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투니버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투니버스
Tooniverse
투니버스 로고(2019년 ~ 현재)
국가대한민국의 기대한민국
방송 지역대한민국의 기대한민국 전 지역
방송국CJ ENM 엔터테인먼트부문
본사대한민국의 기대한민국서울특별시마포구 상암산로 66
프로그래밍
언어한국어,영어
소유주
소유주CJ ENM (2015년 ~ 현재)
모기업CJ ENM
역사
설립1994년 12월 22일
개국1995년 12월 1일 (1995-12-01)
이전명㈜오리온카툰네트워크
QWiny
㈜투니버스
링크
웹사이트tooniverse.cjenm.com/ko/
유효성
지역
케이블TV지역마다 다름.
위성KT스카이라이프: 494
IPTVBtv: 170
지니 TV: 996
U+TV: 324
슬로건
우리들의 투니버스
오직 투니버스에서만!
놀자! 착하게!

투니버스(Tooniverse)는1995년12월 1일대한민국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에서 허가받고 개국한CJ ENM 미디어콘텐츠부문에서 운영하고 있는어린이청소년, 성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채널이다.

채널명으로 사용되는 '투니버스'의 어원은만화를 뜻하는영어 단어 카툰(Cartoon)과우주를 뜻하는 영어 단어 유니버스(Universe)를 합쳐 만든 것이다. 주 시청 연령대는 어린이 및 청소년 등 저연령층에 특화되어 있다.

1994년 12월 22일(구)㈜오리온의 계열사로 (구)'㈜오리온카툰네트워크'설립되었고오리온그룹 소속이었다. 1995년 12월 1일, 방송 채널 '투니버스'를 개국하였으며, 1997년 3월 상호명을 (구)'㈜투니버스'로 변경하였다. 2000년 6월 15일(24주년)에 (구) ㈜오리온카툰네트워크를 모태로 하여 (구)온미디어가 설립되었다. 2004년 4월 1일 (구) ㈜투니버스는 (구) ㈜온미디어와 합병되면서㈜오리온은 (구) ㈜투니버스를 계열사에서 제외하였다. 합병 이후 2011년 2월 28일까지 방송 채널 투니버스는 (구) ㈜온미디어가 운영하였다.

2009년 12월 24일, 광고 수익성 악화 등 경영상 문제로 오리온그룹에서 온미디어 계열과 베니건스, 오리온음료, 오리온레포츠, 바이더웨이,메가박스와 함께 계열분리 한 이후, 2009년부터CJ그룹과 인수 합병하여, 현재까지CJ ENM에서 운영되고 있다.[1]

현재는대한민국의 모든 케이블 TV를 통해 시청할 수 있고[2],KT의 지니TV를 비롯한,SK브로드밴드의 Btv 등 통신 3사IPTV 서비스와디지털 위성방송(KT스카이라이프)을 통해서도 시청할 수 있다. 중대한 사건사고 등 국가적인 변고가 발생할 경우, 정규 편성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을 일시적으로결방하는 대신, 극장용 애니메이션으로 대체 편성하는 경우가 있다.

채널 이름 로고 변천사

[편집]

채널 이름

[편집]
  • 1995년 12월 1일 ~현재 투니버스

역대 로고

[편집]
  • 2000년~2007년
    2000년~2007년
  • 2012년~2015년
    2012년~2015년
  • 2015년~2019년
    2015년~2019년
  • 2019년~현재
    2019년~현재

슬로건

[편집]

과거

  • 만화영화는, 더 이상 아이들의 전유물이 아니다! (1995 ~ 2002)
  • Cartoon Life (1995 ~ 2002)
  • 오직 투니버스에서만! (1995 ~ 1998)
  • Cartoon Always! (1998 ~ 1999)
  • 언제나 함께해요 투니버스 (1999 ~ 2006)
  • 온통 투니버스 세상 (1999 ~ 2008)
  • 재밌는 건 투니버스뿐 (2002 ~ 2005)
  • 4시엔 투니버스 (2005 ~ 2008)
  • 신나게 놀자 투니버스 (2008 ~ 2011)
  • 통하는 사이 투니버스 (2011 ~ 2012)
  • Surprise! (2012 ~ 2013)
  • 통하는 사이, 투니버스 (2013)
  • Kids No.1 (2013 ~ 2019)

현재

  • 우리들의 투니버스 (2019 ~ )
  • 오직 투니버스에서만! (2020 ~ )
  • 놀자!착하게! (2020 ~ )

역사

[편집]

개국

[편집]

1995년 12월 1일케이블 방송 출범과 함께 정식 개국하였다. 만화 애니메이션 전문채널로서 그 동안지상파 3사(KBS·MBC·SBS)에서 방영하였던 애니메이션과는 달리, 비지상파 채널의 성격상, 애니메이션 등 특정 분야만을 방송해왔던 점에서 당대에 세간의 주목을 받아왔다.

종전의 KBS와 MBC 등 지상파 채널에서 방송하였던 애니메이션은방송법 규정 및 시간에 따라 주로 어린이들의 시청 시간대인 평일 오후 5시 ~ 7시까지 방영하였고 주말은 아침 시간대와 낮 시간대에 방영했기 때문에 그 이후 시간이나 심야 시간대에 방송했던 케이스가 없었다. 이는 애니메이션은어린이들만이 시청할 수 있는 분야라는 사회적인 인식과도 관련이 있는데, 키즈 타임이라 불리었던 오후 7시 이전까지는 만화 방송이 가능하였지만, 오후 7시 이후에는 가족 프로그램 및 음악 프로그램이 방송되고 그 이후에는 뉴스와 드라마, 연예오락 등의 어른들이 시청할 수 있는 시간대로 설정되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고정사례는 투니버스가 24시간 만화 애니메이션 전문을 통해서 방송을 해주었던 것을 계기로 전환되었는데 오후 7시 이후에 만화 애니메이션 방송을 할 수 없었던 지상파 채널 애니메이션에 대한 고정이 짙은 세간의 주목과 우려를 낳았다. 일각에선 저녁이나 밤 시간대에도 TV에서 만화 애니메이션을 볼 수 있다는 기대감과 동시에 학부모들을 기준으로 아이들 교육정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느냐는 지적이 일고 있었다.[3] 이와 더불어 수입 애니메이션 중 상당수가 일본색이 난무하는 작품이 많아 학부모들의 주의 환기가 요구되는 채널로 인식되기도 했다.[4][5]

또한, 당시 지상파의 영향력이 강하여서 케이블 채널(비지상파 채널)에 대한 인지도가 워낙 낮은 시절이라 투니버스 역시 그 당시 인지도에선 현저히 저조하였던 편이었다. 게다가 지상파와는 다르게종합유선방송사업자(SO)에 별도로 신청해서 시청할 수 있다는 당시의 생소한 방식 때문에, 일부 가정에서는 아예 케이블 채널 자체를 설치하지 않아서 투니버스를 직접 볼 수 없는 세대들도 있었다.

1999년 11월에카툰 네트워크의 인기 작품 (톰과 제리,루니 툰 등)을 아침과 오후 총 4시간 동안 블럭 편성하였다.[6] 이와 함께스타크래프트 리그 및 대회 중계전이나 게임 관련 정보 프로그램을 편성하기도 했다.[6]

2000년대

[편집]

2000년1월 3일부터 하루 24시간 방송을 개시하였으며[7],시청률 증가 추세에 이르렀는데 산간 및 도서지역 등 지상파 TV시청이 곤란한 환경의 난시청 해소를 위한위성방송 서비스 확대로,KT메가TV를 비롯한,하나로텔레콤하나TV 등 선후발업체의IPTV 서비스의 가입자 수가 포화 상태에 이르면서, 채널 선택권이 어느정도 보장되었기 때문이다.

2002년 3월 1일에 정식 서비스가 상용화된 디지털 위성방송 서비스인스카이라이프의 656번 채널에서 송출을 시작하여 스카이라이프 채널 중 시청률 1위를 기록하여 타채널들을 압도할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으나[8], 그 해 11월에 온미디어(현CJ ENM)측이 일방적으로 재계약을 거부하여 다음해인 2003년 1월 1일부터 2011년 8월 31일까지는 케이블TV를 통해 단독으로 시청할 수 있었다. 이는, 당시 대형 케이블TV 사업자들이 주도권으로 독점적인 로비를 하였기 때문이었다.

2000년대 초중반 이후에는퀴니에 이어애니원,챔프TV,애니박스 채널이 신설되었으며, 이러한 추세를 타고케이블 TV 채널 시청 점유율 1위를 차지하였으나, 이후로는MBC 드라마넷,SBS 드라마플러스,KBS 드라마지상파의 케이블 채널, 그리고 같은 자사채널tvN에 밀려 떨어지기 시작하였다.

시청률 조사기관닐슨 코리아의 조사 결과, 수도권과 부산경남권, 대구경북권 등 대도시 지역의 어린이 프로그램 시청 시간 행태 변화에서 2000년대 초반 이후에 어린이 프로그램의 시청 시간이 절반 가량 계속 줄어들어, 주 시청자인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생활 패턴이 급격히 바뀐 것이 가장 큰 이유라는 분석이다. 대다수의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평일 저녁 시간대에 방과후 학원이나 과외 활동 등으로 TV를 볼 시간이 없다는 것인데, 멀티미디어 컴퓨터가 많이 보급되어인터넷 사용이 일상화 되면서,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관심을 돌릴 수 있는 다양한 매체가 봇물처럼 등장한 점이 TV 시청 시간이 감소된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그 동안 경영난 악화로 유료 방송 시장에서 광고 수익이 급감함에 따라, 방송 및 통신이 융합된 환경 속에서, 수신료 수익의 증대와 방송 시장 다변화의 일환으로,IPTV 상용화를 위한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사업법이 국회를 통과하여, 2008년 말IPTV 선두 업체인KT를 시작으로, 2009년 상반기에 후발 업체인SK브로드밴드,LG데이콤 등 통신 3사 IPTV 사업자와 협의 후, 송출을 개시하였다.

2008년4월부터 게임업체 구름 인터랙티브와 손을 잡고 《개구리 중사 케로로》를 소재로 한 《케로로 파이터》, 《케로로 팡팡》. 《케로로 레이싱》 등을 공동 개발해 게임 산업에도 뛰어들었으며, 투니버스 방영 작품들 가운데 일부[9]에 한해 무료로VOD 서비스를 실시하였다.

2009년CJ그룹으로 인수 합병 이후,애니메이션 채널에서어린이 채널로 방송 장르를 변경하였으며, 동년 9월 1일부터 위성방송 가입자들의 계속적인 요구에 따라, 디지털 위성방송 서비스인KT스카이라이프(당시 한국디지털위성방송)를 통해서, 2011년 하반기에HDTV 채널로 송출을 개시하였다.

2010년대

[편집]

2010년 오전 시간대의 유아프로그램 편성 코너였던 '크레용하우스'를 '리틀투니'로 대체 변경하였다. 2012년 8월 15일에 로고 및 슬로건을 변경하였으며, 스카이라이프 HDTV 채널 개국 이후 3년 4개월 만인 2013년 1월 11일에 HDTV 방송을 전면적으로 개시하였다.

2013년 4월디즈니코리아의 마블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프로그램 독점 계약을 해왔다. 2013년 7월 26일에는키자니아 서울 내에 '성우 스튜디오' 체험관을 개장하였고, 2014년 7월에는롯데월드 내에 투니버스 스토어가 오픈되었다.

2017년 12월 28일에는 투니버스 홈페이지를티빙으로 오픈하였으며, 2018년 4월 2일에는 투니게임 홈페이지가 종료되었다.

2020년대

[편집]

2021년 9월 6일, 오전 시간대 유아프로그램 편성 코너인 '리틀투니'를 '투니스쿨'로 대체 변경하였다. 2022년 7월 15일 미국니켈로디언의 프로그램 방영권(네모바지 스폰지밥,퍼피 구조대,티미의 못말리는 수호천사,닌자거북이) 독점 계약을 체결하였다. 그해 8월 1일부터 니켈로디언 타임 블록을 방영하기 시작하였다.

2022년 9월 23일부터주술회전을 시작으로 다시 '투니틴'이라는 청소년 이상 애니 블록 시간대를 추가하여 매주 금, 토요일 밤 10시부터 고연령층 애니를 방영한다.[10]

투니초이스

[편집]

투니초이스는 투니버스에서 한 해 동안 방송한 신작 애니메이션 가운데 시청자들로부터 가장 사랑받은 작품을 뽑았던 행사이다. 이 행사는 2004년부터 시작하여 2012년까지 이어졌으며 한 사람이 하루 동안 4번까지 투표할 수 있었다. 투니초이스는 본선 → 결선의 순서로 진행되며 시청자들이 직접 뽑는다. 투니초이스 수상작 발표는 10시부터 12시까지 약 2시간 동안 진행되며 가끔씩 연예인들이 참석하기도 한다.

2004년에 《이누야샤》가 첫 번째 수상작으로 발표되었으며, 2009년, 2010년, 2012년 《명탐정 코난》이 투니초이스 최초로 3회 연속 수상작이 되었다.

투니초이스 수상 작품

[편집]
연도제목
2004년이누야샤
2005년나루토
2006년개구리 중사 케로로
2007년오란고교 사교클럽
2008년가정교사 히트맨 리본
2009년명탐정 코난
2010년
2012년
2011년막이래쇼

방영/종영 작품

[편집]
 투니버스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현재 방영중인 작품

[편집]
현재 방영 프로그램

방영 예정인 작품

[편집]
방영 예정인 프로그램

종영될 수 있는 작품

[편집]

KBS 외주제작

[편집]

KBS어린이 외주제작

[편집]

Tooniverse 방영중

[편집]
  • 미정 ▶

방영할라 했는데 방영이베이퍼웨어가 된 방영

[편집]
  • 못말리는 3공주:더빙한 당시 투니버스에 할라 했으나 성우가 대원방송 성우라서 챔프로 방영하게 됐다.
  • 마음의 소리:이쪽도 그 당시에는 투니버스에 방영할라 했으나 CJ가 아니라서 애니맥스에서 방영하게 된다.
  • 코리너즈:원래는 방영할 계획이 있었지만 욕설이 나오거나 수도권이 아닌 지방이라서 송출을 못하게 됐다.

투니버스 외주제작

[편집]

19

드라마

[편집]

성인 프로그램

[편집]

투니버스 드라마 외주제작

[편집]

타사 외주제작

[편집]

투니버스 제작 드라마

[편집]
종료

투니버스 제작 예능

[편집]
  • 종료
  • 막이래쇼 (무작정탐험대 : 2011년 5월 20일 ~ 2013년 10월 18일, 무작정여행단 : 2015년 2월 27일 ~ 2015년 11월 27일/2016년 6월 9일 ~ 2016년 12월 29일, 무작정 크리에이터 : 2017년 7월 26일 ~ 2017년 11월 15일)
  • 고민타파 해결왕 (2012년 11월 29일 ~ 2012년 12월 6일)
  • 레인보우로즈 (2012년)
  • 슈퍼히어로 (2012년)
  • 보이스 키즈 (2013년 1월 4일 ~ 2013년 2월 1일)
  • 난감스쿨 (2013년 4월 26일 ~ 2013년 7월 12일, 2014년 1월 10일 ~ 2014년 5월 9일)
  • 김구라 김동현의 김부자쇼(2014년 5월 16일 ~ 2014년 8월 8일)
  • 소원의 섬 캐릭아일랜드 (2014년 7월 6일 ~ 2014년 9월 3일, 2014년 12월 10일 ~ 2015년 1월 28일, 2015년 7월 29일 ~ 2015년 9월 23일)
  • 보이즈 & 걸즈 (파일럿 : 2016년 2월 23일 ~ 2016년 3월 16일, 정규 편성 : 2016년 4월 19일 ~ 2016년 6월 21일)
  • 스트레스 제로구역 날려버려 (2017년 1월 5일 ~ 2017년 5월 30일)
  • 투니튜브 (2017년 6월 27일)
  • 보고놀자 (2017년 8월 17일 ~ 2017년 11월 11일)
  • 쌍쌍초월 (2022년 9월 27일 ~ 12월 27일)
  • 흔한남매의 안흔한일기 4
  • 흔한 남매와 안 흔한 친구들 1 ~ 2
  • 방울이의 하루
  • 방뎅이탐정
  • 방울이:살레고
  • 현재
  • 원픽은, 흔한남매 (2023.04.17 ~)

게임 행사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1995년 원년 개국부터 현재까지 케이블 방송 채널 이름을 바뀌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2. 지역 케이블 방송 업체에 따라서는 요금 상품에 따라 유동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고급형 등의 고가 상품에만 편성되는 경우도 있다.
  3. 케이블TV 준비 제대로 했나?, KBS 뉴스 9, 1995년 3월 8일
  4. "만화보며 상상의 나래 펴세요" 세계각국 수준작-독특한 제작기법등 소개, 《동아일보》 1995년 11월 29일 (네이버 디지털 뉴스 아카이브)
  5. 방송사업자는 국제문화 수용의 다양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외국에서 수입한 영화·애니메이션 및 대중음악중 한 국가에서 제작한 영화·애니메이션 및 대중음악이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일정한 비율 이상을 초과하지 아니하도록 편성하여야 한다.(방송법 제 71조)
  6. “[방송] 투니버스가 달라졌다”.서울경제. 1999년 11월 1일. 2024년 4월 9일에 확인함. 
  7. 1999년 이전에는 하루 24시간 방송을 하지 않았으며, 매일 아침 7시부터 밤 12시까지다.
  8. 유병수 (2002년 11월 2일).“만화채널 '투니버스' 시청률 1위”. 전자신문. 
  9. VOD 서비스가 되지 않은 작품의 경우, 제작사측에서 VOD 서비스 허가를 거부한 경우이다.
  10. 현재 9월 30일 인스타그램에 올린 기준 확정된 다음 애니는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나만이 없는 거리,소드 아트 온라인이다.2025년 7월 31일 마지막 방송으로네모바지 스폰지밥이 니켈로디언 타임 블록 계약 종료되었다.
  11. 2013년에애니플러스 계약으로 투니랜드에서 VOD 서비스를 한 적이 있다. 그러나 투니랜드가 서비스 종료되면서 투니버스 관련 사이트에서 볼 수 없게 되었으나 공식적으로 투니버스 투니틴 시간대의 네번째 대작이 되어 투니버스 채널에서도 볼 수 있게 되었다.
  12. 투니틴 시간대에 최초로 방영된 자체 판권 애니이다.
  13. 2008년 12월부터 2009년 3월까지 투니버스에서 방송하였으며, 밤 10시에 19세 관람가로 방영하였다.

외부 링크

[편집]
투니버스가 발매한 음반
정규 앨범
싱글 앨범
CJ ENM의 텔레비전 채널
드라마·예능
영화
어린이·스포츠
해외
홍콩, 마카오, 타이완, 동남아시아
tvN Asia
tvN Movies
tvN Taiwan
태국
tvN Thai
아프리카
tvN Africa
일본
Mnet Japan
미국
Mnet America
tvN
폐국 및 매각
연관 단체
관련 항목
대한민국의 어린이 채널
지상파 계열
대원방송
애니플러스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
기타
지상파
전국
수도권
전북권
충북권
대전·세종·충남권
광주·전남권
대구·경북권
제주권
울산권
부산권
경남권
강원권
종합편성
뉴스
경제
스포츠·여가
드라마
예능
음악
영화
교양
생활·패션·건강
게임
교육·어린이·육아
애니메이션
국제
쇼핑
공공
종교
UHD
지역 SO 채널
굵은 글씨 : 대한민국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제 40조 제 1항에서 지정한 재난방송 의무송출 방송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투니버스&oldid=40912351"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