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프란츠 요제프 1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의 내용은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문서를 편집하여,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6월)
같은 이름을 가진 다른 사람에 대해서는프란츠 요제프 1세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프란츠 요제프 1세
Franz Josef I.
1892년경의 프란츠 요제프 1세
1892년경의 프란츠 요제프 1세
오스트리아 황제
헝가리 사도왕
크로아티아 국왕
보헤미아 국왕
재위1848년 12월 2일-1916년 11월 21일
대관식1867년 6월 8일
전임페르디난트 1세
후임카를 1세
롬바르디아-베네치아 국왕
재위1848년 12월 2일-1866년 10월 12일
전임페르디난트 1세
후임(폐지)
독일 연방 의장
재위1850년 5월 1일-1866년 8월 24일
전임페르디난트 1세
후임(폐지)
신상정보
출생일1830년 8월 18일(1830-08-18)
출생지오스트리아 제국의 기오스트리아 제국쇤부른 궁전
사망일1916년 11월 21일(1916-11-21)(86세)
사망지오스트리아-헝가리의 기오스트리아-헝가리쇤부른 궁전
가문합스부르크로트링겐가
부친프란츠 카를 폰 외스터라이히 대공
모친조피 프레데리케 폰 바이에른 왕녀
배우자엘리자베트 폰 외스터라이히웅가른 황후
종교천주교
묘소오스트리아 빈황가납골당
서명

프란츠 요제프 1세(독일어:Franz Joseph I,1830년8월 18일 -1916년11월 21일)는오스트리아 제국(재위: 1848년 ~ 1867년) 및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재위: 1867년 ~ 1916년)의황제이다.보헤미아의 국왕프란티셰크 요세프 1세(체코어:František Josef I.),헝가리크로아티아의 국왕페렌츠 요제프 1세(헝가리어:I. Ferenc József,슬로바키아어:František Jozef I. 프란티셰크 요제프 1세,크로아티아어:Franjo Josip I. 프라뇨 요시프 1세)에 해당한다.

1866년까지는독일의 군주였으나프로이센빌헬름 1세에게 빼앗겼다. 준식민지로 영향력을 행사하던세르비아인들과 갈등을 빚다가1914년에는세르비아를 침공,제1차 세계 대전을 일으켰다. 항상 백발의 노장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는 그는 68년의 재위 기간 동안 전제 군주로서의 책임을 훌륭하게 완수하였으며, 종이에 여유분이 없으면 공문서조차도 이면지로 사용할 정도로 근면 검소하였다.

생애

[편집]
프란츠 요제프 1세 (1852)

1848년 혁명으로 큰아버지인페르디난트 1세가 퇴위함에 따라 18세의 젊은 나이에 즉위했다.1849년 10월 러시아 군대의 도움을 받아 헝가리 혁명 세력을 진압하고 곧 북부 이탈리아의 영토를 회복할 때까지 전략적으로, 이전의 칙령 헌법을 보장하였다. 그러다가 1851년 안정을 되찾은 요제프 1세는 헌법을 파기하고 새로운 절대주의를 도입하였다.

교황과 정교협약

[편집]

이 새로운 국가 절대주의를 후세 사람들은 이를 주도한 내무대신 바흐(bach, A, 1813~1893)의 이름을 따서 바흐 절대주의라고 부르게 되었다.바흐 절대주의는 혁명 이전의메테르니히 절대주의보다도 더 일관성이 있었고, 더 체계적이었다. 수적으로 더 막강해진 군대에 의존했으며 도시 지역의 정규 경찰과 비밀 경찰 외에도 시골 지역에서 새로 생긴 기동경찰이 이 절대 권력을 떠받쳐 주고 있었다. 또한 로마 가톨릭 교회와 국가간에도 밀착하여 국가 절대주의에 커다란 힘이 되었다. 1855년 황제와교황 비오 9세 간의정교협약으로 국가의 가톨릭교회에 대한 간섭은 완전히 사라지고, 교회의 모든 일은 주교가 전담하게 되었다. 로마 가톨릭교회는 교육과 개인의 가정사에 대해서도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같은 국가와 로마 가톨리교회와의 유착은 향후 오스트리아와 체코의 가톨릭 교회에 적지 않은 문제들을 야기하였다.[1]

1853년2월 18일 산책을 하다가 헝가리인 혁명가의 칼에 찔릴 뻔 했으나 다행히 목숨은 구했고 이후바이에른 공녀 엘리자베트와 결혼했다. 하지만1866년 4월 프로이센과 이탈리아가 연합해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이 발발하고7월 3일 오스트리아군이쾨니히그레츠 전투에서 괴멸함으로써 독일 내의 합스부르크 가의 영향력은 종결되고 오스트리아는 위기를 맞는다.

그리고 이 영향으로 의회가 탄생함에 따라 오스트리아의 전제정치도 종결되고 헝가리의언드라시 줄러를 초대 수상으로 지명한 뒤1867년6월 8일 헝가리의 사도왕[2]에 올라 이중 국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성립했다.

1866년에는 자신의 지지파들을 중심으로 결집한빌헬름 1세에게독일 연방의 왕이라는 직함을 양보하였다. 사실상 이름 뿐인독일의 군주였으나신성 로마 제국의 해체 이후에도 한동안 합스부르크 왕가에서 독일의 군주의 칭호를 유지하고 있었다. 1867년 국제박람회를 빈에서 개최하고 국정에 전념하다가1889년1월 29일 외아들인 황태자 루돌프와 애인 마리 베체라의 자살 사건으로 큰 충격을 받았다. 이후 조카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추정상속자로 책봉하였으나 그도 1914년사라예보 사건으로 그의 부인과 함께 암살당했다.

1898년9월 10일 아내 엘리자베트마저제네바에서 암살당했으며1914년사라예보 사건을 빌미로 직접세르비아를 침공해제1차 세계 대전을 일으켰다가1916년 사망하였다.

사후 프란츠 대공의 뒤를 이은 종손[3]카를 대공이 추정 상속자로 책봉되어 황위를 계승했다.

가족

[편집]

그는 가정에서는 불행하게 살았었다. 황후는 이종사촌인엘리자베트 폰 외스터라이히웅가른 황후이며 슬하에 조피, 기젤라, 루돌프, 마리 발레리 등 1남 3녀를 두었다. 조피는 요절하였으며,루돌프는 1889년에 변사했다.

황제의 동생인막시밀리안은 프랑스 꼭두각시 정권의 멕시코 황제로 즉위했다가 프랑스군이 철군하면서 1867년 반군에게 처형당했다..

사진이름생일사망기타
조피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1855년3월 5일1857년5월 29일(2세)요절
기젤라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1856년7월 12일1932년7월 27일(76세)레오폴트 폰 바이에른 왕자와 결혼, 슬하 2남 2녀
루돌프 폰 외스터라이히웅가른 황태자1858년8월 21일1889년1월 30일(30세)스테파니 드 벨지크 왕녀와 결혼, 슬하 1녀
마리 발레리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1868년4월 22일1924년9월 6일(56세)프란츠 잘바토어 폰 외스터라이히 대공과 결혼, 슬하 4남 6녀

각주

[편집]
  1. 권재일《체코.슬로바키아사》(한국외국어대 지식출판원, P181)
  2. 그 이전의 헝가리의 군주들은 헝가리 국왕의 칭호를 사용했다.
  3. 프란츠 요제프의 둘째 아우인 카를 루트비히 대공의 차남인 오토 프란츠 대공의 장남

외부 링크

[편집]
전임
페르디난트 1세
오스트리아 황제
1848년12월 2일~1916년11월 21일
후임
카를 1세
전임
페르디난드 5세
헝가리 국왕
크로아티아 국왕
1848년12월 2일~1916년11월 21일
후임
카로이 4세
전임
페르디난트 1세
독일 연방 수장
1848년12월 2일~1866년8월 24일
후임
빌헬름 1세
바벤베르크 가
공위시대
합스부르크 가
오스트리아
동프랑크인의 왕(843년–918년)
독일인의 왕(918년–962년)
로마인의 황제(962년–1806년)
라인 동맹 보호자(1806년–1813년)
독일 연방 의장(1815년–1848년)
독일 제국(1848년-1849년)
독일인의 황제(1849년-1850년)
독일 연방 의장(1850년–1866년)
북독일 연방 의장(1867년–1871년)
독일 황제(1871년–1918년)
1세대


2세대
3세대
4세대
5세대
6세대
7세대
8세대
9세대
10세대
11세대
12세대
13세대
14세대
15세대
16세대
17세대
18세대
  • 카를 대공
  • 게오르크 대공
  • 로렌츠 대공³
  • 게르하르트 대공³
  • 마르틴 대공³
  • 카를 필리프 대공
  • 레이먼드 요제프 대공
  • 이슈트반 대공
  • 루돌프 대공
  • 카를 크리스티안 대공
  • 카를 피터 대공
  • 시메온 대공
  • 요하네스 대공
  • 막시밀리안 하인리히 대공
  • 필리프 요아힘 대공
  • 프란츠 카를 대공
  • 콘라드 대공
  • 시기즈먼드²
  • 게오르크 대공²
  • 군트람 대공²
  • 레오폴트 대공²
  • 알렉산더 잘바토어 대공²
  • 타디우스 잘바토어 대공²
  • 카지미르 잘바토어 대공²
  • 마티아스 대공²
  • 요하네스 대공²
  • 베른하르트 대공²
  • 베네딕트 대공
  • 요제프 알브레히트 대공
  • 파울 레오 대공
  • 프리드리히 키프리안 대공
  • 베네딕트 알렉산더 대공
  • 니콜라스 대공
  • 산티아고 대공
  • 파울 베네딕트 대공
19세대
  • 페르디난트 즈보니미르 대공
  • 카를 콘스탄틴 대공
  • 아마데오 대공³
  • 요아킴 대공³
  • 바르톨로메오스 대공³
  • 에마누엘레 대공³
  • 펠릭스 카를 대공
  • 안드레아스 프란츠 대공
  • 파울 요하네스 대공
  • 카를 크리스티안 대공
  • 요하네스 대공
  • 토마스 대공
  • 프란츠 루트비히 대공
  • 미하엘 대공
  • 요제프 대공
  • 임레 대공
  • 임레 대공
  • 크리스토프 대공
  • 알렉산더 대공
  • 로렌츠 카를 대공
  • 빌헬름 대공
  • 요하네스 대공
  • 루트비히 대공
  • 필리프 대공
  • 니콜라스 대공
  • 콘스탄틴 대공
  • 제이콥 막시밀리안 대공
  • 레오폴트 아마데오 대공²
  • 막시밀리안 대공²
  • 레오폴트 대공²
  • 콘스탄틴 잘바토어 대공²
  • 파울 잘바토어 대공²
¹스페인 왕자 겸임/ ²토스카나 공자 겸임 / ³모데나 공자 겸임
아르파드 왕조
(대공, 850년 ~ 1000년)
아르파드 왕조
(왕, 1000년 ~ 1301년)
프르셰미슬 왕조
비텔스바흐 왕조
앙주 왕조
룩셈부르크 왕조
합스부르크 왕조
야기에우워 왕조
후녀디 왕조
야기에우워 왕조
서포여이 왕조
합스부르크 왕조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프르셰미슬조
(공작, 870년경-1198년)
프르셰미슬조
(국왕, 1198년-1306년)
비왕조
루쳄부르스키조
합스부르크조
비왕조
야기에우워조
합스부르크조
비왕조
합스부르크조
합스부르크로트링겐조
크로아티아 공작
(카롤루스의 봉신)
트르피미로비치조
스바치치조
(명목왕)
아르파도비카조
(헝가리와 동군연합)
안쥬빈스카조
(헝가리·나폴리와 동군연합)
룩셈부르슈카조
(헝가리·보헤미아와 동군연합)
합스부르고브치조
(오스트리아·헝가리·보헤미아와 동군연합)
룩셈부르슈카조
(헝가리·보헤미아와 동군연합)
야겔로비치조
(폴란드·보헤미아와 동군연합)
합스부르고브치조
(오스트리아·헝가리·보헤미아와 동군연합)
후냐디가
(보헤미아와 동군연합)
야겔로비치조
(폴란드·보헤미아와 동군연합)
자폴야조
(헝가리와 동군연합)
합스부르슈카조
(오스트리아·헝가리·보헤미아와 동군연합)
합스부르슈코로타린슈카조
(오스트리아·헝가리·보헤미아와 동군연합)
카라조르제비치조
(유고슬라비아 국왕)
사보이아오스타조
(나치 괴뢰)
관련 국가
관련 연합체
관련 사건
관련 인물
관련 문서
국제
국가
학술
아티스트
인물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프란츠_요제프_1세&oldid=39990591"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