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함흥시

좌표:북위 39° 55′ 00″동경 127° 32′ 00″ / 북위 39.916667° 동경 127.533333° /39.916667; 127.533333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함흥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에 관한 것입니다. 대한민국의 명목상의 행정 구역에 대해서는함흥시 (대한민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함흥시
행정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행정 구역7구역
지리
면적556 km2
인문
인구768,551 명[1](2008년)
미국항공우주국World Wind 사진
함흥부 휘장
함흥대극장의 실제 배경

함흥시(咸興市)는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함경남도동해안에 있는 도시이자함경남도청 소재지이다.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평양시,남포시에 이어 3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며,관북 지방 최대 도시이다. 북쪽은함경산맥, 서쪽은낭림산맥으로 둘러싸여 있으며,성천강동조선만을 통해동해로 유입되면서성천강 유역에함흥평야가 발달하였다.함흥공업지구가 조성되어 화학 공업이 발달하였고,흥남구역에는 1만 톤 선박이 입항할 수 있는흥남항이 있다. 인구는 약 77만 명이다.

지리

[편집]

최고봉은형제봉이다. 주요 하천은성천강이고동해에 접해 있다. 해안에 접해 있는 곳으로 이곳은 기온이 따뜻하다. 그리고함경산맥이 바람받이 역할을 해주는 곳으로푄 현상도 일어난다.

역사

[편집]

함흥시는1세기에 고구려의 영토가 되었고, 8세기 이후에 발해의 영토가 되었다.

성덕왕 20년에 사건을 기록한 《삼국사기》 제8권에 의하면, "하슬라주(오늘날의강릉시) 이북에 군사 2천여 명을 선발하여, 하슬라주와용흥강 일대를 지키도록 했다"고 하였다.

한편,발해의 5경에 속해 있었던남경 남해부함경남도 함흥시와북청군,락원군 일대에 존재했다고 추정된다.

고려 때 '함주'로 불렀지만, 1258년조휘의 반란으로 철령 이북이 원나라 쌍성총관부 소관이 됨으로써, 함흥은 고려의 영토가 아니라쌍성총관부에 속해 있었으나고려 공민왕1356년에 원나라가 홍건적에게 막대한 피해를 보고 있는 것을 기회로 해서 영토를 넓혔고, 비로소 함흥이 고려의 영토로 환속하게 되었다.

Daedongyeojido (Gyujanggak) 06-05.jpg
Daedongyeojido (Gyujanggak) 06-04.jpg
Daedongyeojido (Gyujanggak) 07-03.jpg
Daedongyeojido (Gyujanggak) 07-02.jpg

조선시대 초기 함흥 일대는 여진족과 외적의 침입을 막는 군사적 요충지가 되었고,태조이성계가 임금의 지위에서 물러나서, 1403년까지 머물렀던 곳이다.

조선시대 후기와대한제국 시기에 함흥시는함경남도에 소속되었고, 함경남도청 소재지가 되었다.일제강점기에는1930년 함흥군 함흥면이 함흥부로 승격되었다.

1941년4월 1일함주군 주서면 일부 등을 편입하였다.[2]

조선총독부령 제84호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함주군 주서면 서상리, 신상리, 흥도리, 구억리, 십이리, 풍호리함흥부 일부
운남면 당북리, 당흥리, 대흥리, 련봉리, 중리, 자흥리, 풍동리, 운곡리, 초흥리, 동흥리, 신흥리, 보고리, 인흥리, 신보리, 중보리, 상보리
동천면 하수리, 상수리, 부평리, 회양리, 경흥리, 심동리

함흥시는한국전쟁 때 공공시설과 수많은 주택이 파괴되고 막대한 손실을 입었는데,천리마운동 때 2차선도로를 구축하고 고층 아파트가 건설되면서 새 시가지가 형성되었다. 천리마운동 때 도시개발을 할 때에는 소련과독일민주공화국의 지원이 있었다. 새 시가지는 대부분 중앙유럽의 공산주의 나라의 도시들처럼 바둑판형의 계획도시로 탈바꿈했다.

1960년에 함흥시가 직할시로 승격하였다. 이와 함께흥남시퇴조군(현락원군) 등이 함흥직할시에 편입되었다.1970년에 다시함경남도가 관할하는 일반시로 변경되어퇴조군이 다시 분리되었다. 1977년에 반룡구역(盤龍區域)이 동흥산구역으로 개칭하고, 1990년에 성천구역(城川區域)이 성천강구역으로, 룡성구역(龍城區域)이 해안구역으로 각각 개칭하였다.

이 도시는1992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만든 예술영화인 〈도시 처녀 시집와요〉의 촬영지로 유명하며, 주요 관광지로는 마전유원지와함흥대극장, 경기장, 함흥본궁이 있으며 그중에서 대극장은김정일의 지시로 만들어져 대극장이라는 이름에 맞게 크고 웅건하게 솟아 있다.

2001년 8월에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는 함흥시에서흥남구역, 해안구역, 흥덕구역 전부와 사포구역 일부를 관할로흥남시를 설치하고 함흥시의구역을 폐지하였고, 함흥시에서 건설한 목장이 있던함주군 상창리와평안남도대흥군 흑수리의 일부를 관할로래일로동자구를 설치해 함흥시에 편입시켰다.

2005년에 흥남시가 다시 함흥시로 편입되었고, 함흥시의 행정 구역을 7구역으로 회복시켰다.

행정구역

[편집]

산업

[편집]

함흥평야에서는이 많이 생산하며, 그밖에사과보리,,을 재배한다. 목재를 이용하여 만든 가공업은 펄프공장, 노트공장, 종이공장이 발전했다. 함흥시 수산사업소에서는 게와 물고기, 오징어들을 잡고 있다. 주요 화학공장은 소위 주체섬유를 개발했다고 알려진2·8비날론연합기업소가 있다.

교통

[편집]

함남선,신흥선,장진선 등은 목재수송에 이용된다. 그 외에도도로가 위치해 있다. 관내에덕산비행장이 있지만 군사용도로 이용되고, 항공 교통은선덕비행장을 이용한다.

교육

[편집]

기후

[편집]
함흥시의 기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일평균 최고 기온 °C (°F)2.8
(37.0)
5.2
(41.4)
10.4
(50.7)
17.4
(63.3)
22.3
(72.1)
25.3
(77.5)
27.7
(81.9)
28.1
(82.6)
24.8
(76.6)
19.5
(67.1)
11.5
(52.7)
4.8
(40.6)
16.7
(62.1)
일일 평균 기온 °C (°F)−3.4
(25.9)
−1.0
(30.2)
4.2
(39.6)
10.8
(51.4)
16.0
(60.8)
19.8
(67.6)
23.1
(73.6)
23.5
(74.3)
19.0
(66.2)
12.8
(55.0)
5.4
(41.7)
−1.2
(29.8)
10.8
(51.4)
일평균 최저 기온 °C (°F)−9.0
(15.8)
−6.7
(19.9)
−1.3
(29.7)
4.6
(40.3)
10.3
(50.5)
15.6
(60.1)
19.6
(67.3)
19.9
(67.8)
14.3
(57.7)
7.3
(45.1)
0.2
(32.4)
−6.3
(20.7)
5.7
(42.3)
평균강수량 mm (인치)12.3
(0.48)
11.2
(0.44)
20.3
(0.80)
44.9
(1.77)
72.2
(2.84)
85.3
(3.36)
205.0
(8.07)
172.8
(6.80)
95.8
(3.77)
41.8
(1.65)
49.4
(1.94)
19.0
(0.75)
830.0
(32.68)
평균 강수일수(≥ 0.1 mm)3.63.14.35.47.48.512.410.96.94.65.53.375.9
평균 강설일수4.43.53.40.30.10.00.00.00.00.01.33.416.4
평균상대 습도 (%)63.661.261.461.269.478.784.084.779.971.367.063.770.5
출처:대한민국 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3]

같이 보기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함흥시 주제와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각주

[편집]
  1. 북한통계>인구일제조사>2008년>인구>도, 시/구역/군, 도시/농촌별, 성별인구보관됨 2018-10-07 -웨이백 머신 통계청 북한통계, 2018년 10월 7일 확인.
  2. 조선총독부령 제84호 (1941년3월 26일)
  3. “북한 기상 30년보 (1991 ~ 2020)”(PDF). 대한민국 기상청. 2022년 1월 29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31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편집]
  • Dormels, Rainer. North Korea's Cities: Industrial facilities, internal structures and typification. Jimoondang, 2014.ISBN 978-89-6297-167-5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
함경남도의 행정 구역
함흥시의 행정 구역
구역(구)
  • 광화동
  • 금사동
  • 금실동
  • 금빛동
  • 궁서동
  • 경흥동
  • 남문1동
  • 남문2동
  • 내호동
  • 당보1동
  • 당보2동
  • 덕동
  • 덕산동
  • 덕성동
  • 동문동
  • 마전동
  • 만세동
  • 반룡동
  • 보전동
  • 본궁1동
  • 본궁2동
  • 본궁3동
  • 사포1동
  • 사포2동
  • 사포3동
  • 삼일동
  • 상수동
  • 서거리동
  • 서문동
  • 서호1동
  • 서호2동
  • 수변동
  • 상신흥동
  • 신흥1동
  • 신흥2동
  • 성천동
  • 신상1동
  • 신상2동
  • 서운1동
  • 서운2동
  • 서흥동
  • 새별동
  • 송상동
  • 송흥동
  • 이화동
  • 여위동
  • 연지동
  • 영호동
  • 용동
  • 용신동
  • 용흥1동
  • 용흥2동
  • 용마동
  • 용성1동
  • 용성2동
  • 유정동
  • 응봉1동
  • 응봉2동
  • 유정1동
  • 유정2동
  • 유정3동
  • 운중1동
  • 운중2동
  • 운성1동
  • 운성2동
  • 운흥1동
  • 운흥2동
  • 은빛동
  • 지장동
  • 중앙동
  • 치마1동
  • 치마2동
  • 치마3동
  • 천기동
  • 평수동
  • 통남1동
  • 통남2동
  • 하덕동
  • 하신흥동
  • 해방동
  • 회상1동
  • 회상2동
  • 회상3동
  • 회상4동
  • 호남동
  • 후농동
  • 흥덕1동
  • 홍덕2동
  • 홍덕3동
  • 홍덕4동
  • 흥서동
  • 흥북동
  • 광덕리
  • 구흥리
  • 금사리
  • 능동리
  • 동흥리
  • 대흥리
  • 덕풍리
  • 부민리
  • 쌍봉리
  • 연흥리
  • 영봉리
  • 용흥리
  • 용암리
  • 서상리
  • 성원리
  • 수도리
  • 수동리
  • 송흥리
  • 중호리
  • 초운리
  • 창흥리
  • 풍경리
  • 풍동리
  • 풍호리
  • 풍흥리
  • 하덕리
  • 회양리
국제
국가
지리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함흥시&oldid=40627743"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