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평양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평양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에 관한 것입니다. 대한민국의 명목상의 행정 구역에 대해서는평양시 (대한민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평양시
平壤市
직할시
행정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행정 구역19구 2군
지리
면적1,849 km2[1]
해발27 m
시간대UTC+09:00
인문
인구2,870,000 명[2](2016년)
지역어서북 방언,문화어

평양시(平壤市)는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수도이고, 최대 도시이기도 하다. 도시의 중심으로대동강이 흐르며, 넓은 충적평야가 발달하였다.

고려 때는서경(西京)이라고 불렸다. 그리고 지금의 평안남도평양시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별칭으로 '혁명의 수도'(革命首都)라고 부르며,소련의 건물 양식과 유사한 건물들이 지어졌다.한국 전쟁대한민국 국군이 잠시 점령한 적이 있다.1967년부터는 인구 증가로 인해 신도시 건설을 추진하여, 다양한 건축물이 세워졌다.

평양의 면적은 1,849 km2,[1][3][4] 인구는 약 287만 명 (2016년 기준)이다.[2]

평양 사진
만수대 아파트
평양의영명사(永明寺)는 고구려 시대에 세워진 유서 깊은 절이다. 사진은 일제 강점기 때의 것
동명왕릉 근처에 있는정릉사
동명왕릉 근처에 있는정릉사2

개요

[편집]

평양 준평원(平壤準平原)에 위치해 있다. 위치 상으로는 북한 남서부에 위치해 있으며 북쪽, 동쪽과 서북쪽은평안남도에, 서남쪽은남포시에, 남쪽은황해북도에 접한다. 휴전선에서는 중부전선 기준 최단거리 약 120km로 휴전선에서평택까지의 거리와 비슷하여, 휴전선에서 50~70km 떨어진서울만큼의 최전방도 아니지만 그렇다고 그닥 휴전선에서 멀다고 볼 수도 없다.

평양에는대동강이 흐르는데, 강 좌측에 형성된 중심부를본평양(本平壤), 서쪽을서평양(西平壤) 그리고 강을 건너 동쪽에 형성된 시남쪽으로 가지를동평양(東平壤)으로 나누기도 한다. 평양시의 중심은 중구역이며,1950년대 이래 내각청사,인민대학습당,조선미술박물관,평양학생소년궁전을 비롯한 특색있는 건축물들이 건설되었다. 평양에서 가장 번화한 거리는 창광거리, 영광거리, 광복거리, 창전거리

, 미래과학자거리, 려명거리, 락랑거리 등이다.인민대학습당 앞에는김일성광장이, 부근에는주체사상탑이 있는데 평양의 상징이 되고 있다.

공민등록법의 규정에 따라 '17세 이상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민'은 공민증을 발급받지만, 평양시민은 1997년부터 특별히 '평양시민증'을 발급받아 다른 지역 주민과 차별을 두고 있다.

지형

[편집]
평양시의 위성 사진

평양은 낮은구릉과 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평야가 많아 농업이 발달했다. 주요 산은만경대구역에 있는 룡악산(龍岳山),중구역에 있는 창광산(蒼光山), 대동강구역의 문수봉(紋繡峰)이 있다. 대부분 산은 휴양지나 유원지로 만들어졌다.

중심지에 위치한 산은모란봉(95m)이고, 그 동쪽 주변에대성산(270m)이 있고, 그 북쪽으로 청운산(373m)과 용골산(400m)이 있다. 모란봉의 동쪽의 비교적 높은 산지가 시작하는 초입에는 제령산(498m)이 서 있다.[5]

평양은여름이 되면홍수가 발생하여농업이 어려웠으나,김일성(金日成)이 직접 지시하여보통강(普通江)의 관개공사를 실시함으로써, 홍수 피해가 적어지고, 농업이 발달하게 되었다고 한다.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김일성이 보통강을 옥토, 살기 좋은 땅으로 만들게 하였다고 선전(宣傳)하며,보통강구역에 기념탑이 건설되었다.보통강 근처에는 보통강유원지가 있어서 시민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역사

[편집]
 평양시의 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고대 및삼국 시대

[편집]
 왕검성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평양성 (고구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평양은 옛부터 평평한 땅, 벌판의 땅이라는 뜻을 가진 '부루나', '바라나'라고 불렀는데, 이를이두로 바꿔서 '부루'가 '평'(平), '나'가 '양'(壤)이 되었다. 평양은고조선의 마지막 수도였던왕검성이 있었던 지역으로 추정되는 지역 중 하나이다. 427년에는장수왕이 고구려의 도읍을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천도했다.평원왕 시대였던 586년부터 고구려가 멸망한 668년까지 고구려의 마지막 수도였던평양성이 위치했던 지역이기도 하다.

평양부 휘장

고려 시대

[편집]
 서경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고려 시대(高麗)에는 서경(西京)으로 불려 중요시되어, 황폐해진 평양을 부흥시켰다.947년고려 정종(定宗)은도참설에 따라 서경성(西京城)을 쌓고 천도하려 하였으나 귀족들의 불만과 백성들의 반발로 실현되지 못했고,1136년에는고려 인종(仁宗)에게묘청(妙淸),정지상(鄭知常), 백수한(白壽翰) 등이서경천도론을 건의하여 추진되었으나,김부식(金富軾)을 중심으로 한 문벌 귀족들의 반발과 민심의 이탈로 인종이 중지를 명함으로써 좌절되었다.

고려 말기신돈(辛旽)은공민왕(恭愍王)에게 평양으로 수도를 옮길 것을 건의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조선 시대 및 근대

[편집]
Daedongyeojido (Gyujanggak) 09-04.jpg
Daedongyeojido (Gyujanggak) 09-03.jpg
Daedongyeojido (Gyujanggak) 10-05.jpg
Daedongyeojido (Gyujanggak) 10-04.jpg

조선 시대(朝鮮時代)에도 평양은 조선의 주요 도시 중 하나이자,평안도(平安道)감영 소재지로서관서 지방의 행정 중심지였다.

1866년제너럴셔먼호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으며,1894년청일전쟁(淸日戰爭) 때는청군(淸軍)과일본군 사이의 격전지가 되어 큰 피해를 입었다. 1896(건양 1)년 평안도가 남북으로 분할되자평안남도에 소속되었다.

평양, 1907년

구한말기에는기독교가 크게 확산되었는데,1901년부터 평양에서는평양신학교라는장로교 신학교가 문을 열었고, 최초의 장로교 목사들을 배출하였다. 평양을 비롯한평안도는 오랜기간동안 지역차별에 영향을 받은 것들이 적지 않게 있어서 지역 향반(향리)와 일반 평민의 삶은 차이가 크게 없었다. 이 때문에 평양을 비롯한평안도에서는 신분보다 능력을 중시하는 평민문화 및 상업문화가 일찍이 발달하였고,기독교 신자가 상당히 많이 거주했었다.[6]

1902년 대한제국 고종은 평양을 서경(西京)으로 육성하고자 하여풍경궁을 설치하였으나,러일전쟁으로 일본의 침략이 시작되면서 수포로 돌아갔다.

일제 강점기

[편집]
일제 강점기의 평양

1913년조선총독부는 평양을 부(府)로 지정했으며[7],1914년 평양부의 영역을 시가지 일대로 축소시키고, 교외 지역을대동군으로 분리하였다.1938년 대동군 대동강면, 서천면, 추을미면을 편입하여 영역이 확장되었다.

1920년조만식을 중심으로 민족 운동의 일환인물산장려운동이 일어났다.

만보산 사건(萬寶山事件)의 여파로 평양에서1931년7월 5일6일에 일어난 반중(反中)·반화교(反華僑) 폭동은 극심해, 중국인 수백 명이 사망, 부상 및 실종되었다.[8]

현대의 평양

[편집]

광복 후38선 이북은소련군정(蘇聯軍政)이 들어섰다. 1948년에 소련군이 철수하였다.1946년9월 1일에는 삼팔선 북부 지역의 실질적인 정부인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평양부는 평안남도에서 분리되어 중구역, 동구역, 서구역, 남구역, 북구역의 5개 구역을 포함하는평양특별시로 승격되었다.

한국 전쟁 당시대한민국 국군이 1950년 10월 1일에38선을 넘자, 이후 어언 여드레가 지난10월 9일에,김일성북 인민군 부대인민 정부,로동당 등 주요 기관이 평양에서 모두 철수하였다.

1950년9월 28일대한민국서울을 수복(收復)하자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수뇌부와 주요 기관,단체,부대 등을평양에서 후퇴시킬 준비를 시작하였다. 10월 1일에대한민국 국군38선을 넘자10월 9일부터 본격적인평양 후퇴작전이 전개되었고,10월 19일대한민국 국군UN군이 평양을 수복하였다. 평양에서 후퇴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는 한때,자강에 있는 '강계'를 임시 수도로 정하였다.

대한민국 국군10월 19일 평양을 탈환하였으나,10월 24일온정리 전투를 시작으로중국인민지원군한국 전쟁에 개입하기 시작하였다. 1950년 10월 25일 1차 공세를 시작한중국인민지원군은 11월 26일부터 본격적 공격을 개시하였고,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2월 6일에 드디어평양으로 재입성하였다. 남한의 국군은 12월 4일 평양에서 철수하였다.

1952년8월 1일에,행정 구역 체계를 기존의 4단계에서 3단계로 개편하면서평양직할시로 변경되었고, 1956년에 만경대구역과 서성구역을 신설하였으며, 1967년부터[출처 필요] 본평양(本平壤), 서평양(西平壤), 동평양(東平壤)으로 나누고,1972년1월 1일에는 임시수도가 아닌 공식 수도가 되어평양특별시로 재승격되었으나, 이후 평양특별시는2006년1월 1일평양직할시로 다시 격하되었으며, 그 2006년 당시에, 19개 구역 4개 군으로 나뉘어 있었다.

한편 평양은한국 전쟁미국의 폭격으로 인해, 공공 건물과 공장 건물들이 모두 많이 파괴되었으며, 보통문을 제외한 대부분의 건물들이 불타버려서 도시의 원래 본 모습을 잃어버렸다.[9] 전쟁 이후소련으로부터 도입된 조립식 건축기법과 시멘트 가공공업의 발달로 동평양과 평양시 중구역에 5층 내지 15층짜리 고층 아파트가 건설되었으며, 천리마(千里馬)거리와 창광거리, 평양역 앞 역전(驛前)거리를 비롯한 큰 도로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2010년 1월 1일, 평양에 속했던중화군[10],상원군[11],승호구역[12]강남군황해북도로 이관되었다가, 이듬해인 2011년 1월 1일에, 이들 중강남군만 평양직할시로 재편입되었다.[4]

평양직할시가 2013년 9월 9일에평안남도 평양시로 재차 격하됨과 동시에, 구자강도향산군 묘향산구역이 평안남도 평양시 모란봉구역으로 편입되었다. 2018년 2월 10일에는 구평안북도구성시 방현동이 평안남도 평양시에 편입되었다.

평양은 도농통합형 도시를 추구하고 있으며, 평양 전체의 토지 중 시가지 면적은 20% 이하이고, 농지 면적이 과반을 차지하고 있어 농산물의 자급 생산과 소비가 가능하도록 하였다.[5]

행정 구역

[편집]

평양시는 19개 구역, 2개 군, 1개 월경지인 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역

[편집]

[편집]

월경지

[편집]
  • 각 지역 옆의 인구는2008년 북한의 인구 조사를 출처로 한다.

기후

[편집]

평양은냉대 동계 소우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Dwa)에 속하며,겨울에는 날씨가 매우 춥다. 연평균 강수량 936.4mm로한반도에서는 소우 지역에 속하며, 강수의 70% 이상이여름철에 집중되어 내린다.

평양시의 기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역대 최고 기온 °C (°F)12.0
(53.6)
16.0
(60.8)
22.4
(72.3)
29.1
(84.4)
34.0
(93.2)
35.8
(96.4)
36.9
(98.4)
37.9
(100.2)
32.2
(90.0)
30.0
(86.0)
23.2
(73.8)
15.0
(59.0)
37.9
(100.2)
일평균 최고 기온 °C (°F)−0.4
(31.3)
3.1
(37.6)
9.7
(49.5)
17.6
(63.7)
23.5
(74.3)
27.5
(81.5)
29.1
(84.4)
29.6
(85.3)
25.7
(78.3)
18.8
(65.8)
9.7
(49.5)
1.4
(34.5)
16.3
(61.3)
일일 평균 기온 °C (°F)−5.4
(22.3)
−2.0
(28.4)
4.0
(39.2)
11.4
(52.5)
17.4
(63.3)
21.9
(71.4)
24.7
(76.5)
25.0
(77.0)
20.2
(68.4)
12.9
(55.2)
4.8
(40.6)
−2.9
(26.8)
11.0
(51.8)
일평균 최저 기온 °C (°F)−9.8
(14.4)
−6.6
(20.1)
−0.9
(30.4)
5.9
(42.6)
12.0
(53.6)
17.4
(63.3)
21.4
(70.5)
21.5
(70.7)
15.6
(60.1)
7.8
(46.0)
0.5
(32.9)
−6.8
(19.8)
6.5
(43.7)
역대 최저 기온 °C (°F)−26.5
(−15.7)
−23.4
(−10.1)
−16.1
(3.0)
−6.1
(21.0)
2.2
(36.0)
7.0
(44.6)
12.0
(53.6)
12.8
(55.0)
3.6
(38.5)
−6.0
(21.2)
−14.0
(6.8)
−22.8
(−9.0)
−26.5
(−15.7)
평균강수량 mm (인치)9.6
(0.38)
14.5
(0.57)
23.9
(0.94)
44.8
(1.76)
74.7
(2.94)
90.2
(3.55)
274.7
(10.81)
209.6
(8.25)
90.8
(3.57)
47.2
(1.86)
38.4
(1.51)
18.0
(0.71)
936.4
(36.87)
평균 강수일수(≥ 0.1 mm)3.93.74.25.87.17.912.510.16.35.87.15.780.1
평균 강설일수5.44.01.80.30.00.00.00.00.00.11.95.519.0
평균상대 습도 (%)69.165.062.560.465.372.281.180.675.372.072.270.670.5
평균 월간일조시간1841972312372632291812042222141651652,492
출처 1:대한민국 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13]
출처 2: Pogodaiklimat.ru (극값, 1961년~현재),[14] 독일 기상청 (일조시간, 1961년~1990년)[15]

산업

[편집]
체제 선전 포스터

평양 일대는 일제 강점기 무렵부터 이른바 서선공업지대(西鮮工業地帶)의 중심지 역할을 해 왔다. 평양시는 정권 수립 후3.26전선공장대동강맥주공장을 비롯해,선교구역편직물공장,평양방직공장,평양기계공업공장 등의 여러 공장들과평양주택사업소백두산건설사업소 등의주택, 건축기업소가 세워졌다. 이 곳은 지금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업 중심지로사리원시송림시를 합쳐평양공업지구라고 부른다.

발전소평양화력발전소동평양발전소가 있다. 이 발전소에서 나오는 폐열과 온수로 평양 전역에 있는 가정의 난방을 공급한다.제철소송림제철소가 있다[출처 필요]. 송림제철소는청진시김책제철소 다음가는 대규모 제철소이다.

3.26전선공장은 평양시평천구역에 자리잡고 있으며, 현대적인 설비와 제품의 질이 좋은 것으로 유명하다. 3.26전선공장은김정일현지지도를 받았다.

기타 평양의 공장으로는평양룡성담배공장,대동강 맥주,대동강텔레비전수상기공장,평양화장품공장,평양선교방직공장,평양아동식료품공장,교육도서인쇄공장,평양종합인쇄공장,평양자전거공장,평양기계공업공장 등이 있다.

유적지

[편집]

평양은고구려의 도읍지였으며,단군왕검이 도읍한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평양 주변에는 수천 년간 성을 쌓은 흔적을 비롯하여낙랑,고구려의 고분군과선사 시대고인돌군(群) 등 큰 규모의 무덤이 분포한다.

공공시설

[편집]

교양기관, 사회주의 사상교육 기관

[편집]
김일성 광장과 주체사상탑이 보인다.

극장 및 예술시설

[편집]

체육시설

[편집]
  • 만경대 종합 체육 시설
  • 태권도전당
  • 바드민톤경기관
  • 수영경기관
  • 력기경기관
  • 롱구경기관
  • 배구경기관
  • 빙상관
  • 메아리 사격관
  • 중경기관
  • 경경기관
  • 탁구경기관
  • 송구경기관
  • 평양골프연습장
  • 서산축구경기장

스포츠

[편집]

4.25체육단,평양시체육단 (두 팀 모두최상급축구련맹전 소속)을 비롯한 여러 체육단이 평양을 본거지로 하고 있으며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는축구이다.

관광

[편집]

대한민국 국민은국가보안법에 의거하여 평양을 방문하는 것이 법으로 금지되어 있다. 기타 외국인의 경우 평양을 방문하게 되면 의무적으로금수산태양궁전을 방문해서김일성,김정일 부자에게 예우를 갖추어 인사를 해야만 한다. 북한 정부에서 이를 강제로 시키기 때문에 거부하는 게 불가능하다.

또한 북한에서는 평양을 방문하는 관광객에게 통역관을 빙자해서 의무적으로 감시 요원을 할당하며 이 감시 요원의 범위 바깥으로 벗어날 수 없다. 게다가 조금이라도 북한 정부의 마음에 들지 않는 행동을 할 경우오토 웜비어의 사례가 있듯 쥐도 새도 모르게 잡아가서 죽을만큼고문을 한다.

교통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평양시의 교통입니다.

평양시는 철도교통과 수송전선의 중심지로서,평의선,평부선(둘 다 본래의경의선[京義線]),평원선(平元線)이 지나며,평양개성고속도로,청년영웅도로,평양순안고속도로,평양원산고속도로가 지난다. 청년영웅도로는 평양시와남포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로서, 10차선으로 매우 넓다.

항공 교통

[편집]

평양 순안 국제공항(順安國際空港: 평양비행장)과미림비행장이 있다. 국제선은 순안공항에서만 이용할 수 있는데, 순안공항은고려항공의 허브공항이다.

도로 교통

[편집]

간선 도로

[편집]

고속도로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이 고속도로를 "청년영웅도로"라고 부르고 있다. 1998년에 완공되었다.
평양개성고속도로를 시작하는 곳에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이 세워져 있고, 평양희천고속도로는김정일의 지시로 1994년 10월 10일에 완공되었다.

주요 도로

[편집]

주요 교량

[편집]

대동강을 건너는 다리는 고구려 시대에도 있었다는 것이 근래의 발굴 조사로 알려졌다.[16]

경의선을 부설하면서 놓은대동강철교(大同江鐵橋)로 1905년 3월 24일 준공되었으며, 최초의 인도교인대동교(大同橋)는 1923년 11월 30일 개통되었다.

1910년경 능라도에 수원지가 만들어져 평양 시내로 연결하는 수도관을 부설한벽라교(碧羅橋)가 건설되었으나 해방 후 어느 시점에 없어졌다.

오늘날 대동강의 주요 교량은 아래와 같다.

시내버스

[편집]
  • 평양 트롤리버스
    평양 트롤리버스
  • 평양 트롤리버스
    평양 트롤리버스
  • 미군이 1946년 작성한 평양지도. 도로를 따라 철길 모양 표시가 되어 있는 것이 전차 노선이다.
    미군이 1946년 작성한 평양지도. 도로를 따라 철길 모양 표시가 되어 있는 것이 전차 노선이다.

철도 교통

[편집]

간선 철도

[편집]

철도 시설로는평의선,평남선,평원선,평부선이 있다. 평양의 철도역으로는평양역,서평양역,대동강역,보통강역 등이 있다.

지하철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평양 지하철도입니다.

평양의 지하철은서울특별시보다 1년 이른1973년에 개통되었으며, 2개 노선이다. 1개 노선을 새로 신설할 예정이다. 평양의 지하철은 전시(戰時)에는 방공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땅 속 깊이 건설되었다.

노면 전차

[편집]

평양에 전차 노선이 처음 개통된 날은 1923년 5월 20일이며, 이것이 평양에 최초로 도입된 시내 대중교통 체계이다. 당시 평양 인구가 10만 정도였는데, 개통 첫날 전차 승객 수가 1만 5천이나 되었다고 한다.[17] 당시 시내의 자동차는 극소수에 불과하였다.

1923년 11월 30일대동교가 개통 되면서 이 다리를 지나는 전차 노선도 개설되었다.[18] 1924년 10월에는 평양 인구 10만 돌파 기념으로 전차표를 이용한 경품 행사도 있었다.[19]

묘역 및 사적지

[편집]

묘역

[편집]

평양의 묘역은 항일 유격대원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에 이바지한 사람들 위주로 조성되어 있다.

  • 금수산태양궁전:대성구역에 있다. 다름 아닌 북한의 전직 수령들인김일성김정일이 안장된 묘역으로 북한에서 가장 특별한 묘역이다.김정은 역시 사망하면 이 곳에 안장되며 오직 북한의 수령들만 안장되는 특별묘역이다. 영구는 방부 처리하며 이 비용만 상당한 수준의 금액이 소모되고 있다.
  • 혁명렬사릉: 대성산(大聖山)에 있다. 1920~30년대 김일성과 함께 만주지역에서 이른바 항일유격대 활동을 했다는 지휘관급 132명의 묘역이 있다. 반신상과 분묘, 비석이 하나씩 놓여있다.
  • 애국렬사릉:형제산구역 산미동에 있다. '조선의 공산주의 사회 건설에 기여했다'고 평가받는 인사 650여명이 있으며, 계속 늘어나고 있다. 돌사진과 분묘, 비석이 하나씩 놓여있다.
  • 월북 및 납북인사들의 묘:룡성구역 룡흥 1동에 있다.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에서 활동했거나6 .25 전쟁때 서울에서 후퇴하면서 강제 납치하여 북송한 대한민국 인사 62명의 묘역이 있다.고려대학교 초대 총장현상윤,국방경비대 총사령관송호성, 초대 국회의원조헌영,정인보 등 명망있는 인사들의 묘역이 있다. 돌사진과 분묘, 비석이 하나씩 놓여있다.

사적지

[편집]

평양의 사적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어느 사적지와 마찬가지로김일성과 관계깊은 장소이다. 이러한 장소는 김일성 우상화 및 김일성주의의 목적으로 이용되며, 정권에 의해 성역화되어 철저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교육

[편집]

대학

[편집]
  • 광복 이전
김책공업종합대학 자리에는합성숭실대학교(현 숭실대학교)가 있었으며, 현 김일성종합대학 및 평양의학대학 자리에는평양의학전문학교가 있었다.
  • 현재
평양에는 다른 지역보다 대학이 밀집되어 있다. 특수목적중학교로서의 '학원'도 다양하게 설치되어 있다. 학원졸업생은 같은 계열의 대학으로 진학할 때에 우선선발 특권이 주어진다.
  • 김일성종합대학: 이른바 '주체교육의 최고전당'이다. 줄여서 '김대'라고 부른다.
  • 김책공업종합대학: 이른바 '과학기술교육의 최고전당'이다. 줄여서 '종합대학'이라고 부른다.
  • 김형직사범대학: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사범교육의 최고위를 점하고 있는 사범대학이다. 대학의 교원을 양성하는 중추기능을 담당하고 있기도 하다.
  • 김철주사범대학: 평양지역의 중등교원을 양성하는 대학이다.
  • 국제관계대학: 외교 관료를 위한 외교관 양성교육기관이다.
  • 인민경제대학: 경제관리 핵심간부들을 양성 및 재교육시키는 노동당 산하의 최고 교육기관이다.
  • 금성정치대학: 근로단체간부를 양성하는 대학이다. 제대군인과 산업현장의 우수노동자 출신이 입학대상이다.

주요 유치원 및 초ㆍ중등학교

[편집]

광복 전 평양직할시의 중등 교육기관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었다.

현재의 주요 유치원 및 초, 중등학교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상업시설

[편집]

숙박시설

[편집]

유명식당

[편집]
옥류관(玉流館)

백화점

[편집]

유통시장

[편집]

갤러리

[편집]

자매결연도시

[편집]

각주

[편집]
  1. 2010년 행정 구역 축소 전의 2,629.4 km2에서2010년황해북도로 이관된승호구역 159.3 km2,중화군 232.4 km2,상원군 490 km2를 제외한 면적. 이들 지역과 함께황해북도에 편입되었던강남군(160.3 km2)은2011년에 평양 직할시로 재편입되었다.
  2.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1&aid=0009218621&sid1=001
  3. 北, 경제난에 평양 면적 반토막·주민 50만명 줄였다 국민일보, 2011.2.14.
  4. 北 평양시 행정구역 일부 개편 연합뉴스, 2012.2.29.
  5. 권영덕, 나도삼, 장남종, 민현석, 강지한, 김현수, 안병민, 안창모, 이왕기, 정수인,평양 도시계획 이해하기, 서울연구원, 2016년 6월 1일 등록.
  6. 한국사 시민강좌: 47집(2010년) - 특집,대표적 독립운동가 12인》 장규식 저. p135~148
  7. 이이화 (2004). 《한국사이야기22. 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바람》. 한길사. 27쪽. 
  8. 전봉관의 옛날 잡지를 보러가다 32 - 평양 중국인 배척 폭동 사건(신동아 2008년 2월호)
  9. 뉴스1 (2020년 10월 31일).“[사진으로 만나는 북한 문화유산] ③ 평양성 북성(北城) 산책”. 2023년 7월 24일에 확인함. 
  10. 중화군 동아백과, 2017년 8월 6일 확인.
  11. 상원군 동아백과, 2017년 8월 6일 확인.
  12. 승호구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2017년 8월 6일 확인.
  13. “북한 기상 30년보 (1991 ~ 2020)”(PDF). 대한민국 기상청. 2022년 1월 29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31일에 확인함. 
  14. “Climate Pyongyang”. 《Pogoda.ru.net》. 2023년 8월 2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16일에 확인함. 
  15. “PYONGYANG SUN 1961–1990”. 독일 기상청. 2017년 10월 1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16일에 확인함. 
  16. 대동강다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한국학중앙연구원
  17. 평양 電車 개통식, 오는 20일에 성대히 거행, 전차 주의사항을 배부 선전보관됨 2018-01-31 -웨이백 머신 매일신보(每日申報) 1923-05-17 03면 5단
    不夜城으로 美化할 平壤電氣 記念展보관됨 2018-01-31 -웨이백 머신 매일신보(每日申報) 1923-05-19 04면 2단
    平壤 電車의 開通祭, 20일부터 全線 營業 開始, 공비 48만원과 2개년의 세월을 소모하여 전차가 개통보관됨 2018-01-31 -웨이백 머신매일신보(每日申報) 1923-05-22 03면 3단
    평양의 電車 試運轉보관됨 2018-01-31 -웨이백 머신 매일신보(每日申報) 1923-05-22 04면 3단
    初日 승객은 1만5천, 개통된 평양전차의 첫날 성적, 전차 개통과 좌측 통행 선전, 평양서의 교통선전보관됨 2018-01-31 -웨이백 머신매일신보(每日申報) 1923-05-23 03면 4단
  18. 평양전차구역확장, 승차규정을 개정하였다보관됨 2018-01-31 -웨이백 머신 매일신보(每日申報) 1923-11-29 03면 7단
  19. 懸賞電車投票보관됨 2018-01-31 -웨이백 머신 시대일보(時代日報) 1924-10-14 04면 03단
  20. (영어)First China-DPRK sister cities meeting held in Pyongyang
내용주

참고 문헌

[편집]
  • Dormels, Rainer. North Korea's Cities: Industrial facilities, internal structures and typification. Jimoondang, 2014.ISBN 978-89-6297-167-5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와 분류가 있습니다.
위키여행에 이 글과
관련된 기사가 있습니다.
직할시
특별시
평양시의 행정 구역
구역(구)
국제
국가
지리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평양시&oldid=40846536"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