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한어병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어 병음에서 넘어옴)
병음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병음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한자
발달과정
그림 문자
갑골 문자
금문
전서 (대전,소전)
번체
간체
서체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글꼴
송조체 · 명조체 · 청조체 · 고딕체 · 굴림체 · 교과서체
분류법
필획 · 필순 · 육서 · 부수
한자의 표준화
표준
상용한자강희자전
문자 개혁
본자정체자
간체자
약자신자체
한자의 주음및 표음화
반절 ·주음부호 ·창힐수입법 ·한어병음
나라별 사용
중국 대륙·대만
홍콩·마카오
한국(한국 한자음)
일본(일본 한자음 · 류큐 한자음)
베트남(한월어 · 고한월어)
파생문자1
한국제 한자(이두,향찰,구결) ·일본 국자 ·쯔놈 ·방언자·측천 문자·방괴장자·방괴동자
파생문자2
히라가나 · 가타카나 · 만요가나 · 여서문자 · 서하 문자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v  d  e  h

한어병음(중국어정체자:漢語拼音,병음:Hànyǔ pīnyīn한위핀인[*])은중국어의 발음을로마자로 표기하는 발음 기호이다.한어 병음 자모(중국어정체자:漢語拼音字母,병음:Hànyǔ pīnyīn)는 현대 표준어인보통화(普通话) 발음을 로마자 자모로 표기하여 성모(聲母)는 b, p, m, f, d, t, n, l, g, k, h, j, q, x, zh, ch, sh, r, z, c, s 등 21개, 운모(韻母)는 yi(-i), wu(-u), yu(-ü, -u), a, o, e, ai, ei, ao, ou, an, en, ang, eng, er 등 15개, 총 36개로 구성되어 있다.

발음

[편집]

성모

[편집]

성모(聲母)는 어두의자음을 나타낸다. 왼쪽은 병음, 괄호 안은국제음성기호이다.

입술소리잇몸소리혀말이소리잇몸센입천장소리여린입천장소리
파열음b(/p/)p(/pʰ/)d(/t/)t(/tʰ/)g(/k/)k(/kʰ/)
비음m(/m/)n(/n/[1])
파찰음z(/ts/)c(/tsʰ/)zh(/ ʈʂ /)ch(/ ʈʂʰ /)j(/tɕ/)q(/tɕʰ/)
마찰음f(/f/)s(/s/)sh(/ ʂ /)x(/ɕ/)h(/x/)
유음l(/l/[2])r(/ ɻ~ʐ /[3])
  • 반모음 y(/j, ɥ[4]/)와 w(/w/)는 정식 한어 병음에 포함되지 않는다.
병음한글국제음성기호설명
b[p]양순 무기 파열음.
p[]양순 유기 파열음.
m[m]양순 비음.
f[f]순치 마찰음.
d[t]치경 무기 파열음.
t[]치경 유기 파열음.
n[n]치경 비음.
l[l]치경 설측 접근음.
g[k]연구개 무기 파열음.
k[]연구개 유기 파열음.
h[x]연구개 마찰음.
j[]치경구개 무기 파찰음.
q[tɕʰ]치경구개 유기 파찰음.
x[ɕ]치경구개 마찰음.
zh[ʈʂ]권설 무기 파찰음.
ch[ʈʂʰ]권설 유기 파찰음.
sh[ʂ]권설 마찰음.
r[ɻ~ʐ]권설 접근음.
z[ts]치경 무기 파찰음.
c[tsʰ]치경 유기 파찰음.
s[s]치경 마찰음.

운모

[편집]

운모(韻母)는 성모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나타낸다. 각 칸에서 첫 번째는 IPA이고, 두 번째는 어두 자음이 없는 병음이고, 세 번째는 어두 자음이 있는 병음이다. -r 때문에 조정되는 마지막 음은 소리내지 않는다.[5]

운미
/i//u//n//ŋ/
개음[ɨ]

-i
[ɤ]
e
-e
[ɑ]
a
-a
[ei]
ei
-ei
[ai]
ai
-ai
[ou]
ou
-ou
[au]
ao
-ao
[ən]
en
-en
[an]
an
-an
[ʊŋ]

-ong
[əŋ]
eng
-eng
[aŋ]
ang
-ang
한글에으애으아오
/i/[i]
yi
-i
[ie]
ye
-ie
[ia]
ya
-ia
[iou]
you
-iu
[iau]
yao
-iao
[in]
yin
-in
[iɛn]
yan
-ian
[iʊŋ]
yong
-iong
[iŋ]
ying
-ing
[iaŋ]
yang
-iang
한글야우이앤
/u/[u]
wu
-u
[uo]
wo
-uo[6]
[ua]
wa
-ua
[uei]
wei
-ui
[uai]
wai
-uai
[uən]
wen
-un
[uan]
wan
-uan
[uəŋ]
weng
 
[uaŋ]
wang
-uang
한글와이우은우응
/y/[y]
yu
[7]
[ye]
yue
-üe[7]
[yn]
yun
-ün[7]
[yɛn]
yuan
-üan[7]
한글으에으앤

성조

[편집]
보통화 4성조의 음고(音高) 변화

다음은표준 중국어의 4성조이다(괄호 안의 숫자는 음고(音高)를 나타낸다: 오른쪽 그림 참고)

  1. 제1성(음평성(陰平聲), 고평조(高平調), 55) (¯):

    (ᾱ) ā ē ī ō ū ǖ Ā Ē Ī Ō Ū Ǖ
  2. 제2성(양평성(陽平聲), 상승조(上昇調), 35) (´):

    (ά) á é í ó ú ǘ Á É Í Ó Ú Ǘ
  3. 제3성(상성(上聲), 저요조(低凹調), 214) (ˇ):

    (α̌) ǎ ě ǐ ǒ ǔ ǚ Ǎ Ě Ǐ Ǒ Ǔ Ǚ
  4. 제4성(거성(去聲), 하강조(下降調), 51) (`):

    (ὰ) à è ì ò ù ǜ À È Ì Ò Ù Ǜ
  5. 경성(輕聲):

    (α) a e i o u ü A E I O U Ü

중국어는 같은 성모와 운모로 구성되어 있어도 성조에 따라 뜻이 달라진다.

성조병음주음정체자간체자
제1성ㄇㄚ어머니
제2성ㄇㄚˊ
제3성ㄇㄚˇ말 (동물)
제4성ㄇㄚˋ욕하다, 꾸짖다
경성ma˙ㄇㄚ의문문에 쓰이는 조사


컴퓨터에서 나타내는 법

성조\모음aoeiuü
제1성ā
ā
ā

Ā
Ā
ō
ō
ō

Ō
Ō
ē
ē
ē

Ē
Ē
ī
ī
ī

Ī
Ī
ū
ū
ū

Ū
Ū
ǖ
ǖ
ǖ

Ǖ
Ǖ
제2성á
á
á
á

Á
Á
ó
ó
ó
ó

Ó
Ó
é
é
é
é

É
É
í
í
í
í

Í
Í
ú
ú
ú
ú

Ú
Ú
ǘ
ǘ
ǘ


Ǘ
Ǘ
제3성ǎ
ǎ
ǎ

Ǎ
Ǎ
ǒ
ǒ
ǒ

Ǒ
Ǒ
ě
ě
ě

Ě
Ě
ǐ
ǐ
ǐ

Ǐ
Ǐ
ǔ
ǔ
ǔ

Ǔ
Ǔ
ǚ
ǚ
ǚ

Ǚ
Ǚ
제4성à
à
à
à

À
À
ò
ò
ò
ò

Ò
Ò
è
è
è
è

È
È
ì
ì
ì
ì

Ì
Ì
ù
ù
ù
ù

Ù
Ù
ǜ
ǜ
ǜ


Ǜ
Ǜ

각주

[편집]
  1. /j/와 /ɥ/앞에서는 /ɲ/로 소리난다.
  2. /j/와 /ɥ/앞에서는 /ʎ/로 소리난다.
  3. r은 일부 방언에서는 /ʐ/로 소리난다.
  4. y가 u 앞에 있을 때 나온다.
  5. /ər/ (而, 二, etc.) 은 "er"으로 나타낸다. 또접미사 -r로 형성되는 발음은 병음으로서 나타내는 방법은 없다. 어떤 발음 변화가 있어도 단지 -r을 운미 뒤에 붙일 뿐이다.
  6. "uo"는 "b, p, m, f" 뒤에서는 "o"로 쓰인다.
  7. "ü"가 운두인 운모는 성모가 없거나(이 경우는 앞에 y를 붙이게 된다.) j, q, x 뒤에 올 때 u 위의 두 점을 생략하여 표기한다.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
전거 통제: 국가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어병음&oldid=40222286"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