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클릭 화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클릭 화학(click chemistry)은 두 분자를 결합하는 데 사용되는화학 합성 접근 방식이다. 클릭은 효율성과 단순성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두 분자 구성 요소를 연결하기 위해 각각은 먼저아자이드알카인 그룹과 같은 적절한작용기를 장착한다. 그런 다음 이러한 구성 요소는 다른 결합 과정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는 많은 작용기를 허용하며 매우 유리한 과정에서 "클릭"된다.

역사

[편집]

클릭 화학은 2001년더 스크립스 연구소칼 배리 샤플레스,하트무스 C. 콜브,M. G. 핀에 의해 처음으로 완전하게 기술되었다.[1][2] 이 논문은 합성 화학이 자연이 복잡한 분자를 구성하는 방식을 모방하여 효율적인 반응을 사용하여 간단하고 무독성인 구성 요소를 결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3]

클릭 화학의 개념 또는 원리에 대해 많은 관점이 제시되었다.[4][5] 이러한 속성 중 일부는 선택성과 구현 용이성에 대한 추구를 포함하며, 이는 물론 많은 또는 대부분의 화학 반응의 목표이다.

클릭 화학은 생물학의 대부분의 화합물이 C-헤테로원자 결합(헤테로원자 = N, O, S) 형성을 통해 "함께 꿰매져 있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설립되었다. 구조적으로 복잡한 유기 화합물의 주요 분류 중 6개 이상의 C-C 결합을 가진 것은 거의 없다(아릴 유도체를 제외하고). C-헤테로원자 결합 형성 반응은 종종 매우 유리하며 거의 비가역적이다. 이러한 C-헤테로원자 결합 형성 반응 중 일부는 특히 구현하기 쉽다. 샤플레스 등은 특정 고리화 첨가, 긴장된 기질을 포함하는 친핵성 치환, 요소 및 에테르 형성, C=C 결합에 헤테로원자 첨가에 초점을 맞출 것을 권장했다. 이 획기적인 검토에서는후이젠 1,3-쌍극자 고리화 첨가가 언급되지 않았는데, 아마도 느렸기 때문일 것이다. 샤플레스의 검토가 발표된 다음 해, 덴마크칼스버그 연구소의 토르뇌, 크리스텐센, 멜달은 아자이드에 알카인의 구리 촉매 첨가를 설명했으며, 샤플레스 등이나 클릭 화학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6] 멜달의 혁신은 클릭 화학의 전형적인 반응이 되었다. 특히 영향력 있는 아자이드 커플링 보고서 중 하나는 베르토치 연구실에서 생체 세포 내에서 반응을 수행한 것이다.

2022년노벨 화학상은 "클릭 화학 및생체직교 화학의 개발"로캐럴린 R. 베르토치,모르텐 P. 멜달칼 배리 샤플레스에게 공동으로 수여되었다.[7]

클릭 반응

[편집]

구리(I) 촉매 아자이드-알카인 고리화 첨가 (CuAAC)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아자이드 알카인 후이젠 고리화 첨가입니다.

고전적인[8][9] 클릭 반응은아자이드알카인의 구리 촉매 반응으로 5원 C2N3 고리를 형성한다. 이 반응은 Cu(I) 촉매 아자이드-알카인고리화 첨가 (CuAAC)이다. 다이에틸 아세틸렌디카복실레이트와 페닐 아자이드로부터의 첫트리아졸 합성은아서 마이클에 의해 1893년에 보고되었다.[10] 나중에 20세기 중반에, 이 1,3-쌍극자 고리화 첨가 계열은롤프 후이젠반응 속도론 및 조건에 대한 연구 후에 그의 이름을 따게 되었다.

후이젠 및 구리 촉매 아자이드-알카인 고리화 첨가 비교

후이젠 1,3-쌍극자 고리화 첨가의 구리 촉매는 포킨과 샤플레스[11] 및 멜달[6] 그룹에 의해 동시에 독립적으로 발견되었다. 이 반응의 구리 촉매 버전은 1,4-이성질체만을 생성하는 반면, 후이젠의 비촉매 1,3-쌍극자 고리화 첨가는 1,4- 및 1,5-이성질체 모두를 생성하며 100 °C의 온도가 필요하다.[10]

CuAAC 촉매 주기의 두 구리 메커니즘

이 반응은 생물학적 조건에서 효과적으로 진행되지만, 이 범위의 용량에서 구리는 세포 독성을 가진다.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구리 위에 수용성 리간드를 사용하여 촉매의 세포 침투를 강화하고 필요한 용량을 최소화하는 것 등이 제시되었다.[12][13] 유사한 "RuAAC 반응" (구리 대신 루테늄으로 촉매됨)은 1,5-이성질체의 선택적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14]

변형 유도 아자이드-알카인 고리화 첨가 (SPAAC)

[편집]

금속 없는 클릭 반응은 강화된 생체 적합성과 감소된 세포 독성으로 인해 중요성이 커졌다. 특히, 변형 유도 아자이드-알카인 고리화 첨가(SPAAC) 및 역전자 수요 딜스-알더(IEDDA) 반응은 생체 시스템의 생체직교 표지에 널리 채택되었다. 이러한 반응은 금속 촉매가 필요 없이 높은 특이성을 제공하여 살아있는 유기체 및 복잡한 환경에서의 응용에 이상적이다.[15]

후이젠의 구리 없는 클릭 반응 버전은 세포 독성을 최소화한다.[16][17]

변형 유도 아자이드-알카인 고리화 첨가 도식

변형 유도 알카인-나이트론 고리화 첨가 (SPANC)

[편집]

다이아릴-변형-사이클로옥틴(dibenzylcyclooctyne, DIBO 포함)도 변형 유도 알카인-나이트론 고리화 첨가(SPANC)에서 1,3-나이트론과 반응하여 N-알킬화된 이속사졸린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었다.[18]

SPAAC 대 SpANC 반응

이 반응은 금속이 없고 빠른 속도론(k2가 60 1/Ms로 CuAAC 또는 SPAAC보다 빠름)으로 진행되므로 SPANC는 살아있는 세포 표지에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나이트론 쌍극자의 탄소와 질소 원자 모두에 대한 치환, 비고리형 및 내부고리형 나이트론 모두 허용된다. 이러한 큰 허용 범위는 나이트론 핸들 또는 프로브 통합에 많은 유연성을 제공한다.[19]

그러나 이속사졸린 생성물은 CuAAC 및 SpAAC의 트리아졸 생성물만큼 안정하지 않으며 생물학적 조건에서 재배열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반응은 현저하게 빠른 반응 속도론을 가지므로 여전히 매우 유용하다.[18]

이 반응의 응용에는 세린을 첫 번째 잔기로 포함하는 단백질 표지가 포함된다. 세린은 NaIO4로 알데하이드로 산화된 다음, p-메톡시벤젠티올, N-메틸하이드록실아민 및 p-안시딘으로 나이트론으로 전환되고, 마지막으로 사이클로옥틴과 함께 배양되어 클릭 생성물을 생성한다. SPANC는 또한 다중 표지를 허용한다.[20][21]

변형된 알켄의 반응

[편집]

변형된 알켄은 또한 변형 완화를 구동력으로 활용하여 클릭 반응에 참여할 수 있게 한다. 트랜스-사이클로알켄(보통 사이클로옥텐) 및 옥사노보나디엔과 같은 다른 변형된 알켄은 아자이드, 테트라진 및 테트라졸을 포함한 여러 파트너와 클릭 반응에서 반응한다. 이러한 반응 파트너는 변형된 알켄과 특이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지질, 지방산, 보조인자 및 기타 천연물에서 발견되는 내인성 알켄에 생체직교성을 유지할 수 있다.[20]

알켄 및 테트라진 역전자 수요 딜스-알더

[편집]
일반화된 테트라진과 변형된 트랜스-사이클로옥텐 사이의 테트라진-알켄 반응

변형된 사이클로옥텐과 다른 활성화된 알켄은 역전자 수요 딜스-알더 반응에서 테트라진과 반응한 다음 역 [4+2] 고리화 첨가(그림 참조)를 한다.[22] 고리 변형이 높은 3원 및 4원 사이클로알켄도 이상적인 알켄 기질을 만든다.[22]

다른 [4+2] 고리화 첨가와 유사하게, 다이에노필의 전자 공여 치환기와 다이엔의 전자 수용 치환기는 역전자 수요 딜스-알더 반응을 가속화한다. 추가 질소를 가진 다이엔, 테트라진은 이 반응에 좋은 다이엔이다. 활성화된 알켄인 다이에노필은 종종 표적 분자의 전자 공여 알킬 그룹에 부착될 수 있으므로 다이에노필이 반응에 더 적합하게 된다.[23]

알켄 및 테트라졸 광클릭 반응

[편집]

테트라졸-알켄 "광클릭" 반응은 1960년대 후반 후이젠이 처음 도입한 또 다른 쌍극자 첨가이다 (ChemBioChem 2007, 8, 1504. (68) Clovis, J. S.; Eckell, A.; Huisgen, R.; Sustmann, R. Chem. Ber. 1967, 100, 60.) 365 nm의 UV 광(365 nm는 세포를 손상시키지 않음)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아미노 또는 스티릴 그룹을 가진 테트라졸은 빠르게 반응하여(UV 광이 오랫동안 켜져 있을 필요가 없도록, 보통 1-4분 정도) 형광성 피라졸린 생성물을 만든다. 이 반응 스키마는 살아있는 세포에서 표지하는 목적에 매우 적합한데, 365 nm의 UV 광이 세포를 최소한으로 손상시키기 때문이다. 더욱이, 반응은 빠르게 진행되므로 UV 광을 짧은 시간 동안만 조사할 수 있다. 짧은 파장 UV 광의 양자 수율은 0.5보다 높을 수 있다. 이를 통해 테트라졸을 다른 광결합 반응과 함께 파장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짧은 파장에서는 테트라졸 결합 반응이 거의 독점적으로 진행되고 긴 파장에서는 다른 반응(o-퀴노디메탄을 통한 결합)이 독점적으로 진행된다.[24] 마지막으로, 비형광성 반응물은 형광성 생성물을 생성하여 반응에 내장된 분광학 핸들을 제공한다.

테트라졸과 알켄 그룹 모두 비천연 아미노산으로 단백질 핸들에 통합되었지만, 이 이점은 독특하지 않다. 대신, 반응의 광유도성은 살아있는 시스템에서 공간-시간적 특이성을 위한 주요 후보로 만든다. 과제는 내인성 알켄의 존재인데, 일반적으로 시스(지방산에서처럼)이지만 활성화된 테트라졸과 여전히 반응할 수 있다.[25]

PQ-ERA 반응은 반응성을 높이기 위해 티오펜 치환을 통해 최적화되어 더욱 효율적인 광환형화 첨가 과정을 가능하게 했다.[26]

잠재적 응용

[편집]

클릭 화학의 단순성은 특히 의약품 개발을 비롯한 많은 분야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많은 잠재적 응용 분야에서 클릭 반응은생체분자리포터 분자 또는 기타 분자 프로브를 결합하는데, 이 과정을생체접합이라고 한다.[27]형광색소 및 기타 리포터 분자를 부착할 가능성은 클릭 화학을 생체분자를 식별, 위치 파악 및 특성화하는 도구로 만들었다. 이 접근 방식은 수많은 연구에 사용되었으며, 발견된 내용으로는 살리노마이신이 리소좀으로 국소화되어 암 줄기세포에서페로토시스를 시작한다는 점[28]메트포르민 유도체가 미토콘드리아에 축적되어 구리(II)를 킬레이트하여 염증성 대식세포에서 대사 및 후속적인 후성유전학적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포함된다.[29]

클릭 화학은 종종 시각화 태그를 부착하는 데 사용된다. 생체접합에서 가장 초기의 중요한 방법 중 하나는녹색 형광 단백질(GFP) 유전자와 같은 리포터 유전자를 관심 단백질과 동일한 유전 서열에 발현시키는 것이었다.

클릭 화학은 생물학적 조건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클릭" 반응의 개념은화학단백질체학, 약리학적, 생체모방 및분자 기계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었다.[30]

형광색소로다민노보넨에 결합되어 생체 시스템에서테트라진과 반응했다.[31] 다른 경우에는 사이클로옥틴 변형 형광색소와 아자이드 태그 단백질 간의 SPAAC를 통해 세포 용해물에서 이러한 단백질을 선택할 수 있었다.[32]

비천연 아미노산

생체 내외 시스템에 클릭 반응 파트너를 통합하는 방법은 가능한 반응의 범위를 넓힌다. 리보솜에 의한 비천연 아미노산 통합 개발은 이러한 비천연 아미노산에 비천연 측쇄 그룹으로 클릭 반응 파트너를 통합할 수 있게 했다. 예를 들어, 아자이드 측쇄 그룹을 가진 UAA는 이 "AHA" 비천연 아미노산으로 태그된 단백질에 사이클로알카인이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33] 다른 예에서는 "CpK"가 아미드 결합에 알파인 사이클로프로판을 포함하는 측쇄 그룹을 가지며, 이는 역 딜스-알더 반응에서 테트라진의 반응 파트너 역할을 한다.[34]

반딧불루시페린 합성 도식

루시페린의 합성은 반응 파트너를 분리하는 또 다른 전략을 보여준다. 이는 단백질의 마지막 N' 아미노산이 시스테인일 때만 나타나는 1,2-아미노티올과 같은 드물게 발생하는 천연 그룹을 활용하는 것이다. 이들의 자연적인 선택성과 상대적인 생체직교성은 이러한 태그에 특이적인 프로브를 개발하는 데 가치가 있다. 위의 반응은 1,2-아미노티올과 2-시아노벤조티아졸 사이에서 형광성인 루시페린을 생성한다. 이 루시페린 형광은 세척 후 분광법으로 정량화될 수 있으며, 1,2-아미노티올을 가진 분자의 상대적인 존재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비-1,2-아미노티올-함유 단백질의 정량이 필요한 경우, 관심 단백질을 절단하여 N' Cys를 가진 단편을 생성하여 2-CBT에 취약하게 만들 수 있다.[35]

추가 응용 분야:

조합 화학,고속대량 스크리닝화학 라이브러리 구축과 결합하여 클릭 화학은다단계 합성의 각 반응을 빠르고 효율적이며 예측 가능하게 만들어 새로운 약물 발견을 가속화했다.

신약 발견 및 생체접합

[편집]

클릭 화학은 신약 발견 및 생체접합의 초석이 되었다. 안정적인 공유 결합을 빠르고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능력은 표적 치료제 및 진단 제제의 개발을 촉진했다. 최근 연구에서는 다기능 약물 전달 시스템을 만드는 데 클릭 화학을 사용하여 치료의 특이성과 효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탐구했다.[42]

기술 라이선스

[편집]

스크립스 연구소는 클릭 화학 특허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43] 라이선스 보유자로는인비트로젠[44],알로자인[45], 아일런[46], 통합 진단[47] 및 생명공학 회사 baseclick[48]가 있으며, 이는 클릭 화학을 사용하여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 만들어진 BASF의 스핀오프이다.[49] 더욱이 baseclick은 핵산 분야의 연구 및 진단 시장에 대한 전 세계 독점 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다.형광 아자이드 및 알카인은 시안다이(Cyandye)와 같은 회사에서도 생산한다.[50]

각주

[편집]
  1. H. C. Kolb; M. G. Finn; K. B. Sharpless (2001). 《Click Chemistry: Diverse Chemical Function from a Few Good Reactions》. 《앙게반테 헤미 국제판40. 2004–2021쪽.doi:10.1002/1521-3773(20010601)40:11<2004::AID-ANIE2004>3.0.CO;2-5.PMID 11433435. 
  2. R. A. Evans (2007). 《The Rise of Azide–Alkyne 1,3-Dipolar 'Click' Cycloaddition and its Application to Polymer Science and Surface Modification》. 《오스트레일리아 화학 저널60. 384–395쪽.doi:10.1071/CH06457. 
  3. The term "click chemistry" was coined in 1998 by Sharpless' wife, Jan Dueser,《Nobel Prize lecture: Barry Sharpless, Nobel Prize in Chemistry 2022》 (영어), 2024년 1월 4일에 확인함 
  4. Devaraj, Neal K.; Finn, M. G. (2021). 《Introduction: Click Chemistry》. 《Chemical Reviews》121. 6697–6698쪽.doi:10.1021/acs.chemrev.1c00469.PMID 34157843. 
  5. Wang, Xifan; Schmidt, Franziska; Hanaor, Dorian; Kamm, Paul H.; Li, Shuang; Gurlo, Aleksander (2019년 5월 6일). 《Additive manufacturing of ceramics from preceramic polymers: A versatile stereolithographic approach assisted by thiol-ene click chemistry》. 《Additive Manufacturing》27. 80–90쪽.arXiv:1905.02060.doi:10.1016/j.addma.2019.02.012.S2CID 104470679. 
  6. Tornoe, C. W.; Christensen, C.; Meldal, M. (2002).《Peptidotriazoles on Solid Phase: [1,2,3]-Triazoles by Regiospecific Copper(I)-Catalyzed 1,3-Dipolar Cycloadditions of Terminal Alkynes to Azides》. 《유기화학 저널67. 3057–3064쪽.doi:10.1021/jo011148j.PMID 11975567.S2CID 11957672. 
  7.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2022” (미국 영어). 《NobelPrize.org》. 2022년 10월 5일에 확인함. 
  8. Gregory C., Patton (2004년 11월 8일).《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Click Chemistry》(PDF). Department of Chemistry. College of Liberal Arts & Sciences,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2010년 7월 9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9. Kolb, H.C.; Sharpless, B.K. (2003). 《The growing impact of click chemistry on drug discovery》. 《Drug Discov Today》8. 1128–1137쪽.doi:10.1016/S1359-6446(03)02933-7.PMID 14678739. 
  10. L. Liang and D. Astruc: "The copper(I)-catalysed alkyne-azide cycloaddition (CuAAC) "click" reaction and its applications. An overview", 2011; 255, 23–24, 2933–2045, p. 2934
  11. Rostovtsev, Vsevolod V.; Green, Luke G; Fokin, Valery V.; Sharpless, K. Barry (2002). 《A Stepwise Huisgen Cycloaddition Process: Copper(I)-Catalyzed Regioselective "Ligation" of Azides and Terminal Alkynes》.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41. 2596–2599쪽.doi:10.1002/1521-3773(20020715)41:14<2596::aid-anie2596>3.0.co;2-4.PMID 12203546. 
  12. Brotherton, W. S.; Michaels, H. A.; Simmons, J. T.; Clark, R.J.; Dalal, N. S.; Zhu, L. Org. Lett. 2009, 11, 4954.
  13. Kuang, G.-C.; Michaels, H. A.; Simmons, J. T.; Clark, R. J.; Zhu, L" J. Org. Chem. 2010; 75, 6540.
  14. Zhang, Li; Chen, Xinguo; Xue, Peng; Sun, Herman H. Y.; Williams, Ian D.; Sharpless, K. Barry; Fokin, Valery V.; Jia, Guochen (November 2005).《Ruthenium-Catalyzed Cycloaddition of Alkynes and Organic Azides》.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127. 15998–15999쪽.doi:10.1021/ja054114s.PMID 16287266. 
  15. Ramírez-López, Pedro; Suárez, José Ramón; Flores, Aida; Hernáiz, María J. (2025년 8월 20일). 《Exploring Metal-Free Click Reactions: New Frontiers in Glycochemistry and Bioconjugation》. 《Bioconjugate Chemistry》36. 1553–1581쪽.doi:10.1021/acs.bioconjchem.5c00049.ISSN 1043-1802. 
  16. Huisgen, R. Angew. Chem. Int. Ed. Engl. 1963, 2, 565

    Agard, N. J.; Baskin, J. M.; Prescher, J. A.; Lo, A.; Bertozzi, C. R. (2006). 《A Comparative Study of Bioorthogonal Reactions with Azides》. 《ACS Chem. Biol.》1. 644–648쪽.doi:10.1021/cb6003228.PMID 17175580. 

  17. Gordon, C. G.; Mackey, J. L.; Jewett, J. C.; Sletten, E. M.; Houk, K. N.; Bertozzi, C. R. (2012). 《Reactivity of Biarylazacyclooctynones in Copper-Free Click Chemistry》. 《J. Am. Chem. Soc.》134. 9199–9208쪽.doi:10.1021/ja3000936.PMC 3368396.PMID 22553995. 
  18. MacKenzie, DA; Sherratt, AR; Chigrinova, M; Cheung, LL; Pezacki, JP (Aug 2014). 《Strain-promoted cycloadditions involving nitrones and alkynes—rapid tunable reactions for bioorthogonal labeling》. 《Curr Opin Chem Biol》21. 81–8쪽.doi:10.1016/j.cbpa.2014.05.023.PMID 25022431. 
  19. (64) (a) Ning, X.; Temming, R. P.; Dommerholt, J.; Guo, J.; Ania, D.B.; Debets, M. F.; Wolfert, M. A.; Boons, G.-J.; van Delft, F. L" Angew. Chem. Int. Ed. 2010; 49, 3065. (b) McKay, C. S.; Moran, J.; Pezacki, J. P. Chem. Commun. (Cambridge, U. K.) 2010, 46, 931. (c) Debets, M. F.; van Berkel, S. S.; Dommerholt, J.; Dirks, A. T. J.; Rutjes, F. P. J. T.; van Delft, F. L. Acc. Chem. Res. 2011, 44, 805. (d) McKay, C. S.; Chigrinova, M.; Blake, J. A.; Pezacki, J. P. Org. Biomol. Chem. 2012, 10, 3066.
  20. Lang, K.; Chin, J. (2014). 《Bioorthogonal Reactions for Labeling Proteins》. 《ACS Chem. Biol.》9. 16–20쪽.doi:10.1021/cb4009292.PMID 24432752. 
  21. MacKenzie, DA; Pezacki, JP (2014). 《Kinetics studies of rapid strain- promoted [3+2] cycloadditions of nitrones with bicyclo[6.1.0]nonyne》. 《Can J Chem》92. 337–340쪽.doi:10.1139/cjc-2013-0577. 
  22. Liu, Fang; Paton, Robert S.; Kim, Seonah; Liang, Yong; Houk, K. N. (2013). 《Diels–Alder Reactivities of Strained and Unstrained Cycloalkenes with Normal and Inverse-Electron-Demand Dienes: Activation Barriers and Distortion/Interaction Analysis》. 《J. Am. Chem. Soc.》135. 15642–15649쪽.doi:10.1021/ja408437u.PMID 24044412. 
  23. Rieder, Ulrike; Luedtke, Nathan W. (2014년 8월 25일). 《Alkene-tetrazine ligation for imaging cellular DNA》. 《Angew Chem Int Ed Engl》53. 9168–9172쪽.doi:10.1002/anie.201403580.PMID 24981416. 
  24. Menzel, Jan P.; Feist, Florian; Tuten, Bryan;Weil, Tanja; Blinco, James P.; Barner‐Kowollik, Christopher (2019). 《Light-Controlled Orthogonal Covalent Bond Formation at Two Different Wavelengths》.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58. 7470–7474쪽.doi:10.1002/anie.201901275.hdl:21.11116/0000-0003-99B4-5.PMID 30916368. 
  25. Ramil, Carlo P; Lin, Qing (August 2014). 《Photoclick chemistry: a fluorogenic light-triggered in vivo ligation reaction》. 《Current Opinion in Chemical Biology》21. 89–95쪽.doi:10.1016/j.cbpa.2014.05.024.PMC 4149939.PMID 25022432. 
  26. Fu, Youxin; Alachouzos, Georgios; Simeth, Nadja A.; Donato, Mariangela Di; Hilbers, Michiel F.; Buma, Wybren Jan; Szymanski, Wiktor; Feringa, Ben L. (2023년 7월 12일).《Establishing PQ-ERA photoclick reactions with unprecedented efficiency by engineering of the nature of the phenanthraquinone triplet state》 (영어). 《Chemical Science》14. 7465–7474쪽.doi:10.1039/D3SC01760E.ISSN 2041-6539.PMC 10337724|pmc= 값 확인 필요 (도움말).PMID 37449069. 
  27. B. Stump (2022). 《Click Bioconjugation: Modifying Proteins Using Click-Like Chemistry》. 《캠바이오켐23.doi:10.1002/cbic.202200016.PMID 35491526.S2CID 248494718.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article-number= (도움말)
  28. Mai, Trang Thi; Hamaï, Ahmed; Hienzsch, Antje; Cañeque, Tatiana; Müller, Sebastian; Wicinski, Julien; Cabaud, Olivier; Leroy, Christine; David, Amandine; Acevedo, Verónica; Ryo, Akihide; Ginestier, Christophe; Birnbaum, Daniel; Charafe-Jauffret, Emmanuelle; Patrice; Mehrpour, Maryam; xRodriguez, Raphaël Rodriguez (Oct 2017). 《Salinomycin kills cancer stem cells by sequestering iron in lysosomes》. 《Nature Chemistry》9. 1025–1033쪽.doi:10.1038/nchem.2778.PMC 5890907.PMID 28937680. 
  29. Solier, Stéphanie; Müller, Sebastian; Tatiana, Cañeque; Antoine, Versini; Arnaud, Mansart; Fabien, Sindikubwabo; Leeroy, Baron; Laila, Emam; Pierre, Gestraud; G. Dan, Pantoș; Vincent, Gandon; Christine, Gaillet; Ting-Di, Wu; Florent, Dingli; Damarys, Loew; Sylvain, Baulande; Sylvère, Durand; Valentin, Sencio; Cyril, Robil; François, Trottein; David, Péricat; Emmanuelle, Näser; Céline, Cougoule; Etienne, Meunier; Anne-Laure, Bègue; Hélène, Salmon; Nicolas, Manel; Alain, Puisieux; Sarah, Watson; Mark A., Dawson; Nicolas, Servant; Guido, Kroemer; Djillali, Annane; Raphaël, Rodriguez (2023). 《A druggable copper-signalling pathway that drives inflammation》. 《Nature》617. 386–394쪽.doi:10.1038/s41586-023-06017-4.PMC 10131557|pmc= 값 확인 필요 (도움말).PMID 37100912. 
  30. Carroll, G. T.; London, G.; Fernandez-Landaluce, T.; Rudolf, P.; Feringa, B. L. (2011).《Adhesion of Photon-Driven Molecular Motors to Surfaces via 1,3-Dipolar Cycloadditions: Effect of Interfacial Interactions on Molecular Motion》(PDF). 《ACS Nano》5. 622–630쪽.doi:10.1021/nn102876j.PMID 21207983.S2CID 39105918. 
  31. Devaraj, Neal K.; Weissleder, Ralph; Hilderbrand, Scott A. (December 2008). 《Tetrazine-based cycloadditions: application to pretargeted live cell imaging》. 《Bioconjugate Chem.》19. 2297–2299쪽.doi:10.1021/bc8004446.PMC 2677645.PMID 19053305. 
  32. Ding, H.; Demple, B (2000). 《Direct nitric oxide signal transduction via nitrosylation of iron-sulfur centers in the SoxR transcription activator》. 《Proc. Natl. Acad. Sci. U.S.A.》97. 5146–5150쪽.Bibcode:2000PNAS...97.5146D.doi:10.1073/pnas.97.10.5146.PMC 25796.PMID 10805777. 
  33. Dieterich 외 (2007). 《Labeling,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newly synthesized proteomes with bioorthogonal non-canonical amino-acid tagging》. 《네이처 프로토콜》2. 532–540쪽.doi:10.1038/nprot.2007.52.PMID 17406607.S2CID 2833184. 
  34. Yu 외 (2012). 《Genetically Encoded Cyclopropene Directs Rapid, Photoclick-Chemistry-Mediated Protein Labeling in Mammalian Cells》. 《앙게반테 헤미 국제판》51. 10600–10604쪽.doi:10.1002/anie.201205352.PMC 3517012.PMID 22997015. 
  35. (a) Liang, G.; Ren, H.; Rao, J. Nat. Chem. 2010, 2, 54. (b) Ren, H.; Xiao, F.; Zhan, K.; Kim, Y.-P.; Xie, H.; Xia, Z.; Rao, J. Angew.Chem., Int. Ed. 2009, 48, 9658.
  36. Ilya A. Osterman; Alexey V. Ustinov; Denis V. Evdokimov; Vladimir A. Korshun; Petr V. Sergiev; Marina V. Serebryakova; Irina A. Demina; Maria A. Galyamina; Vadim M. Govorun; Olga A. Dontsova (January 2013).《A nascent proteome study combining click chemistry with 2DE》(PDF). 《프로테오믹스13. 17–21쪽.doi:10.1002/pmic.201200393.PMID 23161590.S2CID 9002232. 2015년 6월 30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11일에 확인함. 
  37. Cox, Courtney L.; Tietz, Jonathan I.; Sokolowski, Karol; Melby, Joel O.; Doroghazi, James R.; Mitchell, Douglas A. (2014년 6월 17일). 《Nucleophilic 1,4-Additions for Natural Product Discovery》. 《ACS Chemical Biology》9. 2014–2022쪽.doi:10.1021/cb500324n.PMC 4168802.PMID 24937678. 
  38. Michael Floros; Alcides Leão; Suresh Narine (2014). 《Vegetable Oil Derived Solvent, and Catalyst Free "Click Chemistry" Thermoplastic Polytriazoles》. 《바이오메드 리서치 인터내셔널2014. 1–14쪽.doi:10.1155/2014/792901.PMC 4085725.PMID 25032224. 
  39. London, Gábor; Chen, Kuang-Yen; Carroll, Gregory T.; Feringa, Ben L. (2013).《Towards Dynamic Control of Wettability by Using Functionalized Altitudinal Molecular Motors on Solid Surfaces》. 《화학: 유럽 저널》19. 10690–10697쪽.doi:10.1002/chem.201300500.PMID 23784916.S2CID 5759186. 
  40. John E. Moses; Adam D. Moorhouse (2007). 《The growing applications of click chemistry》. 《화학회 리뷰36. 1249–1262쪽.doi:10.1039/b613014n.PMID 17619685. 
  41. Jean-François Lutz; Zoya Zarafshani (2008). 《Efficient construction of therapeutics, bioconjugates, biomaterials and bioactive surfaces using azide–alkyne "click" chemistry》. 《어드밴스드 드럭 딜리버리 리뷰60. 958–970쪽.doi:10.1016/j.addr.2008.02.004.PMID 18406491. 
  42. Pasieka, Anna; Diamanti, Eleonora; Uliassi, Elisa; Laura Bolognesi, Maria (2023).《Click Chemistry and Targeted Degradation: A Winning Combination for Medicinal Chemists?》 (영어). 《ChemMedChem》18.doi:10.1002/cmdc.202300422.ISSN 1860-7187.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article-number= (도움말)
  43. “Click Chemistry”. 2012년 5월 1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6월 5일에 확인함. 
  44. “Invitrogen Exclusively Licenses Novel Click Chemistry-Based Cell Proliferation Assays from Harvard University (NASDAQ:LIFE)”. 2012년 12월 1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6월 5일에 확인함. 
  45. “Xconomy: Allozyne Licenses Scripps Chemistry”. 2010년 7월 15일. 
  46. “Xconomy: Aileron and Scripps Ink Deal”. 2010년 11월 30일. 
  47. “Integrated Diagnostics Licenses "Click Chemistry" from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Strengthening Partner Network”. 2012년 4월 3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6월 5일에 확인함. 
  48. “baseclick GmbH :: We enable nucleic acid labeling bioconjugation” (미국 영어). 《baseclick GmbH》. 2022년 3월 21일에 확인함. 
  49. http://www.basf.com/group/pressrelease/P-10-427
  50. “CYANDYE”. 2018년 10월 3일. 2018년 10월 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화학의 주요 분야
물리화학
유기화학
무기화학
그 외
전거 통제: 국가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클릭_화학&oldid=40833051"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