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跆拳道,영어:Taekwondo,약칭: TKD)는 맨손 방어와발차기 기술이 특징인무술로,[1] 20세기 후반공수도 수련인 등을 필두로대한민국에서 형성되고 발전하였다. 오늘날 태권도는 '태권도 진흥 및 태권도공원 조성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대한민국의 국기(國技)이자 '전통무예진흥법'에 따른 전통무예로 지정되어 있다.[2] 무예스포츠로서의 태권도는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시범 종목으로,2000년 하계 올림픽부터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1945년 광복을 전후해대한민국에 여러 개의 무술 도장이 생기게 된다. 그 중 소위 '5대관'(청도관,송무관,무덕관,지도관,창무관)이 가장 유명하였는데, 이 도장들이 분화하여 생긴 9개관이 1960년대에 합쳐져서 현대 태권도의 모체가 된다.
특히 영향력이 강했던 도장은 청도관과 무덕관으로, 최초의 태권도장인 청도관은이원국에 의해 설립되었다. 일본으로 유학을 가 대학을 다니면서 근대 가라테의 아버지 후나코시 기친에게 송도관가라테를 배웠다. 본인은 오키나와 무술로도 생각한 듯. 중국에서는 쿵푸를 수련했다는 말도 있다. 다만 도장의 수련 스타일은 가라테 도장이었다. 이후 이원국은 본인을 한국 태권도 창시주로 지칭하기도 했다.
당시 최대의 태권도장이던무덕관(1953년과 1970년 사이에 전체 태권도 수련자의 약 75%가 무덕관에서 배웠다)은황기에 의해서 설립됐는데, 그는 어릴 때택견을 배우고[출처 필요] 중국에서태극권과쿵푸를 배웠다고 전한다. (다만 자료 부족으로 그의 경력이 의심받기도 한다. 그리고 장단출신인 황기가 서울 무술인 택견을 실제로 알고있는지도 의문이며 나중가서는 택견은 형이 없어 무술도 아니라는식으로 비판한적이 있다.) 가라테는 직접 배운 적은 없고 책을 읽은 적은 있다.[3] 황기는 전통무예에 관심이 많아 당수도로 시작했던 도장 명칭을 이후 화수도, 수박도 등으로 바꾸고 본인 주장대로라면 전통무예 수박에 영감을 얻어 본인의 창작무술수박도를 창안하기도 하나, 태권도 통합 과정에 가장 소극적인 편이라 제자들과도 불화를 겪다 결국 무덕관에서 제명당하고 만다.
나머지 도장들도 주로 가라테 베이스 도장이 많았다.
한편 군 장성이었던최홍희는 민간도장과는 연이 없었으나, 청도관 출신 인사들이 많던 군대내 도장 오도관을 창립하고 초대관장이 된다. 그는 어려서택견을 배웠다는 말도 있고[4],일본 중앙대학을 다니면서 가라테를 배운 뒤, 군에서 복무하며 군대격투기로 가라테를 지도하였다. 1954년 그의 부대를 시찰한이승만이 일종의 변형가라테 시범을 관람한 후 택견으로 착각하였다는 일화가 있다. 최홍희는 택견과 비슷한 단어를 찾다 태권에 도를 합하여 태권도라는 명칭을 창안했다. 1953년 제29보병사단장이 된 그는 부대명을 태권도부대라 명명하고 경례구호도 태권이라 한다.
1959년 처음 대한태권도협회가 만들어졌고, 1966년국제태권도연맹(ITF)이 만들어져 최홍희가 총재로 취임한다. 1972년 최홍희가 정권과 갈등을 빚다 캐나다로 망명하며 ITF 본거지를 토론토로 옮기자, 대한태권도협회를 중심으로 새로세계태권도연맹(WTF)을 창립하여 태권도 보급에 나선다. 1973년에는국기원이 건립되었다. ITF는 북미권에서 인지도를 얻다 1980년대 이후 북한을 비롯한 공산권 국가에 태권도를 중심적으로 보급하며, WTF와 함께 세계 태권도계를 양분하게 된다. 2007년 기준으로 WTF에는 185개국이 회원으로 가입되었고, 약 680여만 명의 유단자가 배출되었으며[5], ITF에는 2007년 기준으로 102개국이 회원국으로 가입되어 있다.
과거 미국에 태권도를 보급할 때, 어려운 점 중 하나는 미국인들이 영어로 된 태권도 간판을 보고 중국 음식점이라 생각하고, 도장으로 들어 오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당시에 동양무술하면 가라테가 전부인 줄 아는 미국사람들은 태권도는 처음 들어 보는 말이었다. 그래서 태권도는 "코리아 가라테", 쿵후는 "차이니즈 가라테"라는 식으로 도장간판을 냈고, 주 체육위원회에서도 가라테로 등록했다. 물론 이후 태권도가 급성장하면서 정식으로 태권도 명칭을 사용했고, 주 체육위원회에서도가라테에서 독립해서 독자적으로 태권도로 이름을 냈다.
코리언 가라데라는 용어는 1970년대에도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미국을 비롯한 독일에서는 생소한 '태권도'란 영어대신 “코리언 가라데”라는 간판을 달고 태권도를 보급했다. 그래야만 유사무도인 한국의 태권도를 알릴 수 있었기 때문이다. 실은 일본 가라데의 해외 보급은 태권도보다 20년 이상 앞서 시작됐다. 뒤늦게 해외로 진출하기 시작한 한인사범들은 어쩔수 없이 태권도라는 용어 대신 코리안 가라데라는 간판을 걸고 태권도를 보급해야 하는 전략을 구사할 수 밖에 없었다.
1968년 일본 동경에서 인쇄, 발간된 조시학 씨의 저서인 태권도 문헌도 "코리안 가라데"라는 제목으로 발간되었다. 이 책은 인기리에 판매되었고 1983년에 21쇄가 발간되었다. 조시학씨는 책 서문에서 태권도 대신 코리언 가라데라는 제명을 사용하게 된 이유는 영어권에서는 이미 가라데가 널리 알려져 있었기에 부득이 코리언 가라데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국제 태권도 연맹(ITF, The International Taekwon-do Federation)은최홍희가1966년에 9개국(미국, 일본, 아르헨티나 등)의 승인을 받아서 서울에서 발족했다. 라이트 콘택트제의 룰이지만, 한국만의 독자적인 무술을 만들기 위해서 3600개의 새로운 기술의 형태와 총 16권의 태권도 백과사전이 만들어졌다.틀(WTF의 품새에 해당)에는 한국의 역사나 신화의 인물에서 따온 천지(天地), 중근(重根), 세종(世宗), 통일(統一) 등의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특이점으로 태권도 창시자를 최홍희로 규정하고 있다.1972년, 설립자인 최홍희가 박정희 정권과의 정치적 대립으로 캐나다로 이주하면서 본부가 캐나다로 옮겨가게 된다. 이후 말레이시아를 시작으로 북미, 남미, 서유럽, 오세아니아 그리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러시아, 중화인민공화국을 포함한 여러 공산국가에도 태권도를 보급하였다.
세계 태권도 연맹 (WT, The World Taekwondo)는 최홍희가1972년 망명한 이후, 남한에서1973년 설립되었다. 현재 올림픽의 정식 경기가 되고 있는 것은 이 단체에서 주관한다. 머리와 몸통을 보호하는 보호구를 착용하도록 하는 등 스포츠에 적합화하여, ITF 태권도와의 차별화를 염두에 두고 있다. WT의 품새에는 고려(高麗), 금강(金剛) 등의 명칭이 쓰인다. WT는 ITF와 달리 태권도의 기원을 멀리 잡아 "가깝게는택견으로, 멀게는 삼국시대의화랑도와수박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주장한다. 다만 이에 대해선 이견이 존재한다. World Taekwondo Federation (WTF)이라는 이름으로 시작하였으나, 영어 약자가 내포할 수 있는 부정적인 뜻을 원천차단하고자 2017년 World Taekwondo (WT)로 이름을 바꾸었다.
세계 태권도 연맹(WTF)의 한국지부인대한 태권도 협회(KTA, The Korea Taekwondo Association)는 1960년에 설립된 대한태권도협회를 기원으로 한다. 1965년 대한태권도협회로 개칭되었다. 2004년 10월 28일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사단법인으로 설립허가 되었다.
품새 : 공격 기술과 방어 기술을 연결시켜 상대 없이도 혼자서 겨루기를 할 수 있게 구성된 연속 동작이다. 기본 기술이 숙달되게 하는 한편, 특수 동작의 연습 및 겨루기의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다. 품새의 종류는 유급자 품새로 태극 1-8장과 유단자의 고려·금강·태백·평원·십진·지태·천권·한수·일여, 그리고 팔괘 등이 있다.
겨루기 : 기본 동작과 품새에서 터득한 공격과 방어 기술을 응용하는 기능을 익히는 방법으로, 겨루기와 맞춰겨루기로 나뉜다.
겨루기 : 자유겨루기의 줄임말로, 기본 기술과 품새에서 익힌 기술로 아무런 약속 없이 상대와 겨루는 방법이다.
맞춰겨루기(약속대련) : 약속된 사항 아래 공격과 방어 기술을 활용하는 방법이며, 세 번겨루기와 한번겨루기등 정해놓고 연습한다.
국기원은아시아태권도연맹(ATU)과 함께 2016년 11월29일 국기원에서 태권도 새품새 10개를 공식 발표하였다.새품새는 10가지로 청소년 품새인 힘차리,야망,새별,나르샤 4가지 종류와 청장년대 품새인 새아라,어울림 2가지 종류 그리고 중장년 품새인비각(飛脚), 한솔, 나래, 온누리의 4종으로 발표되었다.[9][10] 이러한 새품새 개발은 44년만에 태권도 연구소를 위시한 다양한 태권도 전문가가 참여하여 개발한 연구 결과로 아시안게임, 올림픽게임등에서 겨루기 부문뿐만 아니라 품새부문에서도 정식종목 채택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전통무예진흥법에 따르면대한민국에서 자생되어 체계화되었거나 외부에서 유입되어대한민국에서 독창적으로 정형화되고 체계화된 무(武)적 공법ㆍ기법ㆍ격투체계로서 국가적 차원에서 진흥할 전통적ㆍ문화적 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것을 전통무예로 분류하므로, 70여년전에 외국 무예와 전통무예를 수련한 무예가들의 교류로 형성되어 독창적으로 체계화되어 대한민국에서 국기로 인정해 진흥중인 태권도는 전통무예에 포함된다.
↑황기와 가라테의 관련성은, 어렸을 때 도서관에서 가라테책을 읽었다는 것 외에는 없다. 하지만 노병직의 편지를 보면 황기의 출신이 불분명하고 무덕관에서 가르치는 형태가 가라테 형을 그대로 답습한다고 쓰여있고 최홍희도 이에 대해 일부 동의했다. 그리고 본인이 저술한 화수도 당수도 교본이란게 실제론 후나코시 기친의 가라테 교본을 표절한거나 다름 없다고 혹평까지 당했다.“무덕관의 역사” (영어). 무덕관 공식 홈페이지.In 1939, he began work for the Cho Sun Railway Bureau. This position allowed him access to a library where he began reading about philosophy and Okinawan Karate.
↑Park, S. H. (1993): About the author. In H. H. Choi: Taekwon-Do: The Korean art of self-defence, 3rd ed. (Vol. 1, pp. 241–274). Mississauga: International Taekwon-Do Fed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