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페도어 폰 보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의 내용은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문서를 편집하여,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5년 9월)
모리츠 알브레히트 프란츠
프리드리히 페도어 폰 보크

Moritz Albrecht Franz
Friedrich Fedor von Bock
별명퀴스트린의 성화(聖火)
야심가(Der Sterber)
출생지독일 퀴스트린
(현재의폴란드코스트신나트오드롱 (Kostrzyn nad Odrą))
사망지독일홀슈타인
충성나치 독일
복무기간1898년 ~ 1942년
최종계급원수 금장 야전원수(Generalfeldmarschall)
지휘북부 집단군(1939)
B 집단군(1940)
중부집단군(1941)
남부집단군(1942)
주요 참전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서훈푸르 르 메리트 군사훈장

2급 1914년형 철십자장 수훈자‎1급 1914년형 철십자장 수훈자‎검기사십자 호엔촐레른 가 훈장3급 오스트리아-헝가리 무공훈장함부르크 한자 십자장브레멘 한자 십자장2급 철십자보장 수훈자‎1급 철십자보장 수훈자‎1급 용감공 미하이 훈장

모리츠 알브레히트 프란츠 프리드리히 페도어 폰 보크(Moritz Albrecht Franz Friedrich Fedor von Bock:1880년12월 3일 ~1945년5월 4일)는 제2차 세계 대전중 독일 육군의 원수이다.

생애

[편집]

프로이센 왕국의 퀴스트린(Küstrin, 현재의폴란드코스트신나트오드롱(Kostrzyn nad Odrą))에서 태어났다.1898년 제5근위보병연대에 사관후보생으로 입대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참모장교로써 종군하여1918년 4월에는 프로이센의 최고위프루-르-메리트 훈장(Pour le Mérite)을 수상했다. 대전 후에도 군비 제한을 당한바이마르 공화국의 육군에 남아있었다.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자폴란드 침공에서는북부 집단군 사령관에 취임했고,1940년서방전격전에서는B집단군사령관으로 지휘를 맡아 그 전공으로 인해 같은해 7월 육군원수로 승진했다.

1941년6월 22일에 개시된바르바로사 작전에서는중부집단군사령관으로서 민스크, 스몰렌스크를 공략해 12월에는 예하부대가 모스크바 정면 30km까지 육박했으나, 소련군의 격렬한 반격과 맹렬한 추위로 인해 독일군의 공격은 둔화되어 그 책임을 물어아돌프 히틀러에 의해 사령관에서 해임되었다.

그러나1942년 1월남부집단군 사령관발터 폰 라이헤나우 원수가 병사하자, 남부집단군 사령관에 임명되었다. 그런데, 같은 해 여름 공세에 대한 작전지휘를 둘러싸고 또 다시 히틀러와 대립하여 7월에 다시 사령관직에서 해임되었다.

그 후 예비역으로 재편되어 현역으로는 복귀하지 못했으나,1945년 4월 히틀러의 자살후 해군 총사령관으로 제국 대통령이 된칼 되니츠 해군 원수의 요청에 의해 연합국과의 정전교섭의 임무를 맡았으나,1945년5월 3일에 키르 근교에서 탑승했던 차가 영국 전투기의 기총사격을 받고 중상을 입고 다음날 사망했다.

폴란드 침공 작전 이후 히틀러의 방침에 의해 전선 후방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진 민간인 대량학살에 강력히 반대했었다. 한편 조카였던헤닝 폰 트레슈코프 육군 소장에게서 반 히틀러 활동에 참가를 타진받았으나 이것을 거절했었다. 1945년 5월, 킬 근교에서 영국군 전투기의 기총소사를 받는 바람에 가족과 함께 총상을 입고 사망하였다.

전임
신설
제1대북부 집단군 최고지휘관
1939년 8월 27일 - 1941년 6월 20일
후임
야전원수빌헬름 리터 폰 레프
전임
(신설)
제1대B 집단군 최고지휘관
1939년 10월 12일 - 1940년 8월
후임
상급대장막시밀리안 폰 바이흐스
전임
신설
제1대중부 집단군 최고지휘관
1941년 6월 22일 - 1941년 12월 19일
후임
야전원수귄터 폰 클루게
전임
야전원수발터 폰 라이헤나우
제3대남부 집단군 최고지휘관
1942년 1월 12일 - 1942년 7월 9일
후임
야전원수에리히 폰 만슈타인
독일 국방군집단군 최고지휘관 및 장군참모장 일람
C 집단군
(1939년 8월
-1945년 5월)
최고지휘관
장군참모장



북부 집단군
(1939년 9월
-1945년 4월)
최고지휘관
남부 집단군
(1939년 9월
-1945년 4월)
최고지휘관
A 집단군
(1939년 10월
-1945년 2월)
최고지휘관
장군참모장
OB West
(1940년 10월
-1945년 4월)
서부최고지휘관
B 집단군
(1939년 10월
-1945년 4월)
최고지휘관
장군참모장
D 집단군
(1940년 10월
-1945년 3월)
최고지휘관
G 집단군
(1944년 5월
-1945년 5월)
최고지휘관
H 집단군
(1944년 11월
-1945년 5월)
최고지휘관
중부 집단군
(1941년 6월
-1945년 5월)
최고지휘관
OB Süd
(1941년 12월
-1945년 5월)
남부최고지휘관
장군참모장
돈 집단군
(1942년 11월
-1943년 2월)
최고지휘관
E 집단군
(1943년 1월
-1945년 5월)
최고지휘관
아프리카
(1943년 2월
-1943년 5월)
최고지휘관
장군참모장
F 집단군
(1943년 8월
-1945년 3월)
최고지휘관
북우크라이나
(1944년 3월
-1944년 9월)
최고지휘관
장군참모장
남우크라이나
(1944년 3월
-1944년 9월)
최고지휘관
장군참모장
상라인 강
(1944년 12월
-1945년 1월)
최고지휘관
쿠를란트
(1945년 1월
-1945년 5월)
최고지휘관
바이흐젤
(1945년 1월
-1945년 4월)
최고지휘관
동부변경
(1945년 4월
-1945년 5월)
최고지휘관
제국원수(6성장군)
(Reichsmarschall)
국방군
제국원수기
제국원수기
야전원수기
야전원수기
항공야전원수기
항공야전원수기
대제독기
대제독기
야전원수
(Generalfeldmarschall)
육군
항공야전원수
(Generalfeldmarschall der Flieger)
공군
대제독
(Großadmiral)
전쟁해군
최초와 최후의기사십자 철십자장 수훈자
최초: 1939년 9월 30일
최후: 1945년─
─5월 11일
─5월 14일
─5월 28일
─6월 1일
─6월 17일
히틀러 사후 국가원수로 지명된카를 되니츠대제독은 1945년 5월 11일자로 모든 상훈 및 진급을 중지할 것을 명령했다. 때문에 게오르크볼프강 펠러는사실상 최후 수훈자이지만명목상 최후 수훈자는 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명목상 최후 수훈자로서 수훈 여부에 의심의 여지가 없는 인물은 빌리 훈트가 된다.  ← 이 색깔 음영이 칠해진 것은 수훈 여부에 의심의 여지가 있음을 의미.
푸르 르 메리트 수훈 경력이 있는기사십자 철십자장 수훈자
가나다순 정렬임.
위키미디어 공용페도어 폰 보크 주제와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국제
국가
인물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페도어_폰_보크&oldid=39054189"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