군단
기타 군단
사단급
나치 독일
기갑사단
보병사단
소련
친위소총병사단
소총병사단
기타 사단
공군
나치 독일
관련자
추축국
나치 독일
루마니아 왕국
이탈리아 왕국
헝가리 왕국 (1920년~1946년)
크로아티아 독립국
소련
주요 장소
기념물
1945년 탈출 날짜별퓌러엄폐호의 최종 거주자
4월 20일
National Insignia of Germany
4월 21일
4월 22일
4월 23일
4월 24일
4월 28일
4월 29일
4월 30일
5월 1일
5월 2일
5월 2일까지 잔류
(엄폐호를 접수한
소련군에게 항복)
자살
살해
생사불명
K
퓌러엄폐호 탈출 이후KIA
S
퓌러엄폐호 탈출 이후 자살
?
퓌러엄폐호 탈출 이후 행방불명
X
퓌러엄폐호를 탈출했는지 여부조차 알 수 없음
국제
국가
학술
아티스트
인물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헤르만_괴링&oldid=39402654"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