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태백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태백선
태백선의 위치.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의 기대한민국
종류간선 철도
상태통제중
기점제천역
(충청북도제천시)
종점백산역
(강원특별자치도태백시)
역 수22
노선 번호315
개통일1955년12월 31일
소유자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한국철도공사
노선 제원
영업 거리104.1 km
궤간1,435 mm(표준궤)
선로 수2 (제천 - 입석리)
1 (입석리 - 백산)[1]
전철화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신호 방식ATS
노선도

0.0
제천
←중앙선(단양역 방면)
13.7
입석리
현대시멘트 영월선
쌍용양회 영월공장선
17.7
쌍룡
25.9
연당
평창강 (서강)
31.6
청령포신호장
영월화력발전소선
34.7
영월
37.4
탄부신호장
42.3
연하신호장
49.0
석항
52.1
예미
함백선(함백역 방면)
58.7
조동신호장
수리재터널
63.1
자미원신호장
69.8
민둥산
75.8
사북
80.4
고한
89.4
추전
해발 855m
95.4
태백
97.8
문곡
연화제3,2,1터널
태백삼각선
철암천
102.3
동백산
103.5
백산
태백선 석항역 부근국도 제31호선이 태백선과 교차하는 상동가도건널목

태백선(太白線)은충청북도제천시제천역강원특별자치도태백시백산역을 잇는한국철도공사철도 노선이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좌측통행이다.

개요

[편집]

영월에 건설된화력발전소를 위해 1949년에 착공하여1955년12월 31일에 완공된 영월선(또는 영월발전소선)과 영동선에서 황지(현 태백시)일대의탄광 개발을 위해 1962년에 건설되었던 황지지선을 기반으로 한다. 이후 탄광 개발을 위해 영월선의 연장선으로 건설된 함백선, 정선선, 고한선 등의 선로가 추가건설되면서 점차 두 노선이 근접하게 되고, 이후 추가적인 동서횡단노선의 확충 필요, 교통두절의 예방과 선로용량 증가를 위해 고한 ~ 황지간 연결선을 1973년 10월에 완공하면서 이 각 노선을 통합, 태백선으로 명명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1975년 12월 태백선 전구간을전철화하였으며, 여객취급 역은제천역,쌍룡역,영월역,예미역,민둥산역,사북역,고한역,태백역이다.

연혁

[편집]
태백선의 노선 형성 과정

단선비전철 시절

[편집]

전철화 시대

[편집]

역 목록

[편집]
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역간
거리
누적
거리
AI접속 노선소재지비고
제천Jecheon堤川0.00.0중앙선
충북선
충청북도제천시
입석리Ipseok-ri立石里13.713.7
쌍룡Ssangnyong雙龍4.618.3|강원특별자치도영월군
연당Yeondang淵堂7.625.9||
청령포Cheongnyeongpo淸泠浦5.731.6||
영월Yeongwol寧越3.134.7
탄부Tanbu炭釜2.737.4||
연하Yeonha蓮下4.942.3||
석항Seokhang石項6.749.0||
예미Yemi禮美3.152.1|함백선정선군
조동Jodong鳥洞6.658.7||함백선
자미원Jamiwon紫味院4.463.1||
민둥산Mindungsan民東山6.769.8정선선
사북Sabuk舍北6.075.8|
고한Gohan古汗4.680.4||
추전Chujeon杻田9.089.4|||태백시
태백Taebaek太白6.095.4
문곡Mungok文曲3.098.4|||
(태백삼각)4.5102.9|태백삼각선
백산Baeksan栢山1.2104.1||영동선

노선 정보

[편집]
  • 노선 거리 : 104.1 km
  • 운영 기관 :한국철도공사(전 구간)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전철화 구간 : 전 구간 (교류 25,000V 60Hz)
  • 복선구간 : 제천 ~ 입석리
  • 단선구간 : 입석리 ~ 백산
  • 보안 장치 : 자동폐색,ATS

지선 노선

[편집]

태백선에는 총 3개의 지선 철도가 있다.

번호노선 명칭기점종점연장(km)비고
31501함백선예미역조동역9.6
31502정선선민둥산역구절리역45.9
31503태백삼각선문곡역(태백선)동백산역(영동선)0.8

함백선

[편집]
 함백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함백선예미역함백역을 경유하여조동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1501이다.

영월선의 연장 노선인 함백선으로 처음에 건설이 이루어졌으며, 이후 정선선이 건설되면서 예미 ~ 함백 구간은 정선선 지선 형태로 변경되었으며, 1977년 함백 ~ 조동 구간에 루프 터널을 건설하여 부족한 태백선 용량 확충에 기여하였다.

정선선

[편집]
 정선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태백삼각선

[편집]
 동백산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터널 목록

[편집]
터널 이름소재지길이준공년도비고
두학터널460m2013년
송학터널5,985m2013년노선 최장
시곡터널300m2013년
입석터널405m1955년
신주막터널650m1955년
송정터널234m1955년
장전터널70m1955년
각한터널754m1955년
청령포터널529m1955년
반송터널200m1957년
풍촌터널30m1957년
오산터널105m1957년
석현1터널125m1957년
석현2터널144m1957년
석현3터널72m1957년
석현(피암)10m1957년피암
조동1터널87m1966년
조동2터널225m1966년
조동3터널137m1966년
조동(피암)45m1966년피암
조동4터널55m1966년
신동터널70m1966년
조동5터널195m1966년
미륵1터널182m1966년
미륵(피암)75m1966년피암
미륵2터널472m1966년
부처터널80m1966년
수리재터널1,950m1966년
자미원1터널157m1966년
자미원2터널326m1966년
자미원3터널322m1966년
자미원4터널89m1966년
자미원5터널60m1966년
문곡1터널105m1966년
문곡2터널405m1966년
척산(피암)150m1966년
척산(피암)284m1966년
천불터널314m1966년
소산1터널70m1966년
소산2터널370m1966년
도사1터널260m1966년
도사2터널170m1966년
사북(피암)30m1966년
부처소터널83m1966년
고한터널170m1966년
갈래(피암)40m1966년
정암터널4,505m1973년
추전1터널178m1973년
추전2터널158m1973년
삼수1터널452m1973년
삼수2터널770m1973년
삼수3터널220m1973년
연화4터널205m1962년
연화3터널30m1962년
연화2터널417m1962년
연화1터널1,010m1962년

태백선의 교통량

[편집]

열차 통과량

[편집]

2024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태백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열차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

운행구간선로용량새마을무궁화일반화물운행총계
제천~입석리163151824
입석리~쌍용6515713
쌍용~예미4715410
예미~민둥산4015410
민둥산~백산3615410

이 구간의 열차 운행은 화물열차가 압도적으로 많으며, 이로 인해 선로 용량에 애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 구간은 전 구간에 걸쳐 30퍼밀에 이르는 급격한구배가 산재해 있어 운행 차량의 종류와 견인량수, 운전속도 등이 제한되고 있다.

화물열차의 운행은 주로석탄과 양회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정기여객열차 운행은 태백선 구간만을 한정하여 운행하는 열차는 전무하며,청량리, 동해, 아우라지를 기점으로 하는 중앙선 및 영동선, 정선선에서 직통 운행하는무궁화호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이 노선은 주변 경관이 뛰어나고 관광산업 진흥이 활발하여, 기간 및 행사관계로 인한 임시 관광열차 투입이 종종 이루어지고 있다.

이용객 변동

[편집]

다음 자료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통계 내용을 모은 것이다.

구분이용 인원수 (명)각주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비둘기0000000000000000[13]
통일(통근)55,53452,16943,14439,59610,9131014400000000
무궁화683,873738,199663,739697,192696,913665,384611,943682,783643,468547,657569,572568,603592,893633,827610,342539,927
새마을68,49089,97477,65470,18877,55181,87858,9555106,7266,2082,0633603,78552,91329,03122,519
건설2,4635,5695,7613,864각 종별 열차 이용객에 포함됨
정기권2,8482,9011,4281,181
합계813,208888,812791,726812,021785,377747,263670,898683,437650,194553,865571,635568,963596,678686,740639,373562,446

미래

[편집]

현재양회등 벌크 화물 수송량 증대차원으로 제천 ~ 입석리 구간에 한해 복선전철화가 완료되었으나, 노선 전체에 대한 추가적인 개량 가능성은 구상 정도에 그치고 있다.[14]

강원 남부지역 인구의 과소화로 인해서 여객영업기반은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실정이다. 이 구간의 열차는 정부의 공공철도 운행보상금 제도(PSO)의 지원 대상이다. 이례적으로ITX-마음 왕복 1회 편성된 이유도 연선 지자체에서 5년간코레일에 손실비용부담금 지급하기로 합의했기 때문이다.[15] 앞으로도 준고속열차가 계속 운행될지는 미지수이다.

외부 링크

[편집]

각주

[편집]
  1. 단,함백선 병행 구간(예미~조동)이 복선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2. [1]
  3. 철도청 고시 제207호 (1966년 1월 13일)
  4. 철도청 고시 제208호 (1966년 1월 13일)
  5. 철도청 고시 제305호 (1967년 1월 13일)
  6. 이양 기자 (1974년 6월 20일).“태백 준영도 단숨에 「고속철마」전철…제천-고한 간 개통”. 《중앙일보》. 
  7. 대한민국관보 제12939호 (1995년 2월 14일), 32p
  8. 당시 정차역은 청량리에서 제천까지는 중앙선과, 동해에서 강릉까지는 바다열차와 각각 동일하고 제천에서 동해까지는영월역,민둥산역,사북역,고한역,태백역,도계역에 정차했었다.
  9. 왕성상 기자 (2013년 11월 14일).“태백선 쌍용역∼제천역 복선전철 개통”. 《아시아경제》. 
  10.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2019년 4월 17일.
  11. 이형수 기자 (2020년 8월 3일).“태백선 전 구간, 영동선·충북선 일부구간 운행 중지”. 《충북일보》. 
  12. “ITX-마음, 오늘부터 태백·영동선 운행”. 《KBS강원》. 2023년 9월 1일. 
  13.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14. 박상희 기자 (2020년 11월 24일).““고속열차도 속도 못 내”…‘선형 개량’필요”. 《KBS 9시뉴스(강릉)》. 
  15. 지환 기자 (2023년 8월 31일).“폐광지 운행하는 신형열차 '마음'...십시일반 돈 걷는 지자체”. 《YTN》. 
고속철도노선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수서평택고속선
준고속철도노선
경강선(원주~강릉)
중앙선
중부내륙선
일반철도노선
경부선
경의선
호남선
경원선
충북선
경전선
장항선
전라선
경춘선
동해선
영동선
경북선
태백선
인천국제공항선
경강선
광역철도
예정
통합
폐지
미완성
시험철도
1:전용철도 노선, 2: 운영 회사 미확정, : 폐선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정기 여객 영업 없음,  :폐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태백선&oldid=40568432"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