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파라셀 제도

좌표:북위 16° 40′동경 112° 20′ / 북위 16.667° 동경 112.333° /16.667; 112.333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영어 위키백과Paracel Islands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중요한 번역 안내를 보려면 [펼치기]를 클릭하십시오.
  • 신뢰성 있고확인할 수 있는 출처가 제시되도록 번역하여 주십시오.
  • 번역을 완료한 후에는 {{번역된 문서}} 틀을 토론창에 표기하여 저작자를 표시하여 주십시오.
  • 문맥상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 문서를 같이 번역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번역을 확장할 필요가 있는 내용이 포함된 다른 문서를 보고 싶으시다면분류:번역 확장 필요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파라셀 제도
다른이름: 시사 군도(중국명), 호앙사 군도(베트남명)
지리

위치남중국해
좌표북위 16° 40′동경 112° 20′ / 북위 16.667° 동경 112.333° /16.667; 112.333

구성 도서우디섬, 트리섬, 트라이튼섬

면적7.75 km2

실효 지배
중국의 기중국
하이난성
싼사시

영유권 주장
베트남의 기베트남
카인호아성
호앙사현

인구 통계
인구0명

남중국해의 지도에구단선,스프래틀리 군도(아랫쪽 오른쪽)와 함께 그려져있는 파라셀 제도(위쪽 왼쪽)

파라셀 제도(영어:Paracel Islands)는남중국해에 떠있는 수많은산호초의 작은 섬들로 이루어진 군도로, 중국의 남쪽, 베트남의 동쪽에 위치해 있다. 중국과 베트남의 영토 분쟁 지역으로, 현재 중국이 실효지배하고 있다.중국에서는시사 군도(중국어:西沙群岛),베트남에서는호앙사 군도(베트남어:Quần đảo Hoàng Sa)라고 부르고 있다.

산호초로 이루어진 매우 작은 섬이기 때문에 민간인이 거주하지 못하는 무인도이며, 섬 자체로는 경제적 가치가 별로 없지만, 광대한대륙붕에 매장된 자원의 경제적 가치는 상당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중국에서 깊이 300m의블루홀을 발견했다.

역사

[편집]

20세기 초에는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일부였다. 프랑스가 떠난 후에는남베트남의 지배 아래 있었지만,베트남 전쟁 중이던1974년1월 19일중국이 이 곳을 점령했다. 현재베트남중국,대만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기후

[편집]
Pattle Island의 기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역대 최고 기온 °C (°F)31.3
(88.3)
30.8
(87.4)
33.1
(91.6)
34.3
(93.7)
35.9
(96.6)
35.9
(96.6)
35.1
(95.2)
35.0
(95.0)
34.0
(93.2)
34.1
(93.4)
32.8
(91.0)
30.4
(86.7)
35.9
(96.6)
일평균 최고 기온 °C (°F)25.7
(78.3)
26.7
(80.1)
28.5
(83.3)
30.6
(87.1)
32.1
(89.8)
31.8
(89.2)
31.5
(88.7)
31.0
(87.8)
30.4
(86.7)
29.2
(84.6)
27.7
(81.9)
26.8
(80.2)
29.3
(84.7)
일일 평균 기온 °C (°F)23.2
(73.8)
23.9
(75.0)
25.5
(77.9)
27.5
(81.5)
29.1
(84.4)
29.2
(84.6)
28.9
(84.0)
28.7
(83.7)
28.0
(82.4)
27.0
(80.6)
25.7
(78.3)
24.9
(76.8)
26.8
(80.2)
일평균 최저 기온 °C (°F)21.7
(71.1)
22.2
(72.0)
23.6
(74.5)
25.6
(78.1)
27.1
(80.8)
27.4
(81.3)
27.1
(80.8)
26.8
(80.2)
26.1
(79.0)
25.3
(77.5)
24.4
(75.9)
22.9
(73.2)
25.0
(77.0)
역대 최저 기온 °C (°F)14.9
(58.8)
18.1
(64.6)
18.7
(65.7)
19.1
(66.4)
21.7
(71.1)
23.0
(73.4)
22.4
(72.3)
21.0
(69.8)
21.6
(70.9)
21.2
(70.2)
18.9
(66.0)
13.8
(56.8)
13.8
(56.8)
평균강수량 mm (인치)13
(0.5)
12
(0.5)
23
(0.9)
44
(1.7)
74
(2.9)
117
(4.6)
225
(8.9)
162
(6.4)
216
(8.5)
241
(9.5)
152
(6.0)
30
(1.2)
1,308
(51.5)
평균 강수일수7.55.54.82.46.77.17.89.011.413.314.07.997.2
평균상대 습도 (%)80.681.681.581.882.284.284.685.385.784.583.881.983.1
평균 월간일조시간2072262482762982452382451932231911992,788
출처: Vietnam Institute for Building Science and Technology[1]

주요 도서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Vietnam Building Code Natural Physical & Climatic Data for Construction”(PDF) (베트남어). Vietnam Institute for Building Science and Technology. 2018년 7월 22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22일에 확인함. 
v  d  e  h
동아시아,남아시아,동남아시아 지역의 영토 분쟁
종류지역실질적 지배분쟁 국가
내륙중국 대륙과 부속 영토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중화인민공화국
악사이친중화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인도중화민국2
남티베트 (아루나찰프라데시주 일부)인도중화인민공화국인도중화민국2
백두산중화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헤이샤쯔/볼쇼이우수리스키섬 동쪽 구역2중화인민공화국러시아중화민국2
인도-방글라데시 월경지방글라데시인도방글라데시인도
간도중화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2
잠무 카슈미르인도인도파키스탄
파키스탄령 카슈미르파키스탄파키스탄인도
카친주 (장신포)미얀마미얀마1중화민국2
카인주미얀마미얀마1
한반도와 부속 영토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파미르고원3아프가니스탄타지키스탄키르기스스탄아프가니스탄타지키스탄키르기스스탄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2
빠따니주태국태국1
북보르네오3 (사바주)말레이시아말레이시아사바주1필리핀2
샨주미얀마미얀마1
티베트 (남티베트 제외)중화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티베트1중화민국2
강동육십사둔2러시아러시아중화민국
탕누 우량하이2러시아러시아중화민국
도클람3중화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인도부탄중화민국2
카라코람 회랑중화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인도중화민국2
도서
타이완 (타이완 지구)중화민국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
중사 군도3 (메이클즈필드 천퇴·스카버러 암초)중화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필리핀중화민국
파라셀 제도3중화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베트남
녹둔도러시아대한민국러시아
페드라브랑카섬싱가포르말레이시아싱가포르
함박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독도대한민국일본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2
둥사 군도중화민국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
센카쿠 열도·댜오위다오 및 부속 도서3일본중화인민공화국일본중화민국
이어도대한민국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2
남쿠릴 열도러시아일본러시아
스프래틀리 군도3중화인민공화국말레이시아필리핀중화민국베트남브루나이중화인민공화국말레이시아필리핀중화민국베트남
뉴무어섬4없음없음
1망명 정부  2활동적으로 주장하고 있지 않음  3셋 이상의 국가가 자국의 영토라고 주장  4수몰되어 섬이 소멸
육지
섬과 해역
국제
국가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라셀_제도&oldid=39155378"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