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크누트 대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크누트 대왕
잉글랜드 국왕
재위1016년~1035년
대관식1017년 1월 6일
잉글랜드런던고세인트 폴 대성당
전임에드먼드 2세
후임해럴드 1세
덴마크 국왕
재위1018년~1035년
전임하랄드 2세
후임하르다크누트
노르웨이 국왕
재위1028년~1035년
전임올라프 2세
후임망누스 1세
신상정보
가문크누트가
부친스베인 튜구스케그
모친불명(스비토슬라바/시그리드 스토라다/벤덴의 군힐드)
배우자노샘프턴의 엘프기푸
노르망디의 엠마
자녀앨프기푸 사이에서
스베인 크누트손
해럴드 1세
엠마 사이에서
하르다크누트
덴마크의 군힐다
종교노르드 이교천주교
묘소하드리아누스 영묘

크누트 대왕(고대 노르드어:Knútr inn ríki 크누트 인 리키,덴마크어:Knud den Store 크누드 덴 스토레[*],영어:Canute the Great,노르웨이어:Knut den mektige 크누트 덴 메크티게[*],스웨덴어:Knut den Store 크누트 덴 스토레[*],폴란드어:Kanut Wielki 카누트 비엘키[*],995년? ~1035년11월 12일)은잉글랜드덴마크,노르웨이의 왕이며슐레스비히포메른의 통치자였다. 잉글랜드 왕으로서는크누트 1세(Canute I)이며, 덴마크 왕으로서는크누트 2세(Knud II)이다. 덴마크의 크누트 1세는 하르타크누트 1세이다.

하랄드 블라톤의 손자이며스베인 튜구스케그의 차남이다. 1016년에 잉글랜드 왕위에 올랐고 1018년에는 덴마크 왕을 겸하였으며, 1028년에는 노르웨이 왕으로 추대되어 '북해 제국(앵글로-스칸디나비아 제국)'을 구축하기에 이르렀다.

그는 재위 기간 동안 잉글랜드 인과 덴마크 인 사이의 갈등을 봉합하고 서로의 문화가 융화되도록 많은 노력을 했다. 잉글랜드 인을 관리로 임명해 정책을 일임했고, 덴마크 문자와 앵글로 색슨 문자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교회와 수도원의 지지를 얻기 위해 십일조 세금 징수를 시행했는데, 이는 교회와 잉글랜드 국민들의 지지를 받는 계기가 되었다. 처음이자 마지막인 덴마크 출신 잉글랜드 국왕이었다.

크누트 대왕이 통치했던북해 제국(North Sea Empire),1030년 경.

생애

[편집]

덴마크 대왕 스벤 1세와 슬라브 레프족 족장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크누트에게 폴란드 국왕 보레스와프 1세는 삼촌이다. 크누트는 아버지 스벤 1세와 보레스와프 1세의 제후와 함께 잉글랜드를 정벌했다. 1014년 아버지가 전사한 뒤에도 계속 싸우고 세력을 떨쳤다. 우선 크누트는 덴마크로가 하랄을 왕으로 인정하고 잉글랜드 정복을 위한 대규모 군대를 지원받게 됐다. 1015년 여름 크누트는 1만 명의 바이킹 대군과 200여 척의 함선을 잉글랜드 정복에 동원했다. 1016년, 앵글로 색슨 가신단 회의에서 영국의 왕으로 추대되어 즉위되었다. 1018년에 형 하랄 2세의 죽음으로 덴마크 왕위를 계승했다. 그 뒤, 노르웨이와 스웨덴등 스칸디나비아 지역을 공략했다. 1028년에는 노르웨이 왕위도 겸하게 되어, 3국의 왕위를 겸한 '대왕'이라고 불렸다. 강력한북해 제국을 손에 넣었다. 1035년 40세의 나이로 사망한다. 사후 후계자 다툼이 일어나고, 북해 제국은 크누트의 사후 불과 7년 만에 무너졌다.

자녀

[편집]

첫째, 노샘프턴 백작 알프헤름 딸 엘기프(엘기봐)와 결혼했다.

  • 스벤 (? - 1036년) - 노르웨이 왕 (아버지와 共治) (1030년 - 1035년)
  • 해럴드 1세 (1015년경 - 1040년) - 영국의 왕

두 번째로 노르망디 리처드 1세의 딸로, 잉글랜드 왕 에설레드 2세의 미망인 엠마와 결혼했다.

  • 하르타크누트 (1018 / 9년 - 1042년) - 덴마크 왕 잉글랜드 왕
  • 군힐다 (1020년경 - 1038년) - 1036년 이후 신성 로마 황제 하인리히 3 세 와 결혼

같이 보기

[편집]
전임
에드먼드 2세
제14대잉글랜드 국왕
1016년–1035년
후임
하랄드 헤라포트
전임
하랄 2세
제6대덴마크 국왕
1018년–1035년
후임
하르다크누트
전임
올라프 2세
제10대노르웨이 국왕
1028년–1035년
후임
망누스 1세
King of England
웨식스 왕조
데인 왕조
웨식스 왕조
데인 왕조
웨식스 왕조
노르만 왕조
블루아 왕조
앙주 왕조
플랜태저넷 왕조
랭커스터 왕조
요크 왕조
튜더 왕조
스튜어트 왕조
연방호국경 통치기
스튜어트 왕조

같이 보기

[편집]
바이킹
시대의 군주
(916년경 – 1387년)
크누트가916년–1042년
하르파그리 왕조1042년–1047년
에스트리센가1047년–1375년
비엘보가1376년–1387년
centeR
칼마르 동맹
(1397년 – 1448년)
에스트리센가1376년–1412년
포메라니아가1397년–1439년
팔츠노이마르크트가1440년–1448년
올덴부르크가
(1448년 – 현재)
종가
(1448년–1863년)
슐레스비히
-홀슈타인
-존더부르크
-글뤽스부르크가

(1863년–현재)
  • 기울임꼴은 노르웨이 군주 겸임을 의미.
  • 1 잉글랜드 군주 겸임.
  • 2 스웨덴 군주 겸임.
  • 3 아이슬란드 군주 겸임.


바이킹 시대

외국계 동군연합은
기울임꼴로, 논쟁 여지가
있으면 (괄호)로 표시
하르파그리 본가872년–976년
크누트가976년–1015년
비겐 가995년–1000년
베스트폴드 가(1015년–1028년)
크누트가(1028년–1035년)
호르파그레타가(1035년–1047년)
하르드라디가(1047년–1135년,
1161년–1184년)
길리가(1130년–1162년)
스베리르가(1184년–1319년)
비엘보가(1319년–1387년)


칼마르 동맹
(1387년–1523년)
에스트리센가(1380년–1412년)
포메라니아가(1389년–1442년)
팔츠노이마르크트가(1442년–1448년)
본데가(1449년–1450년)
올덴부르크가(1450년–1524년)

덴마크-노르웨이
(1524년–1814년)
올덴부르크가1524년–1814년

스웨덴-노르웨이
(1814년–1905년)
홀슈타인고트로프가1814년–1818년
베르나도테가1818년–1905년

독립 이후(1905년–현재)
글뤽스부르크가1905년–현재
  • r 섭정
  • d 덴마크 군주 겸임
  • e 잉글랜드 군주 겸임
  • s 스웨덴 군주 겸임
위키미디어 공용크누트 대왕 주제와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국제
국가
인물
기타
이 글은 군주에 관한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유럽사에 관한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크누트_대왕&oldid=40187086"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