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파주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임진강 을 건너는 철도선파주시 (坡州市)는대한민국 경기도 의 북서부에 위치하고 있는시 이다.휴전 협정 이 조인된판문점 이 있으며,통일로 ·자유로 등의 도로가 있다. 남서쪽으로는한강 을 경계로김포시 가 있고, 남쪽으로는고양시 , 동쪽으로는양주시 , 동북쪽으로는연천군 과 경계를 이룬다. 1996년 3월 파주군에서도농복합시 형태의 파주시로 승격하여금촌읍 이 분동되었다. 2003년부터 시작된운정신도시 개발로 시의 남부 지역의 모습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행정구역은 4읍 9면 10동이다.
파주의 가장 오래된 기록은 '증보문헌비고'라는 책에서 언급되는데, 원래고조선 땅이었다가삼한 시대 에는마한 에 속했고 초기엔백제 의 땅이었으나, 475년고구려 가 파주의 영토를 흡수함으로써 파주는 고구려의 땅이 되었다. 그 뒤 신라 진흥왕이 파주를 차지 하였다.
1170년정중부의 난 이 반란을 일으킨 곳이 바로 옛 장단군 지역이다. 파주라는 이름은 1459년세조 에 의해 목으로 승격되면서 제정되었는데, 파주라는 지명은 파주의 옛 지명 파해평사의 파(坡)와 고을이라는 뜻의 주(州)자를 합하여 이루어졌다.[ 1] [ 2]
교하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75년 : 술미홀현(述彌忽縣)고려 명종 때 : 서원현(瑞原縣)1393년 (조선 태조 2년) : 서원군(瑞原郡)으로 승격1398년 (태조 7년) : 파평현(坡平縣)을 병합하여 원평군(原平郡)이라고 함.1459년 (세조 5년) :파주목 으로 승격[ 3] 1895년 (고종 32년)6월 23일 (음력 윤5월 1일) :한성부 파주군 [ 4] 1896년 (건양 원년)8월 4일 :경기도 파주군[ 5] 1914년 4월 1일 :교하군 이파주군 에 편입되었다.[ 6] (11면)1934년 4월 1일 : 와석면(瓦石面), 청석면(靑石面)을 교하면으로 합면하였다.[ 7] (10면)1945년 11월 4일 38선 이남의연천군 을 파주군에 편입하였다.[ 8] (12면)1946년 2월 5일 남면을양주군 에 편입하였다. (11면)1972년 12월 28일 :장단군 장단면, 진동면, 진서면을 편입하고, 구 군내면을 면으로 복구하였다.[ 9] (15면)1973년 7월 1일 : 아동면(衙洞面)을 금촌읍으로 승격하고, 임진면 일원과 월롱면 내포리를 합하여 문산읍으로 승격하였다.[ 10] 적성면 장파리가파평면 에 편입되었다.[ 11] (2읍 13면)1979년 5월 1일 : 군내면에 군내출장소를 설치하였다.1980년 12월 1일 : 주내면을 주내읍으로 승격하였다.[ 12] (3읍 12면)1983년 2월 15일 :양주군 백석면 영장리·기산리를 파주군 광탄면에 편입하여 영장출장소를 설치하였고, 파평면 이천리를 문산읍으로 편입하고, 주내읍을 파주읍으로 개칭하였다.[ 13] 1987년 1월 1일 : 광탄면 기산리 일부를양주군 백석면에 편입하였다.1989년 4월 1일 : 천현면을 법원읍으로 승격하였다. 교하면 상지석리가 조리면에 편입되었다. (4읍 11면)1996년 3월 1일 : 파주군 일원을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파주시 가 설치되었고, 금촌읍을 폐지하고, 금촌1동·금촌2동을 설치하였다.[ 14] (3읍 11면 2행정동)2002년 4월 1일 : 교하면과 조리면을 교하읍과 조리읍으로 각각 승격하였다. (5읍 9면 2행정동)2003년 교하읍 일대에 파주 운정신도시가 착공되었다.2011년 5월 1일 : 군내출장소를 장단출장소로 개칭하였다.[ 15] 2011년 7월 25일 : 금촌1동을 금촌1·3동으로 분동, 교하읍을 폐지하고 교하동·운정1·2·3동 설치(4읍 9면 7행정동)2020년 12월 18일 : 장단면 덕산리, 진서면 선적리의 지적을 복구하였다.2021년 7월 1일 :장단면 ,군내면 ,진서면 ,진동면 을장단면 으로 통합하였다.2023년 1월 9일 : 운정1동과 운정3동의 경의선 이동 지역을 분리해 운정4동을 설치하고, 교하동에서 운정5동, 운정6동을 분동한다.[ 16] [ 17] (4읍 9면 10행정동)경기도의 중앙에서 약간 북서에 위치하고 북경에는 임진강, 서경에는 한강이 흐르며 지질은 석회암지대로 되어 있어서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하여 있다. 광주산맥과 그 지맥의 반은 대체로 저평하고, 특히 임진강 하류와 한강 연안은 기름진 평야가 펼쳐져 농경지가 넓다.[ 18]
연교차가 큰 대륙성 기후를 띈다. 연평균 기온은 11.0℃, 1월 평균기온 -4.6℃, 8월 평균기온 24.9℃, 연평균 강수량 1295.8mm이다.
파주기상관측소 (파주시 문산읍 운천리, 해발 30.59m)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간 역대 최고 기온 °C (°F) 13.4 (56.1) 17.4 (63.3) 23.1 (73.6) 32.0 (89.6) 32.0 (89.6) 35.3 (95.5) 36.7 (98.1) 37.6 (99.7) 34.5 (94.1) 29.0 (84.2) 26.1 (79.0) 16.2 (61.2) 37.6 (99.7) 일평균 최고 기온 °C (°F) 1.8 (35.2) 5.2 (41.4) 11.2 (52.2) 17.9 (64.2) 23.8 (74.8) 27.5 (81.5) 28.8 (83.8) 29.9 (85.8) 26.1 (79.0) 20.3 (68.5) 11.6 (52.9) 3.2 (37.8) 17.3 (63.1) 일일 평균 기온 °C (°F) −4.6 (23.7) −1.3 (29.7) 4.4 (39.9) 10.8 (51.4) 16.8 (62.2) 21.4 (70.5) 24.2 (75.6) 24.9 (76.8) 19.9 (67.8) 12.6 (54.7) 5.2 (41.4) −2.6 (27.3) 11.0 (51.8) 일평균 최저 기온 °C (°F) −10.6 (12.9) −7.3 (18.9) −1.9 (28.6) 4.1 (39.4) 10.7 (51.3) 16.5 (61.7) 20.8 (69.4) 21.2 (70.2) 15.1 (59.2) 6.5 (43.7) −0.4 (31.3) −8.0 (17.6) 5.6 (42.1) 역대 최저 기온 °C (°F) −25.9 (−14.6) −24.6 (−12.3) −10.9 (12.4) −5.0 (23.0) 1.7 (35.1) 9.1 (48.4) 14.3 (57.7) 11.5 (52.7) 4.2 (39.6) −5.5 (22.1) −11.1 (12.0) −20.1 (−4.2) −25.9 (−14.6) 평균강수량 mm (인치) 17.4 (0.69) 27.9 (1.10) 31.5 (1.24) 74.2 (2.92) 102.0 (4.02) 107.4 (4.23) 395.2 (15.56) 282.9 (11.14) 134.5 (5.30) 50.1 (1.97) 52.7 (2.07) 20.0 (0.79) 1,295.8 (51.02) 평균 강수일수(≥ 0.1 mm) 4.6 5.1 7.0 8.9 8.9 9.9 15.8 14.5 8.4 5.7 8.8 7.4 105.0 평균상대 습도 (%) 65.2 62.7 62.2 63.0 69.6 75.0 84.1 83.5 79.4 74.8 71.4 68.1 71.6 평균 월간일조시간 193.0 184.2 212.4 208.8 234.4 209.1 137.6 171.1 187.5 210.8 163.6 175.8 2,288.3 출처:기상청 (평년값: 2002년~2020년, 극값: 2002년~현재)[ 19] [ 20]
파주시의 행정 구역은 4읍 9면 10동 380통리로 구성되어 있고, 면적은 672.78 km2 이다.[ 21] 2016년 12월 31일 파주시의 주민등록 인구는 430,781명, 175,089가구이다.[ 22] 2022년 5월 30일 파주시 인구가 50만 명을 돌파하였고 2024년 1월 29일 행정안전부로부터 이를 인정 받아 대도시로 승격됐다.[ 23]
읍·면·동 한자 면적[ 24] 인구[ 25] 세대[ 26] 문산읍 文山邑 47.23 47,641 21,465 조리읍 條里邑 27.53 29,706 12,539 파주읍 坡州邑 32.27 15,240 7,769 법원읍 法院邑 71.36 10,755 5,448 탄현면 炭縣面 61.77 14,523 7,119 광탄면 廣灘面 65.55 12,860 5,702 월롱면 月籠面 27.14 9,576 6,432 파평면 坡平面 39.04 3,950 2,000 적성면 積城面 91.75 7,255 3,547 장단면 長湍面 34.73 715 319 진서면 津西面 9.29 0 0 금촌1동 金村1洞 4.52 22,483 12,276 금촌2동 金村2洞 2.72 31,569 12,796 금촌3동 金村3洞 17.02 25,908 10,716 교하동 交河洞 28.44 8,426 3,884 운정1동 雲井1洞 5.29 51,214 20,861 운정2동 雲井2洞 3.21 64,921 24,697 운정3동 雲井3洞 3.90 69,560 27,151 운정4동 雲井4洞 6.42 23,942 10,200 운정5동 雲井5洞 5.44 46,464 17,526 운정6동 雲井6洞 2.92 24,095 10,518 파주시 坡州市 673.9 520,803 222,965
파주시 인구추이[ 27]
연도 총인구 1960년 146,995명 1966년 194,441명 1970년 188,212명 1975년 166,080명 1980년 165,098명 1985년 164,804명 1990년 185,028명 1995년 163,379명 2000년 178,434명 2005년 242,241명 2010년 328,128명 2015년 422,037명 2024년[ 28] 520,803명
2014년 파주시 총 종사자수는 154,813으로 경기도 총 종사자 수의 3.5%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 (1차 산업)은 177명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69,585명으로 44.9%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 (3차 산업)은 85,051명으로 54.9%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의 비중 (27.1%)보다 높고 3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비중(72.9%)보다 낮다. 3차 산업 부분에서는 도소매업(11.5%), 숙박 및 음식점업(8.2%)과, 교육서비스업(6.0%), 운수업(6,0%)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9]
환경수도사업단 차량등록사업소 도로관리사업소 공원관리사업소 관광사업소 장단출장소 도라산역 남쪽에서 바라본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임진각국민관광지 파주시는고등학교 비평준화 지역으로, 고등학교 간에 서열이 존재한다.
도라산역(경의선철도남북출입사무소)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국가지원지방도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일반지방도 :지방도 제357호선 (제2자유로) ,지방도 제358호선 (경의로 ),지방도 제359호선 ,지방도 제360호선 ,지방도 제363호선 ,지방도 제364호선 ,지방도 제367호선 ,지방도 제371호선 ,지방도 제372호선 주요 도로 파주시는말라리아 위험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파주 주민들은 성분헌혈 외의 헌혈에는 참여할 수 없다.[ 32]
자유의 마을 로 알려진 대성동이, 행정 구역 상으로는 파주시 군내면 조산리에 위치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