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크어의 조어는 동북아시아 또는 중앙아시아의 내륙 지역을원향으로 하는 것으로 추측한다. 이후 서기 6세기경부터 시작된 튀르크족의 이주에 따라 상당수 분파가 서쪽으로 이주하여 중동 또는 유럽의 문화와 교류하였다.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는 언어들과 묶여알타이어족을 이룬다는 학설이 있다. 대표적으로몽골어족,퉁구스어족과의 관계가 추측되며,한국어와 연관되어 있다는 설도 여러 학자에 의해 주장된 바 있다.[1][2][3] 과거우랄어족과의 관계도 논의되었으나 우랄어족과 관련에 대해선 최근 학자들은 부정하고 있다.[4]
↑Sibata, Takesi (1979). “Some syntactic similarities between Turkish, Korean, and Japanese”. 《Central Asiatic Journal》23 (3/4): 293–296.ISSN0008-9192.JSTOR41927271.
↑SOME STAR NAMES IN MODERN TURKIC LANGUAGES-I - Yong-Sŏng LI - Academy of Korean Studies Grant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MEST) (AKS-2010-AGC-2101) -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4
↑Lars Johanson,"The classification of the Turkic languages"보관됨 15 1월 2023 -웨이백 머신, in Martine Robbeets and Alexander Savelyev (eds.),The Oxford Guide to the Transeurasian Languages, 2020, Oxford University Press, pp. 105–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