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른 뜻에 대해서는합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수학에서유한합(有限合,영어:finite sum)은 유한 개의 수를더한 결과를 뜻한다. 유한합의 표기에는그리스 문자시그마의 모양을 딴 기호{\displaystyle \textstyle \sum }가 쓰인다.

정의

[편집]

유한 수열(am,am+1,,an){\displaystyle (a_{m},a_{m+1},\dots ,a_{n})}유한합

k=mnak=mknak=am+am+1++an{\displaystyle \sum _{k=m}^{n}a_{k}=\sum _{m\leq k\leq n}a_{k}=a_{m}+a_{m+1}+\cdots +a_{n}}

은 이 수열의 모든 항을 더한 결과를 뜻하며, 다음과 같이 재귀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k=mm1ak=0{\displaystyle \sum _{k=m}^{m-1}a_{k}=0}
k=mnak=an+k=mn1ak(n{m,m+1,m+2,}){\displaystyle \sum _{k=m}^{n}a_{k}=a_{n}+\sum _{k=m}^{n-1}a_{k}\qquad (n\in \{m,m+1,m+2,\dots \})}

보다 일반적으로,유한 집합I{\displaystyle I}로 첨수된 수들의 집합{ai:iI}{\displaystyle \{a_{i}\colon i\in I\}}유한합은 이 집합의 모든 원소를 더한 결과를 뜻하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iIai=k=1|I|af(k){\displaystyle \sum _{i\in I}a_{i}=\sum _{k=1}^{|I|}a_{f(k)}}

여기서|I|{\displaystyle |I|}I{\displaystyle I}크기이며,f:{1,,|I|}I{\displaystyle f\colon \{1,\dots ,|I|\}\to I}는 임의의전단사 함수이다. 위 정의가 유효한 것은 위 합이 전단사 함수f{\displaystyle f}의 선택과 무관하기 때문이다.

집합I{\displaystyle I} 및 그 위의 성질P{\displaystyle P}에 대하여, 원소iI{\displaystyle i\in I}가 성질P{\displaystyle P}를 만족시킨다는 것을P(i){\displaystyle P(i)}로 쓰자. 만약 집합{iI:P(i)}{\displaystyle \{i\in I\colon P(i)\}}가 유한 집합일 경우, 유한합

i{jI:P(j)}ai{\displaystyle \sum _{i\in \{j\in I\colon P(j)\}}a_{i}}

iI:P(i)ai{\displaystyle \sum _{i\in I\colon P(i)}a_{i}}

와 같이 표기할 수 있다.

성질

[편집]

항등식

[편집]

합에 대한 성질을 나타내는 다음과 같은 항등식들이 성립한다.

그러나 합은 곱셈과 나눗셈을 보존하지 않는다.

부등식

[편집]

실수들의 유한합을 포함하는 다음과 같은 부등식들이 성립한다.

증명 (코시-슈바르츠 부등식):

0i=1nj=1n(aibjajbi)2=i=1nj=1n(ai2bj22aiajbibj+aj2bi2)=2i=1nj=1nai2bj22i=1nj=1naiajbibj=2(i=1nai2)(j=1nbj2)2(k=1nakbk)2{\displaystyle {\begin{aligned}0&\leq \sum _{i=1}^{n}\sum _{j=1}^{n}(a_{i}b_{j}-a_{j}b_{i})^{2}\\&=\sum _{i=1}^{n}\sum _{j=1}^{n}(a_{i}^{2}b_{j}^{2}-2a_{i}a_{j}b_{i}b_{j}+a_{j}^{2}b_{i}^{2})\\&=2\sum _{i=1}^{n}\sum _{j=1}^{n}a_{i}^{2}b_{j}^{2}-2\sum _{i=1}^{n}\sum _{j=1}^{n}a_{i}a_{j}b_{i}b_{j}\\&=2\left(\sum _{i=1}^{n}a_{i}^{2}\right)\left(\sum _{j=1}^{n}b_{j}^{2}\right)-2\left(\sum _{k=1}^{n}a_{k}b_{k}\right)^{2}\end{aligned}}}

증명 (횔더 부등식):

영의 부등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k=1n|akbk|(i=1n|ai|p)1p(j=1n|bj|q)1q=k=1n(|ak|pi=1n|ai|p)1p(|bk|qj=1n|bj|q)1qk=1n(1p|ak|pi=1n|ai|p+1q|bk|qj=1n|bj|q)=1p+1q=1{\displaystyle {\frac {\displaystyle \sum _{k=1}^{n}|a_{k}b_{k}|}{\displaystyle \left(\sum _{i=1}^{n}|a_{i}|^{p}\right)^{\frac {1}{p}}\left(\sum _{j=1}^{n}|b_{j}|^{q}\right)^{\frac {1}{q}}}}=\sum _{k=1}^{n}\left({\frac {|a_{k}|^{p}}{\displaystyle \sum _{i=1}^{n}|a_{i}|^{p}}}\right)^{\frac {1}{p}}\left({\frac {|b_{k}|^{q}}{\displaystyle \sum _{j=1}^{n}|b_{j}|^{q}}}\right)^{\frac {1}{q}}\leq \sum _{k=1}^{n}\left({\frac {1}{p}}{\frac {|a_{k}|^{p}}{\displaystyle \sum _{i=1}^{n}|a_{i}|^{p}}}+{\frac {1}{q}}{\frac {|b_{k}|^{q}}{\displaystyle \sum _{j=1}^{n}|b_{j}|^{q}}}\right)={\frac {1}{p}}+{\frac {1}{q}}=1}

증명 (민코프스키 부등식):

다음과 같은q>1{\displaystyle q>1}를 취하자.

1p+1q=1{\displaystyle {\frac {1}{p}}+{\frac {1}{q}}=1}

그렇다면, 이 부등식은 횔더 부등식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k=1n|ak+bk|pk=1n|ak||ak+bk|p1+k=1n|bk||ak+bk|p1(k=1n|ak|p)1p(k=1n|ak+bk|q(p1))1q+(k=1n|bk|p)1p(k=1n|ak+bk|q(p1))1q=((k=1n|ak|p)1p+(k=1n|bk|p)1p)(k=1n|ak+bk|p)1q{\displaystyle {\begin{aligned}\sum _{k=1}^{n}|a_{k}+b_{k}|^{p}&\leq \sum _{k=1}^{n}|a_{k}||a_{k}+b_{k}|^{p-1}+\sum _{k=1}^{n}|b_{k}||a_{k}+b_{k}|^{p-1}\\&\leq \left(\sum _{k=1}^{n}|a_{k}|^{p}\right)^{\frac {1}{p}}\left(\sum _{k=1}^{n}|a_{k}+b_{k}|^{q(p-1)}\right)^{\frac {1}{q}}+\left(\sum _{k=1}^{n}|b_{k}|^{p}\right)^{\frac {1}{p}}\left(\sum _{k=1}^{n}|a_{k}+b_{k}|^{q(p-1)}\right)^{\frac {1}{q}}\\&=\left(\left(\sum _{k=1}^{n}|a_{k}|^{p}\right)^{\frac {1}{p}}+\left(\sum _{k=1}^{n}|b_{k}|^{p}\right)^{\frac {1}{p}}\right)\left(\sum _{k=1}^{n}|a_{k}+b_{k}|^{p}\right)^{\frac {1}{q}}\end{aligned}}}

[편집]

일부 특수한 합은 더 간단한 꼴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그 예는 다음과 같다.

다항식

[편집]

증명 (세제곱 합):

항등식

(k+1)4k4=4k3+6k2+4k+1(k{1,,n}){\displaystyle (k+1)^{4}-k^{4}=4k^{3}+6k^{2}+4k+1\qquad (k\in \{1,\dots ,n\})}

을 모두 더해서 정리해주면 위 공식과 같은 결과가 도출된다.

유리식

[편집]

지수 함수

[편집]

이항 계수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전거 통제: 국가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합&oldid=40354700"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