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의 주된 기여자가주제와 밀접하게 관련된이해당사자일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는 특정 개인이나 단체의 이익을 대변하는 곳이 아니며, 모든 콘텐츠는 위키백과의 정책 중 하나인중립적 시각을 따르도록 수정되어야 합니다. 이해당사자가 편집한 내용이 중립적으로 보일지라도 제3자에 의한 확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2018년 6월 21일) |

트랜시터(Trancitor)는 트랜스퍼-커패시터(Transfer-Capacitor)의 줄임말로 트랜스퍼-리지스터(Transfer-Resistor)인트랜지스터[2]와 구분되는 또 다른능동소자 종류이며, 반도체물리학자 이성식 교수에 의해 처음으로 제안되었다. 제시된 표에 나타나 있듯이, 총 4가지의능동소자가 이론적으로 존재해야 하는데, 트랜시터는 제3, 제4의능동소자로서 현재까지 찾지 못했다.[1] 반면,트랜지스터는 크게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BJT)와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의 제1, 제2의능동소자로 나뉘며 이들은 이미 발명되었다.[3][4] 출력에서전류를 나타내는트랜지스터와 달리(전류원), 트랜시터는전압신호를 출력에서 나타낸다(전압원)는 차이점이 있으며, 이들은 수학적으로 서로역함수 관계에 있다.[5]
트랜시터(Trancitor)라는 명칭과 그 물리적 개념은 부산대학교 전자공학과 이성식 교수에 의해 최초로 제시되었으며, 이는 미국코넬대학의arXiv에A Missing Active Device — Trancitor for a New Paradigm of Electronics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2018년 4월 30일에 발표되면서 알려지게 되었다.[1] 설명을 위한 동영상도 2018년 5월 24일 유튜브를 통해 공개된 바 있다.[6] 이 내용들은 미국MIT공대가 설립한테크놀로지 리뷰에 의해 2018년 5월 23일Another "Missing" Component could Revolutionize Electronics라는 제목으로 최초로 기사화되었다.[7] 이후, 전 세계적으로 인터넷 신문과 단체에 의해 보도되어 오고 있다.[8][9][10][11][12][13][14][15][16][17][1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