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Fi Wireless | |
---|---|
![]() | |
유형 | 모바일 데이터 및 음성 서비스 |
위치 |
|
프로토콜 | GSM /CDMA /UMTS /LTE /NR |
사용 | 무선 스마트폰 서비스 |
소유자 | 구글 |
운영자 | T-Mobile,미국 셀룰러 |
설립 날짜 | 2015년 4월 22일(10년 전)(2015-04-22) |
현재 상태 | 운영중 |
상업 | 예 |
웹사이트 | fi.google.com |
Google Fi Wireless는 2015년 4월부터 서비스된구글의MVNO 서비스이다.
2015년 4월에 Project Fi라는 이름으로 런칭했고, 이 이름은 아직도 일부 서비스에서 ISP 이름으로 나타난다. 당시에는 초대를 통해야 가입할 수 있었고, 사용할 수 있는 기종도구글 넥서스에 한정되어 있었다.[1] 이후 2018년 10월에 이름을Google Fi로 변경하며, 초대장 정책과 기종 제한을 폐지했다.[2] 2020년 10월에 T-Mobile을 통해 5G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2023년에Google Fi Wireless로 다시 개명하였다..[3]
세계 어디를 가도 데이터 요금이 동일하다. 다르게 말해서, 로밍이 없고 커버리지 내에 있는 200개국이라면 요금이 같다.
종량제인 Flexible에서는 6GB까지만 요금을 부과하고 그 이상의 사용은 무료로 제공된다. 만약 100MB를 사용하면 데이터 청구금은 1달러가 되어, 총 결제 금액은 기본금 20달러+데이터 요금 1달러로 21달러가 되는 식이다.
Google Pixel 시리즈에 한해서 eSIM을 제공하다가, iPhone에도 지원하기 시작했다.[4] Google Pixel 사용자는 누구나 eSIM을 사용할 수 있지만, iPhone의 경우 신규 사용자만 eSIM을 사용할 수 있다.
기존에는 사용량만큼만 내는 Flexible Plan만 제공하고 있었으나, 2019년 9월에 Unlimited Plan이 추가되었다.
데이터 속도 제한 이후에 속도 제한을 풀고 싶다면, 이후 데이터 이용에 1GB당 10달러를 지불하여 속도 제한을 해제하는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6]
여러명이 사용 할 경우 이를 묶어 할인받을 수 있는 기능이 "Group"이라는 이름으로 제공되고 있고, 그룹 소유자(Owner)를 포함하여 6명까지 그룹에 추가할 수 있다. 서비스 대금 등이 모두 그룹 소유자의 카드로 일괄 결제된다.[7]
그룹 소유자는 관리자(Manager)를 지정할 수 있다. 관리자는 다음과 같은 권한을 가진다.
그룹 기능을 사용할 때, Flexible 요금제를 사용한다면 Bill Protection data level[8]이 달라진다.[9]
전화나 문자는 되지 않으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용 SIM을 계정당 4개까지 추가 가능하며, 테더링 등은 사용할 수 없고 요금은 주 회선을 따라간다.
SIM 카드를 수령하고, 뒤에 있는 코드를 입력하면 계정에 연결되며 활성화 되는 방식이다.
1회 최대 3개월까지 일시 정지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