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쿠스코

좌표:남위 13° 31′ 30″서경 71° 58′ 20″ / 남위 13.525° 서경 71.972222° /-13.525; -71.972222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페루의 도시에 관한 것입니다. 뉴에이지 그룹에 대해서는쿠스코 (밴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쿠스코
Cusco
쿠스코의 모습
쿠스코의 모습
시기
별칭제국 도시
행정
국가페루의 기페루
지역쿠스코
행정 구역쿠스코 주
역사
설립1100년
지리
면적385.1 km2
해발3,399 m
시간대PET (UTC-5)
인문
인구488,574명(2022년)
지역 부호
지역번호84
웹사이트http://www.municusco.gob.pe/web/index.php/

쿠스코(스페인어:Cusco,문화어: 꾸스꼬)는페루 남동부쿠스코주에 있는 도시이다. 80km 북서쪽으로마추 픽추가 있으며, 안데스 산맥 사이의 해발 3,399m에 있다. 현재 인구는 약 42만 8천명이다.

쿠스코는케추아어부엉이 바위(rock of the owl)를 의미하고 타완틴수유(Tawantinsuyu,잉카 제국의 정식 명칭)의 수도이며, 문화의 중심지였다. 지금도 페루에서 가장 유수한 도시 중의 하나이다.

역사

[편집]
쿠스코
문명잉카 제국
현 소재지페루의 기페루쿠스코 주
건립 연대15세기
건립자파차쿠티
발굴자--

킬케 문화

[편집]

1200년대 잉카가 이주해 오기 전900년부터1200년까지 킬케인들이 지역을 지배하고 있었다. 쿠스코 교외 사크사이우만 요새의 유적을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으로 분석한 결과,1100년킬케 문화의 요새로 판명됐다. 그 후, 1200년대 이후 잉카 세력이 이곳을 점령했다.2008년3월 13일,고고학자들이 고대 사원, 도로, 수도 시설의 유적을 사크사이우만에서 발견했다.2007년 발굴 조사 결과, 요새의 상완 지역에서 발견된 요새는 군사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종교적인 기능까지 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잉카에 의한 지배

[편집]

1200년대부터1532년까지 쿠스코는잉카 제국의 수도였다. 쿠스코의 거리는 성스러운 동물인 퓨마를 본떠서 만들었다는 설이 있지만, 증명된 학설은 아니다. 잉카의 통치 하에 우린(Urin)과 하난(Hanan) 두 지구로 나뉘어 각각 또는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4개의 지역 이름과 위치는 Chinchasuyu(북서), Antisuyu(북동) Qontisuyu(남서), Collasuyu(남동)였다. 도로는 각 지역에서 해당 제국의 영역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각 지역 지도자들은 마을에 집을 짓고 매년 일정 기간 쿠스코에 살아야 했다. 잉카 제국의 황제파차쿠티의 통치하에, 잉카 사람이 죽으면 그 호칭은 아들이 물려받고, 그 재산은 그 친척에 의해 지배되는 자치 단체에 수여되는 전통이 생겨났다. 호칭을 유지하는 사람은 자신의 사후에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토지를 소유하기 위하여 새로운 집을 짓고 새 땅을 제국에 추가할 필요가 있었다.

잉카의 전설에 의하면, 쿠스코는사파 잉카 파차쿠티에 의해 건설되었다. 그는 쿠스코 왕국을 활기없는 도시에서 거대한 타완틴수유제국으로 바꾸었다. 그러나 고고학적 증거에 의하면, 파차쿠티 지배 이전부터 마을은 점차 유기적으로 발전했다. 그것은 정해진 계획에 따라 건설된 두 개의 강이 마을을 둘러싸듯이 부어 개조되었다. 쿠스코의 도시 계획은 제국의 다른 도시로 만들어졌다.

1527년 우아이나 카팍 사후, 쿠스코는우아스카르의 지배 영역이 되었다.1532년 4 월, 도시는 키파이판 전투에서아타우알파에게 점령되었다. 그 19 개월 후, 마을은쿠스코 전투를 거치며, 스페인 정복자에 침략당한다.

스페인 정복

[편집]

1533년11월 15일 스페인인이 처음 도달했다.프란치스코 피차로1534년3월 23일 도시를 공식적으로 발견하고 ‘매우 고상하고 위대한 도시 쿠스코’라는 이름을 붙였다.

식민 지배의 흔적은 도시의 건축물에 여전히 남아있다. 침략 이후, 스페인 식민지 사람은 수많은 잉카의 건축물, 사원, 궁전을 파괴했다. 그들은 파괴하고 남은 벽을, 신도시 건설의 기초로 사용했다. 그리고 많은 교회, 수도원, 성당, 대학, 주교구를 건설했다. 잉카 전통 건축 방식에 스페인의 영향이 융합된 건물이었다. 스페인 사람은 토착 사원을 가톨릭 교회, 궁전 그리고 그들의 주택으로 개조했고, 키르케 구조에 타완팅스유(Tawantinsuyu)를 가미하여 쿠스코 건축물은 중후한 문화가 융합되었다. 잉카가 키르케 구조 위에 건물을 세운 것을 스페인인들은 잉카에 의해 세워진 거대한 바위 위에 건축물을 세웠다. 스페인식 건축물은 잉카에 의해 만들어진 거대한 돌담 위에 만들어져 있다. 이 잉카 시대의 석조 건축물은 바위와 바위 사이에 “면도날 하나 허용하지 않는” 촘촘하고, 정교함이 있었다. 또한, 주위에는사크사크와만 유적과 켄코 유적 등 많은 유적이 흩어져 있다.

쿠스코는안데스 지역에서 스페인 식민지와 기독교 포교의 중심이 되었고, 농업, 목축, 광업과 스페인과의 무역 덕분에 쿠스코는 번창을 할 수 있다.

현재

[편집]

현재는마추픽추 유적지와 사이,티티카카 호수 부근의 푸노 사이에 페루 남부 철도가 달리고 있으며, 수도 리마에서 비행기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도 각지 사이에 운행되고 있지만, 도로 사정이 좋지 않고, 특히 우기는 항공, 철도에 비해 확실하지 않다.

1983년,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현재2026년 개항을 목표로친체로 국제공항이 건설되고 있다.

인구

[편집]
연도별 인구
연도인구±%
150045,000[1]—    
16145,000−88.9%
17616,600+32.0%
18126,900+4.5%
18209,000+30.4%
182715,000+66.7%
185016,000+6.7%
186115,000−6.2%
187717,000+13.3%
189018,900+11.2%
189620,000+5.8%
190025,000+25.0%
190833,900+35.6%
192030,500−10.0%
192532,000+4.9%
192733,000+3.1%
193135,900+8.8%
194040,600+13.1%
194545,600+12.3%
195150,000+9.6%
195354,000+8.0%
196180,100+48.3%
1969115,300+43.9%
1981180,227+56.3%
1993250,270+38.9%
1997275,318+10.0%
2000295,530+7.3%
2005375,066+26.9%
2006382,577+2.0%
2007390,059+2.0%
2008397,526+1.9%
2009405,000+1.9%
2010412,495+1.9%
2011420,030+1.8%
2012427,580+1.8%
2013435,114+1.8%
2015434,654−0.1%

기후

[편집]
쿠스코 (1991년~2020년)의 기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역대 최고 기온 °C (°F)27.8
(82.0)
26.7
(80.1)
25.3
(77.5)
26.9
(80.4)
27.0
(80.6)
24.2
(75.6)
24.2
(75.6)
25.8
(78.4)
25.9
(78.6)
27.2
(81.0)
26.6
(79.9)
29.9
(85.8)
29.9
(85.8)
일평균 최고 기온 °C (°F)19.6
(67.3)
19.5
(67.1)
19.8
(67.6)
20.3
(68.5)
20.7
(69.3)
20.4
(68.7)
20.1
(68.2)
21.1
(70.0)
21.5
(70.7)
21.4
(70.5)
21.9
(71.4)
20.3
(68.5)
20.6
(69.0)
일일 평균 기온 °C (°F)13.0
(55.4)
13.0
(55.4)
13.0
(55.4)
12.5
(54.5)
11.4
(52.5)
10.4
(50.7)
10.0
(50.0)
11.0
(51.8)
12.4
(54.3)
13.3
(55.9)
14.0
(57.2)
13.1
(55.6)
12.3
(54.1)
일평균 최저 기온 °C (°F)8.2
(46.8)
7.9
(46.2)
7.9
(46.2)
6.2
(43.2)
3.5
(38.3)
1.7
(35.1)
1.3
(34.3)
2.5
(36.5)
5.1
(41.2)
6.9
(44.4)
7.7
(45.9)
8.0
(46.4)
5.6
(42.0)
역대 최저 기온 °C (°F)0.0
(32.0)
0.0
(32.0)
0.0
(32.0)
−2.0
(28.4)
−7.0
(19.4)
−4.5
(23.9)
−7.0
(19.4)
−6.0
(21.2)
−6.0
(21.2)
0.0
(32.0)
0.0
(32.0)
0.5
(32.9)
−7.0
(19.4)
평균강수량 mm (인치)153.4
(6.04)
132.1
(5.20)
105.9
(4.17)
38.4
(1.51)
7.1
(0.28)
3.3
(0.13)
5.9
(0.23)
6.6
(0.26)
18.0
(0.71)
54.5
(2.15)
77.3
(3.04)
125.2
(4.93)
727.7
(28.65)
평균 강수일수(≥ 1.0 mm)19.617.215.67.32.21.01.21.93.99.39.817.1106.1
평균상대 습도 (%)66676663595554545656586260
평균 월간일조시간1431211702102392282572361951981951582,350
출처 1:미국 해양대기청,[2] Meteo Climat (극값)[3]
출처 2:독일 기상청 (상대습도: 1954년~1993년),[4] 덴마크 기상학회 (일조시간: 1931년~1960년),[5] Starlings Roost Weather[6]

자매 도시

[편집]
도시국가체결 시기
라파스볼리비아의 기볼리비아1984년1월 3일
바기오필리핀의 기필리핀1984년8월 23일
사마르칸트우즈베키스탄의 기우즈베키스탄1986년8월 4일
멕시코시티멕시코의 기멕시코1987년6월 17일
크라쿠프폴란드의 기폴란드1988년11월 8일
뉴저지주미국의 기미국1988년11월 8일
샤르트르프랑스의 기프랑스1989년10월 21일
개성특별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북한1990년10월 22일
아테네그리스의 기그리스1991년9월 18일
모스크바러시아의 기러시아1993년6월 23일
샌타바버라미국의 기미국1992년8월 29일
하바나쿠바의 기쿠바1993년11월 22일
베들레헴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의 기팔레스타인1993년10월 22일
예루살렘이스라엘의 기이스라엘1996년3월 23일
코판온두라스의 기온두라스1996년4월 11일
시안시중국의 기중국1998년6월 21일
포토볼리비아의 기볼리비아1998년6월 22일
쿠엥카에콰도르의 기에콰도르2000년3월 14일
리우데자네이루브라질의 기브라질2003년10월 10일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Chandler & Fox 1974, 189쪽. sfn 오류: 대상 없음: CITEREFChandlerFox1974 (도움말)
  2. “Cusco Climate Normals 1961–1990”. 미국 해양대기청. 2017년 7월 4일에 확인함. 
  3. “Station Alejandro Velasco” (프랑스어). Météo Climat. 2017년 7월 4일에 확인함. 
  4. “Klimatafel von Cuzco, Prov. Cuzco / Peru”(PDF). 《Baseline climate means (1961–1990) from stations all over the world》 (독일어). 독일 기상청. 2017년 7월 4일에 확인함. 
  5. Cappelen, John; Jensen, Jens.“Peru – Cuzco”(PDF). 《Climate Data for Selected Stations (1931–1960)》 (덴마크어). 덴마크 기상학회. 209쪽. 27 April 2013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18 December 2012에 확인함. 
  6. “Cuzco Climate: 1991–2020”. Starlings Roost Weather. 2025년 2월 2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위키여행에 이 글과
관련된 기사가 있습니다.
국제
국가
지리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쿠스코&oldid=39595001"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