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파주시

좌표:북위 37° 52′ 0″동경 126° 48′ 0″ / 북위 37.86667° 동경 126.80000° /37.86667; 126.80000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파주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파주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선거구에 대해서는파주시 (선거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주시
坡州市
파주시청
파주시청
시기
행정
행정 구역4읍 9면 10행정동 22법정동
청사 소재지경기도 파주시 시청로 50
단체장김경일(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윤후덕(더불어민주당)
:박정(더불어민주당)
지리
면적672.78 km2
상징
시목은행나무
시화코스모스
시조비둘기
지역 부호
웹사이트https://www.paju.go.kr/index.do
임진강을 건너는 철도선

파주시(坡州市)는대한민국경기도의 북서부에 위치하고 있는이다.휴전 협정이 조인된판문점이 있으며,통일로·자유로 등의 도로가 있다. 남서쪽으로는한강을 경계로김포시가 있고, 남쪽으로는고양시, 동쪽으로는양주시, 동북쪽으로는연천군과 경계를 이룬다. 1996년 3월 파주군에서도농복합시 형태의 파주시로 승격하여금촌읍이 분동되었다. 2003년부터 시작된운정신도시 개발로 시의 남부 지역의 모습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행정구역은 4읍 9면 10동이다.

역사

[편집]

파주의 가장 오래된 기록은 '증보문헌비고'라는 책에서 언급되는데, 원래고조선 땅이었다가삼한 시대에는마한에 속했고 초기엔백제의 땅이었으나, 475년고구려가 파주의 영토를 흡수함으로써 파주는 고구려의 땅이 되었다. 그 뒤 신라 진흥왕이 파주를 차지 하였다.

1170년정중부의 난이 반란을 일으킨 곳이 바로 옛 장단군 지역이다. 파주라는 이름은 1459년세조에 의해 목으로 승격되면서 제정되었는데, 파주라는 지명은 파주의 옛 지명 파해평사의 파(坡)와 고을이라는 뜻의 주(州)자를 합하여 이루어졌다.[1][2]

Daedongyeojido (Gyujanggak) 12-04.jpg
Daedongyeojido (Gyujanggak) 12-03.jpg
Daedongyeojido (Gyujanggak) 13-05.jpg
Daedongyeojido (Gyujanggak) 13-04.jpg
 파주군파주시의 행정 구역 § 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교하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지리

[편집]

경기도의 중앙에서 약간 북서에 위치하고 북경에는 임진강, 서경에는 한강이 흐르며 지질은 석회암지대로 되어 있어서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하여 있다. 광주산맥과 그 지맥의 반은 대체로 저평하고, 특히 임진강 하류와 한강 연안은 기름진 평야가 펼쳐져 농경지가 넓다.[18]

기후

[편집]

연교차가 큰 대륙성 기후를 띈다. 연평균 기온은 11.0℃, 1월 평균기온 -4.6℃, 8월 평균기온 24.9℃, 연평균 강수량 1295.8mm이다.

파주기상관측소 (파주시 문산읍 운천리, 해발 30.59m)의 기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역대 최고 기온 °C (°F)13.4
(56.1)
17.4
(63.3)
23.1
(73.6)
32.0
(89.6)
32.0
(89.6)
35.3
(95.5)
36.7
(98.1)
37.6
(99.7)
34.5
(94.1)
29.0
(84.2)
26.1
(79.0)
16.2
(61.2)
37.6
(99.7)
일평균 최고 기온 °C (°F)1.8
(35.2)
5.2
(41.4)
11.2
(52.2)
17.9
(64.2)
23.8
(74.8)
27.5
(81.5)
28.8
(83.8)
29.9
(85.8)
26.1
(79.0)
20.3
(68.5)
11.6
(52.9)
3.2
(37.8)
17.3
(63.1)
일일 평균 기온 °C (°F)−4.6
(23.7)
−1.3
(29.7)
4.4
(39.9)
10.8
(51.4)
16.8
(62.2)
21.4
(70.5)
24.2
(75.6)
24.9
(76.8)
19.9
(67.8)
12.6
(54.7)
5.2
(41.4)
−2.6
(27.3)
11.0
(51.8)
일평균 최저 기온 °C (°F)−10.6
(12.9)
−7.3
(18.9)
−1.9
(28.6)
4.1
(39.4)
10.7
(51.3)
16.5
(61.7)
20.8
(69.4)
21.2
(70.2)
15.1
(59.2)
6.5
(43.7)
−0.4
(31.3)
−8.0
(17.6)
5.6
(42.1)
역대 최저 기온 °C (°F)−25.9
(−14.6)
−24.6
(−12.3)
−10.9
(12.4)
−5.0
(23.0)
1.7
(35.1)
9.1
(48.4)
14.3
(57.7)
11.5
(52.7)
4.2
(39.6)
−5.5
(22.1)
−11.1
(12.0)
−20.1
(−4.2)
−25.9
(−14.6)
평균강수량 mm (인치)17.4
(0.69)
27.9
(1.10)
31.5
(1.24)
74.2
(2.92)
102.0
(4.02)
107.4
(4.23)
395.2
(15.56)
282.9
(11.14)
134.5
(5.30)
50.1
(1.97)
52.7
(2.07)
20.0
(0.79)
1,295.8
(51.02)
평균 강수일수(≥ 0.1 mm)4.65.17.08.98.99.915.814.58.45.78.87.4105.0
평균상대 습도 (%)65.262.762.263.069.675.084.183.579.474.871.468.171.6
평균 월간일조시간193.0184.2212.4208.8234.4209.1137.6171.1187.5210.8163.6175.82,288.3
출처:기상청 (평년값: 2002년~2020년, 극값: 2002년~현재)[19][20]

행정 구역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파주시의 행정 구역입니다.

파주시의 행정 구역은 4읍 9면 10동 380통리로 구성되어 있고, 면적은 672.78 km2이다.[21] 2016년 12월 31일 파주시의 주민등록 인구는 430,781명, 175,089가구이다.[22] 2022년 5월 30일 파주시 인구가 50만 명을 돌파하였고 2024년 1월 29일 행정안전부로부터 이를 인정 받아 대도시로 승격됐다.[23]

읍·면·동한자면적[24]인구[25]세대[26]
문산읍文山邑47.2347,64121,465
조리읍條里邑27.5329,70612,539
파주읍坡州邑32.2715,2407,769
법원읍法院邑71.3610,7555,448
탄현면炭縣面61.7714,5237,119
광탄면廣灘面65.5512,8605,702
월롱면月籠面27.149,5766,432
파평면坡平面39.043,9502,000
적성면積城面91.757,2553,547
장단면長湍面34.73715319
진서면津西面9.2900
금촌1동金村1洞4.5222,48312,276
금촌2동金村2洞2.7231,56912,796
금촌3동金村3洞17.0225,90810,716
교하동交河洞28.448,4263,884
운정1동雲井1洞5.2951,21420,861
운정2동雲井2洞3.2164,92124,697
운정3동雲井3洞3.9069,56027,151
운정4동雲井4洞6.4223,94210,200
운정5동雲井5洞5.4446,46417,526
운정6동雲井6洞2.9224,09510,518
파주시坡州市673.9520,803222,965

파주시 인구추이[27]

연도총인구
1960년146,995명
1966년194,441명
1970년188,212명
1975년166,080명
1980년165,098명
1985년164,804명
1990년185,028명
1995년163,379명
2000년178,434명
2005년242,241명
2010년328,128명
2015년422,037명
2024년[28]520,803명

산업

[편집]

산업별 종사자 현황

[편집]

2014년 파주시 총 종사자수는 154,813으로 경기도 총 종사자 수의 3.5%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 (1차 산업)은 177명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69,585명으로 44.9%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 (3차 산업)은 85,051명으로 54.9%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의 비중 (27.1%)보다 높고 3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비중(72.9%)보다 낮다. 3차 산업 부분에서는 도소매업(11.5%), 숙박 및 음식점업(8.2%)과, 교육서비스업(6.0%), 운수업(6,0%)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29]

사업소 및 출장소

[편집]
  • 환경수도사업단
  • 차량등록사업소
  • 도로관리사업소
  • 공원관리사업소
  • 관광사업소
  • 장단출장소

역대 시장

[편집]
 파주시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문화·관광

[편집]
도라산역
남쪽에서 바라본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임진각국민관광지

교육

[편집]
 경기도파주교육지원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주시는고등학교 비평준화 지역으로, 고등학교 간에 서열이 존재한다.

  
  
  
  
  • 특수학교
  

시립도서관

[편집]

교통

[편집]

철도

[편집]
도라산역(경의선철도남북출입사무소)

버스

[편집]

고속 도로

[편집]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주요 도로

자매 우호도시 현황

[편집]
지역 & 국가도시
대한민국의 기대한민국강원특별자치도강릉시
광주광역시동구
서울특별시강남구
강북구
전라남도광양시[30]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기남아프리카 공화국스텔렌보쉬시
스페인의 기스페인카스티야라만차주쿠엥카도쿠엥카
일본의 기일본가나가와현하다노시
나가사키현사세보시[31]
중국의 기중국헤이룽장성(黑龙江省)진저우시(锦州市)
무단장시(牡丹江市)
칠레의 기칠레리베르타도르헤네랄베르나르도오이긴스주랑카과
캐나다의 기캐나다브리티시컬럼비아주코퀴틀럼
튀르키예의 기튀르키예에스키셰히르주에스키셰히르
오스트레일리아의 기오스트레일리아퀸즐랜드주브리즈번터움바

출신 인물

[편집]
 분류:파주시 출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기타

[편집]

파주시는말라리아 위험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파주 주민들은 성분헌혈 외의 헌혈에는 참여할 수 없다.[32]

자유의 마을로 알려진 대성동이, 행정 구역 상으로는 파주시 군내면 조산리에 위치되어 있다.

스포츠

[편집]

야구

[편집]
리그명구단명창단연도홈경기장
독립야구단 경기도리그파주 챌린저스2017년익사이팅 챌린저스 파크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https://www.paju.go.kr/www/intropaju/intropaju_06/intropaju_06_06/intropaju_06_06_01.jsp
  2.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764722&cid=43740&categoryId=44178
  3.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파주의 연혁
  4.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5. 칙령 제36호 (1896년8월 4일)
  6.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7. 경기도령 제4호
  8. 군정법률 제22호 시도직제 (1945년11월 3일)
  9. 법률 제2395호 수복지구와동인접지구의행정구역에관한임시조치법 (1972년12월 28일)
  10. 대통령령 제6543호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년3월 12일)
  11.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년 3월 12일 제정.
  12. 대통령령 제10050호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년10월 21일)
  13.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년1월 10일)
  14. 법률 제4994호 경기도파주시등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5년12월 6일)
  15. 파주시 조례 제939호 행정기구 및 정원조례 (2011년4월 15일)
  16. 파주시 조례 제1858호 파주시 행정운영동의 설치 및 동장정수에 관한 조례 (2022년 12월 28일)
  17. 교하·운정 행정구역 개편 안내. 파주시청.
  18.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파주의 자연
  19.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파주(99)”. 기상청. 2021년 3월 25일에 확인함. 
  20. “순위값 - 구역별조회 파주(99)”. 기상청. 2021년 10월 2일에 확인함. 
  21. 행정구역 현황 파주시 홈페이지, 2017년 3월 26일 확인.
  22. 주민등록 인구통계보관됨 2011-03-03 -웨이백 머신 행정자치부, 2017년 3월 26일 확인.
  23. “윤후덕, 파주시 50만 대도시 승격 환영”. 2024년 1월 29일. 2024년 5월 3일에 확인함. 
  24. “파주시청”. 2024년 5월 3일에 확인함. 
  25. “KOSIS”. 2024년 5월 3일에 확인함. 
  26. “KOSIS”. 2024년 5월 3일에 확인함. 
  27.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28. “KOSIS”. 2024년 5월 3일에 확인함. 
  29. 경기도 사업체조사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30. https://www.paju.go.kr/www/intropaju/intropaju_04/intropaju_04_01/intropaju_04_01_01.jsp
  31. https://www.paju.go.kr/www/intropaju/intropaju_04/intropaju_04_02/intropaju_04_02_01.jsp
  32. “보관된 사본”. 2016년 10월 1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1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파주시 주제와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개성시
판문구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개성시 장풍군
경기도 연천군
경기도 양주시
  경기도 파주시    
경기도 김포시경기도 고양시
도청소재지: 수원시, 의정부시
  • 시청소재지: 금촌1동
국제
국가
지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주시&oldid=40880420"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